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덕궁 후원 존덕정(尊德亭)의 조영사적 특성

        송석호 ( Song Suk Ho ),심우경 ( Sim Woo Kyu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이 세계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구조물로만 인지되고 있는 경향이 많아 진행하게 되었으며, 존덕정 일원을 대상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존덕정의 올바른 조영배경을 밝히고 고찰을 통해 내재된 조성원리를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요약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존덕정 권역에 그동안 후원에 조영되지 않은 형태인 죽정과 육각정, 팔각정 등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두, 세 차례 귀근과 귀국에 맞물려 조영된 점과 효종이 왕위를 계승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천향각, 망춘정, 척뇌당을 조영하는 등 존덕정 일원의 개발을 늦추지 않은 점, 심양에서 태어난 현종이 훗날 존덕정의 현판을 직접 편액한 점 등에서 존덕정의 조영배경에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결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심양고궁 대정전(1625년)은 존덕정(1644년)과 같이 두 겹의 지붕을 갖는 단층건축물로 국가의 큰 행사를 거행하는 정전의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궁에서 열린 조참이나 황제가 베푸는 연회에 참석하였을 당시 당면했던 건물이기 때문에 존덕정의 조영배경에 대정전이 결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존덕정과 대정전에서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는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두 건축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존덕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왕권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신수인 용이 형상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존덕정은 자연의 이치를 체득하여 수신하는 목적이외에도 치국안민의 뜻이 가미된 정원건축물로 판단하였다. 둘째, 일영대를 둔 점은 정확한 시간을 알기 위한 것 외에도 군왕의 당위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주변에 태청문이 존재하는 점은 도교의 삼청과 연결되며 꽃담과 더불어 왕의 불로장생을 염원하는 현세적 행복성취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건축양식에 있어서 겹 지붕의 단층 정자이고 원기둥만을 사용하여 조영한 점은 왕이 봉천지정의 뜻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4. 존덕정과 대정전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존덕정만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째, 지당의 존재 유무에 따라 존덕정의 건축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외래문화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원 속에 조영되는 정자의 특성, 입지, 기능에 알맞도록 변용한 것이며 우리문화에 습합되어 구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존덕정에 표현된 지당의 모습을 상현달 형태의 반월지가 동쪽에 흐르는 계류에 의해서 만월이 되는 형국으로 보았다. 이는 지당의 형상과 물의 흐름을 통해 항시 변화하는 달의 운행을 도상학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써 당대의 상상적 조경 수법으로 판단하였다. The purposes for this research were to find the correct building background of Jondeokjeong(尊德亭)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昌德宮)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for the area of Jondeokjeong and investigate the internal theory of construction through the metaphysical conside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uilding background of Jondeokjeong was related to Sohyunseja(昭顯世子) and Bongrimdaegun(鳳林大君) as forms of rear garden where was not built in the area of Jondeokjeong, bamboo pavilion, hexagonal pavilion, octagonal pavilion, etc. They were built two or three times after returning of Sohyunseja and Bongrimdaegun from China, and the area of Jondeokjeong was continuously developed by building Chunhyanggak(天香閣), Mangchunjeong(望春亭) and Cheoknoidang(滌惱堂) after Hyojong(孝宗) succeeded the royal authority of Hyunjong(顯宗) who was born in Shenyang(瀋陽) and hung a signboard of Jondeokjeong after then, etc. 2. Dazhengjeon(大政殿) of Shenyang Palace(瀋陽故宮, 1625) played the roles of major hall, Jeongjeon(正殿) which held national big events as a one-storied building with two piles of roof similar with Jondeokjeong (1644). Also, it was the building encountered when Sohyunseja and Bongrimdaegun participated in breakfasts held in the palace or banquets supervised by a king, so building background of Jondeokjeong was judged to be related with Dazhengjeon. 3.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which are shown commonly in Jondeokjeong and Dazhengjeon, relations of two buildings were verified and characteristics of Jondeokjeong were examined. First, dragon which is representatively symbolizing royal authority was formed. Therefore, Jondeokjeong was judged as a garden building which purposes were to obtain and train natural reasons, govern the nation and let people comfortable. Second, the purposes of sun dial, Ilyoungdae(日影臺) were judged to examine the accurate time and express appropriateness of the king. Third, Taechungmun(太淸門) around there is related to Samcheong(三淸) of Taoism and judged to be caused by floral wall and secular happiness accomplishment for king`s longevity without disease. Fourth, for building style, one-stories pavilion of duplicated roof and building with only cylinder were to king`s embodiment of supporting the sky and governing the nation.4) 4.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Jondeokjeong and Dazhengjeon, Jondeokjeong`s own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First,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Jondeokjeong were changed by existing of pond and it was changed for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function of pavilion built in the garden while accepting oversea culture and embodied by absorbing to Joseon culture. Second, the appearance of the pond in Jondeokjeong was shown as the situation that half moon typed pond with the form of young moon is full by stream to the East. It was to express movement of moon which was always changed through the form of pond and stream of water iconographycally and it was considered as an imaginary environment method of the period.

