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 ≪초학첩경(初學捷徑)≫에 대하여 -≪국문첩경≫ 및 ≪개정초학첩경(改正初學捷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솔 ( Kim¸ Unsol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5

        ≪初學捷徑(초학첩경)≫은 1908년 한승곤이 지은 국한혼용문의 국어 교과서다. 근대계몽기에는 학교의 설립과 더불어 학교에서 사용하기 위한 교과서의 편찬이 이루어졌다. 근대식 학제가 도입된 초기에는 학부에서 먼저 교과서를 펴냈고 이후 개인 또는 민간단체에서 교과서를 발간하였다. 한승곤은 사용 문자를 달리하여 초학자를 위한 국어 교과서를 여러 종 집필하였다. 그러나 이 교과서들은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초학첩경≫의 서지사항과 구성을 살피고 초판과 개정판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승곤이 펴낸 순국문 국어 교과서인 ≪국문쳡경(국문첩경)≫과의 관련성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문첩경≫과 ≪초학첩경≫은 비슷한 시기에 편찬되었으나 사용 문자에서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구성 및 내용 면에서도 다른 점이 있다. ≪초학첩경≫ 1권의 본문 중 29개의 학습 자료가 ≪국문첩경≫의 본문과 비슷하거나 같고 26개의 학습 자료가 ≪신뎡국문쳡경(신정국문첩경)≫의 본문과 비슷하거나 같다. 사용 문자를 바꿔 쓴 경우를 제외하고 수정의 유형을 분류하면 단어 단위에서 유의어로 수정된 경우, 문장 단위에서 문장이 추가 혹은 삭제된 경우가 있다. 2권의 본문은 ≪국문첩경≫과는 관계가 없다. ≪초학첩경≫은 1910년 통감부의 교과용 도서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 중 하나로 기독교 학교에서의 사용 인가를 받았으나 이후의 검정은 통과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1912년 ≪초학첩경≫의 개정판인 ≪改正初學捷徑(개정초학첩경)≫이 출판되었다. ≪개정초학첩경≫은 1914년 조선총독부의 교과용 도서 검정을 통과하여 사립 기독교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초판과 개정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체제나 내용의 구성 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으나 본문의 일부 문장이나 단어가 수정되는 양상을 보인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정된 경우다. ‘우리나라, 국문, 태극기’ 등의 단어는 수정 또는 삭제되었고 깃발이나 지리에 대한 글이 일본의 깃발, 지리에 대한 글로 교체되었다. 이 외에는 ≪초학첩경≫에 쓰인 서북 방언이 ≪개정초학첩경≫에서는 중앙어로 바뀐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Chohakcheopkyung≫ is Korean textbook which was written by Han SuengGon who was born in Pyeongan-do in 1908. After he published ≪Gukmuncheopkyung≫ which is written only in Korean in 1906, he published ≪Chohakcheopkyung≫ in 1908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 and Hangul. There is a year term between the publishment of ≪Gukmuncheopkyung≫ and ≪Chohakcheopkyung≫, and there are differences not only characters used, but also format and contents. ≪Gukmuncheopkyung≫ is the source of 29 texts in the first volume of ≪Chohakcheopkyung≫. Moreover, 26 texts were used in ≪Shindyeong Gukmuncheopkyung≫ as well. It includes the same contents, and some modified words or sentences. The texts in second volume does not have any connection with ≪Gukmuncheopkyung≫. ≪Chohakcheopkyung≫ is one of the textbooks that received approval of Resident-General in 1910. It was approved to use in Christian schools, but it could not pass subsequent authorization. Afterwards, ≪Gyejeong Chohakcheopkyung≫ was published in 1912, which is revised edition of ≪Chohakcheopkyung≫. ≪Gyejeong Chohakcheopkyung≫ get textbook approval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4, so it could be used in private Christian school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s in the contents compared between the first and revised edition. However, some texts and specific words were modified. Firstly, there are modified words and texts,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time. The words such as ‘Our country, Korean language, Taeguekgi(Korean flag)’ were modified or deleted and the texts about Korean flag and geography were replaced with the texts about Japanese flag and geography. In addition to this, Pyeongan-do dialect, which was used in ≪Chohakcheopkyung≫, was replaced with a central dialect in ≪Gyejeong Chohakcheopkyung≫.

