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쟁사상을 둘러싼 쟁점 검토

        박태원 ( Tae Won Park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2 No.-

        기존의 화쟁사상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 상이한 태도 위에 진행되고 있다. 화쟁사상과 원효의 일심 및 전체사상을 무차별하게 결합시켜 다루는 경우가 하나이고, 양자를 구별하여 취급하는 경우가 다른 하나이다. 그리고 화쟁사상의 범주와 대상을 제한시켜 탐구하는 연구들은 다시 그 범주와 대상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대해 입장이 갈라진다. 원효 사상 전체를 화쟁의 논리에 의거하여 독해하려는 방식에서는 화쟁사상과 원효사상은 구별할 필요가 없이 완전히 하나로 결합되어 버린다. 이러한 독해는 ‘화쟁’이라는 말의 의미와 범주를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확대시키고 있고, 그에 따라 화쟁 특유의 문제의식과 실제 범주로부터 일탈하고 있다. 확인 가능한 자료에 의거하는 한, 화쟁사상의 범주는 원효사상의 전체 체계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화쟁’은 구체적 쟁론들을 염두에 둔 문제 해결의 태도를 담고 있는 언어이며, 원효 자신도 그러한 의미로서 사용했다고 보아야 한다. 화쟁사상의 범주는 ‘불교 이론에 관한 상이한 견해들’로, 화쟁의 대상은 ‘불교 이론에 관한 상이한 견해들로 인해 생겨난 배타적 대립과 불화 및 상호불통 상황’이라 보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신, 구유식의 갈등이나 중관과 유식의 공·유 대립은 원효가 전개한 화쟁 논법의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아울러 화쟁이론의 성격은 ‘화해이론으로서의 종합주의’라기 보다는, ‘통섭(通攝)이론으로서의 화회(和會)주의’라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원효가 구사하고 있는 화쟁의 논리 형식을 확인하는 작업은 화쟁 원리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쟁론 상황에 적용하기만 하면 화쟁이 되는, 그러한 논리 형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효의 화쟁 논리에 대한 관심이 그러한 기대를 담고 있는 것이라면, 그 탐구 결과는 공허할 수밖에 없다. 화쟁 논법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긴요한 것은, 화쟁의 논리 형식을 펼쳐내는 ‘원천’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세밀한 포착이다. ‘긍정·부정의 자유자재’ ‘극단적 견해를 버림’ 등의 논리형식은 그럴듯해 보일지 몰라도, 실제 쟁론에 적용하기에는 모호하거나 막연하여 문제 해결에 무력하다. 쟁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실제로 요구되는 것은, ‘긍정과 부정 및 극단적 견해의 내용 여하를 변별하는 경계선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긍정과 부정의 적절한 경계선을 포착하는 능력이 수반되지 않는 ‘긍정·부정의 자재’는 공허할 뿐 아니라 위험하기조차 하다. 화쟁의 논리형식이 솟구치는 ‘원천’은, 이 ‘긍정·부정의 적절한 변별과 판단을 위한 경계선 포착력’을 근원적 수준에서 계발시키고 발전시켜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원효의 화쟁 논법이 그러한 원천에 기반하는 것이라면, 화쟁 논법은 불교적 쟁론뿐 아니라 세간의 쟁론 일반의 치유에도 유효할 수 있는 보편적 화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만약 화쟁 논법의 원천에서 그러한 내용과 의미를 포착할 수 없다면, 화쟁사상의 한계는 명백하다. 향후의 화쟁사상 탐구는 이 점에 주력해야 한다. There has been two different types of study on the Won-hyo`s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One type is to connect the thought of dispute-reconciliation with the whole system of Won-hyo`s philosophy indiscriminately, another type is to treat them discriminately. The type of connecting the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 with the whole system of Won-hyo`s philosophy indiscriminately expands the category and meaning of the word dispute-reconciliation(和諍)` too much, thus deviates from the actual category and problem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word that has the desire to solve the concrete disputes, and Won-hyo must have to use the word with this meaning. The category of the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n the Buddhist theories, and the object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situation of exclusiv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non-communication caused by it. The disagreement between ex-school of Yogacara(舊唯識) and neo-school of Yogacara(新唯識), and the confrontation of emptiness(空)·existence(有) of Madhyamaka(中觀)·Yogacara(唯識) cannot be regarded as the object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principle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ource of dispute-reconciliation`s logic must be elucidated in detail. The source of dispute-reconciliation`s logic is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grasp the boundary line for the appropriate discrimination and decision of affirmation or negation. I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is to be founded on that source, hi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could not only have the healing capability on the Buddhist disputes but have the universal capability of healing on mundane disputes. The research on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hereafter needs to concentrate on this subject. Subject : Buddhist Philosophy, Philosophy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 Poster Session : PS 0831 ; Upper GI Tract : Clinical Factors to Predict Angiographically Detectable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Patients Refractory to Endoscopic Treatment

