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해주 말갈성곽에 대한 연구

        스토야킨 막심(Maksim Stoyak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본고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말갈성곽의 분포에 대해 살펴보고 고고학적 검토를 통해 말갈성곽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해당 지역을 수계에 따라 몇 개의 유역으로 나누어 각 유역별 성곽 유적 현황을 정리하고 평지성과 산성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의 규모, 건축재료, 평면형태, 방어시설, 내부 구조 등을 살펴본 후 성곽의 기능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연해주 지역 말갈성곽의 성격, 특징, 기원과 축성전통의 발달과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았다. 연해주지역에 23개의 말갈성곽 중 15개가 산성/단애성으로 다수를 차지한다. 분포상으로 성곽은 수분하, 우수리강 상류, 우수리강 중・하류 유역과 연안 지역에 위치한다. 성곽은 대부분 아주 소형이고 중형이 별로 없다. 크리니치노예 평지성만 지방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의 중심지로 추정할 수 있다. 산성/단애성은 주변 지역을 방어-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성의 대부분은 토축성이지만 예외로 연안 지역에서는 석축도 발견되어 지역성을 볼 수 있다. 지형조건으로 인해 단애성의 형태는 주로 불규칙하다. 반면 평지성은 주로 규칙적인 장방형으로 성곽을 축조한다. 해자 빼고 성벽 위에는 부속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상황이 보인다. 말갈산성은 초기철기시대의 성곽과 주로 유사해 이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 지역으로 확장된 발해와 관련해 말갈 축성에서도 일부 영향을 끼쳤다. 이는 평지성이 규칙적인 형태로 축조되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르지역의 말갈성곽보다 영향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지역에는 말갈성곽이 발견되지 않아 이 지역의 말갈성곽의 연구가 중요하다. 연해주의 이른 시기 여진, 포크로프카 문화, 동하국의 성곽 일부 말갈식 성곽이 발견되는데 이는 말갈축성이 오랫동안 유지된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s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Mohe"s castles in Russian Primorsky krai. Exam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location, topography, form, size, function, constructional materials and structure, defense works along the walls my research provides an analysis of Primorsky krai castle’s peculiarities, characteristic,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he castles.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23 castle sites located along major rivers, including the Suifen, Upper Ussuri basin, Middle and Lower Ussuri basin and coastal district. Mohe’s castles is generality (about 15 castles) mountain castle or castle located on the small hill. That’s reason why irregular form castle is more prevalent in this territory. Otherwise, plain castle usually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Small castles are dominated in this culture, there are only few medium castle. As may be supposed, only Krinichi plain castle could have administrative function. Irregular mountain castles or hill castle defended settlements and were located near a river at strategic positions where they could overlook vast territories. Their earthen walls were constructed without any special methods, except castles located on the coastal district with stone construction. It could be territorial difference among Mohe’s castles. Mohe castles featuring one to three walls with moats and featured no defensive structures along them. Mohe‘s mountain castles in the Primorsky Krai share a lot of similarities with Early-Iron Age castles and derives that constructional traditional. Palhae begins to supersede Mohe expanding territory to Primorsky Krai. It influenced on local architectural traditions like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in plain castle. Nevertheless, Palhae’s influence on Mohe’s castles in Primorsky Krai wasn’t so strong as on Mohe’s castles in Amur Region. Mohe castles are spread out huge territory except Heilongjiang province. That’s why it’s important to study castles on this area.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Mohe architectural features were observed on early Jurchen period, Pokrovka culture and even on Eastern Xia castles. It show that Mohe architectural traditions continue for a long time on this territory.

      • KCI등재

        발해성곽의 구조와 형식에 대한 연구

        Stoyakin Maksim(스토야킨 막심)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2 No.-

