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마을 運動 實績評價模型 作成에 관한 硏究

        黃明燦,玄斗日,梁始浩,朴英熙,金龍國,申大淳 건국대학교 1974 學術誌 Vol.17 No.1

        The New Village (Sae-ma-eul) movement is Korean version of Community Development that has under-gone widespread exploration, experimentation and appli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in recent years. In most countries the national governments have undertaken the iniative in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appropriate ministries or special agencies. The New Village Movement was initiated in 1970 by Korean government. But it became a people's movement for self-development as more and more peopl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al programs. The major objectives of the New Village movement are to redress the economic disparities between the rural and urban areas by improving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rural Communities, to reform the way of life in rural villages by encouraging the attitude of self-help, and to increase the income of the farmers and fisher man. Since 1971, An enormous amount of public and priate money has been invested into the New Village Movement. It seems that the time has arrived when some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whole program is to be develop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ropriate to evaluate the new village project at the village level. Ten major factors which are supposed to be relevant for evaluation of the project was selected. The evaluation model thus developed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rmat.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 KCI등재
      • KCI등재

        전쟁의 이야기체와 몽타쥬 기법 - 『 희망 』 과 『 자유의 길 』 연구

        조영훈(Yeung Hun Cho) 한국프랑스학회 199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24 No.-

        Dans les rrscits de guerre, celle-ci impose une nouvelle pratique du langage. Une nouvelle relation du sujet au langage nait, lorsque ce sujet clate, morcel par la guerre. L"escriture de la guerre provoque donc 1"esthtisation paradoxale d"un monde en tours d"clatement : comment parvenir restituer dans un mode fictionnel une poque comme un ensemble, tandis que le morcellement menace sa connaissance en soulignant la vanity de cette sorte d"essai? ou, autrement dit, comment segmenter les matriaux romanesques pour les relier ensuite, sans recourir ~ une thorie sur 1"poque en question, tout en dpassant la superficiality des subjectivits mimiques? Cette difficultes renvoie immdiatement au problme de la focalisation que provoquent de manitsre extraordinaire les rcits de guerre. On peut ranger L Espoir et Les Chemins de la libertE dans une subdivision du oint de vue multiple)) de la catgorie de (Cla focalisation interne)) ou le narrateur n"en dit pas plus que les personnages n"en savent, et mine le rcit dans leur perspective. L Espoir et Les Chemins de la IibertE sont des romans de guerre non pas tant au sens qu"ils convoquent la guerre comme objet que parce qu"ils se fondent sur une po~tique de la guerre. Nous nous proposons d"examiner la retextualisation des unites narratives fragmentes dans L Espoir et dans Les Chemins de la liberty. On se concentrera sur la reconstruction effectue a partir des morceaux fraementaires. c"est-dire sur le montage, dont on connait I"importance pour 1"esthtique malrucienne et sartrienne. Nous entendons ici par unlt narrative un morceau de rescit dans lequel un personnage est charge d"un point de vue. L"unity narrative ouvre une perspective par laquelle le personnage central domine le rcit. Le passage d"une unity une autre correspond un changement de point de vue, et vice versa. Et le changement de point de vue s"accompagne grsnralement du desplacement de lieu. Par consequent. une unitk narrative implique une perspective et un lieu, diffErents de ceux des unites prcedente et suivante. Puisqu`il est question de modes d`articulation entre les unites fragmentaires, il faut aussi prciser quels types d`articulation nous tudierons. Nous appellerons montage la transition dune unite une autre par un ou des lment(s) associatif(s) leur appartenant communement. comme les themes, les lments grammaticaux, les choses, les situations, les actions ou les sentiments. Les relations entre les unites peuvent procder de diverses valeurs la juxtaposition. 1`analogie, la complmentarit ou 1`opposition. Pour comprendre les caractristiques des procds de montage dans L "Espoir et dans Les Chemins de la liberte, nous analysons leurs diffrents aspects : 1`enchainement. 1`alternance. 1`enchassement, 1"espacement, le jeu scriptural. I`erljambement. 1`expansion: la coordination horizontale et la subordination verticale. Nous nous concentrons ensuite sur leurs diverses valeurs symboliques. On ne nglige point d`analyser la taille en moyenne des unites narratives montes et la vitesse en moyenne de la narration surtout dans L "Espoir et dans Le Sursis. Ce qui caracterise en effet le montage malrucien et sartrien est son mouvement eblouissant horizontal et vertical. Le montage n`existe pas isomemt. Cette cellule molculaire ne cesse de prolifrer, de se reproduire et de se croiser avec d`autres pour devenir enfin un hybride multiple. La varitk, la subtilit et la fascination du montage donnent un grand plaisir de lecture, chaque fois renouvel. On assiste un monde en tours d`clatement que notre lecture essaie vainement de fixer. L`improvisation desinvolte et alh3gre du montage requiert une participation positive du lecteur, qui y cherchera de grandes lignes ressortant sur une poussire de morceaux fragments. Les themes de la chute de Tolde et de la voix de 1`espoir, chez Malraux. et ceux de la course du train et du flottement du bateau sur la mer, chez Sartre : tels sont les grandes lignes que nous pouvons releve

      • KCI등재

        외식기업 서비스 종사원의 성격요인이 직무적합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훈(Yeung Hun Kim) 한국조리학회 2011 한국조리학회지 Vol.17 No.5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ervice employee`s personality on job fi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food service business, Based on total 164 samples obtained from an empirical research for service employees who engage in food service busines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employee`s personality consists of extroversion, neuroticism,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intelligence, Second, the service employee`s job fit is affected by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intelligence of a service employee, Third, the service employee`s 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intelligence significantly affect the service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Fourth, the service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is affected by job fi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ervice employee`s personality affect job fit and customer orientation.

      • KCI등재

        《N'importe qui》et son double fonctionnement dialectique dans Les Chemins de la liberte

        Cho, Yeung-hun 全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0 용봉인문논총 Vol.19 No.-

