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alysi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Rosa

        Seong, SiHyun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국 장미 월계화는 전통적으로 백내장, 외상 및 혈액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지혈, 통증, 설사 억제, 부인과 질환 치료의 전통 약초에 사용되어왔다. Flavonoid glycosides는 월계화의 주요성분으로서 강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월계화의 꽃에서 항산화 활성성분을 탐색하는 것이다. 월계화의 추출물에 대한 Bioassay-guided 기법에 의해 6 가지 화합물의 분리를 하였다. 분획물에 서 분리된 rutin (1), hyperoside (2), soquercitrin (3), hyperin-6-"gallate (4), avicularin (5), 2-phenylethanol-O-(6-O-galloyl)-β-D-glucopyranoside (6) 의 구조를 화학 구조는 분광학적 기법,(NMR spectroscopies, HPLC-PDA, HR-ESI-MS) 및 참고문헌과 비교하여 규명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자유라디컬 소거 실험에 의해 분석 하였다. 건조된 월계화의 에탄올 추출물을 물 층과 에틸 아세테이트 층으로 분획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semi-perp-HPLC로 분리 정제 하였다. 분획물 마다 자유라디컬 소거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양성 대조군을 비타민 C로 선택 하여 라디컬 반 응을 비교하며, 유효물질 분리를 진행 하였다. (6) > (5) > (3) > (1) > (2) > (4) 순으로, 이들 화합물에 대한 자유라디컬 실험을 통한 항산화능을 확인 하였다. 분리정제 된 6개의 화합물 중에서, 화합물 6 은 15 mg / dl의 IC50 값으로 항산화 효과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화합물 6 는 월계화로부터 처음 분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화합물 6 은 식품 및 약물 개발에 있어 월계화의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이 될 수 있다. Rosa chinensis Jacquin.(Chinese rose) flowers are 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catamenia disorder, trauma, and blood disorders and for hemostasia and controlling pain and diarrhea, used in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use a gynecological disease. Flavonoid glycosides are believed to be the major components in R. chinensis that are responsible for it is antioxidant activi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hemical constituents by the flowers of R. chinensis. Bioassay-guided investigation of extracts of the flowers of R. chinensis led to the isolation of six compounds.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rutin (1), hyperoside (2), isoquercitrin (3), hyperin 6''- gallate (4), avicularin (5), 2-phenylethanol-O-(6-O-galloyl)-β-D-glucopyranoside (6).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from chemical evidence, physical methods (NMR spectroscopies, HPLC-PDA, HR-ESI-MS), and as well a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reported in literatures.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capacity for these compounds, in descending order, were as follows : (6) > (5) > (3) > (1) > (2) >(4). Among the identified compounds, compound 6 display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with IC50 value of 15 mg/dl.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compounds 6 fromR. chinensis. In this regard, the ompound 6 might be reference compound for the tandardization of R. chinensis in food and drug development.

