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KCI등재

        척추분리증이 동반된 요추 추간판 탈출증

        신병준,김광섭,윤태경,이재철,김경제,김연일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1

        연구계획 : 척추분리증이 동반되어 있는 추간판탈출증의 수술적 치료에 관한 후 후향적 연구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추간판탈출증 환자 중 척추분리증이 동반되어 있는 빈도를 알아보고, 추간판탈출증을 단순히 수핵제거술 만으로 치료한 경우에 단순한 추간판탈출증의 치료에 비하여 예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수핵제거술을 시행받은 환자 273명 중 척추분리증이 있으나, 척추불안정이 없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5명, 여자가 4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2.7세(30세 64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54.6개월(15개월 114개월)이었다. 추간판탈출의 형태, 척추분리증이 있는 부위 등을 조사하였고 환자들의 이환 기간, 증상의 정도 및 양상, 신경학적 소견 등을 술 전 및 추시 시의 결과를 Kim등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 척추분리증이 동반된 추간판탈출증의 비율은 3.7%로 나타났다. 임상적 증상을 보면 동통은 7례(78%)에서 양성이었는데, 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한 통증평가의 평균은 술전 2.1(0 8), 최종 2.1(0 5)이었고, 방사등 9례(100%)모두에서 나타났으며 통증평가의 평균은 술전 7.6(4 10)에서 최종 0.8(0 3)로 호전되었다. 하지 직거상 검사상 7례(78%)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고 7명 모두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근력의 약화는 6례(67%)에서 관찰되었는데 6례모두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감각의 저하는 8례(89%)에서 나타났으며 ?M 우 7례는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심부 건반사의 이상은 5례(56%)에서나타났으며 2례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임상적 결과는 탁월 2명, 우수 6명, 양호가 1명이었다 결론 : 추간판탈출증에서 척추분리증이 동반된 비율은 3.7%로 일반적인 척추분리증의 빈도와 큰 차이는 없었다. 술후 임상증상의 회복율이나 동통지수의 변화를 볼 때 척추분리증이 동반된 추간판탈출증환자들의 수술결과도 일반적으로 추간판탈출증만이 있는 환자를 치료한 결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척추분리증이 동반되었다고 하여 척추고정술을 고려하는 등 추간판탈출증 자체의 수술방법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된다. Study Design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determining the surgical result of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Objectives : To analyze the incidence of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open discectomy for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to simple lumbar HlVD.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need be treated by spinal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 Nine patients(5 males and 4 females) who had lumbar HlVD with spondylolysis, no instability. follow-up period of 1yr were identified out of 273 patients with lumbar HlVD, treated by open discectomy from March 1989 to Feb. 1999. The type of HlVD and level of spondylolysis were evaluated, the clinical symptoms and signs including SLR. motor deficit, sensory deficit, change of DTR and severity of radiating pain were periodically followed up on the predesigned protocoL Results : The incidence of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is 3.7%. The recovery of back pain was 2.1 to 2.1 by visual analogue scale, radiating pain was 7.6 to 0.8. The recovery rate of SLR was 100%, motor deficit; 100%. sensory deficit: 85%, change of DTR 4O%. The clinical evaluation was excellent(2), good(6). fair(1).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covery rate of the clinical symptoms, the results of open discectomy for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without spinal instability and simple HIVD was not differe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lumbar HlVD associated with spondylolysis need not be treated by spinal fusion.

      • KCI등재

        Pulmonary inflammation caused by silica dioxide nanoparticles in mice via TXNIP/NLRP3 signaling pathway

        Je‑Oh Lim,Je‑Won Ko,Tae‑Yang Jung,Woong‑Il Kim,So‑Won Pak,In‑Sik Shin,Won‑Kee Yun,Hyoung‑Chin Kim,Jeong‑Doo Heo,Jong‑Choon Kim 대한독성 유전단백체 학회 2020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Vol.16 No.3

