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얼굴에서 얼굴 구조물의 위아래 위치

        송우철(Wu-Chul Song),김성호(Sung Ho Kim),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0 No.1

        얼굴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구집단이나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얼굴 구조물이 있는 얼굴 중간부위가 전체 얼굴에서 얼마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18세 이상 29세 이하 한국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자는 218명, 여자는 333명이었다. 표준 머리 위치를 잡고 정면에서 사진을 촬영한 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얼굴 각 부분을 계측하였다. 머리털점에서 턱밑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전체 얼굴높이로 계측하였고 이를 양쪽 동공이 지나는 부위와 입정중점을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얼굴높이, 중간얼굴높이, 아래얼굴높이로 계측하였다. 전체 얼굴높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약 6% 컸다. 중간 얼굴높이와 아래얼굴높이는 남자가 더 컸으나, 위얼굴높이는 여자보다 크지 않았다. 위얼굴높이에 대한 아래얼굴높이의 비율은 남자가 약 55.7%, 여자가 50.3%였다. 이 비율을 이용하여 60%가 넘는 경우는 높은얼굴형, 50%가 안되는 경우는 낮은얼굴형, 그 사이를 중간얼굴형으로 분류한 결과 남자는 중간얼굴형이 가장 많았고, 여자는 낮은얼굴형이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높은얼굴형이었고 여자는 남자에 비해 낮은얼굴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처음으로 얼굴 구조물이 얼굴 전체에서 얼마나 위아래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아본 연구이며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의 얼굴 특징을 설명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ace is the most important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which showed racial and regional differenc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how much highly locate the facial structures in the face. In total, 551 Korean young adult volunteers with no deformity or surgical history of the face (218 males and 333 females) were selected. Subjects were photographed while sitting and assuming a standard head position, such that the porion and inferior orbital margin were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Frankfurt plane), and they were gazing forward. The total face height was measured vertically from trichion to gnathion. And total face height was divided three heights such as upper, mid, and lower face height. Total face height of male was larger about 6% than female. The ratio of lower face height about upper face height was calculated, it showed 55.7% in male and 50.3 in female. The face was classified into three sets including high-set, mid-set, and low-set according the ratio. The male face showed relatively high-set face, while female face showed relatively low-set fac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about high- or low-set face, and the result is useful data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population including Korean.

      • KCI등재

        Topographic Relationship between the Zygomatic Arch and Coronoid Process of the Mandible

        Wu-Chul Song(송우철),Yong-Woo Kim(김용우),Seung-Ho Han(한승호),Kyung-Seok Hu(허경석),Hee-Jin Kim(김희진),Ki-Seok Koh(고기석)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3 No.1

        대부분의 해부학교과서나 그림책에는 광대활과 아래턱뼈 근육돌기가 수직으로 서로 겹쳐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다. 광대활과 아래턱뼈 근육돌기의 국소해부학적 위치관계는 광대활골절의 복원과 같은 여러 상황에서 이 부위를 수술하는 성형외과 의사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광대활과 아래턱뼈 근육돌기의 국소해부학적 위치관계를 한국인 3차원모델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대활과 아래턱뼈 근육돌기의 국소해부학적 위치관계는 겹친 형태, 접한 형태, 분리된 형태의 세가지로 분류되었다. 가장 빈도가 높은 경우는 겹친 형태(37.7%)였으나 접한 형태나, 분리된 형태도 비교적 높은 빈도로 나와 세 가지 형태가 비슷한 정도로 봐도 무방하다. 오른쪽-왼쪽, 또는 성별에 따른 각 형태의 빈도차이는 없었다. 양쪽이 같은 형태를 나타나는 경우는 70.1%였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교과서나 그림책에서 광대활과 아래턱뼈 근육돌기가 접하여 있거나 분리된 형태를 합하면 겹친 형태보다 더 많기 때문에 항상 겹쳐 있는 것으로 그려진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국소해부학적 위치관계는 해부학을 교육하는 해부학자 뿐 아니라 이 부위를 수술하는 성형외과 등의 임상의사들도 알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Illustrations in almost all textbooks and atlases of anatomy normally show that the zygomatic arch (ZA) and coronoid process (CP) of the mandible overlap vertically. Their topographic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plastic surgeons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restorations of ZA fractur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opographic relationship between the ZA and CP of the mandible in three-dimensional models of Korean human cadavers. The topographic relationship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verlapped, tangential, and separate. The overlapped type was the most common, but the three types showed similar incidences in three-dimensional models. There were no lateral or sex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The incidence of both sides showing the same type was 70.1%. In conclusion, the predominance of illustrations in almost all textbooks and atlases showing the overlapped type is misleading, since the other two types - where the CP of the mandible does not overlap the ZA - are almost as common.