      •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Nano TiO2/Micron TiO2 복합분체의 제조와 특성

        Kim, Seong-Rae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0

        국문초록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용 Nano TiO2/Micron TiO2 복합분체의 제조와 특성 化學工學科 金 星 來 指導敎授 趙 春 九 본 연구의 목적은 광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자외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새로운 복합분체(MFHG)를 개발하는 것이다. 입자크기가 다른 마이크론 이산화티탄과 나노 이산화티탄을 각각 host particles(HP)와 guest particles(GP)로 사용하여 건식입자코팅방법인 mechanofusion system으로 복합분체를 개발하였다. 복합분체는 SEM, 입자크기분포 및 평균입자크기와 표면성질 측정을 통해 복합분체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복합분체의 자외선 차단과 적외선 차단효과를 in-vitro와 in-vivo test를 통하여 HP, GP, 산화아연(ZnO), 안료급 이산화티탄(PTiO2), 그리고 HP와 GP의 단순 혼합분체(HG)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적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지수인 적외선반사율지수(infrared radiation reflectance factor, IRF)를 개발하기 위하여 IRF와 in-vitro 적외선 차단효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in-vitro 적외선 차단효과는 열차단 효과에 의한 온도변화를 이용하였다. HP와 GP를 9:1 ∼ 5:5의 중량 비율로 복합분체(MFHG)를 만들었고, SEM, 입자크기분포 및 평균입자크기 측정을 통해 만들어진 복합분체에서 최적 중량 비율은 9:1, 8:2, 7:3이었다. 복합분체의 표면 형상은 HP 표면 위에 GP의 입자들이 discrete coating된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이 구조로 인하여 복합분체의 표면 성질은 GP의 표면성질인 친유성을 나타내었고, 이로 인해 W/O 에멀젼에서 연속상인 유상과 친화성 향상으로 균일한 분산상태를 나타내었다. 최적 중량 비율로 만들어진 복합분체들(MFHG91, MFHG82, MFHG73)의 자외선 차단효과는 in-vitro와 in-vivo test를 통해 관찰하였다. In-vitro test 결과, 동량 중량 비율에서 혼합분체(HG91, HG82, HG73)에 비해 SPF 수치 30%, PA 수치 40% 이상 됨을 확인하였고, UVA 차단효능을 나타내는 인자인 임계파장은 더 긴 파장으로, UVA/UVB ratio는 더 높은 값으로 이동하였다. MFHG73 3.0 wt%와 산화아연 6.0 wt%를 비교한 in-vivo test 결과, MFHG73은 SPF 수치 35.90과 PA 수치 4.83을 나타낸 반면, 산화아연은 SPF 수치 30.10과 PA 수치 4.95로 MFHG73이 산화아연에 비해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진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조사 10분 후 온도변화로 측정된 in-vitro 적외선 차단효과에서는 복합분체가 혼합분체에 비해서 온도변화가 적었으며, MFHG91, HFHG82, MFHG73, HG91, HG82, HG73 순으로 우수하였다. 입자크기에 따른 이산화티탄에서는 HP, 안료급 이산화티탄, GP가 각각 22.4, 25.4, 27.6 ℃로 입자크기가 클수록 적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였다. 적외선 영역(760 ∼ 2,500 nm)의 UV-Vis-NIR 투과도 측정 결과에서도 HP, MFHG73, 안료급 이산화티탄, GP, 산화아연의 순으로 낮은 투과도를 나타내었고, 이 결과는 in-vitro 적외선 차단효과와 일치하였다. MFHG73 10.0 wt% 함유한 W/O 에멀젼에 대한 in-vivo 적외선 차단효과에서는 도포 부위가 무도포 부위에 비해 피부온도가 0.4 ℃ 감소하였다. MFHG73 농도에 따라 적외선반사율지수(IRF)는 증가하였고, 온도변화로 측정된 in-vitro 적외선 차단효과는 감소하였다. 이에, IRF와 in-vitro 적외선 차단효과의 상관관계를 단순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결정계수 R2는 0.92로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HP와 GP로 만들어진 복합분체는 피부노화의 원인인 자외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가치와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 TiO2/ Micron TiO2 Composite Particles for Protection from UV and IR Radiation KIM, SEONG-RA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composite particles that can simultaneously block both ultraviolet radiation(UV) and infrared radiation(IR) known as the primary cause of photoaging. Composite particles were composed of micron TiO2 as host particles(HP) to block infrared radiation and nano TiO2 as guest particles(GP) to block ultraviolet radiation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prepared by dry particle coating system(mechanofusion system). The composite particles prepared by mechanofusion system were confirmed the formation of composite particles through measurement of SEM, particle size distribution, average particle size and surface property. The effect of composite particles for UV protection and IR protection was compared to