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pplication of Sealing Tape to Delay a Cold Joint on Asphalt Pavement

        SeonHaeng Lee,SungJe Moon,GwangJin Lee,JaeJun Lee 한국도로학회 2018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8 No.05

        Asphalt pavement is covered over 90% of Korea road network. There are various causes for damage to asphalt pavement such as crack, stripping, and joints et al. A longitudinal joint occurs in an asphalt pavement when a new batch of hot-mix asphalt (HMA) is laid adjacent to an existing lane for maintenance of asphalt road. It is required to pave the width of a road in multiple lanes because paving the full width of the pavement in a single pass is usually impossible. The durability of longitudinal joints in asphalt pavements is strongly related with the pavement service life. This longitudinal joint is generated attachment sites where the old pavement surface and the new pavement surface ar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short period of time, early cracks are generated due to the adherence failure of the new and old pavement. Rainwater penetrates into cracks at the time of rainfall. The cracks are enlarged to be connected by labeling and pothole generation, resulting in durability of the pavement deterioration of its service life.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preventive material that can prevent the expansion of cracks in the longitudinal joint. Compare performance sealing tape with tack coating material, the research team is adopted freeze-thaw and wheel tracking loading test methods. The sealing tape show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ack coating material under traffic loading and freeze-thawing test.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재고

        천선행 ( Seonhaeng Cheon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연구는 전환과정을 설명하는 연구와 별도로, 고고학적 자료를 시공간적으로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조기에 문화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신석기시대 후말기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조망하며 전환과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경을 통해 전환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면, 농경민의 이주배경과 토착민의 대응이라는 한반도 내외적 상황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조기의 내용을 재검토하여 수정하면서 고고자료상에서 전기문화와의 차이점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기후변화, 지역관계, 농경지 확보와 인구불균형 등의 복합적 계기로 농경민이 한반도로 이주하였다고 추정하였다. 이에 토착 신석기시대인들은 배타적 토지점유방식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농경을 선택하는 수동적인 방식이 아니라, 농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수렵채집민에서 농경민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서 청동기시대의 도작은 신석기시대보다 집약화되고, 토착민들은 도작에 필요한 도구제작 기술 및 벼 재배기술을 익혀야한다고 보고 도작농경으로의 시도 및 적응기간이라는 측면을 조기설정 의미로 부여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농경사회 체제로 전환할 것을 결정한 수렵채집민은 농경에 적합한 새로운 물질문화를 만들어 가고, 결국 도작농경이 한반도 남부 전역으로 광역화되며 물질자료가 한반도화를 거쳐 확산되는 시기를 전기로 보았다. Research on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Bronze Age has been conducted mostly in the culture-historical framework.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is pha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hold a broader temporal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late and terminal phases of the Neolithic period and the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Furthermor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ansition in relation to agriculture, various social factors such as the migration of agriculturalists and the reaction of indigenous people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is study re-examines the archaeological data of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o find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early phase. It is postulated that agriculturalists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due to a web of reason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social conflicts, search for arable lands, and/or population-resource imbalance. The indigenous Neolithic population is viewed as people who actively adopted agriculture rather than being forced to accept a new subsistence strategy due the emergence of exclusive land ownership. The initial phase was a time of trial and error, which enabled people to intensify rice agriculture and master agricultural tool making. After the decision has been made by the indigenous population to make a transition to a full-fledged agricultural society, rice agriculture and the related culture spread acros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temporally corresponds to the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 KCI등재