        ( Tae Hwan Ha ),( Tae Hoon Oh ),( Sung In Yu ),( Min Kim ),( Jong Wook Kim ),( Won Ki Bae ),( Jae Hyung Kim ),( Seung Suk Baek ),( Mi Jin Ryu ),( Ye Na Choi ),( Ji Young Park ),( Eileen L Yoon ),( Tae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Background: Non-variceal upper GI bleeding (NVUGIB) is a common medical problem that has signifi cant association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Angiographic detection and subsequent transarterial embolization (TAE) is a primary treatment option when medical and endoscopic treatments fail. We investigated clinical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success of the angiographic detection and prognosis after TAE in patients with NVUGIB refractory to endoscopic therapy.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data was done in patients with failed endoscopic treatment who underwent angiography for the treatment of acute NVUGIB between May 2002 and May 2013. Patients were divided into detection or non-detectio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leeding stigmata in angiographic fi nding. Rebleeding defi ned as subsequent bleeding event within 7 days and mortality within 30days were analyzed as outcome parameters after TAE following detection in angiography. Results: A total 45 patients 37 (male, mean age, 65.9±14.9 years) were analyzed and classifi ed as a detection group (n=25, 55.5%) and non-detection group (n=20, 44.6%). Peptic ulcer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refractory NVUGIB. Larger transfusion amount (5.7±3.9 unit vs. 3.5±2.8 unit; P=0.03), prolonged aPTT level (34.2±17.3 sec vs. 21.8±13.8 sec; P=0.01) and short time interval between last endoscopy and angiography (17.5±25.9 hours vs. 34.3±59.5 hours; P=0.04) were found to be signifi cant factors for predicting angiographic detection. TAE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detected in angiography. Rebleeding (44%)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Rockall score (8.3±1.5 vs. 6.6±2.4; P=0.046) and mortality (12%) was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Rockall score (9.3±0.6 vs. 7.1±2.2; P=0.002) and higher level of BUN (55.3±47.4 vs. 27.6±17.4; P=0.01). Conclusions: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ngiographic detection in patients with NVUGIB refractory to endoscopic therapy were severe bleeding, bleeding tendency and early angiographic intervention. The Rockall score is useful parameter for predicting rebleeding and mortality after TAE.

      • KCI등재

        원효의 선(禪)사상 :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8 No.2

        The 『Vajrasamadhi-Sutra(金剛三昧經)』 and the Won-Hyo(元曉)'s commentary of it(『金剛三昧經論』) synthesize all the Buddhist philosophy through the theme of Sun(禪). In other words, the writer(s) of 『Vajrasamadhi-Sutra(金剛三昧經)』 and Won-Hyo concentrate and unfold their views on the Buddhism and their critical mind based upon Sun(禪). Won-Hyo asserted one-tasted vipassana practice(一味觀行), after catching the vipassana practice(觀行) as the essence of 『Vajrasamadhi-Sutra(金剛三昧經)』's practice. The onetasted vipassana practice(一味觀行) and the aspect of One-mindedness(一心) are interdependent and interconnected. The one-tasted vipassana practice(一味觀行) is the aspect of vipassana that the mutual-negative world become the one being opened and embrac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Won-Hyo, the stability/quietness/purification of Sun(禪) are not the results of looking away and negation and escape of world, not the products of restraint and disuse of mind and body, but the aspect of seeing the existence as it is and the process of having relation with the world truly. And the person who opens the Sun(禪)'s aspect is to unfold the altruistic mind voluntarily and necessarily. Sun(禪) and the saving the world must be the one. Won-Hyo always connects Sun(禪) with the practicing of world's saving. The distinguishing mark and unique significance of Won-Hyo's view of Sun(禪) are here.

