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시대 신 존재 증명의 전제와 유효성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9 가톨릭철학 Vol.0 No.32

        중세 스콜라 학자들은 ‘신의 존재’에 대해 많은 증명과 그 증명에 대한 비판을 남겨 놓았다. 그렇지만 이런 증명들에 대한 논의가 자연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과연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가장 유명한 두 증명을 비교해 보았다. 『신학대전』에 나오는 ‘다섯가지 길’을 통해 ‘경험론적 증명’의 대표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가장 유명한 신존재 증명 중에 하나인 안셀무스의 『프로슬로기온』에 기원을 둔 존재론적 증명을 비판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소개한 후, 토마스의 안셀무스 비판이 과연 정당한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두 사상가들이 지녔던 상이한 전제들과 의도들이 무엇인가를 기술했다. 그런데 안셀무스의 증명은 그가 전제했던 플라톤적인 체계와 실재 관념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험론자들에게는 아무런 설득력도 지니지 못할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길”도 그곳에 포함되어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전제가 의문시되는 곳에서는 그 설득력을 잃어버린다. 이처럼 신존재 증명에 대한 평가는 모두 평가자 자신의 형이상학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판단된다. 우리는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형이상학적이거나 신앙적인 전제에 따라 어떠한 종류의 신존재증명을 인정하거나 일부 또는 일체의 신존재증명을 부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신존재증명은 다른 입장의 문제점을 드러나게 해 주고, 인간이 직접 전체적으로 포괄할 수 없는 신적인 실재에 대한 이해가능성을 한 측면에서라도 높여 줄 수 있다. 신존재증명들간의 차이에 대한 성찰은 우리 현대인의 사고틀도 경직되어 있지 않은가를 돌아보게해 준다. 개별적인 신존재 증명은 이를 접하는 각자가 지니고 있는 전제에 기반해서 실존적인 결단을 도와줄 이성적인 성찰로서의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Medieval scholars have presented many proofs for the existence of God, as well as criticism of these proofs, but is debate over these proofs meaningful in the modern age of natural science? In this study, the two most famous proofs are compared: those of Thomas Aquinas and Anselm of Canterbury. Thomas Aquinas, who presented an empirical proof in Summa Theologica, known as the “Five Ways,” criticized the ontological proof derived in Anselm of Canterbury’s Proslogion. After introducing this, the legitimacy of Thomas’s criticism of Anselm is examined, and the different premises and intentions of the two thinkers are described. Anselm’s proof would be unconvincing to empiricists who did not accept the Platonic system and notion of reality upon which Anselm’s proof is based. Aquinas’s “Five Ways” also becomes less convincing where the Aristotelian premises therein are questionable. Thus, the evaluation of the existence of God differs according to the evaluator’s own metaphysical position. We may acknowledge or deny any proofs of God’s existence based on their metaphysical or religious premises. However, various manifestations of God’s existence can reveal problems in other positions and increase an understanding of the divine reality that human beings cannot directly comprehend.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roofs allows us to reflect on whether or not our modern frame of thinking is rigid. Based on each individual’s personal assumptions, individual proof of God’s existence can serve as a rational reflection to aid in making existential decisions.

      • KCI등재

        중세 시대의 ‘세계의 영원성’ 논쟁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9 가톨릭철학 Vol.0 No.33