HP, GP, zinc oxide(ZnO), pigmentary TiO2(PTiO2) and mixed particles(HG) of HP and GP through in-vitro and in-vivo test. Also in order to develop a new index, IRF(infrared radiation reflectance factor) indicating the effect of IR prot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F and the effect of in-vitro IR protection was evaluated. Here the temperature‘s change by protecting a heat was replaced with the effect of in-vitro IR protection. Composite particles were prepared with the following different weight ratios(9:1, 8:2, 7:3, 6:4 and 5:5) of HP and GP, respectively. The optimal weight ratio of HP and GP to make composite particles was 9:1, 8:2 and 7:3 and the morphology of composite particles was a discrete coating that GP was attached on the surface of HP. Due to this structure of composite particles, its surface property has been modified by GP to make them hydrophobic. As a result, composite particles were appeared homogeneous particle dispersion by improvement of oil compatibility in W/O emulsion. In composite particles(MFHG91, MFHG82 and MFHG73) prepared with the optimal weight ratio of HP and GP, the effect of UV protection were observed by in-vitro and in-vivo test. In in-vitro test results, composite particles(MFHG91, MFHG82 and MFHG73) showed synergistic effect over SPF value 30% and PA value 40% compared to mixed particles(HG91, HG82 and HG73), respectively at same weight ratio of HP and GP. Also their critical wavelength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UVA protection was shifted to longer wavelength than mixed particles and UVA/UVB ratio was higher than mixed particles. In in-vivo test results, MFHG73 3 wt% was compared with ZnO 6 wt%, ZnO was SPF value of 30.10 and PA value of 4.95, while MFHG73 was SPF value of 35.90 and PA value of 4.83. It confirmed that MFHG73 was a superior material to block ultraviolet radiation than ZnO known as a UVA filter. In the effect of in-vitro IR protection measured to temperature's change after IR irradiation during 10 minutes, composite particles(MFHG91, MFHG82 and MFHG73) was lower than mixed particles(HG91, HG82 and HG73). For the effect of IR protection, composite particles were superior than mixed particles by showing the result of MFHG91, MFHG82, MFHG73, HG91, HG82 and HG73 in order. In TiO2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the temperature's change of HP, PTiO2 and GP were 22.4, 25.4 and 27.6℃, respectively. It meant that a bigger size of the particle led to a superior effect against IR protection. In the results of UV-Vis-NIR trasmittance of IR region(760 ~ 2,500 ㎚), NIR transmittance was lower in the order of HP, MFHG73, PTiO2, GP and ZnO. It showed a same results with the effect of in-vitro IR protection. In the effect of in-vivo IR protection, when W/O emulsion containing MFHG73 10 wt% was applied to the facial skin, the temperature of facial skin decreased 0.4 ℃ compared to unapplied facial skin after IR irradiation during 10 minutes. According to increasing of MFHG73 concentration, IRF wa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in-vitro IR protection measured to temperature's change was decreased. Hence when sim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IRF and the effect of in-vitro IR protection was carried out,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as R2= 0.92. From these results, composite particles made by HP and GP are expected to use as new materials that simultaneously block both ultraviolet radiation(UV) and infrared radiation(IR) known as the primary cause of photoaging.