        주지하듯 발해는 오늘날의 러시아, 중국, 북한에 걸친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발해사에 대한 입장은 연구자의 국적에 따라 다르다. 발해 성곽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연구경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한 발해 성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제한적인 자료를 대상으로 한 주관적인 시각의 연구가 적지 않다. 이를 극복하고자 이 글에서는 러시아, 중국, 북한에 위치한 발해성곽 모두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대상이 된 성곽은 총 178기로 중국에 위치한 성곽이 가장 많다. 발해 성곽의 구조적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성곽의 입지 및 구조와 관련된 제반 속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성곽의 입지, 평면형태, 규모, 기능, 체성의 구조와 축조방법 등을 기준으로 발해 성곽을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는 성곽의 기능적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대체로 도성, 부, 주, 현의 소재지나 방어시설 등에 대치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발해는 다민족 국가이므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성곽 건축에도 반영되었다. 방형과 장방형의 정형화된 평면형태, 남쪽에 설치된 문, 토축 구조, 방어시설이 거의 없는 것, 장안성의 형태를 모방한 것, 내성, 궁전 건물의 위치 등은 중국 건축전통의 영향을 받고, 석축과 토석혼축, 치·각루·옹성 등의 방어시설과 산성의 축조 등은 고구려 성곽건축의 영향으로 이해되며, 이후 발해만의 특징으로 변모하여 토석혼축성을 많이 이용하게 된다. 말갈의 전통은 토축, 산성, 완성되지 않은 성벽 등에서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당 수 성곽에서는 발해 이후 시기인 요대와 금대에 개축되면서 치, 옹성, 각루가 설치된 것이 확인된다.

      • KCI등재

        최근 러시아의 발해사 연구 동향과 과제

        스토야킨 막심(Stoyakin Maksim)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4 No.-

        본 논문은 최근 러시아의 발해사 연구 현황, 동향과 과제를 검토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17세기부터 2009년까지의 발해 연구사는 다른 연구에서 상세히 검토되었기에, 이글에서는 2010년부터 2022년 중반까지 발해와 관련된 학술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검색된 약 200편의 학술자료가 분석대상이다. 최근의 발해 연구 관련 자료를 크게 단행본(6편), 학술지 논문(152편), 발표문 (약 42편)으로 분류하여 해당기간 발해 연구의 현황, 동향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러시아 발해 연구는 발굴조사 증가에 힘입어 많은 자료가 확보되었고, 이를 통해 종합적이며 세부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단행본은 성과 도시문화, 고분, 경제, 일반생활 등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다루었고, 그 결과, 발해문화와 역사 복원의 튼튼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었다. 학술지 논문은 수량이 가장 많은데, 이는 기존에 있었던 학술지 이외에 새로운 학술지가 발행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러시아에서 학술지 논문은 발해 연구를 소개하는 큰 역할을 한다. 발표문 역시 그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학술대회는 매우 적게 개최되기 때문에 국제적인 학술교류는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할 수 있다. 발해와 관련된 연구는 연해주의 극동지부 연구소와 시베리아 노보시비르스크의 시베리아지부 연구소와 대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 연구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최근 들어 소장 학자들이 조금씩 등장하여 세대교체가 천천히 진행되고 있는 양상이다. Ⅲ장에서는 발해 연구를 16개의 큰 주제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연구 분야를 조명하고 그 동향과 과제, 대표적 업적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성, 고분, 유물 등 특정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학제간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발해문화를 복원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향후 러시아학계의 발해 연구 발전을 위해 여러 현안의 해결이 필요하다. 우선 해외 학자 및 연구기관과의 지속적인 교류가 필수적이고, 또 효율적으로 교류하기 위해 동양 언어에 능통한 연구자를 육성해야 한다. 발해에 관한 연구는 주변국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해당 연구성과를 러시아학계에 소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러시아 내 발굴 건수 및 발굴 면적이 증가해야 새로운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해주내 발해와 같은 시기의 주변 문화에 대한 정밀한 분석 및 연구를 통해 그 성격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searching the current status, trends, and tasks on recently Palhae studies in Russia. The Palhae studies in Russia has already reviewed in detail from the 17th century to 2009, and this has been briefly summarized. Next, maximum academic data related to Palhae from 2010 to the middle of 202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bout 200 academic materials used for this analysis. These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5 books, 152 journal articles, about 42 conferences and presentations articles. The number of excavations has increased considerably, so a large amount of data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numerous comprehensive and detailed studies. The contents of these books are provided a solid foundation for restoring the culture and history of Palhae by examining and researching various fields such as castles and city culture, tombs, economy, and general life. Scientific journal papers are dominant, they are published in several newly journals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Archaeology”etc.)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ones (Russia and the Pacific etc.), which plays a high role in introducing research on Palhae. Few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not enough for advanced academic international exchanges. Detailed research fields of Palhae studies classifying to 16 major themes, it trends and tasks were highlighted and representative achievements were confirmed.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f specific subjects such as castles, tombs, and relics.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en developed a lot in recent years, and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storing the Palhae culture. Palhae studies in Russia is mainly active at the IHAE FEBRAS in Vladivostok, and IAE SBRAS and NSU in Novosibirsk. The representative researchers did not change much, and few young scholars research actively. For the bright development of Palhae studies in Russia in the future, several problems should be solved. It is essential to continuously exchange with foreign scholars and institutions, and strongly recommended to stimulate oriental language researchers in order to exchange effectively. The Palhae studies is actively developing in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results can be introduce through many publications in Russian academic journals. Alternatively, new data about Palhae culture can be obtained only by increasing the number and area of excavations in Russia. In addition, it is extremely essential to carefully study and analyze the surrounding culture (Smolnoye and Pokrovka in the same period as Palhae in Primorsky Krai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러시아 아무르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현황과 특징