      • KCI등재

        원효의 『금강삼매경』6품 해석학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현재 확인할 수 있는 문헌자료를 근거로 할 때 『금강삼매경』은 7세기 한반도 불교인들의 작품으로 보인다. 그리고 『금강삼매경』 찬술자(들)가 지녔던 문제의식은, ‘선(禪)의 사상적 근거를 체계화시키는 것’이었다고 본다. 7세기 한반도 불교인들은 새로운 불교 운동인 초기선종의 등장을 계기로 선의 교학적 토대를 확립하려는 문제의식을 지녔고, 그리하여 그들이 소화하고 있던 불교이론들을 통합적으로 엮어 ‘선의 철학적 기반을 정초(定礎)하려는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그 결실이 『금강삼매경』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금강삼매경론』은 원효가 선을 주제로 삼아 자기 사상을 총결산하고 있는 저술이다. 원효는 『금강삼매경』을, 대승불교 교학의 핵심 개념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삼매의 최고경지로 나아가는 선 수행 체계를 완결된 형태로 설하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 대안이 그 내용을 편집했다고 하는 『금강삼매경』, 그리고 원효의 해설인 『금강삼매경론』은, 삼매성취의 선(禪) 수행과 그 의미를 대승불교의 교학적 핵심 개념들과 결합시킴으로써, 선의 철학적 완결체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삼매와 선 수행에 대한 이러한 시도는 그 이전과 이후를 통틀어 불교사상사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특이한 사례다. 그리고 사례의 희소성 때문이 아니라 그 내용 때문에 『금강삼매경』과 『금강삼매경론』 이 시도하는 선의 철학적 체계화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금강삼매경』 구성체계에 대한 원효의 ‘6품 해석학’은 『금강삼매경』 이 대승교학의 핵심을 모두 총괄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일미 해석학’은 6품이 모두 공성(空性)인 진여지평에 수렴되고 또 그로부터 발산하고 있다는 점을 논거로 ‘한 맛’으로 꿰어져 있다는 것을 역설한다. 그런데 6품 해석학의 논리와 내용을 보면, 원효는 「본각리품」을 6품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음을 알게 된다. 「본각리품」을 중심축으로 삼는 『금강삼매경』체계, 그리고 ‘개념환각(相) 깨뜨리기’의 과정과 내용 및 결과를 시각/본각의 틀로써 해명하고 있는 원효의 6품 해석학은, 원효사상이 시각/본각의 틀 안에 대승교학의 핵심을 망라하여 선의 철학적 토대와 체계를 수립하는 것으로 결산되고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According to existing text materials,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is to be supposed the product written by Buddhis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7th century. The interest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s writers was to develop a system of philosophical grounds of Seon(禪). 『Commentary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is a writing of final philosophical settlement of Won-Hyo(元曉) that is focussed on Seon(禪).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edited by Dae-An(大安) and 『commentary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written by Won-Hyo(元曉) suggest a philosophical complete system of Seon(禪) combining the contemplation practice to acquire sam?dhi with the theoretical hearts of Mahayana Buddhism. An attempt like this is a unique case that cannot be found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Buddhism. Won-Hyo(元曉)’s hermeneutics on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emphasizes that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summarizes all the cores of Mahayana philosophy, and his hermeneutics of One-Taste(一味) asserts that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are penetrated with one taste grounded by the fact that all the six chapters are converged on Emptiness(空) and diverged from Emptiness(空). In the logics and contents of Won-Hyo(元曉)’s hermeneutics on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Chapter on the Benefits of Original Enlightenment(本覺利品)」is a central axis. The composition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that makes the 「Chapter on the Benefits of Original Enlightenment(本覺利品)」 as its central axis, and Won-Hyo(元曉)’s hermeneutics on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 that elucidates the breaking conceptual hallucination with the frame of ‘Beginning Enlightenment(始覺) and Original Enlightenment(本覺)’, imply that 『commentary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is the final Won-Hyo(元曉)’s philosophical settlement on Seon(禪)’s philosophical grounds and organization covering all the cores of Mahayana philosophy through the frame of ‘Beginning Enlightenment(始覺) and Original Enlightenment(本覺)’.