        사르트트의 3부작 소설 "자유의 길"에 나타난 작중인물의 체계와 전쟁의 양태에 대한 연구의 첫부분으로 고안된 이 논문은, 전쟁의 글쓰기가 소설인물들의 구성방식에 작용하는 《n'importe qul》 테마와 그 변증법적 기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쟁의 글쓰기는 특히, Genette가 분석했던 바와 같은 'focalisation'(qui voit? :누가 보느냐?)의 문제를 즉시 제기한다. 작중인물의 시점의 '영역의 제한'을 직접적으로 가하기 때문이다. Raimond이 말한 바, '시점의 기법이 기꺼이 개화되는 영역이 있다면, 그것은 인물이 아무 것도 보지 못한채 행동해야하는 전투장면이다'. 이러한 지적은, Stendhal의 "파르므의 승원"의 주인공 Fabrice의 첫전투라는 유명한 에피소드에 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쟁의 이야기체의 강한 전통, 즉, 조망적인 시야와 설명을 허용치 않는다는 전통을 상기시킨다.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여러 인물들의 자유에의 길의 모색을 그 주제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이, 인물의 구성에서, 근본적으로 제기하는 것도 위와 같다. 두번째 작품 "집행유예"에서부터 본격화되는 전쟁의 출현은, 가장 지적이며 그 소설적 기능이 무엇보다도 '보는' 데 있는 주인공 Mathieu에게 조차, 그 전모를 파악하는 것을 허용치 않는다. 어떠한 전망도 부여받은 바없이, 자신이 결정적으로 빠져있는 이 전쟁의 상황의 진전을 포착코자 하는 절망적인 시도를 꾀하는 그에게 '전쟁은 도처에 있으며 동시에 어디에도 없는 la guerre e´tant partout et nulle part' 것으로 나타나며, 그는 이러한 절망 속에서 '도처에 동시에 있어야 한다 il faudrait e^tre partout a` la fois' 라고 생각한다. 전쟁의 글쓰기가 가하는 'focalisation'의 문제에 '자유의 길'은 're´alisme brut de la subjectivite´, sans me´diation ni distance'기법으로 부응한다. 이 소설기법의 요체는 모든 종류의 전지전능 시점을 거부하고, 작품의 요소들을 오직 인물들의 관점에 따라서만 제시 하는 데 있다. 'focalisation interne multiple'의 범주에 속하는 이 작품은 시점의 분쇄, 상대성, 유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사르트르의 주관적 사실주의는 역사적 대변전 속에서의 인간의 인식능력의 절망적 한계, 특히 그 변전이 전쟁이나 혁명처럼, 인간이 세계와 맺고 있던 모든 기존적인 관계들을 문제시 할 만큼 근본적으로 그리고 급진적으로 한 사회를 붕괴시킬 때의 인간의 사고와 지식의 위기를 반영한다. 전쟁의 글쓰기는 해체되고 있는 중인 세계의 역설적 미학에 직면케 한다. 파열되고 분쇄된 주체의 문제는 새로운 언어의 실천, 새롭게 태어나는 인간과 언어의 새로운 관게를 부과한다. 따라서, 작중인물들의 체계를 분석코자 했던 우리의 연구가 맨 처음 부딪쳤던 문제는, 분쇄가 그 구성 자체를 위협하는 가운데, 어떻게 인물들을 일관된 타당성있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을까였다. 《n'importe qui》의 변증법은 이러한 난제에 해결의 실마리를 준다. 현대의 전쟁의 이야기체에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비인간화', '인물의 왜소화' 현상에 대해서는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자유의 길"은 대부분의 인물이, 주인공들이라 할지라도, 《n'importe qui》로 환원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이 3부작은, 평화의 시대 ("철들무렵"), 전쟁의 전조 ("집행유예"), 전쟁의 발발과 패전 ("영혼 속의 죽음"의 제1부), 그리고 레지스탕스 ("영혼 속의 죽음"의 제2부, "이상한 우정")의 시기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으로 해서, 그 환원 과정 자체를 생생히 드러낸다. 전쟁의 출현은 소설인물들의 두 세계 (전쟁과 일상생활)에의 이중적, 상호모순적 귀속을 드러내며, 인물의 변별적 특징의 지속성과 그의 문제제기 방식의 일관성를 파괴한다. Mathieu의 예를 들어보자. "철들 무렵"에서 이 주인공은 부르조아에게 예비된 길 (특히, Jacques에 의해 대표되는)과는 다른 진정한 자유에의 길을 예고한다. 그러한 점에서, 이 인물의 문제 제기 방식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Jacques와 같은 인물과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에 있다. 또한,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시점으로 채택되고 있는 이 인물은 그 기능적 특징이 무엇보다도 'savoir'의 양태 속에 있다. 그러나, 전쟁의 전조가 되었던 Munich 위기 때의 유럽상황을 재현하고있는 "집행유예"에서의, 이 인물의 Jacques와의 첫 출현은 우리를 놀라게한다 : 'Jacques도 출발할 것이고, Mathieu도 출발할 것이다.' 이 중성적인 문장은 이제까지 유지된 인물들의 변별적 특징의 갑작스러운 용해를 보여준다. 전쟁의 위협은 모든 인물들의 개인적 가치를 파괴하고, 그들을 획일화한다. '전쟁의 열기가 짓누르고 있는' 해변에 있는 Mathieu와 Odette는 'n'importe qui일 뿐이었다… 전쟁이 거기에, 그들 주위에 있었다. 그것은 그들안으로 내려와 그들을 다른 사람들과, 모든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만들었다.' 어떠한 인물도 'n'importe qui'에로의 환원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개별적 특성과 이제까지 보여주었던 사물에 대한 특수한 태도들을 잃어버리고, 그들은 범상한 분자로, 운명의 손에 놀아나는 꼭두각시로 환원되어 버린다. 《n'importe qui》의주제는 필연적으로 군중의 구성을 수반한다. 전쟁은 인물들을 갈라놓으며 동시에 그들을 거대한 집단 속에 결합시킨다. 작품은 무한히 분쇄되고 왜소화된, 그리고 전유럽에 걸쳐 동원된 수많은 인물들의 다양한 '만남'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만남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볼 수있는 바와 같은 계기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남의 원리는 역설적으로 우연이다. "철들무렵"에 나타난 대부분의 짝은 "집행유예" 부터는 그들의 안정성을 잃고 붕괴될 것이다. 새로이 형성되는 짝들 또한 일시적인 결합 밖에 향유하지 못한다. 전쟁은 인물들의 관계에 개입하여, 이제까지의 관성을 더 이상 허용치 않는다. 동시에 전쟁은 수많은 새로운 우연한, 그리고 일시적인 만남을 창출한다. 군중과 집단의 형성 또한 마찬가지다. "자유의 길"은 수많은 군중의 모습을 묘사한다. 그들은 집단적 재난 속에서 똑같은 반응을 보인다. 몇가지 예를 든다면, 역에는 '모자의 물결'로 묘사된, 전쟁에 대한 어떠한 정확한 전망도 없이 떠나는 징집병들이 있다. 베를린에는 Hitler의 연설과 손짓에 복종하는 거대한 군중이 있다. "영혼 속의 죽음"은 치밀한 자연주의적 묘사기법으로 Padoux에서 Baccarat의 수용소까지 걸어가는 포로들의 '끝없는 행렬'을 보여준다. 승리자에게 복종하고 그들 앞에서 비열한 보습을 보이는, 이 '인간이하들', 이 '노예들'에게서는 어떠한 명예심도, 용기도, 훈련의 표시도 찾을 길이 없다. '이 거대한 무리는 마치 그들의 무게에만 복종하는 것처럼 언덕아래 까지 미끄러져 내려간다… 그들은 길이 이끄는대로 앞으로 나아간다. 아무도 명령하지 않은 이 집요한 걸음을 멈추게 할 길이 없다.' 대부분의 군중은 인간적인 모습을 잃고 무조건적인 동일한 반응을 보인다. 그들은 '우리의 쇠창살에 매달려있는 굶주린 밤의 짐승들'로, 때로는, 하나의 유기체처럼, '꿈틀거리는 기다란 애벌레'로 비유되고 있다. 《n'importe qui》의 주제는 인물들을 원초적 요소들로 환원시켜, 그들을 분리시키고 동시에 그들 간에 새로운 집합을 쉽게 형성할 수있는 경향을 띄게한다. 이후로는 소설의 인물 영역을 인간성보다도 동물성이 지배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원 과정 자체가 기존적 인간 가치들의 붕괴를 뜻한다고 볼때, 《n'importe qui》의 주제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인류의 창조를 준비하며 요구하고 있다 할 수있다. 따라서 《n'importe qui》의 주제는 부정적 환원의 극점에서, 그 긍정적 계기의 단초로서 보상적인, 輿價적인 기능을 마련한다. 인간의 지적 능력을 문제시하면서, 주인공들에게서 언술능력을 제거하면서, 이 주제는 소설 속에 《n'importe qui》, 비천한 자, 또는 주변적 인물들의 언술을 풍부히 유입시킨다. 전쟁의 글쓰기의 역설은 획일화 가운데서 태어나는 새로운 개성의 창조에 있다. 우리는 보상적 기능의 실현의 예로서, 척추환자 Charles, 패잔병 Mathieu, 포로 Brunet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이 세 인물의 예는 《n'importe qui》의 주제의 긍정적 전개의 순차적 단계를 형성하고 있다. 주변적 인물의 하나인 Charles는 누워있는 자로서 대지에 가까운 '수평적' 시야를 가진 자이다. 그는 머리위의 거울을 통해서만 주위를 바라본다. 때때로, 그는 사물의 움직임을 분해된 장면으로 단절하고, 다시 조립해내는 이 '거울놀이'를 즐긴다. 이 인물의 행적과 시야가 지닌 상징성은 매우 풍부하다. 우선 그는 작품에서 '서있는' 자들의 전쟁의 재난 (이 경우는 집단적 피난)을 맨 처음 당한다. 강제적 이주는 환자들의 '장례'로 나타나며, 이 에피소드에 몽타쥬된 모든 인물들의 이야기는 그 인물들의 '죽음', 그리고 더 나아가 한 세대, 즉 양차대전 사이의 세대의 '죽음', 그 세대의 평화에 대한 헛된 희망의 종언을 상징한다. 게다가, 이 인물이 달리는 기차의 화물칸에 누워, 벽에 드리워진 빛의 사각에 연속적으로 투사되는 경치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우리가 특히 "집행유예"란 작품에서 가져야 할 독서의 시각을 암시한다. 