      • Duality in neural style transfer

        성명훈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스타일 참조 이미지의 로컬 패턴이나 텍스처를 자연스럽게 렌더링하기 위한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 모델을 제안합니다. 수렴 측면에서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과 다른 새로운 손실 함수를 정의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 향상을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계산량을 줄이고 더 빠른 수렴을 달성하기 위해 수학적 접근 방식인 최적화 이론에서 이중성 정리를 적용하여 도출한 이중 변수로 새로운 weight penalize regularizer를 정의합니다.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는 생성 모델이며 콘텐츠 및 스타일 이미지를 가져오고 혼합하는 데 사용되는 최적화 기술입니다. 이 생성 모델은 다양한 제품의 데이터와 정보를 스타일 전송을 위한 입력으로 사용하고 프로젝션에서 인위적으로 생성된 풍경의 시각화를 생성합니다. 콘텐츠 이미지는 스타일을 변경하고자 하는 객체이며, 스타일 참조 이미지는 작가의 작품, 특정 패턴 또는 무작위로 이루어진 패턴을 가진 이미지가 될 수 있습니다. 스타일 이미지에서 다양한 특징(예: 다양한 획, 지각적 표현, 색 구성표)을 추출하여 콘텐츠 이미지에 적용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합니다. 주로 연구하는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는 작가의 그림 스타일을 반영하거나 아티스트 데이터 시각화를 위해 훈련된 기계 학습 모델을 사용하여 신경 스타일 전송을 탐색합니다. 화가의 스타일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TPU와 같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구현된 매우 무거운 네트워크로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용과 접근성이 매우 낮으며 메모리 소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타일 이미지의 패턴을 반영한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는 비교적 가벼운 신경망 네트워크로 구현할 수 있고,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GPU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는 많이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접근성이 뛰어나고 패턴을 자연스럽게 렌더링할 수 있는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이중성 정리를 통해 구조체의 학습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연산량을 줄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U-Net 기반의 어텐션 기반 패치 교환 기법과 사전 훈련된 VGG-19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를 구현하였습니다. U-Net은 초경량 네트워크로 저용량 프로세서로도 학습이 가능하며 짧은 시간 안에 학습이 완료됩니다. 학습과정에서 손실함수를 주로 사용하는 합산 손실함수 대신 곱셈-로그 손실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수렴 단계 측면에서 학습이 보다 안정적이며 손실값이 낮게 형성됩니다. 학습 과정에서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수학적 접근 방식인 최적화 이론에서 이중성 정리를 통해 도출된 이중 변수로 새로운 weight penalize regularization을 정의하였습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weight regularization은 이전에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했던 프루닝 기법과 드롭아웃 기법보다 수렴 성능이 뛰어납니다. 또한, 선형 대수학으로 표현될 수 있는 fully connected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어서 접근성이 좋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신경 스타일 전송 네트워크 생성 모델에서 학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더 낮은 손실값으로 더 빠르게 수렴할 수 있었습니다. 설문조사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에서 도출된 출력 이미지의 품질을 대중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이중 변수를 기반으로 구현된 regularization을 통해 완전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학습 과정에서 계산의 효율성과 수렴 성능 향상을 입증합니다.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ural Style Transfer (NST) model for the natural rendering of local patterns or textures of style reference images. To improve stability and performance in terms of the convergence phase, we defined a loss function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and confirmed validation through experiments. In addition,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and achieve faster convergence, novel weights penalize regularizer was defined with the dual variable derived by applying the duality theorem in optimization theory, a mathematical approach. NST is a generation model and is an optimization technique used to import and mix content and style images. This generation model uses data and information from various products as input for style transfer and creates visualizations of artificially created landscapes in projections. The content image is the object whose style you want to change, and the style reference image can be an artist's work, a specific pattern, or a randomly arranged image. It works as a mechanism to extract various features (e.g. different strokes, perceptual expression, color scheme) from the style image and apply it to the content image. To reflect the painter's style, cost and accessibility are very low because learning is performed with a very heavy network implemented based on a large-capacity processor such as TPU. However, NST, which reflects the pattern of the style image, can be implemented with a relatively lightweight network and can be implemented based on GPUs commonly seen on the market, so it has excellent accessibility. Furthermore, the aforementioned NST were not studied much, and an NST with a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needed in an exhibition project. Therefore, we implemented NST, which has excellent accessibility and can render patterns naturally, and also optimized through duality theorem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To solve the problem, in this thesis, NST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e attention patch exchange technique based on U-Net and a pre-trained VGG-19 network. U-Net is a very lightweight network and can be learned with a low-capacity processor, and learning is completed in a short time. In the learning process, by using the multiplication-logarithm loss function rather than the summation loss function, which mainly uses the loss function, learning is more stable in terms of the convergence phase, and the loss value is formed lower.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a new weight penalize regularization was defined as a dual variable derived through the duality theorem in the optimization theory, which is a mathematical approach. This converges faster than the pruning technique and drop-out technique, which were previously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It can be applied to all fully connected networks where the computational process can be expressed with linear algebra.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learning in the NST generation model and converged faster with a lower loss value. Through the survey,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output image was proven. In addition, through regularization implemented based on dual variables, it was possible to obtain efficiency in terms of computation and improvement in convergence speed in the learning process in a fully connected network.