        표지디자인에서 사실적 및 추상적 미메시스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이선행(Lee, Seonhaeng),전인수(Jeon, Insoo)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책의 파라텍스트 중 하나로서 시각적 가치를 갖는 표지디자인이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호학의 의미작용 이론을 토대로 표지디자인의 미메시스(사실적 vs. 추상적)에 따라 수용자의 의미작용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이를 검증한다. 먼저, 표지디자인의 미메시스를 사실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이란 두 유형으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수용자의 의미작용을 종속변수로 하였으며 세 번째로 물성가치와 예술숙지도를 조절변수로 사용한다. 연구는 1, 2 로 나누어 진행되는데 연구 1은 문학에서 책 표지디자인을 대상으로 하고 연구 2는 인문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1과 2의 결과에 따르면 표지디자인인 사실적 미메시스일 때 외시의미 작용이 더 높게 나타나며, 추상적 미메시스일 때는 함축의미 작용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물성가치와 예술 숙지도가 높을 때는 추상적 미메미스일 때 함축의미 작용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책의 내용에 따라 표지디자인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추상적 표지디자인이 물성가치와 예술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연구결과는 말한다. The growth of the online bookstore and ebook has put the offline book market in a serious crisis. When the online bookstore closes the distance on the readers with low price and e-book service, etc. the local bookstore is gradually disappearing. Nevertheless, in recently years, the demand for paper books has steady. This shows that e-books can not substitute object values given by paper books, experience consumption. In this research, we try to study how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reader with the visualization value, which is one of the paratexte of the book. Based on the theory of semantic action of semiotics, it is assu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eaning action of accommod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mimesis of cover design, and this will be verified. In Study 1, we divide the mimesis into realistic and abstract expression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the recipient. In addition, we study variance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object values and art mavenism on the difference in signification of mimesis(realistic vs. abstract). In Study 2, we repeatedly verified the same hypothesis as in Study 1, but this genre is different and we verify the difference in signification of mimesis. As a result of Study 1 and 2, the denotation is higher in the realistic cover design, but the connotation is higher in the abstract cover design. Also, when the object value and the mastery of the art are high, the denotation impact is higher in the abstract cover desig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gn of the book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book. In particular,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bstract cover design can have object value and artistic meaning.

      • KCI등재

        신석기시대후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지역적 전개양상

        천선행(Cheon, Seonhaen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2 No.-

        필자는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과 전개양상을 재검토함으로써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화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고는 한반도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를 대상으로 지역편년과 병행관계를 설정하여, 이중구연토기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별 이중구연토기 편년수립과 병행관계를 검토하여, 남해안지역 이중구연토기를 봉계리단계, 수가리단계, 율리단계로 세분하였으며, 내륙지역에서는 후기후엽(봉계리단계), 말기전반, 말기후반으로 편년하여 각각 이 병행함을 밝혔다. 이러한 병행관계를 바탕으로 이중구연토기는 후기말엽에 내륙지역의 소백산맥 이동권에서 출현하여, 주변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확산되지만, 해당지역의 재지성에 따라 유적마다 봉계리식토기를 선별적으로 도입함을 밝힐 수 있었다. 남해안지역 동부권에서는 재지의 태선침선문 전통과 결합하여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출현하는데, 이 시점부터를 말기로 파악하였다. 말기전반에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는 소백산맥 이동권과 내륙지역 동부권으로만 전개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에 이전의 봉계리식전통이 강하게 남 아 있어 상대적으로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의 유입이 용이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말기후반부터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성행하는 남해안지역 동부권과 봉계리식토기 전통이 잔존하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전개양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중구연토기문화권 형성은 당시 집단의 강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소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는 상황을 초래하였으며, 아울러 한반도 신석기시대 전통에서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문양 요소와 기종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유입과 더불어 한반도 남부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 전환된다고 추정하였다. I am trying to find a clue solving the changing process from Neolithic age to Bronze age, by restudying Double-limed Pottery’s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how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developed, through setting its the local chronology and parallel relationship at the last period of Neolithic Age in south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Double-limed pottery has been divided to 3 phase(Bonggaeri phase, Sugari phase, yulri phase)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nd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each phase is at the same time. Based on above parallel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appeared at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n the latter Neolithic period and spreaded to surroundings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but Bonggaeri type pottery including the Double-limed pottery was accepted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ccording to a local peculiarity. In the first part of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rimed pottery was spread to the eastern part of southern interior region. Because it was not easy that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enter to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ern coast region in that previous Bonggaeri type had remained strongly, and then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is spread to the each southern coast region.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was formed with strong migration, and then it led to conditions that outside factors like new design pattern and new kind of pottery easily enter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At such time, the Neolithic age was changed over to Bronze age with inflow of new culture.