전 유럽의 '폭발'을 종이 위에 정지 (텍스트화)시키고자 하는, 영화의 네거티브 필름의 집합과 같은 이 작품에서, 우리는 이 인물처럼, 흐릿한 이미지들의 현란한 움직임 앞에서 계열적, 통합적 두 방향의 교차 독서를 통해 각자 나름대로 의미를 추출해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인물의 '기차타기'에 따른 '특권적' 체험은 주목받을 만하다. 여행 중 그는 또 다른 척추환자인 Catherine와의 사랑을 통해, 인간적 상승을 체험한다. "자유의 길"에 나타난 운송 기관에 의한 여행 (시련으로서의 여행 : 전쟁)은, 인물들을 승선이전 (평화시의 일상적, 인습적 삶), 여행, 그리고 퇴선 후 (회복된 평화)의 세 단계에 걸쳐 변모시킨다. 그런데, 그 변모가Charls-Catherine만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드물다. 이 점은 '건강한' Pierre-Maud의 변모와 비교해 보면 확연해진다. Charles의 시련은 Munich협정 시의 민주진영의 마지막 저항을 환기한다. 작가가 이 주변적 인물에게 '특권적' 체험, '예술적' 시각을 부여한 역설의 의미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주변적 인물 Charles의 에피소드는 이 3부작의 분석에 가장 중요한, 그리고 작가의 세계관의 이해에 필수불가결한 관점을 제시한다. 어떤 인물들에게 있어서는, 전쟁의 부재는 문자 그대로 평화의 상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 '그러나, 대지 근처에는, 전쟁도 평화도 없었다. 단지 비참과, 인간이하들의 치욕'이 있을 따름이다. 역설적으로 말해, 이들은 평화시에도 전쟁과 같은 재난에 빠져있다. 주변적 인물들은 전쟁의 두 출입구 (전쟁에 들어감과 전쟁에서 나옴)에 의한 이중 분절에, 특수한 담화의 망을 제시한다. 이 점은, 또 다른 주변적 인물인, 노동자 Maurice에게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다. 단지 이 경우, 주변적 목소리가 이제는 더 명확하게 사회학적, 이념적 차원 위에 자리잡게 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주변적 인물들의 담론은 Munich주의자들의 논리의 환상과, 'statu quo'와 'la paix a` tout prix'신화의 기만성을 폭로한다. "영혼 속의 죽음"의 제1부는, 패잔병 Mathieu가 부르조아 지식의 매개를 버리고 마침내 결정적인 행위를 하기에 이르는 이야기이다. 작품의 설화단위의 분절에 대한 분석은, 그의 부대의 이야기와 그의 변모가 세 단계에 걸쳐 이루어 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첫번째 단계는, 포위된 부대의 '근시'와 절망의 점증을 보인다. 파리함락과 패전의 소식이 전해지고 부대는 방향을 잃고 표류한다. 세제의 동요는 하나의 의식의 지적 시도 자체의 무용성을 강조한다. '모든 것은 다시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방향을 잃은 퇴각과 갑작스런 정지가 있고, 주민들로 부터 '페스트환자'처럼 버림받고, 적의 진격과 폭격의 공포에 질린, 이 '땅바닥에서 꿈틀거리는 이백개의 발을 지닌 회색 유충'은 재출발 신호를 기다린다. 마침내, 그 날밤, 지휘관들은 이들을 버리고 도망가고, 극도의 고립과 절망 속에서, 병사들은 자신들이 '속죄양'이었다는 것을 확인하며, 이 완전한 버림받음은 역설적으로 강한 연대감을 불러 일으킨다. 두번째 단계는, 상처받고 굴욕당한 영혼들을 치유하는 '자연'의 등장이다. 장교들로 부터, 그리고, 적에 대한 증오, 죽음의 공포, 패배의 수치로 부터 해방되어, 병사들은 자연에로 귀의하며, '밀밭 가운데 작은 무리를 지어 휴식하고 있었다. 회복기 환자들의 행렬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인류와 함께 시작되었고 그 역사 속에 언제나 공존했던 전쟁으로 부터 해방되어, 그리고, '그만큼이나 오래된 평화에의 갈망이라는 피곤'에서 벗어나, 이 이등병들은 인간적 시공간이 소멸된 '태초의 세계'의 비젼을 회복한다. '태초의 태양'이 지는 가운데, '공허한 하늘' 아래의 '이 부드러운 비인간적 세계' 속에서, 이 '아래로 부터 태어난 생명체들'은 갑자기 '천사'의 모습을 띄게되며, 그들의 목소리는 더 이상 인간의 말이 아닌, 바로 자연의 침묵을 함께 만드는 '살랑거림'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이 세계는 '절망의 천국', 또는 절망의 극점에서 역설적으로 회복된 천국일 것이다. 이 자연 속의 인간의 묘사, 그리고 병사 Pinette와 마을 우체국 여직원과의 결합의 묘사는 Sartre의 문학 속에서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장면을 형성한다. 자연으로의 귀의 속에서 Mathieu는 그의 지적 나르시즘과 결별하며 특수주의의 환상을 버리고, 《n'importe qui》로 환원된 동료들과 강한 연대감을 느낀다. 《n'importe qui》의 주제가 구세계의 죽음과 신세계의 탄생이라는 비젼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기 시작하는 것은 이 단계에 이르러서이다. '그날은 세계의 최초의 날이었을까, 아니면 마지막 날이었을까? 밀밭, 저멀리 어두워지는 개양귀비밭, 이 모든 것은 동시에 태어나고 죽는 것처럼 보였다.' 바로 이 순간, Mathieu는 '하늘에 새겨진 기호들과 태양의 신비로운 표징들'을 감지하는 것이다. 결국 《n'importe qui》의 주제는, 제2차 세계대전을 다루고 있는 작가의 작품 "자유의 길"과 "알토나의 유폐자"에 共히 일관되게 나타나는 《qui perd gagne : 지는 자가 이기는 것이다》라는 주제를 잉태한다 : '인간은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을 그들의 눈에서 읽게되기 위해, 그들은 모든 것을, 희망까지도 잃어야 했단 말인가?' Mathieu의 이야기의 마지막 단계는 그가 적에게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삶과 죽음의 역설적 변증법을 펼친다. 그는 두 종류의 삶 앞에서 파스칼적 결단을 해야 한다. 하나의 삶은, '패배의 공팡내나는 과일을 매일매일 따며, 오늘 거부한 이 선택의 값을 계속적인 파산 속에서 조금씩 치루는 것'으로, 과거의 단순한 연속으로서, 오히려 죽음에 가까운 삶이다. 과거의 전면적 파괴는 새로운 삶의 절대적 조건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여기에서 Mathieu의 행위와 죽음이 어느정도 '자살'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영혼 속의 죽음"의 제1부의 마지막 장면이 갖는 의미는 한 부르조아 지식인의 삶과 가치들, 그리고 그 계급의 종언, 그 자체에 놓여 있다고 봐야 할 것같다. 작가는 새로운 건설의 시작을 위해 다른 세계관에 기반을 두고있는 작중인물들을 준비한다. "자유의 길" 작품 전체가 "영혼 속의 죽음"의 제1부와 제2부의 경계에 의해, 'Mathieu작품군', 'Brunet작품군'으로 크게 양분되는 이유이다. 전자는 '영혼 속의 죽음'으로 집중되는 (쁘띠)부르조아 인물들의 모습을, 후자는 공산주의 전사들의 '마지막 기회'를 향한 레지스탕스를 보여준다. 《n'importe qui》의 주제가 그의 변증법에서 긍정적 계기를 결정적으로 획득하는 것은 역시 레지스탕스 '일꾼'인 Brunet에서 이다. 구체제에서 벗어나 인간의 원초적 상태로 환원된 粒子 존재들은 그에게는 새로운 인류 공동체를 건설하는 '재료'이다. 따라서, '그들을 경멸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비참하고 모욕당한, 그러나 무엇보다도 구체적인, 그들의 현실로 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러하여, 《n'importe qui》의 주제는 'savoir'의 양태를 벗어나 'pouvoir'의 양태를 띄게된다. 또한 포로수용소에서 한 하사가 명령해주길 청했을때 상사 Brunet가 명령을 거부하고 자신의 계급장을 떼어내 버리는 행동은 주목된다. 평등한 인간관계가 지배하는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 인간은 무엇보다도 우선 《n'importe qui》가 되어야 한다. Sartre의 전 작품 중 '가장 따뜻하고 인간적인' 작품으로 평가되는 "영혼 속의 죽음"의 문학적 창조성은 '국가적 차원의 《구토》'와 한 세대의 '지옥으로의 하강'을 치열하게 묘사한 자연주의적 엄밀성에 근거한다. 그렇다면, 이 패주의 이야기가 불러 일으키는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가? 우리는 이 질문의 해답을 Aragon의 다음과 같은 말에서 찾을 수 있을 듯하다 : '전쟁이 소설에 끼친 영향은 매우 이상한 현상이다. 승리가 걸작품에 영감을 준 예는 없다… 영감을 준 것은 조국의 불행이었다. 71년 전쟁 (보불전쟁)은 프랑스에 (Zola)의 "La De´ba^cle"과 Daudet와 Maupassant의 단편들을 주었으나, 독일에는 어떠한 걸작도 주지 않았다. 우리가 '(위)대(한) 전쟁'이라 불렀던 다른 전쟁 (제1차 대전)도, 그 기간동안 그리고 종전 후, 많은 소설을 남았다. 그러나, (Barbusse)의 'Le Feu'에서 (Jules Remains)의 'Verdun'에 이르기까지 어떤 걸작도 승리를 그리지 않았다. 그것들은 모두 참호생활의 비참에 집중되었던 것이다.' 범용한 작가들이 대중과 검열 앞에서 애국주의를 고무했던 것에 반하여, 걸작품들은 한 세대의 전면적 죽음과 구체제의 거대한 붕괴를 직시케한다. 전쟁의 비신성화는 대부분의 경우 작가의 구체제에 대한 통렬한 문제제기와 전후 세계에 대한 강렬한 비젼을 수반한다. 결국 《n'importe qui》의 주제는 'de´ba^cle (붕괴)'와 'apocalypse (默示)'의 변증법의 인간학적 의미작용의 본질을 형성한다. 이 주제는, Sartre가 "변증법적 이성비판"에서 분석한 바 있는 변증법적 통합의 사적 전개과정의 한 계기인, 인간지식과 프락시스 간의 치명적 괴리의 단계에서 그 창조적 기능을 드러낸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르트르의 전쟁의 글쓰기와 여성