      • Idiopathic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in the elderly : a long-term folow-up study

        여성철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배경 세계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 현상과 더불어 노인 인구에서의 어지럼 및 평형장애가 공중 보건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 인구에서의 어지럼 및 평형장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 가능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발성 양성발작성두위현훈이 (idiopathic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노인 인구에서 어지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단일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한 양성발작성두위현훈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특발성 양성발작성두위현훈만의 임상적 특징, 치료 및 재발에 초점을 두고 조사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해 노인 군에서의 특발성 양성발작성두위현훈의 임상적 특성 및 재발률을 확인하고 이를 일반 성인군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본원에서 양성발작성두위현훈으로 진단된 6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두부 외상 및 수술의 기왕력, 동반된 전정기능의 장애 및 어지럼을 유발할 수 있는 내과적 과거력 등 특정 원인이 없는 특발성 양성발작성두위현훈으로 진단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전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65세 이상의 실험군 (136명, 65-88세) 과 65세 미만의 대조군 (234명, 17-64세)으로 나누어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각 군에서의 성비,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시행된 이석 치환술의 횟수, 증상 발생 후 의료기관에 내원하기까지의 시간, 이환된 세반고리관 아형의 빈도 및 추적 관찰 동안의 1년 및 5년 재발률에 대해 조사하고 두 군에서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37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59세이었다 (실험군 평균: 72.5세, 대조군 평균: 52.1세). 성별은 실험군에서 남자 52명, 여자 84명, 대조군에서 남자 70명 여자 164명으로 두 군 모두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성공적 치료를 위해 시행된 이석 치환술의 횟수, 이환된 세반고리관의 빈도 및 1년 및 5년 재발률 항목에서 두 군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보다 명확한 재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군을 보다 세분화하여 추가적으로 시행된 검증과 성별에 따른 재발 양상의 분석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증상 발생 후 의료기관에 내원하기까지의 기간은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오랜 시간이 걸림이 관찰되었다 (실험군 평균: 13.1일, 대조군 평균: 5.6일, p = 0.021). 결론 노인 인구에서 발생하는 특발성 양성발작성두위현훈은 성인 환자 군과 비교하여 임상 양상 및 재발률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성인 군과 마찬가지로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노인들에게 양성발작성두위현훈의 증상에 대한 홍보교육을 통하여 조기 치료를 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Clinical usefulness of hematological analysis, anesthesia and coelioscopy in cinereous vulture (Aegypius monachus)

        석성훈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방생 전 재활 중인 임상적으로 건강한 독수리에서 혈액학적, 혈장 생화학적 참고범위를 확립하고, 그 결과를 초기 접수 시 혈액검사수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동 종의 마취와 관련하여, 자발호흡 상태에서 isoflurane을 이용한 마취 시 마취농도에 따른 심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더불어, 대표적인 대형 맹금류인 독수리에서 간과 신장의 생검을 포함한 진단적 복강경 적용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독수리는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월동을 위해 한국을 찾는 대표적인 겨울철새 중 하나이지만 탈진, 외상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해마다 많은 수의 독수리가 구조되고 있다. 야생동물, 특히 맹금류의 경우 질병이 심각하게 진행될 때까지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특성을 고려한다면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혈액검사결과는 개체의 건강상태 평가뿐만 아니라 자연으로 돌아가기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독수리의 경우 보고된 혈액검사 항목이 없는 경우가 많고, 보고된 결과가 있다 하더라도 검사 항목이 제한적이거나 개체의 수가 적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독수리에서 혈액학적, 혈장 생화학적 참고범위를 확립하고, 그 결과가 초기 접수 시 혈액검사수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경남야생동물센터에서 2011년 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총 63마리의 독수리에서 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32마리의 독수리 혈액샘플은 현장에서 구조되어 야생동물센터로 이송된 직후에 채혈하였고, 방생 직전 임상적으로 건강한 독수리 31마리에서 채혈을 실시하였다. 