      • KCI등재

        해부학에서 세미나방식의 실습 활용

        송우철(Wu-Chul Song),이법이(Beob-Yi Lee),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4

        최근에 의학전문대학원 도입 등 대내외적인 의과대학의 교육환경 변화로 의학교육 환경과 여건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전반적인 추세는 기초의학이 줄어들고 대신 임상의학 및 사회의학 등의 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기초의학의 시작이자 본격적인 의학의 입문인 맨눈해부학 역시 다른 과목과의 통합, 또는 각 계통별 과목으로의 분산, 그로 인한 수업 및 실습시간의 단축 등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해부학교실에서는 일반적인 해부학실습 이외에 ‘해부세미나’라는 방식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주어진 주제를 가지고 각 조에서 미리 해부하여 실습진도에 맞추어 다른 학생들에게 발표하는 형식이다. 해부세미나를 약 4년에 걸쳐 시행하면서 해마다 학생들로부터 설문을 받았다. 먼저 해부세미나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객관식 형태로 물어본 결과 ‘재미도 있었고 해부학공부에 도움도 되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해부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느낀 본인 스스로의 태도에 대한 설문결과 ‘매우 적극적’ 또는 ‘적극적’이라는 답변이 90%에 달했다. 해부세미나를 하면서 좋았던 점으로는 1) 그 분야에 대해 깊게 공부할 수 있었음. 2) 조원들끼리 협동심 함양 등이 있었다. 부족했던 점으로는 1) 시간 부족, 2) 주제가 불공평, 3) 조원 간의 마찰 순으로 많은 답변이 있었다. 앞으로의 개선방향으로는 1) 준비에 여유시간 필요, 2)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필요, 3) 다른 과목과 일정 고려 등의 응답을 받았다. 평가결과 해부세미나가 진행되면서 해마다 진보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으며 실습시간이 부족해지는 현실에서 조금이나마 학생들이 해부에 대해 깊이 관심을 갖게 된 점이 긍정적이었다. Recently, in most medical schools of Korea, the educational method of gross anatomy, the first subject in medical education, has changed in several directions such as integrated lecture or problem-based learning (PBL). Therefore, the time of the lecture was constrained to reduce. The name of the gross anatomy integrated with embryology changed to 'human body and development' in Konkuk university since 2006. In addition to the classical dissection practice, the 'dissection seminar' was introduced since 2006. It was a method of dissection practice that one group demonstrate the procedure of dissection and explains the structures of the predissected cadaver to other students about the assigned subject. The questionnaire about dissection seminar was performed after the anatomy course. The most common opinion about dissection seminar was 'interesting and helpful for studying anatomy'. The common answers about the attitude were 'very positive' and 'positive'. The affirmatives during dissection seminar were in depth study and improve in collaboration. The inconveniences or lacks were insufficient time to prepare, unfairness in difficulty between the subjects, and discord among group members. The propositions for development were requirement of sufficient preparation time, request of guideline, and consideration of other schedule. As a result of self-estimation about dissection seminar, the direction of the dissection seminar have been advancing with time, and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studying anatom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maintaining the dissection seminar is making proper plan such as avoidance of examination of another subject.