        우주의 기원에 대한 질문은 인류가 학문적인 사고를 시작한 이래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최근에도 자연과학과 측정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물리학적 통찰에 기반을 둔 빅뱅이론을 바탕으로 초끈이론, 다중우주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발전을 토대로 신학과 과학은 긍정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까? 이를 찾으려는 시도가 일련의 과학자와 신학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무로부터의 창조’ 교리를 자연 과학의 놀라운 성과들을 통해 충분히 이해 가능하도록 만들려는 시도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이 주제에 대한 논쟁이 현대 사회에서만 벌어졌던 것은 아니다. 중세 시대에, 더 정확히 말하면 스콜라 철학의 융성기였던 13세기에 ‘세계의 영원성’에 대한 첨예한 논쟁이 벌어졌다. 라틴 아베로에스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 나타나는 이론을 근거로 ‘이 세계는 시작이 없이 영원히 존재했다’는 주장을 여러 대학의 인문학부에서 강의함으로써 큰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주장은 창세기에 나오는 내용을 바탕으로 ‘시간 안에서의 창조’를 믿고 있던 보나벤투라와 보수적 아우구스티누스주의자라 불리는 신학자들은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믿고 있던 ‘시간 안에서의 창조’가 이성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이와는 달리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미 초기 작품들에서부터 ‘세계의 영원성’이라는 문제를 계속해서 다루면서 앞서 언급한 양쪽 진영을 모두 논박했다. 철학자들이 세계의 영원함을 증명한다고 제시한 어떠한 논증도 결정적인 것이 못된다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그는 또한 보수적 신학자들처럼 세계의 영원성에 대한 부정이 철학적으로 증명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다. 중세 시대의 ‘세계 영원성’ 논쟁 안에서는 현대 과학과 신학 사이의 대화에서 취하고 있는 다양한 입장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중세 시대에 각 진영들이 서로에게 가하는 비판에 대해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현대의 유사한 입장들이 부딪치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세사상가들이 계속해서 사용하는 다양한 구분들은 현대 과학자와 신학자들이 논쟁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념들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이를 통해 ‘이성과 신앙이 과연 조화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성찰해 보고자 한다.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has been constantly debated ever since mankind began to think academically.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and measurement technology, the Big Bang Theory, itself based on new physical insights, has expanded to ideas such as the Super-String Theory and the Multiverse. Based on these developments, is it possible for theology and science to interact positively? A series of scientists and theologians have attempted to achieve such a balance. These attempts have incorporated various methods of reconciling the doctrine “creation from nothing” with the amazing achievements of natural science. However, this debate is not a modern invention. In the Middle Ages, or more precisely, in the thirteenth century, during the upheaval of Scholastic philosophy, a bitter debate broke out over the question the eternity of the world. The Latin Averroists caused great confusion by teaching the argument that “the world existed eternally without a beginning” at various universities, based on a theory outlined by Aristotle. These arguments were hard for Bonaventure and the Conservative Augustinians to accept, given their belief in “creating in time” based on Genesis. They were convinced that the “creation in time” they believed could be rationally proved. In contrast to this, Thomas Aquinas addressed the issue of the eternity of the world and disputed both sides in his early works. He argued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the eternity of the world to be proven philosophically. However, unlike conservative theologians, he also rejected the idea that the denial of the eternity of the world could be philosophically proved. The dialogue between modern science and theology is similar to the divisions caused by the “the eternity of the world” debate in the Middle Ages. Thus, by carefully examining the criticisms of each camp in this old debate, one can find clue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modern conflict. In particular, the various distinctions that medieval thinkers use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deeply on the concepts that modern scientists and theologians are using in their debates. Through this lens, I also want to reflect on whether reason and faith can be harmonized.

      • KCI등재

        중세 대학의 설립과 발전 -학문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보루-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6