      • KCI등재

        <특집논문> 선불교, 철학적으로 사유하다 : 원효 선관(禪觀)의 철학적 읽기 -선과 언어적 사유의 결합 문제와 관련하여-

        박태원 ( Tae Won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6

        정학을 초점으로 하는 선불교를 기준으로 조망할 때, 한국 선불교에는 크게 세 유형의 지평이 누적되어 있다. 이 세 지평은 때로는 각자의 고유성이 부각되는가 하면, 때로는 상호 포섭적으로 겹치기도 한다. 각지평의 중심에 선 인물은 원효(元曉, 617-686)·지눌(知訥, 1158-1210)·성철(性徹, 1912-1993)이다. 이들이 대변하는 선불교 지평의 고유성은 각각 ‘둘 아니게 살아가는 선’(不二禪)·‘몰록 깨닫고 차츰 닦는 선’(頓悟漸修禪)·‘몰록 깨달아 마치는 선’(頓悟頓修禪)이다. 원효는, 금강삼매의 선정을 성취하면 ‘하나로 보는 마음자리’에 서게되고 ‘하나가 된 마음지평’이 열린다고 한다. 선 수행과 선정의 성취는, 특수한 심리 상태나 비일상적이고 일시적인 신비 체험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 존재 환각을 직접지각으로 꿰뚫어 실체라는 근거 없는 환각이 걷힌 ‘하나로 만나는 지평’을 훤히 대면하는 마음자리에 서게하는 조건이라는 것이, 원효 선관(禪觀)의 한 요목(要目)이다. ‘하나로 보는 마음자리’에 서게 하는 선 수행의 요점은, 알기(觀)와 행하기(行)를 ‘한 맛’으로 통섭(通攝)시켜 챙겨가는 ‘한 맛으로 알아 행하는 선 수행’(一味觀行)이다. 또한 알기(觀)와 행하기(行)를 수평(橫)과 수직(竪)에 배대하는 동시에 양자를 하나로 결합시키는 원효의 일미관행(一味觀行)은, 구조상 ‘깨달음의 돈오점수적 결합’이 된다. 이 점은 깨달음과 수행의 요점을 ‘돈점’의 문제로 파악하는 돈점론 패러다임을 선종 내부의 문제로만 국한시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원효가 본 선의 본령은, 몸이 세계와 관계 맺으면서도 내면적 동요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는 마음자리에 서는 것이다. 몸은 부지런히 중생의 법익(法益)을 위해 움직이면서도, 마음은 관계의 변화나 성패에 지배 받지 않고 내적 평온을 유지해 가는 것이 금강삼매의 선이다. 붓다에게는 입정(入定)의 선(禪)과 출정(出定)의 사회적 관계가 단절이나 불화 없이 이어져있다. 붓다의 선은 ‘본디자리 지키는 마음지평’의 개인적 간수와 사회적 전개가 ‘한 맛’으로 관통하고 있다. 선정에 관한 원효의 안목은 이러한 붓다의 선 지평에 접속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비록 실체라는 환각을 꿰뚫어 보고 그것에 붙들리지 않는 마음자리를 밝혀 챙겨갈 수 있는 지평을 열었을지라도, 막상 세간사와 관계할 때에 그 마음자리를 놓치고 자아 환각에 붙들려 역순경계에 따라 동요하고 만다면, 이것은 선(禪)의 마음과 세간사가 둘로 나뉘어 불화하는 것(心事各異)으로서 온전한 선이 아니다. 이에 비해 세간사와 만날 때라도, 존재 환각에 붙들리지 않는 ‘참되게 알기’(觀)를 놓치거나 그것이 혼탁해지지 않아, 존재 환각에 따른 분별심을 일으키지 않고 세간사 역순경계 속에서도 동요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선의 마음과 세간사가 ‘둘 아닌것’으로 상응하는 것(心事不二)으로서 온전한 선이다. 원효가 파악한 참된 선, 불교 본연의 선관은, ‘선의 마음지평과 세간사 만나기가 분리되지 않게 노력하는 것’이다. 선의 마음자리와 세간사 만나기가 ‘둘 아니게’이어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참된 선 수행이다. ‘둘 아니게 살아가려고 하는 선’(不二禪)이 불교적 선 수행이라는 소식이다. 선 수행은 ‘둘 아니게 살아가는 길’에 오르는 일이라는 원효의 선관(禪觀)은, 그 길에 올라 걸어가려면 ‘둘 아니게 보는 마음자리’를 확보해야 하는 동시에, 그 마음자리에서 ‘올바른 언어적 이해/지적 성찰’을 작동할 수 있는 언어적 사유의 힘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선수행인에게 언어적 이해/지적 성찰은, 내쳐야 할 분별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선의 마음자리’와 ‘세상’이 균열 없이 만날 수 있는 기초이기도 하다. Korean Seun-Buddhism has accumulated the three horizons. They are Won-Hyo(元曉, 617-686)`s Seun of non-dual(不二禪), Chi-Nul(知 訥, 1158-1210)`s Seu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頓悟漸修禪), and Sung-Chul(性徹, 1912-1993)`s Seu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禪). Won-Hyo asserted one-tasted vipassana practice(一味觀行), after catching the vipassana practice(觀行) as the essence of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s practice. The one-tasted vipassana practice(一 味觀行) and the aspect of One-mindedness(一心) are interdependent and interconnected. The one-tasted vipassana practice(一味觀行) is the aspect of vipassana that the mutual-negative world become the one being opened and embrac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Won-Hyo, the stability/quietness/purification of Seun (禪) are not the results of looking away and negation and escape of world, not the products of restraint and disuse of mind and body, but the aspect of seeing the existence as it is and the process of having relation with the world truly. And the person who opens the Seun (禪)`s aspect is to unfold the altruistic mind voluntarily and necessarily. Seun(禪) and the saving the world must be the one. Won-Hyo always connects Seun(禪) with the practicing of world`s saving. The essence of Seun(禪) that Won-Hyo understood is the union of Seun(禪) and social affairs. To attain this essence, the intellectual faculty of language is necessary.