      • KCI등재

        한국인 턱뼈바닥각 및 턱뼈모서리각

        이주영(Ju-Young Lee),송우철(Wu-Chul Song),신강재(Kang-Je Shin),김정남(Jeong-Nam Kim),이은(Eun Lee),신주옥(Chuog Shin),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젊은 성인의 얼굴뼈 CT를 3차원재구성하여 평균 턱뼈바닥각을 계측하여 알아보고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V-line이라 일컫는 정면에서 바라본 턱뼈바닥각을 기준으로 아래턱의 형태 분류를 하고 계측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재료로는 건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에서 제공한 195명의 남녀 성인 얼굴 CT (남자 97명, 여자 98명, 평균나이 25.9세, 범위 18~38세) 를 사용하였고 얼굴 CT 이미지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재구성하였다. 3차원재구성한 얼굴뼈는 정면에서 본 턱끝에서 아래턱의 양쪽 몸통이 만나는 각도 (턱뼈바닥각)와 양쪽 턱뼈각에서 아래턱선으로 이어지는 각도 (턱모서리각)를 계측하고 턱모서리 전체길이와 턱뼈결합 높이를 계측하였다. 총 195명의 3차원이미지를 계측한 결과 두 가지 정면에서 본 아래턱각도와 턱모서리 전체길이, 턱뼈결합 높이는 남자가 더 크고 길었다(P<0.05). 아래턱각도에 따라 세그룹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는데 여자는 그룹 간의 대상자 분포가 비교적 골고루 분산된 반면 남자는 아래턱각도가 가장 큰 I그룹의 분포가 가장 많았다. 남녀 모두 각 그룹별로 턱모서리 전체길이와 턱뼈결합 높이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아래턱각도가 클수록 턱뼈결합 높이는 작아지는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턱축소술 또는 양악수술 과정에서 임상의들은 좀 더 객관적이고 안정적인 수술계획을 잡을 수 있고 환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ments of mandible between young male and female using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images derived from the facial bone CT images. Type classification of mandible was performed based on the angle of base of mandible and the angle of mandibular margin observed from the anterior view 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measurement items was analyzed. One hundred-ninety five young adults facial CT were collected from th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98 females, 97 males; mean age 25.9 years, range 18~38 years). Three dimensional images of the face were reconstructed using software from CT images of whole specimens. The angle of the base of the mandible, the angle of the mandibular margin, total length of mandibualr margin, and the height of mandibular symphysis were measured. All measurement items were larger and longer in male than female (P<0.05). Three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ndibular angle. In female, the subjects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groups, but group I which had large mandibular angle was most common in male. The smaller the height of mandibular symphysis, the larger the angle of base of mandible or the angle of mandibular margin (P<0.05).

      • KCI등재

        한국인 머리뼈모형 제작

        윤관현(Kwan-Hyun Youn),허경석(Kyung-Seok Hu),송우철(Wu-Chul Song),고기석(Ki-Seok Koh),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4

        머리뼈모형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은 아주 오래 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이는 실제 뼈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머리뼈모형은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제 한국인 머리뼈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골절이나 질병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비교적 한국인 특징이 잘 드러난 머리뼈(남성, 50세)를 바탕으로 머리뼈모형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방체 모양의 틀을 제작한 다음 실제 머리뼈를 넣고 실리콘을 부어서 경화시켰다. 실리콘을 절개한 후 실리콘틀에서 실제 뼈를 꺼낸 다음 그 자리에 레진을 부어 탈포와 경화과정을 거쳐 원형을 복제하였다. 실제 뼈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구조와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제 뼈에서 훼손되었거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었던 구조는 코선반뼈, 치아와 이틀활, 목정맥구멍, 날개갈고리, 침대돌기 등으로 깎거나 덧붙여서 보완하였다.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은 주로 작은 구멍들과 절개선 사이에 생긴 흠집들이었으며 이를 바로 잡았다. 또한 붓돌기는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보다 길이를 더 짧게 하였다. 개선된 머리뼈모형을 원형복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 복제하였다. 모형용 도료를 색칠하여 뼈의 느낌을 주었으며 이때 봉합선의 색깔을 약간 강조하여 관찰이 쉽게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한국인 머리뼈모형과 서양인 머리뼈모형을 10개 항목에 걸쳐서 계측하였으며 9개 항목의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머리길이너비지수(length-breadth index), 머리길이높이지수(length-height index), 이마광대지수(frontozygomatic index), 코지수(nasal index) 등에서 서양인 머리뼈모형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기존에 연구된 한국인 머리뼈 평균에 가까웠다. 이처럼 실제 한국인 머리뼈를 이용한 모형은 서양인 모형에 비해 비교적 한국인 머리뼈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는 해부학 교육용 모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tomy education using skull models has been wide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known that it is actually much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until now, most of skull models used in anatomy class a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 or Europe. Therefore, the models showed characteristics of Caucasian skulls, and had several differences from skulls of Koreans. Hence, we made a specific replica model of skull which have various Korean characteristics. We used Korean male skull (aged 50 years) without defect due to diseases or fractures. The silicon was poured over the skull in the cubic frame and hardened. We took out the skull from the silicon frame and poured the resin into the frame to duplicate the original skull. After defoamation and hardening the resin, the skull model was taken out of frame. And we modified defects which occurred during duplicated process and made detailed structures which unrevealed in real skull. After completion of the skull model, we measured ten items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nd compared 9 categories of index.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breadth index, length-height index, frontozygomatic index, nasal index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s aforementioned, the skull model, compared to Caucasian skull models, had numerous distinctive Korean skull features and this model can be used for anatomy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인의 아래턱뼈 턱뼈가지를 이용한 성별판별

