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활의 항혈소판 및 항산화 효과

        양선아(Seun-Ah Yang),임남경(Nam-Kyung Im),지광환(Kwang-Hwan Jhee),이인선(In-S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3

        독활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DP를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억제효과를 탐색하고 DPPH 및 ABTS-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독활, 특히 EtOAc 분획은 ADP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응집과 트롬빈에 의한 혈소판 부착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독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독활 EtOAc 분획의 높은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이 항혈소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dried root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is known to have the potential for anti-inflammation and anti-rheumatic, but their effects on thrombosis are not 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platele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 continentalis Kitagawa. Methanol extract and its various fractions of A. continentalis Kitagawa inhibited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EtOAc fraction showed strongest inhibi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a IC?? value of 217.7 ㎍/ml. Moreover, the EtOAc fraction contained 77.7%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43.1% of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at 0.1 ㎎/ml. In addition, the methanol and EtOAc fraction dose-dependently inhibited thrombin-stimulated platelet adhesion to collagen or fibrinogen.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phenol-rich EtOAc fraction from A. continentalis Kitagawa can reduce platelet hyperactivation by scavenging free radicals. Thus, the EtOAc fraction of A. continentalis Kitagawa is a potential source for inhibition of platelet-dependent thrombosis.

      • KCI등재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Seun-Ah Yang(양선아),Sang-Kyung Jeon(전상경),Eun-Jung Lee(이은정),Nam-Kyung Im(임남경),Ji-Young Jung(정지영),In-Seon Lee(이인선)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β-terpinene (20.87%), α-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is widely used in traditional Australian medicine for skin lesions and infected injur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cytotoxicity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The composition of the oil was analyzed by GC-MS. β-Terpinene (20.87%), α-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and limonene (4.65%)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oil. The results tested by MTT assay indicated that the oil showed no cytotoxic effect, at concentrations up to 5%, for less than 3h. The antiradical capac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n the 2,20-diphenyl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 The oil was able to reduce the both radicals dose-dependently, and th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RC??) against ABTS radicals (1.6±0.02%) was slightly lower than DPPH radicals (2.6±0.29%). The direct contact and vapor-phas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 were also evaluated using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Listeria monocytogenes, Acinetobacter baumannii, Escherichia coli,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ll the Gram-negative bacterial strains tested showed more sensibility to the oil than the Gram-positive strains when compare to the effect of gentamycin. On the other hand, the vapor phase of the essential oil against S. aureus exhibited strongest inhibitory effect.

      • SCOPUSKCI등재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

        양선아(Seun-Ah Yang),임남경(Nam-Kyung Im),이인선(In-Se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1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소판의 응고 억제효과, 혈장응고시간의 연장, 혈전용해 활성으로 항혈전 효과를 고찰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혈전과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출물은 혈소판응고 억제, 혈액응고시간 연장 및 혈전용해 활성에 모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DPPH radical 소거능도 매우 좋았다. 이로서 단삼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항혈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정확한 효과 및 혈소판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Salvia miltiorrhiza Bunge is known to potentially prevent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but its effects on platelet function are not 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 vitro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the edible plant extract. Methanol extract of S. miltiorrhiza Bunge exhibited about 70% fibrinolytic activity compared to the plasmin control, and inhibited ADP- an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IC?? values of 0.42 and 0.07 ㎎/㎖, respectively. S. miltiorrhiza Bunge extract significantly prolonged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rothrombin time (PT) compared with control. Moreover, 0.05 ㎎/㎖, S. miltiorrhiza Bunge extract contained 87.3%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conclusion, S. miltiorrhiza Bunge seemed to enhance antithrombotic activity due to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ased on these data, further examination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platelet-dependent antithrombosis and the effect of polyphenols on platelet function.

      • KCI등재

        Volatile Compound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HepG2 Cells

        Seun-Ah Yang(양선아),Coralia V. Garcia(코랄리아 가르시아),Ji-Won Lee(이지원)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5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황금빛의 수액과 약리효과로 한국에서 알려져 있으며, 잎 및 줄기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은 피부질환, 편두통, 월경통, 근육통 및 전염성 질환 등의 질병을 개선하는 약리 성분을 공급하는 우수한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황칠나무 추출물의 효능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부위별 휘발성 성분의 조성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의 주요 휘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추출물에서는 15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줄기 및 수액에는 각각 29가지 및 3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매와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사용하여 얻은 휘발성 성분의 프로파일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용매 추출물과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서는 에스테르와 방향족 탄화수소가, 잎의 초임계유체 추출물 및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는 테르페노이드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limonene (96.3%), α-pinene, 그리고 β-myrcene은 수액 용매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잎 및 줄기의 용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잎의 용매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endropanax morbifera Lev. is known in Korea for its golden sap and medicinal properties. The many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leaf and stem extracts suggest that this tree could be a valuable source of medicina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ailments such as dermatitis, migraines, dysmenorrhea, muscle pain, and infectious disease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volatile fraction of D. morbifer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stems, and sap of D. morbifera were isolated using solvent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o reveal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identify potential compounds of interest. Fifteen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leaf extracts, whereas 29 and 3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stem and sap extracts, respectively. The volatile profiles obtained using solvent and SFE differed. Esters and aromatic hydrocarbons predominated in the solvent extract of leaves and SFE extract of stems, whereas the solvent extract of stems and SFE extract of leaves contained terpenoids. Limonene, α-pinene, and β-myrcene were identified in the volatile extract of sap, with limonene representing 96.30% of the total peak area. In additio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the solvent extracts of leaves and stems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these solvent extract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proliferation of HepG2 cells.