        조영훈 ( Yeung Hun Cho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본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르트르의 소설 『자유의 길』3부작 (『철들 무렵』, 『유예』, 『영혼 속의 죽음』그리고 미완의 『기이한 우정』)과 ≪야릇한 전쟁≫ 기간 동안 병사 사르트르에 의해 쓰인 『전쟁 수첩』과 편지를 중심으로 사르트르의 여성관을 재조명하고 있다. 전쟁 소설에서 여성들은 부수적인 역할만을 담당한다. 병사가 될 수 있는 <특권>이 박탈되어 있는 여성들에게 전쟁은 소설 사회 속에서의 시민권을 거부한다. 원시시대 이래 전쟁은 노동의 성적 분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몬 드 보부아르는 『제2의 성』에서 "생명을 부여하면서가 아니라 자신의 생명을 걸면서 인간은 동물 상태를 넘어선다. 따라서 인류에게 있어서 우월성은 낳는 성이 아닌 죽이는 성에게 부여되었다" 라고 지적한다. 『구토』에서 『자유의 길』에 이르기까지 소설가 사르트르는 여성 인물들의 무기력하고 수동적이며 범용하고 보수적인 면모들을 부각시킴으로써 여성적인 것에 결정론적 <본성>을 부여하는 듯하며, 사르트르에게 있어 남성/여성의 이분법과 자유로운 존재/응고된 존재의 이분법이 일치하고 있는 듯하다. 이와 같은 여성성의 부정적 표상은 철학자 사르트르의 자유의 인간학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독자들을 당혹시키기에 충분하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인간은 무엇보다도 미래를 향해 자신을 투기하는 자이다. 실존철학은 이미 결정된 본질로서의 그리고 영속적 규정으로서의 인간 본성의 관념을 거부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Dorothy Mac Call은 실존철학은 그 자체 논리 속에서 페미니즘을 포함(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철학적 이념과 소설적 재현 사이의 모순은 쉽게 해소될 것 같지 않다. 이상주의적, 교화주의적 자유의 철학을 설파하는 철학자 바로 옆에 좀 더 사실주의적이고 비관론에 사로잡힌 소설가를 보는 셈이다. 따라서 Suzanne Lilar와 Michele Le Doeuff 등과 함께 사르트르의 철학적 이론과 허구의 작품 간에 모순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다시 해 봐야 한다. 비평가들은 사르트르가 여성을 주로 <점액질visqueux>이라는 물질적 이미지로 비유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점액질>의 물질성은 그 자체로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구토』 의 체험은 인간과 세계와의 진정한 만남은 기존 질서체계의 의미를 벗어버린 사물들과의 몽환적 접촉에서 시작되며, 이때 <점액질>을 포함한 범람, 유동, 증식의 물질성은 진정한 창조적 모험의 출발을 상징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점액질>은 긍정적, 부정적 두 방향으로 여가(與價)되어 각각 <바다>와 <식물>의 테마를 발생시킨다. 사르트르에 있어 여성의 이미지는 수동성을 의미하는 <식물>의 테마와 유사성을 보인다. 『구토』에서 이미 꿈틀대기 시작한 <바다>는 『유예』에서 거대한 운동의 힘으로 드러난다. 『구토』에서 화자가 빈번히 드나드는 "역부회관"은 서로 대립하는 두 세계로 구성되며, 작품의 결구에서 로캉탱은 순수한 운동으로 표상되는 <재즈>의 세계를 선택하며 기차를 타고 모험을 떠난다. 『자유의 길』에서 <교통기관에 승선하기>는 가장 중요한 라이트 모티브를 형성한다. 『유예』에서 징집병들을 전선으로 실어나르는 <기차의 옆질roulis du train>은 전쟁의 위기의 가속화를, 『영혼 속의 죽음』에서 포로가 된 병사들이 종착지도 모른 채 실려가는 기차의 선로의 분기점은 집단적 운명의 갈림길을 상징한다. 『유예』의 바다에서 표류하는 기선은 뮌헨 협정의 위기를 통과하는 전 유럽을 환유한다. 이때 <배의 키질tangage du bateau>은 작품의 모든 요소들을 동조화시키는 공명기로써 작용한다. 『구토』에서의 모험-운동의 세계와 여성-식물의 세계의 대립은 『자유의 길』에서 교통기관에 승선하기-전쟁에 들어가기와 교통기관에서 하선하기-전쟁에서 나오기의 대립으로 확대 발전된다. 많은 비평가들은 『구토』의 Anny와 『자유의 길』의 Ivich 만은 사르트르가 여성에게 가한 부정적 판단에서 벗어난 인물이라고 믿는다. 안니는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프루스트식의 <완벽한 순간>을 추구하는 여성이다. 안니의 예술적·연극적 삶은 언제나 로캉탱에게 동경의 대상이었으며, 로캉탱은 안니와의 재회를 통해 자신의 구원을 모색한다. 안니는 사르트르가 몇 년간 관계를 맺었던 실제 여성을 모델로 가장 심혈을 기울여 형상화한 인물이다. 그러나 ≪야릇한 전쟁≫ 기간 동안 병사-작가 사르트르에 의해 쓰인 편지에는 『구토』의 작가가 보여준 바와는 사뭇 다른 태도가 나타난다. "내면적 자아"의 신화를 신봉했던 여성은 전쟁의 위협 앞에서 <n`importe qui>로 환원된 자신의 모습에 괴로워한다. 『철들 무렵』의 이비크는 마티외에게 젊음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인물이다. 러시아 혁명 때에 망명한 귀족가문 출신으로 세계적 위기 상황에 민감한 이 인물은 소설의 공간 속에 <배의 갑판 위의 이민자들emigrants sur un pont de bateau>라는 테마를 발생시켜, 스페인 전쟁 패배 후 미국으로 망명한 고메즈, 『영혼 속의 죽음』의 프랑스 군대의 패주 속의 마티외, 포로들의 집단적 강제 유형, 그리고 『기이한 우정』의 수용소에서 레지스탕스를 조직하는 브뤼네에게 연속적으로 반향을 일으키는 중요한 인물로 등장하나, 정작 본인은 교통기관에 승선하여 현기증나는 운동 속에서 전쟁이라는 <여행-시련voyage-epreuve>을 체험함으로써 존재론적 상승을 하는 <특권>을 향유하지 못한다. 가령, 『유예』에서 최초의 척추병 환자들의 강제 수송에서 짐짝처럼 화물칸에 실린 샤를르와 카트린느가 기차의 질주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회복하며 사랑을 획득하는 것처럼, 이비크와 마티외의 사랑도 교통기관 안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이번에는 파리 도심을 통과하는 택시 속에서다. 택시는 잦은 멈춤과 느린 속도로 인해 일상적 시간성의 엄습으로부터 사랑의 자발성을 보호해주지 못한다. 그것은 막 태어나자 마자 이미 낡아버린 사랑으로 전락한다. 사르트르 소설에서 문제가 없는 유일한 관계는 『유예』와 『영혼 속의 죽음』에 등장하여 마티외와 단 한번의 사랑을 나누는 Irene와의 관계이다. 그들은 서로의 이름도 모른채 <n`importe qui>로서 "익명의 하룻밤"을 공유한다. 이렌느 외에 긍정적으로 표상된 여성으로는 『구토』에서 재즈를 부르는 흑인 여가수와, 셍고르가 편집했던 『불어로 쓰여진 아프리카 흑인 시전집』의 서문인 「검은 오르페」에서 사르트르가 인종 차별 없는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는 가장 혁명적인 시라고 찬양한 <네그리튀드Negrutude>에 등장하는 흑인 여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네그리튀드>의 원천으로서 "인간과 자연과의 합일", "흑인 남성과 여성과의 결합" 그리고 "식물적 상징들과 성적 상징들 간의 깊은 융합"을 들고 있는 「검은 오르페」는 사르트르에게 있어서 여성과 식물의 이미지가 그 자체로 부정적이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은 사르트르에게 기존 질서 체계의 전면적 붕괴와 새로운 세계의 묵시록적 탄생이라는 전쟁관을 배양한다. 『자유의 길』3부작은 전쟁의 운동 상태에 연결되지 않는 여성성의 여가작용을 부인한다. 1940년대의 사르트르는 계급투쟁과 여성운동은 서로 접목되어야 하지만, 계급투쟁을 가장 시급한 1차적 투쟁으로 여성운동을 부수적 2차적 투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1975년에 사르트르는 시몬 드 보부아르와의 대담에서 여성운동을 가장 시급한 1차적 투쟁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그 근거로 부르주아 여성과 하녀 또는 가정부 사이에, 또는 사장의 부인과 노동자의 아내 사이에 가능한 여성으로서의 동질감을 들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유예』에서 노동자 모리스의 아내 제제트가 뮌헨 협정의 위기 속에서 전쟁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는 부르주아 여성단체 앞에서 보이는 계급의식과는 묘한 대조를 보인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사르트르의 남성적 원리와 여성적 원리의 대립은 글쓰기의 <성적> 규정에까지 작용한다. ≪야릇한 전쟁≫ 기간 동안 병사 사르트르는 일기체 글쓰기로 『전쟁 수첩』과 편지들을 남기고 있으며, 『구토』와 『자유의 길』3부작 중 특히 전쟁의 글쓰기가 극대화된 『유예』또한 날짜가 매겨진 일기의 형식을 띠고 있다. 이 작품들은 잡다한 이종 교배식 글쓰기라는 공동 특징을 지닌다. 각 작품은 동일한 주제 또는 동일한 상황에 연관된 여러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요소들은 서로 매우 이질적이고 항용 미완성이고 언제라도 새로 시작하며 때로는 상호 파괴적이다. 텍스트는 특히 운동과 자유로운 흐름, 즉흥성과 예측불가능성에 의해 의미를 생산한다. 사르트르에 있어 일기체 글쓰기는 혼란과 동요, 파열과 붕괴가 지배하는 세계 즉 현란한 운동 상태의 세계를 재현하는 탁월한 수단이다. 즉, 사르트르에 있어 일기는 무엇보다도 <전쟁 일기journal guerrier>이다. 그러나 사르트르는 일기체 글쓰기가 지닐 수 있는 내재적 위험에 대해서도 경계한다. 로캉탱은 "내 느낌을 예쁜 새 공책에 계집애들처럼 매일같이 쓰는 일을 그만 두겠다"라며 일시적으로 일기 쓰는 일을 포기하며, 병사-작가는 ≪야릇한 전쟁≫ 기간 동안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여 여러 작가들의 일기를 읽으면서 "일기의 문제는 진실성이다"라고 개탄한다. 병사 사르트르에게 다른 작가들의 평화로운 시절에 쓰인 <점액질>의 시간성이 침투해 들어와 있는 일기가 어떻게 보였을까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당시의 사르트르에게 있어 운동과 비 운동의 대립, 전쟁 상태와 비 전쟁 상태의 대립은 이처럼 전횡적이어서 자의적 장르 개념을 낳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모디아노의 전쟁의 글쓰기와 기억의 지층학 - 「호적부」와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를 중심으로