        김유리(Yoo-Ri Kim),이주영(Ju-Young Lee),송우철(Wu-Chul Song),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4

        아래턱뼈는 얼굴의 뼈 중 가장 크고 단단한 뼈이다. 따라서 발굴 현장에서 비교적 오래 남아 발견되곤 한다. 또한 인종, 성별, 나이의 차이가 잘 나타나는 뼈이기도 하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아래턱뼈는 종종 부서지거나 조각난 형태로 발견된다. 따라서 일부의 조각만을 이용하여 성별판별을 시도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체가 아닌 아래턱뼈 턱뼈가지에만 초점을 맞추어 성별판별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아래턱뼈 92개 (남성 68개, 여성 24개)를 사용하였으며 연령의 범위는 16세에서 92세까지였다(병균 60세). 아래턱뼈는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양 쪽의 턱뼈가지에 초점을 맞춰 사진을 촬영하였다. 9개의 각도 항목과 15개의 길이 항목에 대하여 Image-Pro Plus 4.5.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을 수행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Microsoft Excel 2007과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관절돌기에서 수평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성별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경우에서 높은 성별판별 정확도를 보였다(81.6%). 턱뼈가지와 관련된 3개의 각도항목과 2개의 길이항목에서 성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5가지 항목을 이용하여 성별판별을 한 결과 86.6%의 성별판별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래터뼈 일부의 구조만으로도 성별판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향후 법의학이나 체질인류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ndible is the largest and strongest bone in the face. The mandible retains its structure better than other skeletons in the forensic and physical anthropologic field.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the ethnic groups, genders and ages. However, it is often discovered as a part, not complete form. Therefore, it would be needed that sex determination must be performed using a part of mandib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sex determination of the mandible focusing on the ramus in Korean. We examined 92 Korean mandibles (68 males and 24 females). The range of age was 16-92 years (mean 60 years). The mandibles were photographed from the both lateral sides at standard position. Nine angular and fifteen linear items were measured by the computer-based image analyze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Microsoft Excel and SPSS 12.0 software. The vertical height of the coronoid proces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dylar process in almost cases (81.6%) regardless of sex. Three angular (gonion-condylion posterior, coronion-condylion, coronion-condylion but passing gonion) and two linear (gonion-condylion, gonion-coronion) ite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Five variables were used in making a series of discriminant functions for which an accuracy of 86.6% was attained.

      • KCI등재

        Sex Determination of the Sternum in Koreans

        Jeong-Yong Lee(이정용),Ju-Young Lee(이주영),Doo-Jin Paik(백두진),Ki-Seok Koh(고기석),Wu-Chul Song(송우철)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2

        법의학연구에서 개개인의 신원확인은 중요한 요소이다. 몸전체의 뼈대가 발견되는 경우 성별확인은 어렵지 않으며, 전체가 아니라 머리뼈나 골반만 있는 경우에서도 성별확인은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인의 머리뼈나 골반 등을 이용하여 성판별을 이용한 연구는 많았으나 독립적으로 발견되기 어려운 복장뼈의 성판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한국인 성인의 복장뼈 111개를 이용하여 성판별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남자 63명, 여자 48명). 이전에 보고되었던 인식점(IPs)과 제한점(LP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10가지 매개변수 중 단지 3가지 - 복장뼈몸통길이, 복장뼈길이(즉, 복장뼈자루+몸통), 그리고 복장뼈넓이 - 가 성판별에 유용했고 그 중 복장뼈길이가 가장 유용했다. 복장뼈길이의 인식점은 남자에서 147 ㎜, 여자에서 130mm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남자의 53.9%와 여자의 37.5%는 100% 정확도로 성판별이 되었다. 남녀 모두에서 제한점은 141㎜이었고, 남자의 85.7%와 여자의 85.4%에서 성을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오랫동안 복장뼈의 성판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던 Hyrtl의 법칙(Hyrtl’s law: 몸통길이가 자루길이보다 2배 이상이면 여자)은 판별도가 낮아 한국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기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제한점을 이용한 복장뼈의 성판별이 한국인 복장뼈의 성판별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of an individual is the mainstay of forensic investigation. In the present study, criteria for sex determination were established using 111 adult Korean sternums (63 males and 48 females). They were analyzed using identification points (IPs) and limit points (LPs), as reported previously. Only three of the ten parameters measured-sternal body length, sternal length (i.e., manubrium+body), and sternal area-were useful for sex determination, with sternal length being the most useful. The IP of sternal length was 147 and 130 mm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Using this parameter, 53.9% of males and 37.5% of females could be sexed with 100% accuracy. The LP was 141 mm for both males and females; sex could be discriminated accurately using this parameter in 85.7% of males and 85.4% of females.