      • KCI등재

        라벤더, 실버퍼, 그레이프후룻 정유 흡입이 마우스의 구속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양선아(Seun-Ah Yang),전상경(Sang-Kyung Jeon),이은정(Eun-Jung Lee),임남경(Nam-Kyung Im),심창현(Chang-Hyun Shim),이인선(In-S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8

        천연 허브에서 추출된 정유의 스트레스 완화능이 알려지면서 화장품, 식품 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유 향 흡입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구속 스트레스에 대한 3가지 정유의 흡입 효과를 비교 하였다. 마우스를 1시간 구속한 경우 혈청 코티졸 농도의 유의적인 상승, 체온의 저하 및 혈중 중성지질의 상승을 확인하였으며, 10% 라벤더 오일을 30분간 흡입 한 경우, 혈청 코티졸 농도 상승 및 체온 저하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가장 좋았다. 한편 혈중 중성지질의 증가 억제효과는 실버퍼 오일 흡입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넓게 사용되는 정유를 이용하여 정유 향 흡입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측정 함으로서 앞으로의 연구와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effects of inhaling three essential oils (lavender [Lavendular angustifolia], silver fir [Abies alba],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e]) against restraint stress were investigated in mice. Serum cortis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h-restraint group. Also, silver fir and grapefruit oils prevented the elevation of cortisol level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Inhalation of 10% lavender oil for 30 min before inducing stress significantly inhibited restraint-induced hypothermia.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traint stress on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serum samples increased after restraint stress. Silver fir essential oil inhibited elevation of triglyceride levels. Taken all together, the correlation of herb essential oil inhalation against restraint stress in animals can partly be explained.

      • SCOPUSKCI등재

        조효소를 함유하지 않는 효모의 Homocysteine 분해효소, Cystathionine ${\beta}$-Synthase의 생화학적 특성

        지광한,조현남,양선아,이인선,Jhee, Kwang-Hwan,Cho, Hyun-Nam,Yang, Seun-Ah,Lee, In-Seu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심혈관 순환계의 새로운 위험인자로 등장한 homocysteine을 생체 내에서 전환시키는 효소인 cystathionine ${\beta}$-synthase의 돌연변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간의 cystathionine ${\beta}$-synthase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그 효소활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homocysteine이 생체에 축적되어 부작용을 일으키는 homocystinuria라는 유전병이 생기게 되는데 여러 돌연변이 중 G3O7이 serine으로 치환된 돌연변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한편 인간의 cystathionine ${\beta}$-synthase는 heme을 prosthetic group로 가지고 있어서 여러 스펙트럼 연구에 장애가 있으나, 같은 기능을 갖고 인간의 cystathionine ${\beta}$-synthase와 높은 상동성를 가지는 효모 유래의 cystathionine ${\beta}$-synthase는 heme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스펙트럼 연구에 용이한 점을 이용하여 인간의 G3O7에 해당하는 G247의 부위를 serine으로 치환, 정제하여 그 생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효모의 G247S는 C 말단이 잘린 truncated form과 전체단백질이 모두 함유된 full length form의 두 가지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두 돌연변이 단백질 모두에서 기질로써 L-homocysteine과 L-serine을 이용한 방사선 동위원소 $C^{14}$을 사용하여 활성을 측정한 바 활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beta}$-mercaptoethanol과 L-cysteine을 기질로 이용한 방법에서도 황화수소를 검출할 수 없었다. 또한 UV-visible spectrum과 CD spectrum에서도 PLP의 특이적인 흡수지대인 410 nm에서의 흡수를 전혀 검출 할 수 없었다. 또한 PLP의 검출방법인 KCN과의 incubation실험에서도 PLP를 검출할 수 없었다. 보고된 인간 cystathionine ${\beta}$-synthase 결정3차 구조를 분석하여 본 바, G307은 조효소 PLP의 근방에 위치하여 bulky한 R group인 serine으로 치환될 경우 효소와 PLP의 결합을 극도로 저지하여 활성을 저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G247S를 고농도의 PLP와 incubation하여도 활성이 회복되지 않으며 단백질로의 PLP의 incorpora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인간의 G307S환자가 PLP를 투여하여도 병세의 호전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G307S 돌연변이에 기인한 homocystinuria 환자는 CBS의 활성이 전무하며 PLP의 투여에도 효과가 없음이 효모를 이용한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Mutations in the cystathionine ${\beta}$-synthase (CBS) gene cause homocystinuria, the most frequent inherited disorder in sulfur metabolism. CBS is the unique enzyme using both heme and pyridoxal 5-phosphate (PLP) for activity. Among the reported 140 mutation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causing alterations in human CBS is G307S mutation.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 mechanism of G307S by spectroscopic methods, we engineered the full length and the truncated G247S mutation of yeast CBS that is corresponding mutation to human G307S. Yeast CBS does not contain heme and thus gives a merit to study the spectroscopic properties. The UV-visible spectra of the purified full length and the truncated G247S yeast CBSs showed the total absence of PLP in the protein. The absence of PLP in G247S mutation was also confirmed by the PLP-cyanide adduct formation experiment, which was conducted by the incubation of the purified enzyme with KCN. The adducts were detected using a circular dichroism (CD) and a spectrofluorimeter. Radio isotope activity assay of full length and truncated G247S proteins also gave no activity. Our yeast G247S mutation data suggested that G307S might make the distortion of the active site so that cofactor PLP and substrate can not fit inside the active site. Our yeast CBS study addressed the reason why the G307S mutation in human CBS makes the enzyme inactive that consequently leads to severe clinical phenotype.