        Background Silica dioxide nanoparticles (SiONPs) have been used for various medical applications, including therapeutics and imaging, and the use of SiONPs has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years. However, despite an increase in the use of SiONPs, not much is known about mechanism of action of SiONPs and their pulmonary toxicity. Objectiv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ulmonary toxicity of SiONPs and explore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primarily focusing on thioredoxin-interacting protein (TXNIP)/NOD-like receptor pyrin domain-containing 3 (NLRP3) in SiONPs-treated mice. We investigated the toxic effects of SiONPs in the lung of BALB/c mice administered 5, 10, and 20 mg/kg SiONPs for 3 days. Results Exposure to SiONPs markedly increased inflammatory cell counts, including those of neutrophils and macrophages, and levels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terleukin (IL)-1β,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Moreover, the inflammation was verified upon histopathological analysis. In addition, exposure to SiONP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XNIP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in turn, upregulated NLRP3 inflammasome proteins, which subsequently induced IL-1β production. Conclusion Collectively, exposure to SiONPs induced inflammation in the lungs of mice, which resulted in the activation of IL-1β production via the TXNIP-NLRP3 axis. Our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pulmonary toxicity induced by SiONPs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의 동종골수이식 후에 병발한 간정맥폐색질환(Hepatic Veno-Occlusive Disease)의 임상 경과 및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

        이제환,이규형,최성준,민영주,김신,이정신,김상희,박찬정,지현숙,김우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재생불량성 빈혈 경우에는 조혈모세포 이식 후 VOD의 발생에 관한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으로 전처치 후에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VOD의 발생과 임상 양상,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방법: 재생불량성 빈혈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13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기준에 따라 VOD를 진단하였으며 임상 경과에 따라서 경중을 분류하였다.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 tPA, PAI-1 등의 혈액응고 인자들을 전처치 투여전, 골수 주입당일, 이식 후 제7, 14, 21일에 측정하였다. 결과: 7예(53.8%)에서 VOD가 발생하였으며, 경증 5예, 중등도 2예였다. VOD군에서 혈소판치가 20.000/㎕ 이상을 유지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더 길었다(p=0.026). 또한 VOD군에서 적혈구 및 혈소판의 수혈 요구량이 각각 유의하게 많았다(p=0.025, 0.015).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를 보면, 제 0일에 VOD군에서 PAI-1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34). 결론: 재생불량성 빈혈환자에서도 조혈모세포 이식 후에 VOD의 높은 발생률을 관찰하였으며, 대부분이 경증이었다. VOD 환자에서의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는 PAL-1이 VOD의 감별 진단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Background: There are few reports about the occurrence of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VOD)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for severe aplastic anemia (SAA). We analyz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outcomes of VOD and changes of coagulation factors in patients with SAA who were conditioned with cyclophosphamide plus ATG and underwent allogeneic BMT.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SAA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were included. A diagnosis of VOD was made according to clinical criteria, and severity of VOD was classified according to clinical course. Plasma levels of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 t-PA, and PAI-1 were determined before preparative chemotherapy, in the day of marrow infusion, and days 7, 14, and 21. Results: VOD occurred in 7/13(53.8%). Five were mild VOD and two were moderate VOD. Time to platelet ≥20,000/L was slower (p=0.026) and red cell and platelet transfusion requirements were higher (p=0.025,0.015) in patients with VOD . The mean plasma level of PAI-1 at 0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VOD (p=0.034). Conclusion: We observed the high incidence of VOD after allogeneic BMT in patients with SAA. A majority of cases of VOD were mild. The changes of PAI-1 after BMT may be useful marker of hepatic VOD

      • KCI등재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위한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전처치 요법

