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색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평가 기반마련 연구 : 개발사업의 사회영향 모니터링을 중심으로

        신용승 ( Yongseung Shin ),조공장 ( Kongjang Cho ),김동현,김진형,백명수,서정철,최충식,길복종,박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사업보고서 Vol.2018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개발사업 사례로 인해 발생한 사회영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주민 삶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에 대해 진단하고 사회영향 모니터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규모 및 종류의 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진행할 때, 분쟁·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이 발생하며, 사후영향조사에 대한 불신과 문제 제기가 지속된다. 또한 정책의 수립 단계에서부터 민주적인 절차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민참여형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사회영향은 각 개발사업 및 지역, 이해관계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주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경험 및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사업의 사회영향을 진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참여를 위한 ‘KEI 국민참여 연구사업 공모’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개발사업으로 인한 사회영향에 대해 진단하고 모니터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사회영향 모니터링 연구는 모니터링 지표 선정과 개발사업 사회영향 사례 연구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하는 개발사업 사례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제안한 사회영향 모니터링 지표는 사업지역 이해당사자 분류, 주민 거주기간, 주거 만족도, 사업 중 이주 예정지역, 재이주 의사, 이해당사자 직업 변화 등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 대상이 되는 사업은 시화지구 송산그린시티, 예산신소재일반산업단지, 금산일반산업단지 고형연료 열분해시설 개발사업이다. 세 가지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특성과 사업 추진과정을 종합분석하고 사회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영향 모니터링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역주민과의 인터뷰와 심층면접, 지표 타당성 평가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주민 인터뷰 결과 시화지구 개발사업 사례에서는 어민들이 바다를 잃고 농지도 보상받지 못하면서 삶과 미래가 사라졌다는 점, 예산신소재일반산업단지 사례에서는 주물단지가 위치한 행정구역인 예산군 주민들만이 협의에 참여하고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받게 될 당진시 주민들이 배제되었다는 점, 금산일반산업단지 고형연료 열분해시설 사례에서는 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 농도가 협의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정보공유 및 행정처리 설명 부족으로 인해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불신이 크다는 점이 사회영향평가에 있어 주요 쟁점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제안한 사회영향 모니터링 지표 및 주민 인터뷰를 바탕으로 워크숍을 수행한 결과, 갈등영향분석과 협의체 구성, 주민건강평가, 정보 공유 등에 대한 지역 지표가 제안되었다.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한 사회영향 모니터링의 개선방안은 사회영향평가와 갈등영향평가의 제도화이다. 실질적인 미래와 삶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관련 이해관계자의 능동적 참여를 바탕으로 충분한 정보교류와 숙의적 논의를 통한 사회적 합의 절차의 설계가 제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회환경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쟁점해결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지표를 선정하고 지역 공동체의 수용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갈등영향평가의 도입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원주민의 관점에서 삶의 질을 고려한 사회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주민의 합의를 전제로 사업을 추진하는 제도적 거버넌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actual impacts on residents' lives by monitoring the social impacts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in Ko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social impact monitoring. When planning and carrying out development projects of various sizes and types, social costs and burdens arise due to conflicts, and distrust. In addition, research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order to secure democratic procedural ability is required. Since social impa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 project, region, and stakeholder,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local residents are needed to assess the social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KEI National Participation Research Project' project for public participation, diagnosed the social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ject,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ocial impact monitoring.The study of social impact monitoring consists of the selection of monitoring indicators and the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In order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ject case area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social impact monitoring indexes are business area stakeholder classification, residence period, residential satisfaction, Stakeholder’s job changes and etc. Next, the projects that will be the subject of case study in this study are the development project of Sihwa district Songsan Green City, Yesan new material general industrial complex, and Geum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the three regions where the three projects are conducted, investigate and analyz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propose ways to monitor social impacts and improve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process,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in-depth interviews, and evaluation work on landmark feasibility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residents’ interview, the case of Sihwa district Songsan Green City shows that the fishermen lose their seas and the farmland is not compensated, the life and the future disappear. In the case of Yesan new material general industrial complex, only the residents of Yesan-si participated in the consultation for the projects and the residents of Dangsan-si who will be directly effected by the projects did not participated in the consultation. In the case of solid fuel pyrolysis facilities in Geum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facilities does not satisfy the criteria of consultation, and due to lack of information sharing and administrative explanation, the residents distrus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workshop based on the social impact monitoring indexes proposed by this study and residents interview, the analysis of conflict impacts, the composition of the council, the residents’ health evaluation, and the information sharing were suggested.Through this study, the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social impact monitoring ar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conflict impact assessment. It is because that design of social consensus procedures for practical assurance of future and life through sufficient information exchange and deliberative discussion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of related stakeholders should be conducted under the systems. Also, in order to analyze the social environm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have an issue-solving approach. In order to select indicators appropriate to local characteristics and to expand the acceptability of local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nflict impact assessment. In conclusion, institutional governance should be established to monitor the social impacts of the quality of lif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indigenous people and promote the project based on the agreement of the residents.

