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산과세부담의 국제적 비교분석

        기석도(Seuk-Do Ki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 관점에서 1990~2013년까지의 연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오스트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미국 등 주요 OECD국가에 대해 세수의 소득탄력성[부양성]을 추정함으로써, 재산과세(재산세, 상속․증여세)부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 방법은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고, 세수의 소득탄력성[부양성]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주요 OECD국가들과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재산과세부담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재산세의 GDP에 대한 탄력성[부양성]은 8개국 모두 GDP가 증가하면 재산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속․증여세의 경우, 오스트리아와 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GDP가 증가하면 재산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상관을 제거한 후 분석에서는 독일, 일본 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자기상관을 제거하기 전의 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OECD평균에 비해 소득세․일반소비세 비중은 낮고, 법인세․재산세 비중은 높은 수준이다. 특히 상속․증여세의 최고세율은 일본을 제외하고, OECD국가 중 최고수준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재산과세부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OECD국가들과 비교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조세정책에 대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ly analyzed burdens of the taxes on property (property tax, estate, inheritance and gift tax) by estimating the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buoyancy) of the major OECD countries such as Korea, Austria, Canada, France, Germany, Japa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using the annual data from 1990 to 2013 in the macroscopic view.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tends to seek implications for tax polic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major OECD countri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estimating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buoyancy], assuming that the effects of tax law revision are not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on the burdens of the taxes on property tax were determine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lasticity[buoyancy] of consumption tax toward GDP, it was found that if the GDP of all 8 countries increases, property tax revenue also increase. Second, in terms of the estate, inheritance and gift tax, the property tax revenue increased in all countries except for Austria and Canada with the increase of GDP. Third, in the analysis after eliminating auto-correlation,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before eliminating auto-correlation in all countries except Germany and Japan. Korea had the lower income tax and general consumption tax lower and the higher corporate tax, property tax than the average OECD countrie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empirically analyzed the burdens of the taxes on property in comparison anayzed with major OECD countries, and great implications for tax policy.

      • KCI등재

        주요 OECD 국가의 소비과세부담에 관한 비교분석

        기석도(Seuk-Do Kie),여택동(Taek-Dong Yeo) 한국무역연구원 2015 무역연구 Vol.11 No.6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onsumption tax(e.g., general consumption tax and special consumption tax) burden by estimating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buoyancy) of major OECD countries such as Korea, Austria, Canada, Germany, Japa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using the annual OECD data from 1990 to 2012.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ax polic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nalytic results from Korea and other major OECD countri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estimating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buoyancy), assuming that the effects of tax law revision are not considere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lasticity(buoyancy) of consumption tax toward GDP, it was found that if GDP increases, general consumption tax revenue and special consumption tax revenue also increase. Second, in the analysis after eliminating auto-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lmost similar to those before eliminating auto-correlation in all countries except Germany and Japan. Most OECD countries have been reducing income taxation like income tax and corporate tax, while increasing consumption taxation like general consumption tax and special consumption tax.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and useful, since it empirically analyzed the consumption tax burden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from Korea and major OECD countries.

      • KCI등재

        재산과세부담의 국제적 비교분석

        기석도(Seuk-Do Ki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 관점에서 1990~2013년까지의 연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오스트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미국 등 주요 OECD국가에 대해 세수의 소득탄력성[부양성]을 추정함으로써, 재산과세(재산세, 상속․증여세)부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 방법은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고, 세수의 소득탄력성[부양성]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주요 OECD국가들과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재산과세부담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재산세의 GDP에 대한 탄력성[부양성]은 8개국 모두 GDP가 증가하면 재산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속․증여세의 경우, 오스트리아와 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GDP가 증가하면 재산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상관을 제거한 후 분석에서는 독일, 일본 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자기상관을 제거하기 전의 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OECD평균에 비해 소득세ㆍ일반소비세 비중은 낮고, 법인세ㆍ재산세 비중은 높은 수준이다. 특히 상속․증여세의 최고세율은 일본을 제외하고, OECD국가 중 최고수준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세정책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ly analyzed burdens of the taxes on property (property tax, estate, inheritance and gift tax) by estimating the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buoyancy) of the major OECD countries such as Korea, Austria, Canada, France, Germany, Japa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using the annual data from 1990 to 2013 in the macroscopic view.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tends to seek implications for tax polic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major OECD countri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estimating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buoyancy], assuming that the effects of tax law revision are not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on the burdens of the taxes on property tax were determine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lasticity[buoyancy] of consumption tax toward GDP, it was found that if the GDP of all 8 countries increases, property tax revenue also increase. Second, in terms of the estate, inheritance and gift tax, the property tax revenue increased in all countries except for Austria and Canada with the increase of GDP. Third, in the analysis after eliminating auto-correlation,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before eliminating auto-correlation in all countries except Germany and Japan. Korea had the lower income tax and general consumption tax lower and the higher corporate tax, property tax than the average OECD countries.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tax policy.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hat can be addressed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세수의 소득탄력성을 이용한 간접세부담 분석