      • KCI등재

        근대 계몽기의 국어 교과서 『국문쳡경』에 대한 연구 -서지 사항과 내용 구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솔 ( Kim¸ Un-sol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69 No.-

        『국문쳡경』은 근대 계몽기에 간행된 국어 교과서 중 하나다. 저자인 한승곤은 국문을 배우기에 쉬운 교재가 필요하여 『국문쳡경』을 저술하였다고 밝혔다. 당시 대부분의 국어 교과서에서 학습 대상으로 삼은 것은 국한혼용문이었다. 이에 반해 _국문쳡경_은 한글 학습의 비중이 크다는 점과 순한글로 쓰인 읽기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국문쳡경』은 1906년에 일권 1907년에 이권이 출판되었으며, 1908년에는 일, 이권의 합집이 출판되었다. 세권의 『국문쳡경』은 언어 단위에 따라 학습 요소를 순차적으로 제시했다는 점과 각 과의 본문을 구성할 때 학습이 선행된 음절만을 본문에 사용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국문쳡경』 (1906)과 『국문쳡경』(1907)은 각각 ‘국문쳡경 일권’, ‘국문쳡경이권’으로 쓰였으나 내용에 연속성은 없다. 『신뎡국문쳡경 일이합부』(1908)에 실린 _국문쳡경_ 일권과 이권은 『국문쳡경』(1906), 『국문쳡경』(1907)와는 구성이나 내용면에서 같은 교과서라고 볼 수 없다. 『국문쳡경』(1906)은 음운, 음절, 단어 순의 구성을 보이며 삽화 등을 사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구성은 발음중심 지도법과 관련이 있다. 『국문쳡경』(1907)은 음운, 음절, 문장 순의 제시를 보이며 단어는 삽화와 함께 제시되어 발음 중심 지도법과 의미 중심 지도법의 절충적 구성을 보인다. 『국문쳡경』(1907)에 추가된 일러두기나 본문 중간에 있는 교수자에게 당부하는 말은 교수자용 교재의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국문쳡경』(1907)이 학습자용과 교수자용을 겸하게 하였다. 또한, 교수자용 글에서 삽화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신뎡국문쳡경 일이합부』(1908)는 음절, 단어, 문장, 글 순으로 구성되어 낱자의 음가를 학습한 후 읽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문장이나 글을 제시할 때 학습 내용과 관련있는 그림을 실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국문쳡경』(1907)과 『신뎡국문쳡경 일이합부』(1908)에는 한자가 쓰이기도 하였으나 이때 한자는 학습 대상이 아니라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적 수단이었을 뿐이다. 『Kookmoonchyubkyung』(國文捷徑, Korean Shortcut) is a Korean textbook that was published in Enlightment Period. The author is SeungGon Han who was a pastor. Referring to the preface, _Kookmoonchyubkyung_ is for people who are learning Korean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volume was published in 1906, was followed by the second volume in 1907. The bound volume of the first and second volume was published in 1908. 『Kookmoonchyubkyung』(1906) is composed of the preface and the body. Explanatory notes start with ‘the way to teach’ was added in 『Kookmoon chyubkyung』(1907). 『Bound Volume of Revision Kookmoonchyubkyung』(1908) is composed of the preface, the body and end mark of the first volume, the preface(explanatory notes), and the body and end mark of the second volume. The first and second volume that published in 『Bound Volume of Revision Kookmoonchyubkyung』(1908) are different to 『Kookmoonchyubkyung』(1906) and 『Kookmoonchyubkyung』(1907) in the respect of the compositions and contents. 『Kookmoonchyubkyung』(1906) is the first volume and 『Kookmoon chyubkyung』(1907) is the second volume, but they are not a series. The body of 『Kookmoonchyubkyung』(1906) is organised to learn in order of phoneme, syllable and word. 『Kookmoonchyubkyung』(1907) is organised to learn in order of phoneme and sentence, and present words with illustrations. 『Bound Volume of Revision Kookmoonchyubkyung』(1908) does not include an explanation about syllable components. The body of the first volume includes syllable, word, sentence, and reading materials in order and the second volume consists of syllabary and reading material. The illustrations were used in 『Kookmoonchyubkyung』(1907) and 『Bound Volume of Revision Kookmoonchyubkyung』(1908). The illustrations were used to represent the meaning of words, while they only propose reading materials and related objects in 『Bound Volume of Revision Kookmoonchyubkyung』(1908).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are used in 『Kookmoonchyubkyung』(1907) and 『Bound Volume of Revision Kookmoonchyubkyung』(1908), but Chinese characters are not a learning object and it was just used to support peop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ds.