        현대 대학들은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연구결과물의 양산과 취업률의 제고에만 온 정신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비판적 지성인들은 ‘폐허의 대학’ 또는 ‘대학의 기업화’라고 부르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학의 몰락을 이겨내기 위한 새로운 대안과 방향성은 어떻게 발견될 수 있을까? 여러 학자는 대학의 오랜 역사, 특히 중세 대학의 설립과정에서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그렇지만 일부 학자는 중세 대학에서는 아예 학문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중세 대학의 발생 배경과 유형들, 그리고 구조 등을 통해 발전 과정(1장)을 살펴보겠다. 이어서 중세 대학이 정치적 억압으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는 과정과 교회 권력의 통제에 대해 저항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외부권력‘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는 과정을 탐구할 것이다.(제2장) 이를 토대로 과연 중세 대학이 지키려 했던 소중한 가치가 진리를 추구하려는 학문에 대한 사랑(amor scientiae)이며 이를 위해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이 이루어졌음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소중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 중세의 대학은 동맹 휴학이나 철수를 포함한 참으로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고, 필요에 따라서 교황과 왕이나 귀족을 자신의 보호자로 삼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의 금지령이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에서 중세 대학의 자율성은 잘 드러난다.(제3장) 중세의 대학이 추구했던 가치를 통해서 위기를 겪고 있는 현대의 대학인들은 다양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하고 교묘한 형태로 나타나는 현대 대학에 대한 통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학인들이 단지 눈앞에 작은 이익에만 매몰되는 일 없이, 자신이 추구하고 있는 학문적인 이상을 뚜렷이 자각해야 한다. 효율적인 기술자 양성에 적합한 방법을 모든 기초 학문에도 적용하려는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세 대학의 인문학부에서 이루어진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주목해야 한다. 상위학부를 위한 기초과정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던 ‘인문학부’처럼 변화하는 개별적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편적인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또한 중세 대학에서 추구했던 평등의 원리에 따라 대학의 주체인 구성원들이 모두 ‘함께 지배하기’(shared governance)에 참여함으로서 이미 심하게 손상된 대학의 공동체 정신을 회복해야 한다. 우리가 가르치는 학생들과 동료들을 진정한 가족으로 바라 볼 때, 우리의 대학들은 경쟁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지혜의 집’이 주는 아늑함과 형제애를 느끼는 장소가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contemporary universities concentrate only on mass production of results and a rise in the employment rate. Critical intellectuals have called this phenomenon the “university in ruins” and the “corporatization of the university” and strongly disapprove. How can we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ollapse of the university? Many scholars are seeking an answer in the long history of the university, especially in the rise of medieval universities. However, other scholars insist that there was no academic freedom in medieval universitie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the types and the structure of the medieval universities and their process of development (ch. 1). It considers the process of seeking independence from political repression and resisting the control of the ecclesiastic power (ch.2).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paper then determines that the precious value that medieval universities tried to protect was “amor scientiae,” or the pursuit of truth. For this purpose, a university was founded as a “guild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 protect this value, the medieval universities used various methods including unified strikes and evacuations and made popes, kings and aristocrats their protectors. The autonomy of medieval universities was revealed in the failure of an order in the thirteen century that prohibited lecturing on Aristotle (ch.3). Professors and students of modern universities can learn lessons from the value that medieval universities pursued. Going gainst the control of contemporary universities in Korea,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a different and covert way, they should realize the ideals of the science they are pursuing without being buried in the profit motive. To overcome the tendency to apply adequate methods to efficiently train technicians in all foundation sciences, they must recall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faculty of liberal arts” of medieval universities. They should tend to a universal education that can actively cope with changing individual circumstances in the same way as the “faculty of liberal arts” diligently created the basic education process for the higher facult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pursued by medieval universities, all members of universities should take part in shared governance and the universities should recover the now badly damaged spirit of community. When we consider our students and colleagues as a family, our universities will become places of belonging and brotherhood, “house of wisdom”, in which one escapes the fear of competition.