      • KCI등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의미

        천선행(Cheon seonhaeng),정다운(Jeong dawoon)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6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climate change, ecological environment, and excavated artifacts (stone composition), etc. of the Neolithic ruins in Honam area, and examines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s a result, the early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re confined within the southwestern coast.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the same cultural area a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ruins have expanded to the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This re-confirmed that Yongson-dong’s earthenware culture spread to the southern coastal area. After the middle period, cultures of the south coast region, Geum River Basin, south¬ern inland area,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re mixed at the same time in Honam area. Mainly, the two cultural paths that showed the ripple of dominance were [Southern inland area – Honam inland –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and [South coast – Southwest coast]. On the other hand, the phenomenon of ruins rapidly declining in Honam area during the middle period was already seen as a result of mid-scale off-shore activities. The decline of the ruins is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cold weather, millet farming, and disconnection of information from the southern coast. In the process, the native Neolithic people were kept alive using shell mounds, or transferred to the inland. Though the southern inland culture was introduced, most of them were forced to leave the area of Honam. This complex pattern and selection of native Neolithic people is presumed to have created the middle period of the Honam area which differentiated Honam from other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in the concluding late period, the ruins increased again,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as the ruins of shell mounds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prominently in¬creased. This is seen as a result of the influx of late groups in the Neolithic era from areas such as the south coast region, southern inland region, and Chungcheong region. In addition, towards the late period, the ratio of excavated earthenware pottery from the middle southwest coast of and Honam inland was low, and the number of ruins be¬came stagnant or declining as farming, which was centered on the team leader, be¬came unstable after the middle period. In the westsouth coasts, the ruins of shell mounts increased.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sites were used as an occupational base, middle stopover, and exchange base in the early/middle period, it was assumed that the sites were only occupi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s a place for living resource acquisition rather than for long-term residence at the end period. These changes in the way of life towards the end period were a result of the decline in agriculture and hunting and thus led the groups going back to their migratory way of life. Based on the examination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eolithic culture of Ho¬nam area was a dynamic culture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cultures of the neigh¬boring areas, rather than being a unique culture that resulted from the long-term set¬tlement of the groups. 본고는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적 분포와 기후변화, 생태환경, 출토유물(석기구성) 등과 의 관계를 검토하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전개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유적은 서남해안지역에만 한정되고, 남해안지역과 동일문화권을 형성한 점, 전기에는 남해안지역 영선동식토기문화가 파급되어 중남서해안지역까지 유적이 확대 됨을 재확인하였다. 중기 이후 호남지역으로 중서해안•금강유역•남부내륙•남해안지역 문화가 동시 에 복합적으로 유입되는데, [남부내륙-호남내륙-중남서해안], [남해안-서남해안]으로의 두 문화파급 경로가 지배적이었다고 보았다. 한편, 중기에 호남지역 유적이 급감하는 현상은 [전기 말-중기]에 걸친 한랭화, 잡곡농경에 대한 정보인지, 남해안으로부터의 정보 단절이라는 복합적 요인에 따른 결과이며, 그 과정에서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은 일부 패총으로 명맥을 유지하거나 내륙으로 진출하고, 남부내륙문화가 유입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호남지역 이탈이라는 선택을 강행하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복잡한 양상과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의 선택이 한반도 여타지역과 차별화된 호남지역의 중기 모습을 낳았다고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말기에는 유적이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및 남부내륙지역, 충 청지역으로부터 신석기시대 후기집단들이 유입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말기에 중남서해안 및 호남내륙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의 출토비율이 적고, 유적 수가 정체하거나 감소하고 있어 중기이후의 조•기장을 중심으로 한 농경이 불안정해지기 시작하였다고 보았다. 서남해 안지역에서는 패총유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데, 이 지역 조•전기에 생업 근거지•중간 기착지•교류 거점지가 확인되었던 데 비해, 말기에는 모두 장기거주라기보다 생계를 위해 한시적으로 점유되었다고 추정하였다. 말기의 생업방식 변화는 농경 및 수렵에 대한 비중 이 더욱 약화되면서 이동성이 강한 생활로 복귀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호남의 신석기시대문화는 신석기시대 각 집단들이 오랜 기간 정착하여 이룩한 독특한 호남만의 문화라기보다 주변지역 문화에 연동하여 변동하는 역동적인 문화였다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상마석상층문화의 시 · 공간과 문화성격

