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Transmission of Social Media Native Advertising

        Soontae An(안순태),Hannah Lee(이하나) SBS 2017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5 No.4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공유 행위를 유도하는 메시지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감성 자극 네이티브 광고와 중립적 네이티브 광고가 세 가지 공유 행동(댓글 작성, 좋아요 누르기, 공유하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특히 심리적 각성의 매개 역할에 초점을 두고 감성 자극 네이티브 광고가 심리적 각성을 통해 공유 행위로 연결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감정 자극 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는 중립적 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보다 심리적인 각성이 높았으며, 메시지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겠다는 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무엇보다, 메시지 특성으로 인해 유발된 심리적 각성이 공유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완전 매개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각성 수준이 높은 네이티브 광고일수록 소비자를 통해 타인에게 공유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native advertising that facilitate its social transmission. We investigated effects of content characteristics (emotionally charged vs. neutral) on sharing behavior (like, comment, and share). In particular, psychological arousal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message characteristics and sharing behavior.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exposed to emotionally charged messages became more psychologically aroused than did those exposed to neutral messages, and had higher intention to share messages. Importantly, psychological arousal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message characteristics and sharing activities.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arousal indicated people’s tendency to engage in social transmission of emotionally charged messages.

      • KCI등재

        Political Advertising and Voter Learning

        Soontae An(안순태) SBS 2009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7 No.3

        유권자들이 정치 광고를 통해 선거 공약을 학습하는가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상이한 결과를 보여 왔다. 본 연구는 유권자의 후보 선호도 정도에 따라 정치 광고의 정보적 가치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는 후보자 선호도 정도에 따라 선거 공약 학습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광고 효과는 후보자 선호도가 약한 유권자에게 크게 나타났다. 후보자 선호도가 약한 유권자들은 광고 회상을 통해 유의미하게 증가된 선거 공약 학습을 보여준 반면, 후보자 선호도가 강한 유권자들은 광고 회상을 통해 증가된 선거 공약 학습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광고를 통한 선거 공약 학습 연구에 있어 정치 광고의 후보자 중심의 정보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Research on political spots and voter issue learning ha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This study examined how a contingent condition ?the strength of candidate preference?affects the informational value of political spot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voters ’ learning of candidate issue positions related to ad exposure differed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candidate preference. That is, the ad effect was greater in magnitude for those who were not strongly committed to a candidate. Those with weak candidate preference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 issue knowledge when they recalled ads, while issue knowledge of those with strong candidate preference did not change much with ad recall. These results underscore why the candidate-centered information structure of political advertising needs to be accounted for when studying issue learning from political advertising.

      •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 접촉이 노인 차별에 미치는 영향

        안순태(Soontae An),강한나(Hannah Kang) 한국광고PR실학회 2018 광고PR실학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 접촉이 노인 차별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소셜미디어상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노인 낙인과 노인차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단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노인 낙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접촉이 노인에 대한 낙인형성을 통해 노인차별을 야기한다는 구조적 관계를 나타낸다. 연구결과는 그동안 전통미디어의 노인 관련콘텐츠가 노인 낙인 및 노인차별을 야기한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노인 낙인 감소를 위한 소통 방안이 소셜미디어상에서도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via social media affects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In particular,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via social media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Based on an online survey of adults aged 18 to 64,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verified. That is, negative vicarious contact increased perceived elderly stigma which, in turn, elevate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which verified the impact of traditional media contents on formation of elderly stigma and discrimination toward the elderly, and suggest that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duce elderly stigma is also needed on social media.

      • KCI등재

        온라인상에서 공유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 :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안순태(Soontae An),이하나(Hannah Lee),정순둘(Soondool Chu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상에서 ‘노인’이 어떠한 표현들로 지칭되고 있는지, 해당 단어의 쓰임새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인 낙인이라는 이론적 개념에 근거하여,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혐오표현의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익명의 대화가 오가는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상에서 공유되는 노인 이미지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인해 이들을 대하는 태도 역시 부정적인 경향이 높았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노인 관련 지칭어를 살펴보면, ‘노인네’, ‘틀딱’, ‘할머니’, ‘꼰대’, ‘늙은이’, ‘할배’ 등이 상위 빈도를 차지했다. 이 중, ‘틀딱’, ‘꼰대’는 주로 노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비난하는 댓글에서 확인됐으며, 이러한 표현에는 청년들에게 짐만 되는 노인들을 향한 혐오와 차별의 의미가 담겨 있었다. 넷째, 온라인상에서의 노인 혐오표현은 노인을 주제로 한 콘텐츠가 아닌 정치/경제 관련 이슈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세대 간 이해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hrase “old person” are expressed and used in the online spher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stigm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ages and attitudes in society toward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te speech aimed at the elderl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ext mining based on social big data using anonymous conversation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lderly images shared online were generally negative. The attitudes expressed toward them also tended to be negative due to the negative images that are propagated of the elderly. The hate speech relating to the elderly, in usages such as ‘Teul-ttag’ and ‘Kon-dae’, were mainly identified in comments that negatively evaluate the elderly, and these expressions demonstrate the depth of hate and discrimination towards the elderly who are considered burdensome by young people. Interestingly, the hateful expressions towards the elderly were found more with regard to issues related to politics and economics and not just any content about the elderly.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and means to enhance inter-generational understanding and solidit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