      • KCI등재

        원효 화쟁철학의 형성과 발전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원효사상의 체계와 내용을 관통하는 원리, 원효철학의 모든 것을 직조해 내는 근본원리, 원효의 모든 통찰을 수렴하는 상위원리는 ‘통섭’이다. 통섭과 화쟁은 특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화쟁의 꽃이 필 때라야 통섭의 열매가 맺는다. 원효의 화쟁사상은 그 시대 불교사상계의 분열적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미시 해석학적 방법이다. 이 글에서는 원효 화쟁철학에서 주목되는 ‘문門구분의 사유방식’을 중심으로 화쟁철학의 형성과 발전단계를 추적해 보았다. ‘문門구분을 통한 화쟁’을 중심에 두고, 다른 두 축인 ‘모든 쟁론의 인식적 토대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마음지평(一心) 열기’와 ‘언어 환각에서 풀려나 언어를 사용하기’를 양 옆에 세운 후, 이 세 축이 서로 맞물려 힘을 보태면서 끝없이 상승해 가는 구도. - 이것이 원효의 화쟁에 대한 필자의 독법이다. 통섭이나 화쟁의 통찰을 전개할 때 구사하는 ‘문門구분’의 ‘문門’은, ‘일련의 타당한 인과계열’ ‘조건적으로 타당한 의미맥락’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원효는 이 ‘문門 구분 사유방식’을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一心二門에서 포착하여 확대, 발전시켜 간 것으로 보인다. 원효는 기신론의 ‘이문二門 구별’에서 ‘문門 구별의 연기적 사유’를 포착한 후 다양한 유형의 이문二門구별로 발전시킨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론과 주장들을 조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사실에 부합하는 정확한 이해에 접근하려 한다. 아울러 다양하게 분석한 이문二門들의 ‘통섭通攝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배타적으로 엇갈리는 이론과 주장들이 화해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렇게 볼 때 연기적 사유의 원효적 유형인 ‘문門구별의 사유방식’은 크게 세 단계에 걸쳐 발전하고 있다. 첫 단계는 기신론의 ‘진여/생멸 이문二門 구별’에서 문門 구별의 사유방식에 눈뜬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이 ‘문門구별의 사유방식’을 활용하여 ‘문二門 구별의 다양한 방식들’을 전개하는 것이고, 세 번째 단계는 ‘문門구별의 사유방식’을 통해 상이한 이론과 관점들이 ‘서로 열고 서로 안을 수 있는’ 통섭通攝과 화쟁和諍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효의 ‘문門구별 사유방식’은 이 세 번째 단계를 발전의 정점으로 삼는다. The meta-principle which penetrates all the system and contents of Won-Hyo’s philosophy is ‘Mutual Opening and Embracing’(通攝). ‘Mutual Opening and Embracing’ and ‘Reconciliation’(和諍) have close relation. This treatise analys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Won-Hyo’s reconciliatory philosophy centering on the Mun(門)-division thinking. Won-Hyo used the term Mun(門) when he folds the ‘Reconciliation’(和諍) and ‘Mutual Opening and Embracing’(通攝), and the term means a series of appropriate causal relation. After capturing the Mun(門)-division thinking in the ‘Two Mun’(二門)-divis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大乘起信論), Won-Hyo developed it as diverse form of ‘Two Mun’(二門)-division. Through the diverse form of ‘Two Mun’(二門)-division he could reac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ories and argues. On the whole Won-Hyo’s Mun(門)-division thinking had developed through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stage of finding out the Mun(門)-division thinking. The second is the stage of folding diverse form of Mun(門)-division by using the Mun(門)-division thinking. The third is the stage of preparing the space of ‘Reconciliation’(和諍) and ‘Mutual Opening and Embracing’(通攝) through the Mun(門)-division thinking.