야생동물센터로 이송 직후에 채혈한 32마리의 독수리 중 외상을 주 증상으로 접수된 개체가 21마리, 탈진을 주 증상으로 접수된 개체가 11마리였다. 각 혈액샘플은 2시간 이내에 수동검사 및 자동화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검사결과는 평균, 중간값, 범위 (최소값 – 최대값), 그리고 참고구간 (reference intervals)으로 표기하였다. 참고구간은 백분위 10 – 90 % 구간 (P10-P90) 으로 설정하였다. 건강한 상태와 두 가지 접수상황에 따른 혈액검사결과 비교에서, red blood cells, hemoglobin, packed cell volume, white blood cells, heterophils, H:L ratio, aspartate aminotransferase, creatinine kinase, phosphorus, albumin, 그리고 potassium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독수리에서 혈액학적, 혈장 생화학적 검사 결과는 건강상태 체크뿐만 아니라 방생 전 재활 중인 독수리의 임상적 모니터링에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건강한 독수리의 혈액학적 정상 참고범위 확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야생동물의학에서 마취는 환자의 스트레스 감소 및 신속하고 안전한 처치를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의료진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실제 임상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맹금류에서 마취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10마리의 독수리에서, 자발호흡 상태로 isoflurane을 이용한 마취 시 마취농도에 따른 심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각 개체는 초기 호기말 isoflurane 마취농도 (end-tidal isoflurane concentrations: ETiso)를 1.0%로 시작하여 1.5, 2.0, 2.5, 3.0 그리고 다시 1.0%로 내리는 순서로 마취농도를 조절하였고, 각 농도 별로 15분간 평형 (equilibration) 시간을 적용하였다. 각각 설정하였던 equilibration 시간이 완료 되었을 때, 혈압, 심박수, 호흡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PETCO2)을 기록하였고 동시에 동맥혈 가스분석도 실시하였다. 독수리에서 자발호흡상태로 isoflura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심박수와 PETCO2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고(P < 0.05), 혈압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 < 0.05).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수리에서 1.5 – 2.0% ETiso가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마취농도라고 판단된다. 수의학에서 내시경은 효과적인 진단 및 수술적 도구로써 조류를 비롯해 포유류, 파충류, 그리고 어류 등과 같은 다양한 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강경 시스템이 발달하면서 작은 절개창을 통한 최소 침습적 내부장기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고 안전한 생검이 이루어지면서 침습적이고 긴 수술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앵무과, 매과 및 비둘기 등의 몇몇 종에서 복강경 적용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지만 그 정보가 제한적이고, 특히 독수리와 같은 대형 맹금류에서는 아직 복강경 적용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 맹금류인 독수리에서 간과 신장의 생검을 포함한 진단적 복강경 적용에 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7마리의 독수리에서 간과 신장의 생검을 포함한 진단적 복강경을 실시하였다. 내부장기의 검사를 위해 5 mm 경성 복강경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복강경의 도입 난이도와 내부장기의 가시화 점수를 측정하였다. 5 mm 복강경 생검 포셉을 이용하여 독수리의 간과 신장의 조직생검을 실시하였다. 채취된 생검조직을 통해 조직병리학적 진단의 질도 함께 평가하였다. 복강 도입과 내부 장기의 가시화 점수는 식도, 췌장, 비장, 그리고 정관/난관을 제외한 모든 장기에서 높은 수준 (만족 – 훌륭함)으로 평가되었다. 내부장기의 복강경 검사와 간과 신장의 생검은 최적의 장비와 기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졌고, 채취된 조직샘플은 병리조직학적 검사에 적합하였다. 5 mm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복강경 적용은 독수리와 같은 대형 맹금류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되고, 병리조직검사를 위한 조직샘플 채취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isoflurane을 이용한 흡입마취 하에서 적절한 깊이로 마취를 유지하여 혈액학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복강경을 이용한 각 내부장기의 검사와 생검은 독수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alternatively spliced transcript in M segment of influenza A/WSN/33 virus

        유승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5