      • 환경복지 구현을 위한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개발 방안

        신용승 ( Yongseung Shin ),추장민 ( Jang Min Chu ),윤성지 ( Sung-ji Yo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본연구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복지 구현을 위한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외 환경복지정책 및 환경서비스 사례와 설문조사,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환경서비스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며 환경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환경서비스 개념을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안전하며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대국민 서비스”로 정의하고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 유형을 통해 환경서비스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키고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환경서비스에 대한 국민체감도 및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환경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보통으로 응답하였으나 만족보다 불만족에 대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국민들의 생활환경 및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대기, 물, 환경보건 분야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환경서비스 체감도 향상을 위한 방안에 관한 질문에는 맞춤형서비스 개발, 취약계층 지원, 서비스 콘텐츠 확대 및 질적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고 원하는 서비스 유형으로는 경제적 지원, 정보 제공, 관리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개발 원칙으로서 ‘맞춤형’, ‘소통형’, ‘참여형’의 3대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환경적 부정영향(Negative)을 저감하는 기능적·규제적·환경불평등 해소 측면의 정책과 더불어 환경적 혜택·부가가치(Positive)를 증진시키는 환경서비스를 확대’하는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야별 빈도에 따른 관심 키워드를 도출하여 이를 환경서비스 관점에서의 환경서비스 개발요소로 활용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환경서비스 대상(관심 분야, 서비스 계층)과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기존의 환경정책 또는 서비스와 차별화 될 수 있는 분야별 환경서비스 예시를 제시하였다.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으로는 1) 환경서비스 수요 발굴 및 검증체계 마련, 2) 환경서비스를 고려한 환경복지지표 개선, 3) 환경서비스 가이드라인마련, 4) 중앙부처-지방정부-시민단체 협조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그 밖에 커뮤니케이션 방안으로는 환경서비스에 대한 정기적인 수요 및 만족도 조사와 정보취약계층을 고려한 오프라인 정보를 제공, 그리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행사 및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이제 환경복지정책은 담론 차원에서가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수단을 통해 서비스로서 제공해야 할 시점이다. 환경서비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자인 국민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방법을 고민해야 하며 국민들의 향상된 생활수준을 고려하여 환경에 대한 기본수요를 충족시키는 차원을 넘어서 환경적 혜택과 부가가치를 높이는 환경서비스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principles and measures for ‘practical environmental service’ are suggested by defining its term,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open survey and social big data on environmental welfare and services. Environmental service can be defined as ‘services provided to the people for insurance of secure,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Thi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ervices with more variable contents and types of the service. As a result of the open survey, it is suggested that more customized environm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recipients or targeting vulnerable group. In addition, more variety in the service contents is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ervice.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are more favorable with the service types such as economic incentive, information providing, and management services. Elements of the practical environmental services are derived based on keywords from the social big data analysis. By combining the service targets (i.e., interests and target group) and service measures, environmental service portfolio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ervices are suggested. Including periodical demand survey of environmental services, improving environmental welfare index in consideration of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services, and guideline for developing environmental services are also suggested as institutional measures. Promoting communication for the environmental services to the vulnerable groups is also important by improving the off-line information and educational or experience programme for th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higher environmental welfare, more practical and detailed environm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people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f their needs.