        조영훈 ( Yeung Hun Cho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6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7

        Nous nous proposons d`analyser l`ecriture de la guerre en tant que ‘passe’ et la stratigraphie de la memoire dans Livret de famille et Rue des Boutiques Obscures de Patrick Modiano, ces deux oeuvres romanesques qui ont les meme lieux de memoire du Paris de l`Occupation, malgre qu`elles montrent superficiellement des attitudes radicalement opposees des personnagesnarrateurs : Patrick de Livret de famille “(donnerait) tout au monde pour devenir amnesique”, tandis que, frappe d`amnesie, Guy Roland de Rue des Boutiques Obscures suit toutes les pistes possibles a la recherche de son passe perdu. Pourtant, Livret de famille et Rue des Boutiques Obscures ont les memes sources imaginaires du Paris de l`Occupation autour desquelles s`organisent les unites narratives, les personnages en regroupement, les elements thematiques et les bribes de souvenirs. Sur le plan des personnages, Rue des Boutiques Obscures montre en abondance des immigres, des apatrides, des disparus, des hommes usant d`un nom d`emprunt et de faux papiers . en un mot, des hommes de 《nulle part》 ayant “(leur) obsession d`avoir une nationalite” et l`angoisse pour l’acte de naissance et l`etat civil... Et, Livret de famille, a son tour, des juifs, ces nouveaux 《nulle part》 qui “ignorent ce a quoi ils ont echappe. Apres le depot, c`est Drancy ou Compiegne. Ensuite, les convois de deportes”. Chez Modiano, ce nouveau systeme personnel renforce la fragmentation des scenes-souvenirs et leurs accelerations d`alternance, d`enchainement et d`enchassement. Il faut souligner notamment que l`autofiction de Livret de famille permet la rivalite, la concurrence et la hierarchie entre les souvenirs et les recits, et, surtout, entre les souvenirs eux-memes. On constate ici la primaute des souvenirs-heredites, lorsque le personnage-narrateur Patrick dit : “Je n’avais que vingt ans, mais ma memoire precedait ma naissance. J`etais sur, par exemple, d`avoir vecu dans le Paris de l’Occupation puisque je me souvenais de certains personnages de cette epoque et de details infimes et troublants...” Le 14e chapitre de Livret de famille fait voir Patrick qui visite l`ancien appartement de la famille Modiano et entre dans son ancienne chambre dont le mur nu lui propose une lecture 《stratigraphique》 des souvenirs enfouis, dissimules et caches : “(Le mur nu) portait par endroits des lambeaux de toile de Jouy, vestiges des locataires qui avaient precede mes parents et j`ai pense que si je grattais ces lambeaux de toile de Jouy... Et comme les couches successives de papiers peints et de tissus qui recouvrent les murs, cet appartement m`evoquait des souvenirs plus lointains : les quelques annees qui comptent tant pour moi, bien qu`elles aient precede ma naissance.” Et, voila une vertigineuse fete carnavalesque entre les souvenirs lointains de la part de ses parents et ceux proches et vecus par l`enfant Patrick, et les recits realises par le narrateur Patrick. Nous retrouvons de deca de ce qu`il croyait etre son premier souvenir un souvenir beaucoup plus dur, refoule depuis longtemps, et qui a trait aux experiences de ses parents pendant l`Occupation. La stratigraphie de la memoire chez Modiano est d`autant plus fascinante que le narrateur se perd comme dans un labyrinthe des souvenirs entremeles, des jeux de miroirs et des spirales d`illusions.