      • KCI등재

        중세 후기 ‘대학의 몰락’과 현대 대학의 위기

        박승찬 ( Park¸ Seung 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9

        중세 대학은 진리를 추구하려는 학문에 대한 사랑(amor scientiae)이라는 소중한 가치를 지키기 위한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였다. 이 가치를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고, 필요에 따라서 교황과 왕이나 귀족을 자신의 보호자로 삼기도 했다. 이를 통해 발전했던 대학들은 중세 후기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몰락해서 오랫동안 심한 침체기를 겪었다. 중세 후기 대학이 이처럼 침체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를 찾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새로운 대학들이 유럽 전역에서 설립되었던 중세 후기에 일어난 대학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았다.(1장) 이 시기에는 국가가 대학 설립을 주도했으며, 이를 통해 대학의 자율성이 크게 침해되었음을 확인했다. 중세 후기 대학이 침체된 보다 구체적 이유로는 대학이 부여된 특권을 남용하고 평등의 원리를 배반했음을 밝혔다. 또한 보호자 역할을 하던 교회가 통제자로 변함으로써 신학부의 역할은 축소되었다. 더욱이 페스트를 비롯해서 사회에 위기가 닥쳤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경직된 전통에만 매달렸던 대학은 다양한 비판에 직면했다. 더욱이 권력을 추구하던 대학은 오히려 학문의 자유를 빼앗기고 정치권력에 예속되고 말았다.(2장) 이렇게 몰락해 간 중세 후기 대학들을 바라보면서, 우리는 현대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진정한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학이 지닌 자율성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자각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교수와 학생은 자신이 보유한 지식이 단순히 이기심을 채우기 위해 사용해도 좋은 도구가 아니라 사회의 발전을 위한 ‘공공재’라는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특히 대학은 사회 전체를 위협하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멈추어서는 안 된다.(3장) 미래에도 대학이 제 역할을 올바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학들이 극심한 경쟁에 따른 폐쇄성을 극복해야 한다.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수의 신분 보장이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비전임 교수, 학생, 교직원들의 권리 침해도 중지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는 무분별한 대학 서열화를 지양하고 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문들이 균형 있게 성장하고 재능 있는 대학생이 공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중세 후기 대학의 몰락에 대한 성찰이 우리나라의 대학 지원 정책을 근본적으로 되돌아보기 위한 계기를 마련해 주기를 기대한다. Medieval universities were founded as a “guild of professors and students” for the precious value “amor scientiae.” Medieval universities used various methods to protect this value including making popes, kings and aristocrats their protectors. During the late Middle Ages, universities were slowly collapsed, resulting in a long-term slump. Why did Universities in the late Middle Ages experience a slump? To find the answer,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late Middle Ages. Then, it examines the changes that occurred when new universities were founded in Europe (ch.1). In this period, governments established universities, which violated their autonomy. In addition, universities in the late Middle Ages were depressed because they abused their privilege and turned against principle of equality. As churches abandoned their protector roles and began to control univerisities, the role of theological faculty was reduced. When the society faced with a crisis such as pests, etc., universities could not find solutions and appealed to traditional knowledge. Finally, universities that sought ruling power were subjected to political authority and deprived of their freedoms (ch.2). The causes of the collapse of universities in the late Middle Ages can teach us how to prevent crises in modern universities. For example, we must be aware of universities’ valuable authority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must use their knowledge responsibly, for public good and social development rather than the pursuit of selfish purposes. University must also continually study threats against society (ch.3). To protect academic freedom, professors’ statuses as well as part-time lecturers, students, educational workers’ right must be protected. Also, the government need to stop imprudent ranking of universities, support the balanced growth of whole sciences, and enable talented students to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The lessons that were learned from the collapse of these universities in the late Middle Age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fundamental self-examination of university support policies.

      • KCI등재

        가톨릭 교육의 스승 아우구스티누스 -삶의 체험에 기반한 가치교육-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7

        본 논문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교육과 관련하여 직접 이야기한 내용들을 그의 생애 체험에 비추어 체계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이 어렸을 때 체험했던 부정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을 거부하고 학생의 인격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교육을 강조했다. 또는 그는 언어를 통한 교육의 한계에 대한 자각을 바탕으로 교사 중심의 지식전달 모델을 비판했다. 학습자야말로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교육의 주체라는 것이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삶의 변화를 위한 가치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향유와 사용의 구분을 토대로 사랑의 원리에 따른 교육을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가치교육은 강압적이어서는 안 되고 역할모델을 통해서 제시되는 모범에 따라서 이루어져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에서 만난 잘못된 역할모델들과 훌륭한 역할모델들에게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교사의 사랑에 기반한 자기 제시야말로 교육의 핵심이라고 가르친다. 끝으로 위대한 스승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시한 구체적인 체험과 충고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재조명해보았다. In this article, I will systematically reconstruct Augustine’s fundamental views on education by considering his life-experiences. I show that because of his own negative experiences as a child, Augustine rejected the cramming method and emphasized education that respects the personality and autonomy of the pupils. He recognized tha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verbal explanation instead of through practical examples was limited and criticized the teacher- centered model of knowledge transmission. He believed that the pupil i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the one who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it. Furthermore, distinguishing between ‘enjoyment’(frui) and ‘use’(uti), Augustine stressed values education as a means of changing pupils’ lives and proposed a system of education that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love. He believed that values education must not be coercive and that its purpose must be achieved through role models. Using good and bad role models, Augustine preached that only the teacher’s own example and love could influence pupils to learn. This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ways in which Augustine’s experience and theories can be applied for the benefit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 평화 사상의 인문학적 배경 -아우구스티누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1