      • KCI등재

        근대계몽기 한글 학습서의 표기와 음운 현상 - 『초학언문』의 세 가지 이본을 중심으로

        김은솔 ( Kim Unsol ),한영균 ( Han Young-gyu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20 No.-

        본고에서는 근대 계몽기에 한글 학습서로 사용된 『초학언문』을 대상으로 하여 판본에 따른 내용, 표기 및 음운 현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학언문』은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마가렛 벵겔(Margaret J. Bengel)이 저술한 초학자용 한글 학습서다. 1895년 초간본 발간 이후 여러 차례 수정 간행되었으며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초간본 외에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의 연대미상 8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의 1909년판이 있다. 연대미상본과 1909년본은 초판(1895)의 내용에 한글 학습 자료 두 공과와 읽기자료네 편이 더해졌다. 추가된읽기자료는 성경이야기한 편과설명문 세 편인데 설명문은 모두 국한혼용문으로 되어 있는 『신정심상소학』(1896)에 실린 이야기를 순한글로 바꾼 것이다. 연대미상본과 1909년본 사이에는 내용이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행정 구역을 설명하는 글에서 평안북도 감영의 위치와 항구를 관장하는 관원명의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로 보아 연대미상본은 1896년과 1897년 사이 어느 시기엔가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학언문』의 표기상의 특징으로 ‘ㆍ’의 표기, 어두 ‘ㄴ’과 ‘ㄹ’ 표기, 경음의 표기, 어중 ‘-ㄹㄴ-’의 표기, 종성의 표기, 종성 체언의 표기, 치찰음 아래에서 이중 모음의표기를 살펴보았다. 같은 시기에 발행된 국한혼용문 국어 교과서에서 ㅅ계 합용 병서와 ㅂ계 합용 병서를 사용한 것과 달리 『초학언문』에서는 ㅅ계 합용 병서만 쓰였다. 또한 ‘ㄷ, ㅅ, ㅈ, ㅊ, ㅌ, ㅎ’ 종성을 중화음[ㄷ]이 아닌 ‘ㅅ’으로 표기한 것이 특징적이다. 주로 분철 표기가 이루어졌으나 일부 중철과 재음소화 표기 방식이 사용되었다. 표기의 변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ㆍ’의 변화지만 변화 양상에서 어떠한 경향성을 도출하기는 어렵다. 다만, 『초학언문』(1895)보다 『초학언문』(1909)에서 더 일관성 있는 표기를 보인다. 음운 현상으로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고모음화, 전설모음화, 탈락을 살펴보았다. 구개음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특징적이다. 원순모음화는 실현형과 미실현형이 공존하며 고모음화와 전설모음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탈락은 이 유지된 형태와 탈락된 형태가 모두 나타난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contents, transcriptions, and phonological phenomena based on Chohakeonmun, a Hangul textbook for beginners written by Margaret J. Bengel, an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This is written in Hangul and was used as a textbook at Pai Chai College. The surviving publications are the first edition (1895), eighth edition (publication dates unknown), and a version published in 1909 (edition unknown). The eighth edition and the one published in 1909 contain two more chapters for studying Hangul and four more reading materials than the first edition (1895). The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are one episode from the Bible and three pieces of expository prose, all of the latter being drawn from the Shinjungsimsangsohak (1896) and translated into Hangul.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eighth edition and the one published in 1909 except for the location of Gamyeong (the seat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North Pyongan Province and some names of positions in a text explain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fore, the publication date of the eighth edition is estimated between 1896 and 1897. Transcriptions of “ㆍ,” an anlaut “ㄴ” and “ㄹ” a hard consonant, a word-medial “-ㄹㄴ-” and a final consonant, and a diphthong after sibilants are transcription features of Chohakeonmun. Chohakeonmun used only “ㅅ” consonant clusters, while other Korean textbooks written in mixed scripts and published during the same period used “ㅅ” consonant clusters and “ㅂ” consonant clusters. Also, there is the feature of writing final “ㄷ, ㅅ, ㅈ, ㅊ, ㅌ, and ㅎ” as “ㅅ” instead of [t ̚]. Separate spellings were mainly used, but there were some cases of double spelling and double phoneme writing being used. The largest change in transcriptions is the change in “ㆍ” However, it is hard to determine tendencies from this change. Finally, the 1909 edition shows more consistent transcriptions than the first edition. We examined palatalization, vowel rounding, vowel raising, vowel fronting, and “ㄷ” dropping as phonological phenomena. One feature is that “ㄹ” palatalization rarely occurred. Vowel rounding consists of both applied and unapplied forms, and vowel fronting rarely occurred. “ㄹ” dropping appears with forms inwhich “ㄹ” is both maintained and eliminated.

