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저당권 설정비용 등의 부담자 : 대상판결: 대법원 2014. 6. 12. 선고 2013다214864 판결

        송덕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8 法學論集 Vol.22 No.4

        본 연구 대상판결(아래에서는 본 판결이라고 함)은 근저당권 설정계약에서 인지세와 그 밖에 근저당권을 설정할 때 드는 비용 각각에 대하여 ‘채무자’, ‘설정자’, ‘채권자’ 난을 두고 이에 각 □를 두어 각 난의 □안에 √ 표시를 하는 방법으로 비용부담자를 정하는 조항(아래에서는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이라 함)에 관하여, 그 조항이 개별약정인지와 약관규제법 제6조 제1항에 해당하여 무효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였다. 본 판결은 먼저 선택형 비용부담조항을 약관이라고 전제하고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이 개별약정인지를 판단하면서, 그 조항은 개별약정이 아니고 약관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러나 선택형 비용부담조항은 원칙적으로 약관이 아니고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만 약관이라고 해야 한다. 그런데 이 사건의 경우에는 약관이라고 보아야 할 특 별한 사정이 없다. 그리고 설사 선택형 비용부담조항을 약관이라고 하더라도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은 개별약정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판결이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을 약관이라고 하고 개별약정이 아니라고 한 점은 부당하다. 본 판결은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을 약관이라고 한 뒤에 그 조항이 약관규제법 제6조 제1항에 해당하여 무효인지에 관하여 판단하면서, 불공정한 약관조항으로서 무효라고 보기 위한 판단기준과 판단방법을 제시하고, 그 법리에 의할 때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은 불공정한 약관조항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다. 사견은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이 약관이 아니라는 입장이나, 설사 그 조항이 약관이라고 하더라도 계약 전체로 볼 때 공정성이 유지되어 있어서 불공정한 것이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판결이 그 조항이 무효가 아니라고 판단한 것은 옳다. 한편 이 사건 비용부담조항이 무효라고 볼 경우에 근저당권 설정비용 등은 채무자가 부담해야 하며 채권자가 부담할 것이 아니다. Gegenstand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das Urteil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es (,,KOG“) vom 12.07.2014, Az: 2013Da214864. Der KOG hat in Hinsicht auf eine Klausel in einem Sicherungsvertrag, wonach bei der Bestellung einer Höchstbetragshypothek der Kostenträger in der Weise bestimmt wird, dass jeweils für die Stempelsteuer sowie sonstige Auslagen das Feld des ,,persönlichen Schuldners“, ,,Eigentümers“ oder ,,Gläubigers“ angekreuzt wird (,,die streitgegenständliche Klausel“), beurteilt, ob es sich bei dies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um eine Individualabrede handelt, und ob sie nach § 6 Abs. 1 AGB-Gesetz unwirkam ist. Der KOG ist davon ausgegangen, dass es sich bei solcher anzukreuzenden Kostentragungsklausel um eine Klausel der Allgemeinen Geschäftsbedingungen im Sinne des § 2 Nr. 1 AGB-Gesetzn (,,AGB“) handele. Danach hat er festgestellt, dass es sich bei d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nicht um eine Individualabrede, sondern um eine AGB-Klausel handele. Es sollte jedoch bemerkt werden, dass solche anzukreuzende Kostentragungsklausel nicht im Grundsatz, sondern nur unter besonderen Umständen eine AGB-Klausel darstellt. Im Streitfall liegen aber die besonderen Umstände nicht vor. Außerdem handelt es sich bei d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zutreffend um eine Individualabrede, wenn auch davon ausgegangen wird, dass die unter den bestimmten Feldern anzukreuzenen Kostentragungsklausel eine AGB-Klausel darstellt. Folglich ist die Beurteilung des KOG insoweit unzutreffed, als er aussagte, dass es sich bei d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um eine AGB-Klausel, nicht um eine Individualabrede, handele. Nachdem der KOG ist davon ausgegenagen, dass es sich bei d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um eine AGB-Klausel handele, hat er im Zusammenhang mit der Unwirksamkeit dieser Klausel nach § 6 Abs. 1 AGB-Gesetz auf den Maßstab hingewiesen, wonach eine gegen Treu und Glauben verstoßende unangemessene Benachteiligung der Kunden zu beurteilen ist. Danach ist in d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eine gegen Treu und Glauben verstoßende unangemessene Benachteilung der Kunden nicht indiziert. Laut dem Autor hanelt es sich bei der streitgegenständlichen Klausel zwar nicht um eine AGB-Klausel, liegt aber im ganzen Vertrag eine gegen Treu und Glauben verstoßende unangemessene Benachteilung der Kunden nicht vor, wenn auch vorausgesezt wird, dass es sich bei ihr um eine AGB-Klausel handelt. Insofern hat der KOG die streitgegenständliche Klausel mit Recht für wirksam erachtet. Im Übrigen sind die Kosten, die bei der Bestellung der Höchstbetragshypothek anfallen, vom Schuldner, nicht vom Gläubiger, zu tragen, falls die streitgegenständliche Klausel für unwirksam erachtet wird.