        ‘평화’ 개념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도 깊이 있게 성찰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김수환 추기경은 현실의 절박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성찰을 토대로 심오한 평화 사상을 제시한 바 있다. 과연 그는 어떻게 그렇게 깊이 있는 성찰에 도달할 수 있었을까? 여러 교회 문헌이 일차적인 자료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우리는 더 깊은 근원을 찾아 아우구스티누스의 평화 사상과 비교해보았다. 이를 통해 보편적인 평화의 추구, 참 평화와 거짓 평화의 구별, 평화를 정의의 실현과 사랑의 결실로 보는 것 등 중요한 내용과 구조는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렇지만 두 사상가 사이에는 평화를 위한 폭력 허용 여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 현세에서 평화가 이루어질 가능성 등에서 차이점도 존재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함께 성찰될 때 실천과 이론의 긴밀하게 연결된 더 균형 잡힌 평화 사상이 완성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여전히 분단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평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평화로 나아가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영감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concept of peace is the one of the most referred to in everyday life, but it is not reflected upon deeply. However, Cardinal Kim Sou-hwan has proposed a profound idea of peace rooted in a concrete reflection on the desperate situation of reality. How could he reach such a deep reflection? Although it was presumed that various church documents would be the primary research material, we looked for other sources of Cardinal Kim’s thinking, which was compared to Augustine’s notions of peace. This confirmed that the important content and structures are very similar, regarding the pursuit of universal peace, the distinction between true peace and false peace, and a view of peace as the realization of justice and the fruit of love.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nkers, including their views on the human experience, the possibile use of violence for peace, and the potential for peace in this world. Therefore, when we compare and reflect on the thought processes of Cardinal Kim and Augustine, a more balanced perspective on peace as it pertains to both practice and theory may be reached. The goal, through this study, is for those who are in living in our divided country to gain a fuller understanding of peace and how we may achieve it.

      • Strain-Controllable Magnetism in Co Decorated Pyridinic N-Doped Graphene

        Seungchan Jo,Sangho Lee,Kyung-Han Yun,Yubin Hwang,Yong-Chae Chung IEEE 2014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50 No.8

        <P>An external strain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means to finely control the magnetic properties of a candidate medium for future spintronics devices.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this concept, the biaxial strain effects on the magnetic moment of Co adatom on pyridinic N-doped graphene (PNG) sheet were investigated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Under the strain from -5% to 5%, the magnetic moment of the Co adatom on PNG was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72 to 1.95 μ<SUB>B</SUB>. Also, Co adatoms are expected to be dispersed on the PNG surface without metal clustering in this range of applied strain due to its strong binding with the pyridinic nitrogen defects. From these results, it is anticipated that reliable control of magnetism in Co decorated PNG system is available by use of an external strain.</P>

      • Power Flow Solution Using an Improved Fitness Function in Genetic Algorithms

        Seungchan Chang,Jae-Yoon Lim,Jung-H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7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Vol.2 No.5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of improving a conventional numerical model in power systems using Genetic Algorithms(GAs) and suggests a GAs-based model which can directly solve the real-valued optimum in an optimization procedure. In applying GAs to the power flow, a new fitness mapping method is proposed us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for all the payoffs in the population pool. In this approach, both the notions on a way of the genetic representations and a realization of the genetic operators are fully discussed to evaluate the GAs' effectivenes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IEEE 5-bus, 14-bus and 25-bus systems and, the results of computational experiments suggest a direct applicability of GAs to more complicated power system problems even if they contain nonlinear algebraic equations.

      • Highly Efficient Blue PHOLED using Co-Host Emissive Layer

        Seungchan Kim 한국진공학회 2021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Vol.2021 No.2

        It is well known that the photon emission efficiency and lifetime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exciton in EML. Using bipolar Emissive layer material is the one of the many approaches to improve the emission efficiency and the device lifetime. For highly efficient blue emission PHOLED device, 3-different types of PHOLED devic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device structure is ITO/HAT-CN/3-different types of EML with FIrpic/TmPyPB/LiQ/Al. As a result, the emission efficiency in co-host PHOLED device can be improved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