      • KCI등재

        사르트르의 "자유의 길"에 나타난 ≪n`importe qui≫ 테마와 그 변증법적 기능

        조영훈 ( Yeung Hun Cho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0 용봉인문논총 Vol.19 No.-

        사르트트의 3부작 소성 “자유의 길”에 나타난 작중인물의 체계와 전쟁의 양태에 대한 연구의 첫부분으로 고안된 이 논문은, 전쟁의 글쓰기가 소설인물들의 구성방식에 작용하는 <n`irnporte qul> 테마와 그 변증법적 가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쟁의 글쓰기는 특히, Genette가 분석했던 바와 같은 ‘focalisation’ (qui voit? : 누가 보느냐?)의 문제를 즉시 제기한다. 작중인물의 시점의 ‘영역의 제한’을 직접적으로 가하기 때문이다. Rairnond이 말한 바. ‘시점의 기법이 기꺼이 개화되는 영역이 있다면, 그것은 인물이 아무것도 보지 못한채 행동해야하는 전투장면이다’. 이러한 지적은, Stendhal의 “파르므의 승원”의 주인공 Fabrice의 첫전투라는 유명한 에피소드에 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쟁의 이야기체의 강한 전통, 즉, 조망적인 시야와 설명을 허용치 않는다는 전통을 상기시킨다.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여러 인물들의 자유에의 길의 모색을 그 주제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이, 인물의 구성에서, 근본적으로 제기하는 것도 위와 같다. 두번째 작품 “집행유예”에서부터 본격화되는 전쟁의 출현은, 가장 지적이며 그 소설적 기능이 무엇보다도 ‘보는’ 데 있는 주인공 Mathieu에게 조차, 그 전모를 파악하는 것을 허용치 않는다. 어떠한 전망도 부여받은 바없이, 자신이 결정적으로 빠져있는 이 전쟁의 상황의 진전을 포착코자 하는 절망적인 시도를 꾀하는 그에게 ‘전쟁은 도처에 있으며 동시에 어디에도 없는 la guerre etant partout et nulle part’ 것으로 나타나며, 그는 이러한 절망 속에서 ‘도처에 동시에 있어야 한다 il faudrait etre partout a la fois’ 라고 생각한다. 전쟁의 끌쓰기가 가하는 ‘focalisation’의 문제에 ‘자유의 길’은 ‘realisme brut de la subjectivite, sans mediation ni distance’기법으로 부응한다. 이 소설기법의 요체는 모든 종류의 전지전능 시점을 거부하고, 작품의 요소들을 오직 인물들의 관점에 따라서만 제시하는 데 있다. ‘focalisation interne multiple’의 범주에 속하는 이 작품은 시점의 분쇄, 상대성, 유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사르트르의 주관적 사실주의는 역사적 대변전 속에서의 인간의 인식능력의 절망적 한계, 특히 그 변전이 전쟁이나 혁명처럼, 인간이 세계와 맺고 있던 모든 기존적인 관계들을 문제시 할 만큼 근본적으로 그리고 급진적으로 한 사회를 붕괴시킬 때의 인간의 사고와 지식의 위기를 반영한다. 전쟁의 글쓰기는 해체되고 있는 중인 세계의 역설적 미학에 직면케 한다. 파열되고 분쇄된 주체의 문제는 새로운 언어의 실천, 새롭게 태어나는 인간과 언어의 새로운 관게를 부과한다. 따라서, 작중인물들의 체계를 분석코자 했던 우려의 연구가 맨 처음 부딪쳤던 문제는, 분쇄가 그 구성 자체를 위협하는 가운데, 어떻게 인물들을 일관된 타당성있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을까였다. <n`irnporte qui>의 변증법은 이러한 난제에 해결의 실마리를 준다. 현대의 전쟁의 이야기체에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비인간화’, ‘인물의 왜소화’ 현상에 대해서는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자유의 길”은 대부분의 인물이, 주인공들이라 할지라도, <n`unporte qui>로 환원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이 3부작은, 평화의 시대 (“철들무렵”), 전쟁의 전조 (“집행유예”), 전쟁의 발발과 패전 (“영혼 속의 죽음”의 제l부), 그리고 레지스 탕스 (“영혼 속의 죽음”의 제2부, “이상한 우정”)의 시기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으로 해서, 그 환원 과정 자체를 생생히 드러낸다. 전쟁의 출현은 소설인물들의 두 세계 (전쟁과 일상생활)에의 이중적, 상호모순적 귀속을 드러내며, 인물의 변별적 특징의 지속성과 그의 문제제기 방식의 일관성를 파괴한다. Mathieu의 예를 들어보자. “철들 무렵”에서 이 주인공은 부르조아에게 예비된 길 (특히, Jacques에 의해 대표되는)과는 다른 진정한 자유에의 길을 예고한다. 그러한 점에서, 이 인물의 문제 제기 방식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Jacques와 같은 인물과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에 있다. 또한,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시점으로 채택되고 있는 이 인물은 그 기능적 특정이 무엇보다도 ‘savoir’의 양태 속에 있다. 그러나, 전쟁의 전조가 되었던 Munich 위기 때의 유럽상황을 재현하고있는 “집행유예”에서의, 이 인물의 Jacques와의 첫 출현은 우리를 놀라게한다 : ‘Jacques도 출발할 것이고, Mathieu도 출발할 것이다.’ 이 중성적인 문장은 이제까지 유지된 인물들의 변별적 특징의 갑작스러운 용해를 보여준다. 전쟁의 위협은 모든 인물들의 개인적 가치를 파괴하고. 그들을 획일화한다. ‘전쟁의 열기가 짓누르고 있는’ 해변에 있는 Mathieu와 Odette는 ‘n`importe qui일 뿐이었다… 전쟁이 거기에, 그들 주위에 있었다. 그것은 그들안으로 내려와 그들을 다른 사람들과, 모든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만들었다.’ 어떠한 인물도 ‘n`imφrte qui’에로의 환원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개별적 특성과 이제까지 보여주었던 사물에 대한 특수한 태도들을 앓어버리고, 그들은 범상한 분자로, 운명의 손에 놀아나는 꼭두각시로 환원되어 버린다. <<n`importe Qui>>의주제는 필연적으로 군중의 구성을 수반한다. 전쟁은 인물들을 갈라놓으며 동시에 그들을 거대한 집단 속에 결합시킨다. 작품은 무한히 분쇄되고 왜소화된, 그리고 전유럽에 결쳐 동원된 수많은 인물들의 다양한 ‘만남’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만남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볼 수있는 바와 같은 계기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남의 원리는 역설적으로 우연이다. “철들무렵”에 나타난 대부분의 짝운 “집행유예” 부터는 그들의 안정성을 잃고 붕괴될 것이다. 