      • KCI등재

        창자 가로절단-재문합 실험모델에서 창자신경계통의 형태계측학적 변화

        오수연(Soo-Youn Oh),박웅채(Ung-Chae Park),김경래(Kyung-Rae Kim),왕준호(Jun-Ho Wang),이재동(Jae-Dong Lee),김순제(Soon-Je Kim),송우철(Wu-Chul Song),박승화(Seung-Hwa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1

        작은창자의 손상 후 시간경과에 따른 재생과정에서 근육층신경얼기와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가 각각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돌창자 가로절단-재문합 실험모델을 제작하여 형태계측학적 방법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형태계측학적 분석을 하기위해 Sprague Dawley계 성숙흰쥐의 돌창자를 가로절단한 후 재문합시킨 실험군과 가로절단을 하지 않고 개복 후 봉합수술만을 시행한 대조군에서 수술 후 3일, 7일, 15일, 30일군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의 변화를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계수하고 통계처리 하였다. 작은창자의 가로절단으로 인한 손상효과는 근육층신경얼기와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에서 동시에 일어났으며 손상부위를 중심으로 앞쪽과 뒤쪽(구강쪽과 항문쪽) 양 방향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손상효과는 수술 후 3일군과 7일군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나 근육층신경얼기의 경우 신경세포의 형태적 변성과 아울러 세포수가 약 40% 감소하였다.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는 세포수가 20~37% 감소하였으며 대부분 세포의 세포질에는 많은 공포가 형성되어 있었다. 수술 후 15일 이후부터는 재생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근육층신경얼기에서 신경세포의 감소정도는 20~25%로 줄어들었으며 세포의 염색정도나 형태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 수의 감소정도도 13~20%로 줄어들었으며 세포질 내 공포가 형성된 세포의 수도 감소하였다. 수술 후 30일군에서 근육층신경얼기를 이루는 신경세포의 형태는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신경세포의 수는 수술 면을 기준으로 구강쪽과 항문쪽에서 각각 12.3%, 15.6% 씩 감소하여 (p<0.01) 정상으로의 완전한 회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 수는 구강쪽과 항문쪽에서 각각 7.5%, 4.2%씩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01) 세포 형태도 정상이었다. 이로서 작은창자의 가로절단으로 인한 손상효과는 근육층신경얼기에서 좀 더 심하게 나타나며 정상으로의 회복도 제1형 카할사이질세포에 비해 더디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rphometric changes of myenteric plexus and type 1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I) in regeneration process of small intestine transection. Sprague Dawley rats (200~250 g)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then the full thickness of ileal wall were semitransected; and subsequent end-to-end anastomosis were performed by using 6-0 silk suture thread. Sham-operated rats, which only underwent the laparotomy, were used for control group.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3 days, 7 days, 15 days, and 30 days after the operation. In each group myenteric plexus and ICC-Is were prepared by histochemical method (NADH-TR stain for myenteric plexus, ZIO stain for ICC-Is) and cell numbers were counted by image analyzer (Image plus pro-5.0, Media Cybermedics, USA). Degeneration of myenteric neurons and ICC-Is occurred simultaneously and it was similar in oral and anal to the site of transection. Degeneration effects were most prominent at 3 days and 7 days after intestinal transection. In myenteric plexus, many neurons had degenerated appearances and about 40% of them were lost. Most of ICC-Is had cytoplasmic vacuoles and 20~37% of the cells were lost. At 15 days after transection, there were no more degeneration in myenteric neurons (20~25% cell loss) and ICC-Is (20~13% cell loss). At 30 days after transection, numbers of myenteric neurons were not recovered as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numbers of ICC-Is were as similar as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degeneration effects of intestinal transection are more severe in myenteric plexus than in ICC-Is, and recovery of cell loss occurs more slowly in myenteric plexu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