        기석도(Seuk-Do Ki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세수의 소득탄력성을 추정함으로써, 간접세부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0~2011년까지의 연간자료를 이용하여 간접세 전체뿐만 아니라 간접세 중 부가가치세, 주세, 개별(특별)소비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등 5개 세목에 대해 부담수준을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은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한 경우로 나누어 세수의 소득탄력성을 추정함으로써 조세부담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한 간접세의 GDP에 대한 세수탄력성(elasticity)은 0.996으로 나타나, GDP가 증가하면 간접세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분석해 본 결과, 간접세의 GDP에 대한 부양성(buoyancy)은 1.007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세법개정효과를 고려해서 추정한 것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세법개정이 세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그 외 부가가치세, 개별(특별)소비세, 주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등도 부양성과 탄력성을 추정해 보았다. 추정결과, GDP가 증가하면 이들 세목의 세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세 부담에 관한 본 연구는 조세개혁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세정책에 대한 시사점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indirect tax burden by estimating the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from the viewpoint of macroeconomics.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conducts the empirical analysis of value added tax, special consumption tax, liquor tax, transportation·energy·environment tax among the indirect tax in addition to the total indirect tax through the annual data from 1990 to 2011. This paper is seeking for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tax burden by estimating the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after dividing the cases with and without considering tax law revision effect. The empirical result with considering tax law revision effect is that the indirect tax revenue is increased as GDP increases by the evidence of the income elasticity of indirect tax to the GDP, which was estimated as 0.996. The empirical result without considering tax law revision effect shows that the buoyancy of the income tax to GDP has been estimated as 1.007. As such, we can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which implies tax law revision has an influence on the tax revenue. In addition, the buoyancy and elasticities of value added tax, special consumption tax, liquor tax, transportation·energy·environment tax are estimated. Their results show that tax revenue is increased as GDP increases. This study on the burden of the indirect tax has a great implication on tax policy since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providing the guideline of tax reform.

      • KCI등재

        직접세부담의 국제적 비교분석

        기석도(Seuk-Do Ki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세수의 소득탄력성[부양성]을 추정함으로써 직접세부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주요 OECD국가들과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조세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주요 OECD국가들(오스트리아, 캐나다, 독일, 일본, 영국, 미국 등 7개국)에 대해 1990~2011년까지의 연간자료를 이용하여, 조세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직접세(소득세, 법인세)의 부담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은 세법개정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고, 세수의 소득탄력성[부양성]을 추정함으로써 직접세부담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소득세의 GDP에 대한 탄력성[부양성]은 독일과 일본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GDP가 증가하면 소득세수와 법인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독일과 일본의 추정결과의 원인은 분석기간 동안 낮은 경제성장률과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소득세율과 법인세율의 인하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OECD국가들이 직접세인 소득세, 법인세 등 소득과세는 축소하고, 간접세인 소비과세를 강화하는 추세라는 관점에서 볼 때, 향후 조세정책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시사점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rect tax burden empirically by estimating the income elasticity[buoyancy] of tax revenue on the viewpoint of macroeconomics and to seek the implication of tax policy by comparing the results among the major OECD countries. To achieve this aim, it analyzes empirically the burden of the direct tax (income tax and corporate tax) having great shares of tax revenue through the annual data of major OECD countries (Austria, Canada, Germany, Japa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nd our country. The empirical analysis seeks to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on the direct tax burden by estimating the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assuming the case without the revision effect of tax law.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ome tax revenue and corporate tax revenue increase as GDP"s increase in all the countries except Germany and Japan. The reason of the empirical results of Germany and Japan can be found in reduction of the income tax rates and corporate tax rates due to the log-term economic recession and low economic growth rates over the sample period. This paper can make a contribution to design tax policy scheme since it can be used as the important dat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tax policy, on the viewpoint of the current trend that most OECD countries reduce the direct tax such as income and corporate taxes and increase the indirect tax such as consumption tax.

      • KCI등재

        OECD 주요국가의 관세부담에 관한 비교분석

        기석도(Seuk-Do Kie) 한국무역연구원 2017 貿易 硏究 Vol.13 No.6

        This study examines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for major OECD countries such as Korea, Canada, France, Japan, Norway, Spa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empirically analyzing their customs duties burden with the use of the annual data from 1990 to 2015, and clarifying their implications. Using the method of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tax law revision was not considered in estimating income elasticity of tax revenue (buoyan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with major OECD countries, policy implications of customs duties burden are clarified.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elasticity of customs duties on the GDP of five countries, namely, Korea, Canada, Japan, Norway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DP and customs revenue. However, France, Spain and the United Kingdom reflect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DP and customs revenue. After removing autocorrelation, almost all countries except Norway and Japan showed the same results as those before autocorrelation. Korea had a lower level of income tax and general consumption tax than the OECD average whereas it had a higher level of corporate tax, property tax, customs and import duties. Notably, the tax revenue as a percentage of total taxation of customs and import duties was the highest in Korea among OECD countr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need for an appropriate tax polic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an be gleaned.

      • 조세혜택으로 인한 내재적 조세에 관한 연구

        기석도,한상인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3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내재적 조세가 존재한다면 유효세율에 의한 조세부담 정도의 측정 및 비교는 납세의무자의 입장에서 볼 때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내재적 조세를 감안하지 않고 유효세율을 이용하여 과세형평, 조세감면효과 및 세법 개정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은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내재적 조세에 대한 문제는 조세부담을 적정하게 측정하는 문제로부터 출발하였으나, 조세혜택이 부여될 때 세전이익률이 하락된다면 조세혜택을 부여하는 조세정책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조세정책의 유효성 검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내재적 조세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체계적으로 고찰해 본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세혜택으로 인한 내재적 조세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체계를 고찰해 봄으로써, 이에 대한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공통적으로 Wilkie(1992)의 정의에 의한 조세혜택과 세전순이익률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내재적 조세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그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회계자료를 이용하여 조세혜택을 측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세무자료에 기초하여 내재적 조세의 존재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세혜택 측정상의 오류는 결국 내재적 조세의 연구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측정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내재적 조세의 원인을 규명을 위해 조세혜택을 그 구성요소별로 세분화하여 내재적 조세가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