      • KCI등재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송석호 ( Song Suk-ho ),김민경 ( Kim Min-ky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간에 그려진 정선의 『압구정』이나 『진헌마정색도』에는 가로수가 열식되어 있으며 이는 왕들의 행차, 한양 출입의 주요 도로, 마장(馬場)의 장소성, 수해에 따른 도로 보호와 표식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고찰되었다. 정조 연간에는 왕의 능 행차에 연관되어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등의 가로수를 열식한 사례가 두드러지며, 이는 왕이 지나는 연도(輦道)와 해당 능역을 성역화하려는 가로수 식재기법으로 보았다. 개항 이후 고종 32년(1895)에는 국가에서 도로 좌우에 가로수를 심을 것을 장려하였고, 근대적 가로수 식재개념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양의 가로수는 사시나무가 속성수로써 주요하게 식재되었다. 서울시 가로수로 활용 가능한 고문헌 출현 교목은 삼국시대 17분류군, 고려시대 31분류군, 조선시대 55분류군이 추출되었으며, 16분류군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모두에서 중복적으로 3회 출현한 수목으로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래수종이 유입되고 법제가 변화하면서 가로수제도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1936년 경성부 권역의 확대에 따른 가로수 6개년 식수계획(1934-1940)이 시행될 당시 경성의 10대 가로수 수종은 ‘모니리페라’로 불린 현재 미루나무의 아종,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은백양 등의 포플러류가 1~4순위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수양버들, 아까시나무,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네군도단풍이 5~10순위로 나타났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가 새로운 가로수로 소개되며 대규모 식재되기 시작하였고, 1942년부터는 피마잠의 장점이 있는 가죽나무를 가로수로 권장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1957년 가로수 수종은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이태리포플러, 가죽나무, 미루나무, 수양버들 순으로 나타나 일제강점기 수종들의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의 비중이 높은 점에서 당시의 식재 경향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basic research for selecting species of street trees with historical value in Seoul. It also made up a list of traditional landscape trees for a variety of alternatives.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below. As to the history of street trees in Korea, records on to-be-estimated street trees are found in historical documents written in King Yangwon during the second year of Goguryeo Dynasty (546) and King Myeongjong during 27 year of Goryeo (1197). However, it is assumed that lack of clarity is found in historical records. During the 23 year of King S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1441), the record showed that the state planted street trees as guideposts on the postal road. The records revealed that Ulmus spp. and Salix spp. were planted as guidance trees. The street tree system was perform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recorded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document.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Pyrus pyrifolia var. culta, Castanea crenata, Styphnolobium japonicum and Salix spp. were planted along the avenue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Morus alba were planted on streets during the five year of King Sejo (1459). As illustrated in pieces Apgujeong by painter Jeongseon and Jinheonmajeongsaekdo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street trees were planted. This arrangement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elements such as king procession, major entrance roads in Seoul, place for horse markets, prevention of roads from flood and indicatio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re are many cases related to planting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ylla and Salix spp. for king procession. Turning king roads and related areas into sanctuaries is considered as technique for planting street trees. During the 32 year of King Gojong after opening ports (1985), the state promoted planting trees along both sides of roads. At the time, many Populus davidiana called white poplars were planted as rapidly growing street trees. There are 17 taxa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records, 31 taxa in Goryeo Dynasty records and 55 taxa in Joseon Dynasty records, respectively, described in historical documents to be available for being planted as street trees in Seoul. 16 taxa are recorded in three periods, which are Era of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These taxa can be seen as relatively excellent ones in terms of historical value. The introduction of alien plants and legal impr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ulted in modernization of street tree planting system. Under the six-year street tree planting plan (1934-1940) implemented as part of expanding metropolitan areas outside the capital launched in 1936, four major street trees of top 10 taxa were a Populus deltoides, Populus nigra var. italica, Populus davidiana, Populus alba. The remaining six trees were Salix babylonica, Robinia pseudoacacia, platanus orientalis, Platanus occidentalis, Ginkgo biloba, and Acer negundo. Beginning in the mid- and late 1930s, platanus orientalis, Platanus occidentalis were introduced into Korea as new taxa of street trees and planted in many regions. Beginning on 1942, Ailanthus altissima was recommended as street trees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silks. In 1957 after liberation, major street tree taxa included Platanus occidentalis, Ginkgo biloba, Populus nigra var. italica, Ailanthus altissima, Populus deltoides and Salix babylonica. The rank of major street tree species plan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changed. Tree planting trend around that period primarily representing Pla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still holds true until now.