      • SCOPUSKCI등재

        생강 분획의 gingerols 분석 및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이은주(Eun-Ju Lee),양선아(Seun-Ah Yang),최희돈(Hee-Don Choi),최희돈(Hee-Don Choi),임효권(Hyo-Gwon Im),황기(Key Whang),이인선(In-Se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본 실험에서는 생강 에탄올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생강의 유용성분을 분석하였으며, 초임계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oil을 추출한 후 남은 박을 다시 에탄올로 추출하여 각각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색하였다. 알려진 생강의 유용성분 중 6-ging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n-hexane층에 약 25% 존재하여 6-shogaol 보다 7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했다. 항산화 성분 측정 결과, 생강 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생강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생강의 오일 추출 후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임계 오일에서 높았으며 특히, 45℃ 이상의 온도 및 200bar 이상의 조건에서 추출한 오일에서 우수한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오일뿐 아니라 박 에탄올 추출물은 온도와 관계없이 압력 100 bar에서 항산화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55℃, 100 bar에서 20.17±0.83 μg/mL로 강한 소거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임계 오일은 고온, 고압에서 추출 시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이 용출되며, 박 추출물의 경우에는 낮은 압력에서 얻은 박에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초임계 추출법이 항산화 성분 추출에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며, 생강 특유의 향과 고농도의 6-gingerol을 함유하는 초임계 오일뿐만 아니라 향 성분이 제거된 박 추출물도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천연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is a well known edible plant that i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various illnesses related to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Steam distillated ginger oil or water extract are mainly used for related products;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se fractions contain most of the bioactive compounds or the highest efficacy. This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prepar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6-Gingerol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in 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 from ginger.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FE oil and Marc ethanol fractions were demonstrated using the 2,20-diphenyl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 scavenging assays. A cl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RC50 values in the Marc ethanol f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t only SFE oil but the marc after SFE could be good sources for the food industry.

      • KCI등재

        효소 처리 홍삼을 함유한 오일의 항산화 효과

        김현정(Hyun-Jeong Kim),양선아(Seun-Ah Yang),임남경(Nam Kyung Im),지광환(Kwang-Hwan Jhee),이인선(In-S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3

        홍삼의 유효 활성 성분을 함유한 오일을 제조하고자, 세절한 홍삼을 여러 효소로 처리하여 항산화능을 검토한 후 가장 적합한 효소를 선정하여 홍삼을 효소처리하고 10배 비율의 대두유 및 올리브유를 각각 첨가하여 40℃에서 15일간 숙성하면서 홍삼유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0.5% cellulase로 처리한 홍삼액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홍삼을 0.5% cellulase로 처리하여 제조한 홍삼유의 과산화물가는 오일 자체만 보관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홍삼의 항산화 활성 성분의 용출은 올리브유보다 대두유에서 더 증가하였고, 특히 0.5% cellulase 처리한 홍삼 대두유의 TBA가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홍삼유의 DPPH radical 소거능도 홍삼만으로 추출한 대두유에 비해 0.5% cellulase 처리한 홍삼 대두유에서 더 큰 DPPH 소거능을 보였다. 대두유로 제조한 홍삼유의 항산화비타민 함량 분석에서는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 E 함량은 대두유보다 홍삼 첨가 대두유에서 1.7배 정도 증가하였고, 0.5% cellulase를 처리한 홍삼첨가 대두유에서 2.3배 정도 증가되어 홍삼의 0.5% cellulase 처리에 의해 비타민 E의 용출이 더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method to develop red ginseng oil containing high content of phytochemicals by enzymes treatment. To select the optimum extraction process of red ginseng with oi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ginseng using various enzymes were measured. Red ginseng after 0.5% cellulase treatment for 1 hr at 50℃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e other conditions. We found that red ginseng/soybean oil extracted for 15 days at 40℃ after 0.5% cellulase treatment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decreased the TBA and POV values. However, red ginseng/olive oil had little functional activities compare to the red ginseng/soybean oil. We also analyzed vitamin A and E by HPLC and found that vitamin E was increased by 0.5% cellulase treatment in the oil.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red ginseng oil extracted by enzyme treatment has various beneficial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