새로이 형성되는 짝들 또한 일시적인 결합 밖에 향유하지 못한다. 전쟁은 인물들의 관계에 개입하여, 이제까지의 관성을 더 이상 허용치 않는다. 동시에 전쟁은 수많은 새로운 우연한, 그리고 일시적인 만남을 창출한다. 군중과 집단의 형성 또한 마찬가지다. “자유의 길”은 수많은 군중의 모습을 묘사한다. 그들은 집단적 재난 속에서 똑같은 반응을 보인다. 몇가지 예를 든다면, 역에는 ‘모자의 물결’로 묘사된, 전쟁에 대한 어떠한 정확한 전망도 없이 떠나는 징집병들이 있다. 베를린에는 Hitler의 연설과 손짓에 복종하는 거대한 군중이 있다. “영혼 속의 죽음”은 치밀한 자연주의적 묘사기법으로 Padoux에서 Baccarat의 수용소까지 걸어가는 포로들의 ‘끝없는 행렬’을 보여준다. 승리자에게 복종하고 그들 앞에서 비열한 보습을 보이는, 이 ‘인간이하들’, 이 ‘노예들’에게서는 어떠한 명예심도, 용기도, 훈련의 표시도 찾을 길이 없다. ‘이 거대한 무리는 마치 그들의 무게에만 복종하는 것처럼 언덕아래 까지 미끄러져 내려간다... 그들은 길이 이끄는대로 앞으로 나아간다. 아무도 명령하지 않은 이 집요한 걸음을 멈추게 할 길이 없다.’ 대부분의 군중은 인간적인 모습을 잃고 무조건적인 동일한 반응을 보인다. 그들은 ‘우리의 쇠창살에 매달려있는 굶주린 밤의 짐승들’로, 때로는, 하나의 유기체처럼, ‘꿈틀거리는 기다란 애벌레’로 비유되고 있다. <n`lmporte qui>의 주제는 인물들을 원초적 요소들로 환원시켜, 그들을 분리시키고 동시에 그들 간에 새로운 집합을 쉽게 형성할 수있는 경향을 띄게한다. 이후로는 소설의 인물 영역을 인간성보다도 동물성이 지배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원 과정 자체가 기존적 인간 가치들의 붕괴를 뜻한다고 볼때, <n`importe qui>의 주제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인류의 창조를 준비하며 요구하고 있다 할 수있다. 따라서 <n`importe qui>의 주제는 부정적 환원의 극점에서, 그 긍정적 계기의 단초로서 보상적인, 興價적인 기능을 마련한다. 인간의 지적 능력을 문제시하면서, 주인공들에게서 언술능력을 제거하면서, 이 주제는 소설 속에 <n`importe qui>, 비천한 자, 또는 주변적 인물들의 언술을 풍부히 유입시킨다. 전쟁의 글쓰기의 역설은 획일화 가운데서 태어나는 새로운 개성의 창조에 있다. 우리는 보상적 기능의 실현의 예로서, 척추환자 Charles, 패잔병 Mathieu, 포로 Brunet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이 세 인물의 예는 <n`importe qui>의 주제의 긍정적 전개의 순차척 단계를 형성하고 있다. 주변적 인물의 하나인 Charles는 누워있는 자로서 대지에 가까운 ‘수평적’ 시야를 가진 자이다. 그는 머리위의 거을을 통해서만 주위를 바라본다. 때때로, 그는 사물의 움직임을 분해된 장면으로 단절하고, 다시 조립해내는 이 ‘거울놀이’를 즐긴다. 이 인물의 행적과 시야가 지닌 상징성은 매우 풍부하다. 우선 그는 작품에서 ‘서있는’ 자들의 전쟁의 재난 (이 경우는 집단적 피난)을 맨 처음 당한다. 강제적 이주는 환자들의 ‘장례’로 나타나며, 이 에피소드에 몽타쥬된 모든 인물들의 이야기는 그 인물들의 ‘죽음’, 그리고 더 나아가 한 세대, 즉 양차대전 사이의 세대의 ‘죽음’, 그 세대의 평화에 대한 헛된 희망의 종언을 상징한다. 게다가, 이 인물이 달리는 기차의 화물칸에 누워, 벽에 드리워진 빛의 사각에 연속적으로 투사되는 경치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우리가 특히 “집행유예”란 작품에서 가져야 할 독서의 시각을 암시한다. 전 유럽의 ‘폭발’을 종이 위에 정지 (텍스트화)시키고자 하는, 영화의 네거티브 필름의 집합과 같은 이 작품에서, 우리는 이 인물처럼, 흐릿한 이미지들의 현란한 움직임 앞에서 계열적, 통합적 두 방향의 교차 독서를 통해 각자 나름대로 의미를 추출해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인물의 ‘기차타기’에 따른 ‘특권적’ 체험은 주목받을 만하다. 여행 중 그는 또 다른 척추환자인 Catherine와의 사랑을 통해, 인간적 상승을 체험한다. “자유의 길”에 나타난 운송기관에 의한 여행 (시련으로서의 여행 : 전쟁)은, 인물들을 승선이전 (평화시의 일상적, 인습적 삶), 여행, 그리고 퇴선 후 (회복된 평화)의 세 단계에 걸쳐 변모시킨다. 그런데, 그 변모가 Charles-Catherine만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드물다. 이 점은 ‘건강한’ Pierre-Maud의 변모와 비교해 보면 확연해진다. Charles의 시련은 Munich협정 시의 민주진영의 마지막 저항을 환기한다. 작가가 이 주변적 인물에게 ‘특권적’ 체험, ‘예슐적’ 시각을 부여한 역설의 의미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주변적 인물 Charles의 에피소드는 이 3부작의 분석에 가장 중요한, 그리고 작가의 세계관의 이해에 필수불가결한 관점을 제시한다. 어떤 인물들에게 있어서는, 전쟁의 부재는 문자 그대로 평화의 상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 ‘그러나, 대지 근처에는, 전쟁도 평화도 없었다. 단지 비참과, 인간이하들의 치욕’이 있을 따름이다. 역설적으로 말해, 이들은 평화시에도 전쟁과 같은 재난에 빠져있다. 주변적 인물들은 전쟁의 두 출입구 (전쟁에 들어감과 전쟁에서 나옴)에 의한 이중 분절에, 특수한 담화의 망을 제시한다. 이 점은, 또 다른 주변적 인물인, 노동차 Maurice에게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다. 단지 이 경우, 주변적 목소리가 이제는 더 명확하게 사회학적, 이념적 차원 위에 자리잡게 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주변적 인물들의 담론은 Munich주의자들의 논리의 환상과. ‘statu quo’와 ‘la paix a tout prix’신화의 기만성을 폭로한다. “영혼 속의 죽음”의 제l부는, 패잔병 Mathieu가 부르조아 지식의 매개를 버리고 마침내 결정적인 행위를 하기에 이르는 이야기이다. 작품의 설화단위의 분절에 대한 분석은, 그의 부대의 이야기와 그의 변모가 세 단계에 결쳐 이루어 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첫번째 단계는, 포위 된 부대의 ‘근시’와 절망의 점증을 보인다. 파리함락과 패전의 소식이 전해지고 부대는 방향을 잃고 표류한다. 세계의 동요는 하나의 의식의 지적 시도 자체의 무용성을 강조한다. ‘모든 것은 다시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방향을 잃은 퇴각과 갑작스런 정지가 있고, 주민들로 부터 ‘페스트환자’처럼 버림받고, 적의 진격과 폭격의 공포에 질린, 이 ‘땅바닥에서 꿈틀거리는 이백개의 발을 지난 회색 유충’은 재출발 신호를 기다린다. 