      • 지역기반 참여행 연구방법론 연구 : 기후변화 리빙랩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신용승 ( Yongseung Shin ),조공장 ( Kongjang Cho ),김동현,김진형,최재성,서아론,임지원,장혜연,구민주,최승제,박선아,김수현,이종관,김정수,남선정,고승현,김우창,최정화,이순주 한국환경연구원 2018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people participatory research to identify and solve life - friendly environmental problems related to climate and living environment theme. We conducted “KEI National Public Participation Research Project” for public participation type research, and three institutions were selected to conduct living lab research and five teams were selected to conduct a free topic research(small study). The results of each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ummary of the three living lab businesses is as follows. The Living Lab Project for Reducing Plastic Garbage was conducted to educate and discuss ways to reduce plastic bags for housewives in their fifties and plastic straws for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who have kids, respectively.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use of eco bags and the use of water cups without straws is a cost effective plastic abatement activity. Next, the Zero-waste Project of a Single-person Household installed garbage parking lot for the residents of a studio apartment village around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garbage problem.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changed during the experiment and the power of direct participation was confirmed. The Climate Chemical Safety Living Lab conducted a living lap for the toluene, a climate change impact substance, in the Hwaseong City and the LG Chem Cheongju Plant. We proposed the addition of the definition of “suspected substance of climate change impact” to the Hwaseong City Regional System Ordinance (draft) and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toluene handling manual of LG Chem Cheongju Plant. The results of the small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our tourism with blackfaced spoonbills was conducted on a bird watching tour program for blackfaced spoonbills breeding in the southern part of Incheon. The effect of natural art education was confirmed that the ecological awareness of participants was changed and practical environment knowledge could be acquired through the natur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new community based on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on and the solidarity of disorganized village communities and the semantic analysis we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reason of the consensus by interviewing the resi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f the dismantled village community after the conflict of Milyang power tower and diagnose the resolution of community problems. The environmental mastering research group conducted a survey on green curtains and installed them directly in the office, and discussed the idea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DIY environment study group investigated the types and effects of harmful chemicals and conducted activities to create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ehold goods.

      • 환경과 문화예술 콘텐츠 융합을 통한 기후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

        신용승 ( Yongseung Shin ),이현우,천정윤,김시진,김산하,장영승,이성태,박성준,박강우,김가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6 No.-