      • KCI등재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송석호 ( Suk Ho Song ),심우경 ( Woo Kyung S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1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芙蓉亭)은 독특한 평면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3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지정사유가 형이하학적으로 평가되었고, 그마저도 왜 지금과 같이 독특한 형태로 조영되었는지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연철학 및 사상에 관한 형이상학적접근을 시도하였고, 조영의도와 공간구조의 특징을 규명하여 부용정의 정체성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요약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용정의 조영배경 및 특징: 정조는 즉위와 함께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奎章閣)을 창설하고 개혁정치의 일환으로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양성하였다. 또한 각신(閣臣)들을 가인(家人)처럼 우대해주며 친정체계를 구축하였다. 정조의 적극적인 개혁정치는 신하들에게 후원을 구경시켜주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조 16년(1792)에 각신을 중심으로 한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를 공식적으로 발족하고 후원유람을 정례화하게 되었다. 후원유람은 꽃을 보고 낚시를 하는 상화조어연(賞花釣魚宴), 난정수계(蘭亭水계)의 활동 등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국가의 대신들이 참석하게 되면서 큰 행사로 발전하게 되었다. 정조는 대신, 중신, 각신들과 이러한 문화 활동을 함께하고 나아가 자신의 왕도정치를 실현할 장소로써 부용정을 조영한 것이었다. 둘째, 부용정의 입지와 공간적 특성: 정조는 즉위(1776)와 함께 택수재를 새롭게 개축하였다. 무엇보다 개유와-택수재-원도-어수문-규장각을 축선에 맞춰 연계한 점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의 규장각 일원을 계획-설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조 17년(1793)에는 기존의 사우정(四隅亭) 형태였던 택수재를 군신(君臣)이 함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위계를 두어 증축하고 부용정이라 칭하였다. 지당 위에 위치한 부용정의 북쪽공간은 임금의 공간으로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조성하였고 창호도 아자살로 차별화한 특징을 보인다. 서쪽과 동쪽은 신하들의 공간이다. 중앙공간은 양측의 신하들이 북쪽공간에 입어한 임금을 배알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며, 서쪽과 동쪽의 신하들은 부용정의 귀퉁이 공간을 돌아 남쪽공간에서 중앙공간으로 입실하게 되는 구조로 조영되었다. 결국 부용정은 최소한의 공간으로 편전(便殿)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원건축물인 것이다. 셋째, 부용정의 문화적 가치: 부용정 일원은 세조, 인조, 현종, 숙종, 정조 등 왕들의 사유적인 정원문화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꾸준히 발전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정조는 선왕들이 조성해놓은 다양한 물리적, 사회적, 상상적 환경 등을 계승하였고 더불어 자신의 왕도정치를 위해 신하들을 후원에 불러들였으며 그 중추적 장소로 부용정을 완성한 것이다. 곧 부용정은 조선왕조의 영속성이 반영된 정원건축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유교사상이 정자에 반영되어 위계가 구분된 독특한 사례로써 왕의 정원에서만 나타나는 특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Buyongjeong, a pavilion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was appointed as Treasure No. 1763 on March 2, 2012, by the South Korea government since it shows significant symmetry and proportion on its unique planar shape, spatial configuration, building decoration, and so forth. However, the designation of Treasure selection was mainly evaluated by concrete science, in that the selection has not clearly articulated how and why Buoungjeong was constructed as a present unique for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Buyongjeong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y considering its historical, ideological,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building intention. Summary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ion backgrounds and characters of Buyongjeong: Right after the enthronement, King Jeongjo had founded Kyujanggak(奎章閣), and sponsored civil ministers who were elected by the national examination, as a part of political reform. In addition, he established his own political system by respecting “Kaksin(閣臣)”, Kyujanggak’s officials as much as “Kain(家人)”, internal family members. King Jeongjo’s aggressive political reform finally enabled King’s lieges to visit King’s Rear Garde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s 16th year(1792), Naekaksangjohoe(內閣賞釣會) based on “Kaksin” was officially launched and the Rear Garden visitation became a regular meeting. The Rear Garden visitation consisted of “Sanghwajoeoyeon(賞花釣魚宴)” - enjoying flowers and fishing, and activities of “Nanjeongsugye(蘭亭水계)”. Afterward, it eventually became a huge national event since high rank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ed the event. King Jeongjo shared the cultural activities with government officials together to Buyongjeong as a place to fulfill his royal politics. Second,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On the enthronement of King Jeongjo(1776), he renovated Taeksujae. Above all, aligning and linking Gaeyuwa - Taeksujae - a cicular island - Eosumun - Kyujangkak along with the construction axis is an evidence for King Jeongjo to determine how the current Kyujangkak zone was prepared and designed to fulfill King Jeonjo’s political ideals. In 17th year(1793)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Taeksujae, originally a square shaped pavilion, was modified and expanded with ranks to provide a place to get along with the King and officials. The northern part of Buyongjeong, placed on pond, was designed for the King’s place and constructed one rank higher than others. Discernment on windows and doors were made with “Ajasal” - a special pattern for the King.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were for government officials. The center part was prepared for a place where government officials were granted an audience with the King, who was located in the nortern part of Buyongjeong. Government officials from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of Buyongjeong, could enter the central part of the Buyongjeong from the southern part by detouring the corner of Buyongjeong. After all, Buyongjeong is a specially designed garden building, which was constructed to be a royal palace utilizing its minimal space. Third, Cultural Values of Buyongjeong: The Buyongjeong area exhibits a trait that it had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it had reflected complex King’s private garden cultures from King Sejo, Injo, Hyunjong, Sukjong, Jeongjo and so forth. In particular, King Jeongjo had succeded physical, social and imaginary environments established by former kings and invited their government officials for his royal politics. As a central place for his royal politics, King Jeongjo completed Buyongjeong. Therefore, the value of Buyongjeong, as a garden building reflecting permanency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highly evaluated. In addition, as it reflects Confucianism in the pavilion - represented by distinguishing hierarchical ranks, it is a unique example to exhibit its distinctiveness in a royal garden.