      • KCI등재후보

        리우 올림픽 출전 선수들의 경기력 분석

        문원재 ( Moon Won-jae ),박명은 ( Park Myeong-eun ),이태상 ( Lee Tae-sang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8 스포츠사이언스 Vol.35 No.2

        이 연구는 세계태권도연맹이 실시해온 랭킹 시스템 도입에 의해 1~6위까지 랭킹 상위자들에게 올림픽 자동 출전권을 부여함에 있어 리우올림픽 경기 결과를 분석하여 올림픽에서 입상한 선수들과 올림픽 자동출전권을 획득한 선수들과의 비교함으로써 랭킹시스템 제도에 대한 발전 방안을 모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58kg급 체급에는 1위 중국(shuai zhao), 2위 태국(Tawin Hanprab), 3위 한국(Kim TAE-hun), 도미니카 공화국(Luisito PIE) 순으로 나타났다. 1위 입상자 중국선수의 경우 긴 신장을 이용한 몸통기술(10), 얼굴(4)로 나타났으며, 이 체급 자동 출전권 1위를 획득한 이란선수의 경우 예선탈락을 하였다. 둘째, -68kg급 체급에서는 1위 요르단(Ahmad), 2위 러시아(Alexey), 3위 스페인(Joel), 한국(Lee)으로 나타났으며, 1위 입상자 요르단 선수의 경우 몸통(9), 얼굴(8), 주먹(1)로 얼굴 및 몸통 등에서 대등하게 기술을 발휘하며 다른 선수에 비해 얼굴기술이 탁월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체급 1위로 자동출전권을 획득한 벨기에 선수의 경우 메달권에서 러시아선수를 만나 패함으로서 메달 획득을 하지 못하였다. 셋째, -80kg급 체급에서는 1위 코트디부아르(Cheick), 2위 영국(Lutalo), 3위 아제르바이잔(Milad), 튀니지(Oussama)로 나타났으며, 1위 입상자 코트디부아르 선수의 경우 좋은 체격과 선수 특유의 탄력을 이용한 순발력으로 몸통(11), 얼굴(3), 주먹(2)로 나타났다. 이 선수의 경우 공격 기술이 탁월하며 역습기술에서는 득점이 나타나지 않아 공격과 방어기술이 탁월한 선수로 나타났으며 이 체급 랭킹포인트 1위로 자동출전한 이란선수의 경우 9강에서 아제르바이잔 선수를 만나 예선 탈락 하였다. 넷째, +80kg체급에서는 1위 아제르바이잔(Radik), 2위 나이지리아(Abdoulazak), 3위 브라질(Maicon), 한국(Cha)로 나타났으며, 1위 입상자 아제르바이잔 선수의 경우 몸통(4),얼굴(4)로 최고 중량급에서 몸통 및 얼굴기술이 다양하며 방어기술 또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체급 랭킹 포인트 1위로 자동 출전한 우주베키스탄 선수의 경우 8강에서 쿠바 복병을 만나 골든포인트에서 패하여 메달을 획득하지 못하였으며 최종대회 1위를 차지한 아제르바이잔 선수의 경우 랭킹포인트 3위로 올림픽 자동출전권을 획득하여 금메달의 영광을 차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Rio Olympic Games in order to grant the Olympic qualification to the top ranking players by the introduction of the ranking system implemented by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and to acquire the automatic Olympic qualification By comparing with the players, we 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ranking system,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shaai zhao, Tawin Hanprab, Kim TAE-hun, and Luisito PIE ranked in the order of -58 kg. In the case of Chinese athletes who ranked first, body length (10) and face (4) using long elongation were shown. In case of Iran, who won the first place in this weight automatic ticket, Second, in the -68 kg class, Ahmad ranked second, Alexey ranked second, Joel ranked third, and Lee ranked third. In the case of Jordan, (8), and fist (1), showing excellent skill in face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athletes. For a Belgian player who won the automatic qualification for the 1st place in this weight category, he could not obtain a medal by losing to a Russian player in the medal ticket. Third, Chekick, Lutalo, Milad, and Oussama ranked first in the -80kg weight class, and in the case of 1st-ranked Cote d'Ivoire, (11), face (3), and fist (2). This player was excellent in offensive skill and counter-attack technique was not good, so attacking and defending skill was excellent player. In the case of Iran, which was automatically ranked in the first place in this weight ranking point, Azerbaijan player was eliminated in the ninth round. . Fourthly, in the + 80kg weight class, it was ranked as 1st in Azerbaijan (Radik), 2nd in Nigeria (Abdoulazak), 3rd in Brazil (Maicon) and in Korea (Cha) 4) showed that body and face skills varied in the top heavyweight, and defensive skills were also good. In the case of Uzbekistan player who was automatically placed in the top of this weight ranking point 1, he was not able to win the medal by defeating Golden Point in Cuba in the quarter-finals. Azerbaijan, ranked first in the final tournament, And won the gold medal.