      • KCI등재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에 드러나는 종성에 대한 인식과 표기 양상

        김은솔 ( Kim Unsol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1 언어사실과 관점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xamining the recognition and aspects of writing about a final consonant which is one of the linguistic features appeared in Korean textbook in Enlightenment period. In Enlightenment period, 7 consonants, which are ‘ㄱ, ㄴ, ㄹ, ㅁ, ㅂ, ㅅ, ㅇ’, were used in the space of a final consonant. However, Korean textbook proposes 8~9 phonemes as a final consonant. Each textbooks showed different kind and number of consonants. The phonemes ‘ㄷ’ and ‘ㅣ’ showed a difference to others. In the case of ‘ㄷ’, it is the result of following the explanation of traditional orthography. Although ‘ㅣ’ is a vowel, it is sorted as a final consonant in several textbooks. The compiler of the textbook may recognize a final consonant as the sound that united thirdly. In this period, the standard orthography was not established. Therefore, the orthography of a continual spelling, a separate spelling, a double spelling, and a double phonemic writing was mixed. In a declension, a separate spelling mainly used and there was no continual spelling in the declension in some textbooks. In an inflection,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words that used a continual spelling, a separate spelling, and a double spelling. Most of verb stem final ‘ㄹ’ was written in a continual spelling in the inflection. Consonants which showed excessive syllabication in a morpheme are ‘ㄱ, ㄴ, ㅁ, ㅂ’. They were mostly syllabicated in both declension and inflection. In the case of double final consonants, only ‘ㄺ’ and ‘ㄼ’ used maintained form. Other than that, a continual spelling or a simplification of a consonant cluster occurred.

      • KCI등재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에 실린 한글 학습 자료의 특징

        김은솔 ( Kim Unsol ),한영균 ( Han Younggy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4 No.-

        한글 학습 자료가 포함된 근대계몽기의 국어 교과서는 『초학언문』(1895), 『초학언문』(1896-7), 『신정심상소학』(1897), 『초등소학』(1906), 『국문쳡경』(1906), 『국문쳡경』(1907), 『국어독본』(1908), 『신뎡 국문쳡경』(1908), 『초학쳡경』(1908), 『최신초등소학』(1908), 『신찬초등소학』(1909), 『초등소학』(연대미상), 『몽학필독』(연대미상) 등이 있다. 이 연구는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에 실린 한글 학습 자료의 특징을 학습 요소, 학습 요소의 제시 순서, 학습 보조 자료의 사용 양상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대계몽기의 한글 학습 자료는 음운, 음절, 단어, 문장 단위를 학습 요소로 삼고자 하였다. 자료에 따라 음운이나 문장이 제외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음운, 음절, 단어, 문장의 학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음절과 단어, 단어와 문장을 함께 학습하도록 하기도 한다. 한글 학습 자료에서 학습 보 조 자료로 사용된 것은 그림, 한자, 영어 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단어 학습에서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 되었다. 『국문쳡경』(1907)는 다른 교과서와 달리 그림, 한자와 함께 영단어를 제시한 것이 특징적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Hangul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textbook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It analyzes these features according to learning elements, the presentation order of learning elements, and aspects of the use of learning aids. These features were found in 13 of the Korean textbook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learning elements of Hangul learning material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included phonemes, syllables, words, and sentences. Phonemes or sentences were excluded depending on the textbooks. Most textbooks were structured for students to learn in the order of phonemes, syllables, words, and sentences. However, syllabary was presented after learning words or sentences as an exception. Some textbooks required students to learn syllables and words or word and sentence together. Pictures, Chinese characters, and English were used as learning aids in these Hangul learning materials. These were mainly used to show the word meanings at the word-learning phase. Among all these textbooks, Koomoonchyubkyung(1907) is recognized as a distinctive one as it presented English words as well, along with pictures and Chinese characters.

      •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for Children’s Play Area - A case study of Ungok Primary School Gimcheon Korea

        Jooeun Sung,Unsol Choi,Seung Youn Park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20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 No.2

        Architecture is no longer limited to be a form finding or a function-oriented design exercise; instead, when it comes to a community project,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urban dynamics such as heterogeneous users, limits, and potentials in real-world. Co-design process became a paradigm responding to this movement, and typically involves engaging human-beings. Its design process as well as the design output should respond to the live city and empower the community so the project can be sociallysustainable.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participatory design for a primary school play area by looking intodetailed methods of engagement in every stage of projects, how process educated users, and how design was evolved from it.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has potential to broaden the role of architecture, yet also constraint we need to challe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