        기후환경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환경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행동 변화가 매우 중요하다. 과학적 사실과 정책정보 콘텐츠 위주의 홍보매체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국민과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콘텐츠를 융합한 환경문화 서비스를 통해 기후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향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생태과학과 예술이 접목된 콘텐츠 개발 방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기후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현황으로서 정보 제공 포털, 환경·생태 서비스를 살펴보았다. 정보 제공 방식의 포털은 기후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증진 측면에는 기여할 수 있지만 일반인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졌으며 직접적인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환경·생태 서비스는 관광 및 휴양 목적으로 제공되어 국민의 접근이 용이하지만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측면과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화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환경예술 등은 일반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할 수 있어 기존의 환경·생태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생태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이용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문화 향유를 통해 기후변화 혹은 생태적 문제의식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일련의 환경서비스`로서 기후환경 문화서비스를 정의하였다. 기후환경 문화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결과, 국민은 서비스의 접근성이 높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체험 활동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개념의 기후환경 문화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의 동태적 과정 반영, 생태적 기능과 역할 수행 등의 생태적 원리가 반영된 문화예술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환경과 예술이라는 서로 다른 접근방법과 관점을 가진 전문가들이 협업, 융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름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고, 각 과정에서 상호 지속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며, 함께 소통·공유할 수 있는 만남의 장소가 마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태적 접근법과 예술적 접근법을 살펴봄으로써 상대방의 접근방식과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원칙과 요소를 반영한 기후환경 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해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생태적 원리를 반영한 문화서비스 체험 기회를 확대한다. 생태적 원리를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로 체험할 수 있도록 생태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생태예술 체험시설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둘째, 부문 간 융합 및 상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사업을 마련한다. 지자체에서는 지역 내 환경 복원 사업 등 환경과 문화예술의 협업을 유도하는 융·복합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생태과학과 문화예술이 협력한 시민참여 교육을 추진한다. 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기반의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업들을 위한 기본적 인프라로서 전문가와 이해당사자, 시민이 함께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과 `정책포럼`을 제안하였으며, 환경·문화예술 시설설치 및 콘텐츠 활성화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융합형 기후환경 문화서비스가 개발되고 보급되어 향후 국민과의 환경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cope with climate-environmental risks, it is very important that people understand climate change policy and change their behavior. PR media focused on scientific facts and policy information contents could have limitations as a means of risk communi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pproach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vitalization of climate-environment risk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environment and culture & art. In this study, we defined Climate-Environment Cultural Services (CECS) as `a series of environmental services aiming to enhanc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or ecological problems through the enjoyment of various forms of environmental culture as well as the direct use of na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big data analysis conducted to grasp the citizens` demand for climate environment cultural service, it was found that the people prefer activity programs that are readily accessible and interesting. We presented the principles and elements for the convergence of the environment and culture & art. The 4 principles are 1) Reflection of ecological principles, 2) Awareness of differences, 3) Mutu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and 4) Arrangement of meeting place for communication and sharing. We also presented the ecological approach and the artistic approach as technical elements for convergence. In order to vitalize the CECS, the following three strategies were suggested. First, expand opportunities for more people to experience cultural services that reflect ecological principles such as eco-cultural content or eco-art facilities that encompass various genres of culture and art. Second, develop projects that can promote the convergence and mutual participation between sectors. The municipalities can find and support opportunities for convergence business that induce collabor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culture & art sector such as environmental restoration projects. Third, promot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gage citizens in cooperation with ecological science and culture & arts. Local-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n environmental culture program for citizens and students. As the foundation for these projects, we proposed `online platform` and `policy forum` that enable experts, stakeholder and citizens to share information and opinions together and collaborate. And we also proposed the amend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o specify the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and culture & art facilities and active content generation. We hope that various CECS with a variety of convergent contents will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for activ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the near future.

      •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방안 연구(Ⅱ)

        신용승 ( Yongseung Shin ),배현주 ( Hyun-joo Bea ),윤성지,김시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는 국내 환경보건 이슈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지자체 대응현황 및 역량에 대해 파악하였고, 위해저감계획, 지역사회 거버넌스, 환경보건 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프로그램의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기술적 문제점 및 보완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환경보건 이슈 분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 실내 라돈 농도 분포, 전국 폐암사망자 분포, 전국 폐광산 분포, 전국 자연발생 석면 및 석면 건축물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지자체 대응 현황 및 역량을 진단하기 위해 환경보건계획 수립여부, 전담부서 유무 및 인력 배정 현황, 지역 네트워크, 환경보건 관련 사업 예산을 분석하였다.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위해저감계획, 지역사회 거버넌스, 환경보건 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1차년도에 도출된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시범사업 지역은 `충청남도`로 선정하였고 환경보건 이슈는 `라돈`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범사업 과정에서 `충남 지역 환경보건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수행하고 의견 교류 및 협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충청남도 라돈관리계획(안)』을 수립하였다. 시범사업 과정을 통해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프로그램의 단계별 문제점과 필요한 기술적인 보완사항을 제시하였고 「환경보건법」 개정을 통한 `지역 환경보건 실행계획`의 의무화, 행정 전담기구인 `지역 환경보건센터`와 협의 구조인 `중앙환경보건협의회` 및 `지역환경보건협의체`를 구성 및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환경보건 분야의 행정적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지자체 조직상에 환경보건업무를 정식 직제 규정에 포함하고 전담 부서와 인력을 지정하도록 제안하였으며 지자체 환경보건업무 담당 인력에 대한 정기적인 환경보건업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제안하였다. 지역기반 환경보건정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의 환경보건 문제를 보다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지역사회가 환경보건정책 방안의 계획 단계, 환경보건 현황 분석 단계, 우선순위 선정 단계, 위해저감 계획 및 실행 단계, 이행과정 사후 모니터링 단계 등 일련의 단계에 참여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서 환경보건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정책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e of domestic local communities f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and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 for that and reviewed cases of risk reduction plans, local governance, environmental health services. Also, we performed pilot project on the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health supporting programme and suggested institutional and technically alternatives for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A review was carried out the data on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indoor radon level, the abandoned mine, the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and asbestos in building, etc. to investigate the state of local environmental health issues. To analyze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 f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we considered whether the environmental health plan exists or not and reviewed state of the complete charge department and personnel, local network, budget on environmental health projects. And we derived implications from the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on risk management plans, local governance, environ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health supporting programme proposed in the first-year study, this study performed pilot project with local government of the Chungcheongnam-do. We ran consultative group involv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ocal and environ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hey made decisions that define the priority among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the Chungcheongnam-do and develop risk reduction plan. The radon issue was determined as subject of pilot project and the projec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procedure of the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health supporting programme. Finally, the draft of radon management plan of Chungcheongnam-do as a outcome of project was derived from round-table meeting. This study suggested three alternatives for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First, it is to amend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that local government obligatorily establish the local environmental health plan. Second, it is to designate the complete charge department and personnel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under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o provide them regularly education programs of environmental health work for improved professional ability. Finally, we suggested that it is to establis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called the Local Environmental Health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o run a permanent meeting for information exchange in national level called The Conference for Environmental Health of Central Government and a temporary meeting for resolve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in local level called The Consultative Group for Environmental Health of Community. The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health supporting programme and alternatives sugges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igure out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community and to effectively address that through the collaborative partnership of all stakeholders.