      • KCI등재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불성(佛性) 유(有)/무(無) 화쟁’의 해석학적 번역과 논지 분석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십문화쟁론』은 번역자의 관점과 이해를 가급적 분명하게 드러내는 해석학적 번역이어야 그 구체적 면모를 보여주는 문헌이다. 이런 사정을 고려하여 ‘직역/의역/해의’의 체계로써 『십문화쟁론』 ‘불성 유/무 화쟁’에 대한 해석학적 번역을 시도해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번역을 통해 『십문화쟁론』 ‘불성 유/무 화쟁’의 논점과 논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원효의 화쟁 사상에서는 ‘불성(佛性)’을 둘러싼 다양한 주제들이 화쟁의 대상으로서 취급되고 있는데, 이는 분명 그 시대에 풍미했던 유식학의 새로운 학풍으로 인한 교리적 혼란과 갈등이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특히 ?십문화쟁론? 잔간(殘簡)에서 등장하는, ‘모든 중생은 불성을 지닌다’는 견해와 ‘불성이 없는 중생도 있다’는 견해의 배타적 다툼에 관한 화쟁은, 당시 중국과 한반도 불교계의 중요한 교학적 논란에 대한 원효의 대응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원효는 기본적으로 ‘모든 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전통적 관점을 지지한다. 현존하는 『십문화쟁론』의 관련 내용은 ‘불성이 없는 중생이 있다’는 견해의 부당성을 비판하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원효는, ‘모든 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명제를 수용하는 모든 해석학적 견해들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견해를 주장하기 위해 채택하는 ‘문헌적 근거(經證)의 관련 내용에 대한 오해’나 ‘추가하는 해석학적 관점들의 부당성’을 가차 없이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모든 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관점의 정당성과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수립케 하여, ‘불성의 유무(有無)’ 문제에 대한 논란과 혼란을 해소시켜 가는 것이 원효의 화쟁 방식이다. 『The reconciliation theory on the Ten opinion’s contexts(十門和諍論)』 shows it’s features when it is translated by the translater’s definite points of view and understanding with hermeneutic form. Thus try to make an hermeneutic translation on 『The reconciliation theory on the Ten opinion’s contexts(十門和諍論)』’s reconciliation concerning the problem of Buddha-nature(佛性)’s existence with a system of ‘direct translation/free translation/commentary’. And as a result of this kind of translation, the point of arguments and the logics of 『The reconciliation theory on the Ten opinion’s contexts(十門和諍論)』’s reconciliation concerning the problem of Buddha-nature(佛性)’s existence are to be analyzed. Won-Hyo(元曉, 617-686)’s philosophy of reconciliation treats various subjects concerning Buddha-nature(佛性) as the object of reconciliation. It may have the doctrinal confusion and trouble caused by the new academic features of Consciousness-only-school(唯識學) as its background. Especially the reconciliation on the problem of Buddha-nature(佛性)’s existence in 『The reconciliation theory on the Ten opinion’s contexts(十門和諍論) 』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was the Won-Hyo’s response to the important doctrinal dispute in the East Asian Buddhism of that time. Won-Hyo supports the traditional view that ‘all the people have Buddha-nature’ basically. Most of the contents of 『The reconciliation theory on the Ten opinion’s contexts(十門和諍論)』 concerning the problem of Buddha-nature(佛性)’s existence criticize the view that ‘some people don’t have Buddha-nature’. But Won-Hyo does not support all hermeneutic opinions that admits the proposition that ‘all the people have Buddha-nature’. He criticizes the misunderstanding and unreasonableness of some hermeneutic opinions that admits the proposition that ‘all the people have Buddha-nature’ severely. Through this way Won-Hyo established the rightfulness of the view that ‘all the people have Buddha-nature’ and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this view, and dissolved the doctrinal confusion and disputes on the problem of Buddha-nature(佛性)’s existence.