        스토야킨 막심(Stoyakin Maksim)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48 No.-

        러시아 아무르강(흑룡강) 중류 지역은 아무르강의 왼쪽 강변을 따라 위치하는 아무르주 일대로, 기후가 온화하여 다양한 생업경제가 가능하다. 그래서 태고 이래로 많은 주민들이 거주하였으며, 중세시대에도 많은 성곽을 만들었다. 한국과 러시아는 다년간 공동으로 이 지역에서 고고학 연구를 수행해왔지만, 여전히 성곽에 대한 관심도는 낮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학계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러시아 아무르 지역의 중세시대 성과를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서 그 분포, 형식,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첫 번째, 중세 전기의 유적을 검토하였다. 이 시기의 유적은 크게 말갈문화(트로이츠코예와 나이펠드 그룹)와 미하일로프카 문화로 나뉜다. 오로지 나이펠드 문화의 성곽이 거의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 그룹의 영향이 그만큼은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중세 중기의 유적을 검토하였다. 이 지역은 주로 여진문화가 확인된다. 이 시기의 유적은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여진(동하국) 유적과 관련성이 보인다. 세 번째, 중세 후기 유적을 검토했는데 다우르식과 듀체르식 성곽이 대표적이다. 아무르 지방에 위치한 중세시대 성곽의 각 분기를 나누어 각 성곽의 현황, 성격, 형식 분류 등을 시도하였다. 이 분석을 보충하기 위하여 아무르강 상류와 아무르강 하류 지역에 위치한 중세시대의 성곽도 각 분기를 나누어 검토하였다. 광대한 아무르 지역에 있는 중세시대 성곽의 현황과 분류를 토대로 건축적 특징, 건축방법과 건축재료, 성곽의 중요한 시설, 문화 교류와 전파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중세 전기에 속말말갈이나 발해의 건축전통은 말갈의 트로이츠코예 그룹을 통해 아무르강 중류와 상류까지 보급되었다. Russian Amur Region is located on the left riverside of the Amur river. Good climate provided good conditions for economic activity, because of many people lived here for a long time before. In the Medieval Age many castles has increased speedily. But even latest research of Russian-Korean excavation team in that region did not mentioned about that archaeological sites. So, in this article I introduced about Medieval castles in the Russian Amur Region, still unknown in Korea, and divided all castles on three period. After that I researched castle’s location, types and features in each period. At first, I researched the sites of Early Medieval Age. In that period castles were built by Mohe (Troitskoe and Naifeld group) and by people of Mikhailovka culture. But there are not many Naifeld group’s castles excavated here, so it’s seems that Naifeld group did not influence a much on archaeological tradition in that region. The next, I researched the sites of Middle Medieval Age. In that period there is a jurchen culture. The castles in Amur region had a quite similar features with the castles of the same period located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last, I studied a castle sites of Late Medieval Age. Usually there are divided on daur and ducher types. So I divided all Medieval Age castles located in the Russian Amur Region on three period and tried to make a classification related with the castle’s current situation, character and type. Also I studied Medieval Age castles located in the upper and the lower region of the Amur River. That castles were divided on the three period too. It helped to studied how cultures were exchange between the huge territory of Amur region. Also it show how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rchitectural tradition, methods and materials using in the castle construction, using or not important castles facilities like towers chi or gakru, external gate construction, the form of the wall were exchange and extension for a long time. It’s clear that in the Early Medieval Age architectural tradition of Sumo Mohe or Palhae (Balhae) throw Troitskoe group of Mohe is extended on the middle and the upper region of the Amur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