      • KCI등재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정우진 ( Woo Jin Jung ),송석호 ( Suk Ho Song ),심우경 ( Woo Kyung S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고종 연간 변형된 창덕궁 존덕정 일원의 지당을 대상으로 변모된 내용과 경위를 구명하고 조선시대 궁원 조영의 통시적 차원에서 이의 내적 맥락을 고찰한 것이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덕정 일원의 지당이 변형되기 시작한 시점은 19세기 후반에 촬영된 사진과 고종실록의 기록을 근거로 고종 21년(1884년)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개축 존덕정 일원의 지당은 향원지와 유사한 공간구성을 갖도록 정비되어 갔던 바, 고종이 창덕궁 환어 후 착수한 존덕정 일원 지당의 개조는 경복궁 건청궁과 향원지의 정감을 재현한 결과물로 판단된다. 셋째, 개축 존덕정 일원 지당의 교량은 연경당과 존덕정 영역을 통합하는 후원 기능 확장의 방편으로 활용되었다. 이것은 경복궁에서 건청궁이 향원정을 잇는 취향교를 통해 일대의 공간을 점유했던 방법과 같았다. 넷째, 고종 때에 조성된 존덕정 일원 지당과 향원지는 연경당과 건청궁의 이용을 전제로 한 것이었으며, 나아가 두 일곽의 위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다섯째, 개축 존덕정 일원의 지당은 단순히 고종의 경관을 감상하는 취향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조성한 것이 아니라, 선대부터 전승되어온 후원정당의 맥락상에 있는 조영체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hanged contents and details of the ponds at Jondeokjeong area in the Changdeok Palace, where was mod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高宗, 1863∼1907), and considered the internal context through the diachronic views about royal garden building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were as be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transformed time of the ponds at Jondeokjeong area was the 21th year of King Gojong(1884) based on the pictures taken in the la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records of Gojongsilrok(高宗實錄: Annals of the King Gojong). Secon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modeled ponds at Jondeokjeong area by King Gojong were followed the landscape of Geoncheong Palace(乾淸宮) and Hiangwon-pond(香遠池) in Gyeongbok Palace because the remodeled ponds of Jondeokjeong area had the spatial organization similar to Hiangwon-pond. Third, the bridge of remodeled ponds at Jondeokjeong area was utilized as the expedient to expand the function of rear garden, which combines the areas of Yungyungdang(演慶堂) and Jondeokjeong. This was the same method that Konchunggung(乾淸宮) in Gyeongbok Palace had occupied the whole area through the Chui-hiang bridge(醉香橋) which connects to the Hiangwonjeong(香遠亭). Fourth, ponds at Jondeokjeong area and Hiangwonjeong that were created during the year of King Gojong promised the use of Yungyungdang and Konchung Palace, and reflected the statuses of the two building-blocks. Lastly, this study concluded the remodeled Jondeokjeong ponds were not only to create the necessary spaces of the landscape for King Gojong, but also to build the space on the context of Huwonjeongdang(後苑政堂: political structure in rear garden),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ir ancestors.