      • 동북아 피더네트워크의 Win-win전략에 관한 연구

        장우준(Woo-jun jang),전찬용(Chan-Yong jeon),김태원(Tae-Won Kim),곽규석(Kyu-Seok Kwak),남기찬(Ki-Chan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1

        최근 중국은 양산항을 개장하여 선사 유치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일본은 "수퍼중추항만 육성계획“을 세워 항만의 효율성을 바탕으로 비용을 낮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선박의 대형화에 의한 중심항만(Hub Port) 위주의 기항과 북중국의 대량 물량 발생지역에 대한 직기항 경향으로 동북아 항만간의 경쟁이 더욱더 치열해 지고 있으며 동북아 역내 피더네트워크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럽 피더네트워크 전략 사례를 바탕으로 동북아 피더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동북아 피더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동북아 역내 항만 및 선사간의 과당경쟁을 지양하고 서로 Win-Win할 수 있는 터미널의 전략적 활용, 선사간 제휴 확대, 항만간 협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Recently, China opened Yangshan port and provides a variety of benefits for shipping companies. Japan plans to reduce logistics costs and improve efficiency through the established "super major ports" project. According to the "hub and spokes" system, the number of direct calls toward North-Chinese ports are increasing. This changing environmen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mount of transshipment cargos in Korean ports. In order to make a hub port of a domestic por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ortheast Asian feeder network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northeast Asian feeder networks through the case study of European feeder networks strategy. Finally, we suggests the plans to reinforce feeder networks, which are strategic terminal operation, strategic alliances between shipping companies and port co-operation, for win-win strategy in the competitive northeast Asian market.

      • 太極拳의 動作에 關한 硏究

        鄭敏燮,吳旼錫,宋泰元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1 혜화의학회지 Vol.10 No.1

        Through study of movement of Tae-Geuk-Guan(太極拳), we understand Tae-Geuk-Guan(太極拳) & essential movement. Theory about creator of Tae-Geuk-Guan(太極拳) is indistinct. there are Jangsampung-theory(張三豊設), Wangjongak-theory(王宗岳設), Jinwangjung-theory(陳王廷設), Jinbok-theory(陳卜設). Tae-Geuk-Guan(太極拳) is military arts developed before Song empire(宋). Tae-Geuk-Guan(太極拳) has many branch.(Jin-sik陳式, Yang-sik楊式, Mu-sik武式 O-sik吳式, Son-sik孫式) Tae-Geuk-Guan(太極拳) manual movement use fist(拳), palm(掌), hook shape(鉤), its using form has many type like Bung, Yi, Jae, An, Chae, Yul, Ju, Go. Its gait has many type like Sang-bo(上步), Tae-bo(退步), Jin-bo(進步), Deng-gak(댕脚), Bun-gak(分脚), Bak-gak(拍脚). Essential theory of Tae-Geuk-Guan(太極拳) is Yi-Sim-Hang-Gi(以心行氣) & Yi-Gi-Un-Sin(以氣運身). It means mind(心) moves and qi(氣) moves body(身).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