마침내, 그 날밤, 지휘관들은 이들을 버리고 도망가고, 극도의 고립과 절망 속에서, 병사들은 자신들이 ‘속죄양’이었다는 것을 확인하며, 이 완전한 버림받음은 역설적으로 강한 연대감을 불러 일으킨다. 두번째 단계는, 상처받고 굴욕당한 영혼들을 치유하는 ‘자연’의 등장이다. 장교들로 부터, 그리고, 적에 대한 증오, 죽음의 공포, 패배의 수치로 부터 해방되어, 병사들은 자연에로 귀의하며, ‘밀밭 가운데 작은 무리를 지어 휴식하고 있었다. 회복기 환자들의 행렬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인류와 함께 시작되었고 그 역사 속에 언제나 공존했던 전쟁으로 부터 해방되어, 그리고, ‘그만큼이나 오래된 평화에의 갈망이라는 피곤’에서 벗어나, 이 이등병들은 인간적 시공간이 소멸된 ‘태초의 세계’의 비젼을 회복한다. ‘태초의 태양’이 지는 가운데, ‘공허한 하늘’ 아래의 ‘이 부드러운 비인간적 세계’ 속에서, 이 ‘아래로 부터 태어난 생명체들’은 갑자기 ‘천사’의 모습을 띄게되며, 그들의 목소리는 더 이상 인간의 말이 아닌, 바로 자연의 침묵을 함께 만드는 ‘살랑거림’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이 세계는 ‘절망의 천국’ 또는 절망의 극점에서 역설적으로 회복된 천국일 것이다. 이 자연 속의 인간의 묘사, 그리고 병사 Pinette와 마을 우체국 여직원과의 결합의 묘사는 Sartre의 문학 속에서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장면을 형성한다. 자연으로의 귀의 속에서 Mathieu는 그의 지적 나르시즘과 결별하며 특수주의의 환상을 버리고, <n`importe qui>로 환원된 동료들과 강한 연대감을 느낀다. <n`importe qui>의 주제가 구세계의 죽음과 신세계의 탄생이라는 비젼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기 시작하는 것은 이 단계에 이르러서이다. ‘그날은 세계의 최초의 날이었을까, 아니면 마지막 날이 었을까? 밀밭, 저멀리 어두워지는 개양귀비밭, 이 모든 것은 동시에 태어나고 죽는 것처럼 보였다.’ 바로 이 순간, Mathieu는 ‘하늘에 새겨진 기호들과 태양의 신비로운 표징들’을 감지하는 것이다. 결국 <n`importe qui>의 주제는, 제2차 세계대전을 다루고 있는 작가의 작품 “자유의 길”과 “알토나의 유폐자”에 共히 일관되게 나타나는 <qui perd gagne : 지는 자가 이기는 것이다>라는 주제를 잉태한다 : ‘인간은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을 그들의 눈에서 읽게되기 위해, 그들은 모든 것을, 희망까지도 잃어야 했단 말인가?’ Mathieu의 이야기의 마지막 단계는 그가 적에게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삶과 죽음의 역설적 변증법을 펼친다. 그는 두 종류의 삶 앞에서 파스칼적 결단을 해야 한다. 하나의 삶은, ‘패배의 공팡내나는 과일을 매일매일 따며, 오늘 거부한 이 선택의 값을 계속적인 파산 속에서 조금씩 치루는 것’으로, 과거의 단순한 연속으로서, 오히려 죽음에 가까운 삶이다. 과거의 전면적 파괴는 새로운 삶의 절대적 조건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여기에서 Mathieu의 행위와 죽음이 어느정도 ‘자살’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영혼속의 죽음”의 제1부의 마지막 장면이 갖는 의미는 한 부르조아 지식인의 삶과 가치들, 그리고 그 계급의 종언, 그 자체에 놓여 있다고 봐야 할 것같다. 작가는 새로운 건설의 시작을 위해 다른 세계관에 기반을 두고있는 작중인물들을 준비한다. “자유의 길’ 작품 전체가 “영혼 속의 죽음”의 제1부와 제2부의 경계에 의해, ‘Mathieu작품군’, ‘Brunet작품군’으로 크게 양분되는 이유이다. 전자는 ‘영흔 속의 죽음’으로 집중되는 (쁘띠)부르조아 인물들의 모습을, 후자는 공산주의 전사들의 ‘마지막 기회’를 향한 레지스탕스를 보여준다. <n`importe qui>의 주제가 그의 변증법에서 긍정적 계기를 결정적으로 획득하는 것은 역시 레지스탕스 ‘일꾼’인 Brunet에서 이다. 구체제에서 벗어나 인간의 원초칙 상태로 환원된 粒子 존재들은 그에게는 새로운 인류 공동체를 건설하는 ‘재료’이다. 따라서, ‘그들을 경멸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비참하고 모욕당한, 그러나 무엇보다도 구체적인, 그들의 현실로 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리하여, <n`mporte qui>의 주제는 ‘savoir’의 양태를 벗어나 ‘pouvoir’의 양태를 띄게된다. 또한 포로수용소에서 한 하사가 명령해주길 청했을때 상사 Brunet가 명령을 거부하고 자신의 계급장을 떼어내 버리는 행동은 주목된다. 평등한 인간관계가 지배하는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 인간은 무엇보다도 우선 <n`importe qui>가 되어야 한다. Sartre의 전 작품 중 ‘가장 따뜻하고 인강적인’ 작품으로 평가되는 “영혼 속의 죽음”의 문학적 창조성은 ‘국가적 차원의 <쿠토>’와 한 세대의 ‘지옥으로의 하강’을 치열하게 묘사한 자연주의적 엄밀성에 근거한다. 그렇다면, 이 패주의 이야기가 불러 일으키는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가? 우리는 이 질문의 해답을 Aragon의 다음과 같은 말에서 찾을 수 있을 듯하다 : ‘전쟁이 소설에 끼친 영향은 매우 이상한 현상이다. 승리가 걸작품에 영감을 준 예는 없다… 영감을 준 것은 조국의 불행이었다. 71년 전쟁 (보불전쟁)은 프랑스에 (Zola)의 “La Debacle”과 Daudet와 Maupassant의 단편들을 주었으나, 독일에는 어떠한 걸작도 주지 않았다. 우리가 ‘(위)대(한) 전쟁’이라 불렀던 다른 전쟁 (제l차 대전)도, 그 기간동안 그리고 종전 후, 많은 소설을 낳았다. 그러나, (Barbusse)의 ‘Le Feu’에서 (Jules Romains)의 ‘Verdun’에 이르기까지 어떤 걸작도 승리를 그리지 않았다. 그것들은 모두 참호생활의 비참에 집중되었던 것이다.’ 범용한 작가들이 대중과 검열 앞에서 애국주의를 고무했던 것에 반하여, 걸작품들은 한 세대의 전면적 죽음과 구체제의 거대한 붕괴를 직시케한다. 전쟁의 비신성화는 대부분의 경우 작가의 구체제에 대한 통렬한 문제제기와 전후 세계에 대한 강렬한 비젼을 수반한다. 결국 <n`mporte qui>의 주제는 ‘debacle (붕괴)’와 ‘apocalypse (默示)’의 변증법의 인간학적 의미작용의 본질을 형성한다. 이 주제는, Sartre가 “변증법적 이성비판”에서 분석한 바 있는 변증법적 통합의 사적 전개과정의 한 계기인, 인간지식과 프락시스 간의 치명적 괴리의 단계에서 그 참조적 기능을 드러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