      • Review on the water-gas shift process for a coal SNG project

        김영도(Kim, Youngdo),신용승(Shin, Yongse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Coal gasifica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rospective technologies in energy field since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roducts such as electricity, SNG (Synthetic Natural Gas or Substitute Natural Gas) and other chemical products. Among those products from coal gasification, SNG is emerging as a very lucrative product due to the rising prices of oil and natural gas, especially in Asian countries. The process of SNG production is ver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IGCC in that the overall process is highly dependent on the type of gasifier and coal rank.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SNG production and IGCC, which is that SNG plant requires higher oxygen purity from oxygen plant and more complex gas cleanup processes including water-gas shift reaction and methanation. Water-gas shift reaction is one of the main process in SNG plant because it is a starting point for the latter gas cleanup processes. For the methanation process, syngas is required to have a composition of H₂/CO = 3. This study reviewed various considerations for water-gas shift process in a conceptual design on an early stage like a feasibility study for a real projec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sign parameters of water-gas shift reaction include the coal properties, the type of gasifier, the overall thermal efficiency of the plant and so on. Water-gas shift reaction is a relatively proven technology compared to the other processes in SNG plant so that it can reduce technological variability when designing a SNG project.

      • KCI등재

        베트남 바이오매스(왕겨) 발전사업 타당성에 관한 연구

        이석홍(Suckhong Lee),이교성(Kyosung Lee),신용승(Yongseung Shin),김용관(Yongkwan Kim),이근우(Guenwoo Lee),안지예(Jiyae Ah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5 신재생에너지 Vol.11 No.1

        According to the reforms and open market policy (Doi Moi), Vietnam’s economic growth has been increased consistently since 1986. However, several blackouts have been occurred due the lack of electricity in major cities such as Hanoi and Ho Chi Minh. Industrial parks and plants have been directly damaged by the blackout and inconsistent electricity supplement. Thus, Vietnam government sets up a plan to establish 362 billion kW sized power plants until 2020. From among these plants, 500 MW sized biomass power plants are going to be constructed. Mekong delta region produces 20million tons of the rice from rice mills. Among the rice production, 25% are produced as rice husk and it is incinerated or abandoned causing the air and water pollution. By utilizing rice husk regarding agricultural waste, steam and power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feasibility study, the techn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study of biomass (rice husk) power plant are scruti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