      • KCI등재후보

        ST - 155 의 강압효과에 대하여

        이상계 ( Sang Kay Lee ),이장백 ( Jang Baik Lee ),지창준 ( Chang Jun Jhi ),송석호 ( Suk Ho Song ) 대한내과학회 1971 대한내과학회지 Vol.14 No.3

        ST-155, a new antihypertensive agent, was tried in ten cases of essential hypertension and four cases of renal hypertension. The treatment was started: with 226 mcg of ST-155 daily in three- divided doses after each meal, and the dosage was gradually incre

      • Multi-level을 사용한 PDP 구동회로를 위한 Gate driver 의 Boot-strap chain 에 관한 연구

        남원석(Won-seok Nam),김준형(Jun-hyoung Kim),송석호(Suk-ho Song),노정욱(Chung-wook. Roh),홍성수(Sung-soo Hong),사공석진(Suk-chin Sakong) 전력전자학회 2005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A gate driver with Boot-strap chain is proposed to drive Multi-level PDP sustain switches. The proposed gate driver uses only one boot-strap capacitor and one diode per each MOSFETs switch without floating power supply. By adoption of this gate driver circuits, the size, weight and the cost of the driver board can be reduced.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김하영 ( Hayoung Kim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세계 경제 포럼의 Global Risks Report 2022에 따르면 향후 10년 TOP10 글로벌 리스크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등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였으며, 금년에는 중국, 유럽의 가뭄 심화, 한국, 일본 등에서의 폭우 등 극심한 이상기후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반도의 경우 최근 10년간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고, 극한 강우의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기온은 약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의 진행 속도보다 확연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상기후로 발생하는 농업재해는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농촌지역의 수자원 가용성, 식량안보, 기반시설, 농촌 수익 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기후·기상 변동성의 증가는 농업 수자원 및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취약시설별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후안전도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이수 모델링 분석결과의 해석을 위해 산정된 절대 또는 상대적인 값으로 정의하였다.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시설별 영농여건 변화 등의 현황을 조사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용수부족 및 여유수량을 분석하여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 분석을 통한 이수 기후안전도 평과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및 취약성 평가

        김하영 ( Hayoung Kim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세계 경제 포럼 Global Risks 2021은 글로벌 위험요인으로 극한기상, 기후변화 대응 실패, 인간이 초래한 환경피해 전염병, 생물다양성 감소 등을 선정하였고, The Global Risks Report 2022는 글로벌 리스크 요인으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생물다양성 손실, 사회적 결속력 약화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에서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피해 규모는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6년간(1912~2017) 여름철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최근 30년(1981~2010)동안 극한 강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 연평균기온은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 보다 뚜렷하고 빠르게 진행중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인한 기후변화는 물 부족, 수자원의 안정적 수급을 위협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이수 및 치수 모델링 분석 결과 산정을 위한 절대적·상대적 지표로 기후안전도 개념을 정의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최근 영농여건 변화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수 기후안전도를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및 취약성 평가

        김하영 ( Hayoung Kim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세계 경제 포럼 Global Risks 2021은 글로벌 위험요인으로 극한기상, 기후변화 대응 실패, 인간이 초래한 환경피해 전염병, 생물다양성 감소 등을 선정하였고, The Global Risks Report 2022는 글로벌 리스크 요인으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생물다양성 손실, 사회적 결속력 약화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에서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피해 규모는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6년간(1912~2017) 여름철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최근 30년(1981~2010)동안 극한 강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 연평균기온은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 보다 뚜렷하고 빠르게 진행중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인한 기후변화는 물 부족, 수자원의 안정적 수급을 위협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이수 및 치수 모델링 분석 결과 산정을 위한 절대적·상대적 지표로 기후안전도 개념을 정의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최근 영농여건 변화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수 기후안전도를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