        이정희,이제환,김신,설미이,이정신,김우건,김상희,지현숙,박찬정,이규형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골수이식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에서는 전처치 요법으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주요 문제는 착상 부전이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 발표되는 보고에 의하면 타인이식을 포함하여 골수이식 후 착상 부전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의 발생이 서구 국가들로부터의 보고에서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6예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에서 질병 초기에 Cyclophosphamide와 ATG만을 이용하여 전처치를 한 후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다.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성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수이식을 위한 전처치 요법으로 cyclophosphamide (50 mg/kg/d x 4)와 ATG (30 mg/kg/d x 3)를 투여하였는데, 골수이식 전에 ATG에 대하여 과민 반응을 보였던 한 예 (UPN 120)에서는 ATG 대신에 fludarabine (30 mg/m2/d x 3)을 투여하였다.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cyclosporine과 methotrexate를 투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에 모두 6예가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았는데, 5예는 타인으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으며, 1예는 HLA의 표현형이 하나의 유전자좌에서 일치하지 않는 형제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다. 타인 골수이식을 받은 5예 중에서 3예의 공여자는 HLA의 표현형이 일치하였으며,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ajor mismatch였고,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inor mismatch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06일 (범위, 328-643일)인데, 6예 모두에서 착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존해있다. 2예에서 3도의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전신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하였다. 결론: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재생불량성빈혈의 초기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한국인 환자들에서 충분히 착상을 가져올 수 있는 요법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수가 적지만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경우에 타인 골수 공여자에 대한 검색을 조기에 시행해야 하며,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질병 초기에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yclophosphamide (CY) and ATG regimen was reported to be insufficient for alternative donor BMT in SAA patients due to high incidence of graft rejection. The rates of graft rejection and GVHD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unrelated donor transplants seemed to be lower in reports from Asian countries of Far East. We applied CY/ATG regimen to six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other than HLA-identical siblings. Methods: Three patients were transplanted from HLA-phenotypically identical unrelated donors, two from one-locus mismatched unrelated donors, and one from an one-locus mismatched sibling donor. Four patients received no previous therapy for SAA, and two received one course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ATG. Preparative regimen was CY (200 mg/kg) plus ATG (90 mg/kg) in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had an anaphylactic reaction to ATG prior to BMT and received fludarabine (90 mg/m2) in place of ATG. Cyclosporine plus methotrexate were given for GVHD prophylaxis. Results: All six patients engrafted and all are alive with durable engraftment at a median follow-up of 406 days (range, 328 to 643). Two patients developed grade III acute GVHD and extensive chronic GVHD. Conclusions: CY/ATG regimen may be sufficient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present study is small, results are encouraging.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alternative donors may be considered at early stage of aplastic anemia.

      • KCI등재

        다구치법에 의한 고 규소 내산주철의 용해주조공정 최적화

        신제식,이상목,문병문,김정철,한동운,백승한 대한금속재료학회 2005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3 No.2

        In this study, Taguchi method, one of the design tools of experiments, was applied to optimize casting process parameters of the high silicon corrosion-resistant iron. Three casting process parameters such as melting temperature, rare earth metal (mischmetal) addition, and pouring temperature were chosen. Using SN (signal-to-noise) ratio calculated from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each experimental casting ru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ting parameters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statistically evaluated. The casting condition of a melting temperature of 1,650℃, 0.2% rare earth metal addition, and a pouring temperature of 1,350℃ led to an excellent ultimate tensile strength above 11 kgf/mm², which is beyond the industrial criterion. The effects of the casting parameters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were further confirmed by combined analysis of fractography, hydrogen content determination, microscopic test, and acid resistance test. (Received August 23, 2004)

      • 경주지역 여고생의 초경과 체성장간의 관계

        김준섭,권오구,박진석,오종수,박정현,박제식,안세한,이용환,서정호,신태섭,최영배,김덕수,이관,박수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본 연구는 경주지역 1개 고등학교 3학년 여고생을 대상으로 초경 시작 전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 수치와 초경 연령을 파악하여 여성의 초경이 빠를수록 체성장 속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초로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 1개 여자고등학교 3학년생 총 317명에 대해 ㅊ경 나이, 초경시 심리 상태, 초경이 시작되었을 때의 상담 여부와 상담하였던 사람, 부모 신장과 초경전후의 식사 규칙성, 다이어트 경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음주/흡연 여부, 질병력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에 대한 정보는 건강기록부에서 확보하였다. 상기 대상자 중 건강기록부가 분실된 39명, 초경나이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던 29명 및 결석 등으로 조사를 하지 못하였던 42명을 제외한 조사 대상자는 206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초경연령 평균값(Mean±SD)은 13.0±1.11이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초경 이후 신장 성장률은 감소하였으며,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 때는 신장에 있어서 우위를 차지하나 고등학교에 오면서 신장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초경후 1-2년 사이에 체중과 흉위의 증가율은 감소하였고,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체중과 흉위에서 모두 우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흔히 이차 성징의 시작 시점 혹은 사춘기의 시작 시점으로 보고있는 초경 연령이 청소년기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특히 체중과 흉위의 성장 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o understand the onset of menarche in relation to changes in physical growth that take place during female adolescence, especially the changes in height and weight velocity. The 207 senior in one women high school of Kyongju were investigated in April 3 to 8, 2001.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relation in the age at menarche, height & weight of parents, regularity of eating, and obesity diet, duration of sleeping, sickness & stress near age at menarche, by self-recording. The status of height, weight & chest circumference between the 4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 junior of high school was collected by individual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followed; The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2.95±1.11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 age of menarche is 13 years. After menarche, the velocity of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during elementary school. As time passed, they dont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get an advantage in the weight and the girth of chest after elementary school. The height of subjec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rting age at menestuation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