        천선행(Cheon Seonhaeng)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이 글은 동검문화의 다양한 기층문화를 확인하고 당시의 다양한 지역관계를 엿보는 데 상마석상층문화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는 입장에서 작성되었다. 상마석상층문화의 세분편년, 주변 지역 유적과의 비교를 통해 기존 성과를 흡수하면서 상마석상층문화의 문화적 특질과 그 형성과정 및 공간성을 시점별로 파악하려 하였다. 그 결과, 상마석상층문화는 이중구연관 및 횡대구획문이 시문된 호형토기를 특징으로 하며, 이중구연관이 중심인 벽류하 하류역 및 요동반도 동안 일대의 이중구연토기문화를 바탕으로 쌍타자문화의 대취자유형과의 관계 속에서 출현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상마석상층문화가 출현하기 전, 요동반도는 요동반도 남단의 쌍타자문화, 그리고 그 이북의 이중구연을 중심으로 한 토기문화로 대별되었으며, 요동산지 일대 마성자문화 등 다양한 지역문화가 전개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역 관계는 쌍타자문화가 쇠퇴하고 상마석상층문화가 성립하면서 전환기를 맞게 되는데, 바로 요동반도 남단까지 아우르는 이중구연이라는 동질적 문화권이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중구연과 공반하는 유물 및 무덤구조의 차이가 분명하여, 요동반도 남단 일대의 상마석상층문화, 태자하유적의 마성자문화, 신성자문화, 그리고 그 사이에 석붕을 중심으로 한 쌍방유형이 점이지대적 문화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동질적 이중구연토기문화 권으로 동검문화가 유입되어 파급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article assumes upper Shangmashi culture takes a significantly prominent position in examining various basic cultures in the bronze dagger culture and looking over different local relations at that time. Subdividing upper Shangmashi culture chronologically and comparing it to other remains in surrounding area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ultural traits, how it’s developed and spatiality over time based on existing research findings. It turns out upper Shangmashi culture features jar-shape pottery with double rim and horizontal pattern and it makes its appear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Dazuizi type of Shuangtuozi cultu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ouble-rimed pottery culture in the downstream of Biliu River and eastern Liaodong Peninsula where the double-rimed pottery is dominant. Before upper Shangmashi culture comes into being, Liaodong Peninsula could be classified into Shuangtuozi culture in the southernmost area of Liaodong Peninsula and double-rimed pottery centered culture of the north. Also, various local cultures are developed in the mountain land of Liaodong including Machengzi culture. As Shuangtuozi culture declines, followed by advent of upper Shangmashi culture, such local relations begin to turn around. It’s faced with homogeneous culture area, called ‘the double-rimed pottery’ that encompass even southernmost area of Liaodong Peninsula. For a clear difference between relic and tomb structure that appear with the double-rimed, upper Shangmashi culture in the southernmost part of Liaodong Peninsula, Machengzi culture of relics found in Taizi River, Xinchengzi culture and Shuangfang culture in between characterized by table stones work as a transitional zone. And this study assumes that bronze dagger culture is drawn to such homogeneous double-rimed pottery culture and spreads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