      • KCI등재

        강행법규 위반과 착오 : 대상판결: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96291, 96307 판결

        송덕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7 法學論集 Vol.21 No.4

        이 논문은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96291, 96307 판결(이하 ‘본 판결’이라 함)에 대하여 깊이 검토하여 그것의 타당성 여부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판결은 「상법」 제530조의 9가 강행법규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한 본 판결의 태도는 타당하다. 본 판결은 그 사안의 경우에, 원고가 피고의 채무를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알지 못한 채 이 사건 계약을 체결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분할합병의 법률적인 효력에 관하여 착오가 있었던 것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러한 표현은 ‘법률의 착오’라는 시각에서 표현한 것이고, ‘법률효과의 착오’라는 견지에서 표현한 것이 아니다. 본 판결의 그와 같은 용어 사용법은 법률에 의한 법률효과에 관한 착오도 법률효과의 착오라고 보는 사견에서 볼 때는 아쉬움이 있지만 그 자체가 부당하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그와 같은 착오를 인정하는 것은-아직 착오취소의 인정 여부를 결정하기 전 단계에서는-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판결은 그 사안의 경우에 착오취소를 인정하지 않았으나, 그 방법으로는 동기의 착오 이론과 중요부분의 착오의 판단이론을 사용하였다. 즉 착오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본 판결의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판결과 같은 태도를 취하게 되면 착오 이론에 의하여, 그리하여 동기의 착오에 대한 판례에 의하여 취소가 인정될 수 있는 때가 분명히 생길 것이다. 그런데 그것은 강행법규의 적용을 회피하는 방편을 주는 부당한 결과를 초래한다. 착오의 측면에서 판단하여 취소권이 부여될지를 결정하기보다는 오히려 강행법규의 취지를 살리기 위하여 취소가 부정된다고 했어야 한다. 그리하여 사정에 따라 취소의 인정 여부가 달라지지 않게 했어야 한다. 한편 본 판결은, 원심 판결과 달리, 원고의 착오취소권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분할합병계약을 강행법규인 「상법」 제530조의 9가 규율하는 내용이 포함된 내용으로 효력을 발생하게 하였는데, 본 판결의 그와 같은 궁극적인 결과는 타당하다. 요컨대 본 판결은 최종 결론은 적절하지만 그에 이르는 이유는 적절하지 않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8Da96291, 96307, delivered on April 23, 2009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cis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 court reached the right conclu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urt held that Article 530. 9 of the Commercial Act is a mandatory statutory provision, which was lawfully correct. The court held that the Plaintiff “made simply a mistake as to the legal effects of mergers and divisions” as he entered into a contract without knowing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he would bear the defendant’s debt. Expressing as a mistake as to the legal effects are based on ‘mistake as to law’ perspective, not from the viewpoint of ‘mistake as to the legal effects.’ The use of such expressions in this ruling is un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author’s opinion which sees the mistake as to the legal effects of statutory provisions as one of the mistakes as to the legal effects. However it is argued that it is not wrong in itself. Also it is reasonable to acknowledge the type of such mistakes as a mistake - in the stage before deciding whether to avoid the contract. Although the decision did not acknowledge the avoidance of the contract in the given case, it applied the doctrines on the mistake as to a motive for entering the contract as well as the mistake as to any matter which was fundamental to the mistaken party. In other words, the decision was still based on the doctrine of mistake, which is not ideal. On the ground of the ruling, it would lead to a case in which the avoidance of the contract can be acknowledged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mistake, therefore according to the holdings on the mistake as to a motive for entering the contract. However, this gives unreasonable results giving a means to circumvent the application of mandatory regulations. The court should have denied the avoidance of a contract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he purpose of mandatory provisions, rather than deciding to allow the avoidance of the contract. The rulings on the acknowledgement of the avoidance of a contract should not be affected by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the decision, contrary to the lower court’s decision, did not allow the plaintiff to avoid the contract because of the mistake, so that the regulation of the Agreement on mergers and divisions which is subject to Article 530. 9 of the Commercial Act as the mandatory provision is effective. The court reached the right conclusion as a result. In short, the conclusion of the decision is arguably correct, although the reasoning by which the court came to the conclusion can be seen as incorrect.

      • KCI등재
      • KCI등재

        競賣擔當 法官의 配當表 作成上 잘못과 國家賠償責任 : 硏究 對象判決 : 大法院 2001. 4. 24 宣告 2000다16114判決 Untersuchung u¨ber die Rechtsprechung K-BGH 2001. 4. 24, 2000da16114

        송덕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01 法學論集 Vol.6 No.2

        Nach Koreanische BGH 2001. 4. 24, 2000da16114(K-BGH 2007. 4. 24.) bei dem Fehler des Richters entstehe der Staatshaftung nur im Fall, wo der Richter seiner Befugnis gegen dem Zweck u"be. Und wann der Versteigerungsrichter einen Fehler bei der Abfassung beginge, entstehe die Staatshaftung nicht. Aber der Anerkenntnistatbestand der Staatshaftung in der K-BGH 2001. 4. 24. ist nicht richtig. Er ist sehr undeutlich und schutzt nicht alle Schutzbedu"rftige. Daher an seiner Stelle muβ die Staatshaftung im Fall, wenn der Richter objektiv wichtig die Tatsnorm verletzte. Und nach diesel Richtlinie im Fall der K-BGH 2001. 4. 24. muβ die Staatshaftung anerkennen. Daher es ist unrichtig, daβ die K-BGH 2001. 4. 24. nicht die Staatshaftung anerkannte. D. h. das Ergebnis dieser Rechtsprechung ist ungerech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