        PartⅠ. The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of influenza virus is composed of three viral P proteins (PB1, PB2, and PA) and involved in both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of the RNA genome: (i) transcription of vRNA into mRNA, (ii) replication of vRNA into cRNA and (iii) replication of cRNA into vRNA. The polymerase controls two distinct type of RNA synthesis at both initiation and termination, but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control of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are largely unknown. The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the functional RNA polymerase has not been successful for the lack of sufficient supply of functional recombinant P proteins. In this study, all three individual subunits of the influenza RdRp, PB1 and PB2 and PA proteins from both influenza A and B subtypes were successfully expressed from E. coli as soluble form based on the cisperone vector system. Ni2+-NTA chromatography was employed to purify the three proteins from E. coli. Reconstitution of the P proteins into functional influenza polymerase complex along with model RNA template is under investigation with a view to get further insights into the role of each P protein in viral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As the first report of soluble expression of influenza polymerase proteins in bacterial host, the system would provide useful platform for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the influenza RdRp. $$a$$aPartⅡ. The influenza virus M1 mRNA has two alternative 5' splice sites: a distal 5' splice site producing mRNA3 that has the coding potential for 9 amino acids and a proximal 5' splice site producing M2 mRNA encoding the essential M2 ion-channel protein which contains 96 residues. Previously Shin-Ru Shih et al.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M4 mRNA in influenza A/WSN/33. Translation of M4 mRNA would yield a 54-residue peptid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the additional splice site in influenza A virus M gene. Using splicing site predictor, we obtained some splicing prediction sites of A/WSN/33 M gene. We designed two sets of primers specific for M gene. Monitored by RT-PCR analysis of influenza RNAs, novel transcript fragmen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suggest that influenza A/WSN/33 may possess the novel splice site. Following our results, influenza A/WSN/33 possessed another novel 5' splice site producing a transcript with the coding potential for 16 amino acids. We nominated this new transcript as M5 mRNA. Part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는 3개의 단백질(PB1, PB2, PA)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RNA 전사와 복제에 관여한다. 이들 중합효소는 두 가지 유형의 RNA 합성의 개시와 종결을 조절하지만, 분자적 측면에서의 전사와 복제 조절 기작에 대한 설명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활성을 가진 RNA 중합효소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분석은 아직까지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활성이 있는 재조합 중합효소의 양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cisperone 벡터 방식을 기초로 대장균을 이용하여 이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와 B, 두 가지 유형에 대한 RNA 중합효소 각각을 수용성 형태로 발현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들 각각의 중합효소를 중합효소 복합체로 재구성하여 이들이 RNA를 전사 또는 복제할 수 있는 활성이 있는지 실험중이다. 박테리아 숙주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합효소를 수용성으로 발현시킨 첫 번째 보고서로써, 이러한 방식은 인플루엔자 RdRp의 구조와 기능 분석의 유용한 기반으로 작용할 것이다.$$a$$aPartⅡ. 독감 바이러스의 M1 mRNA는 두 개의 선택적 스플라이싱 부위를 가지고 있 다. 말단부의 5' 스플라이싱 부위는 9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M3 mRNA를 만든다. 인접부의 5' 스플라이싱 부위는 M2 mRNA를 만드는데, 이는 96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M2 이온채널 단백질을 코딩한다. 이전에 발표된 연구에 의해 인플루엔자 A/WSN/33 바이러스가 M4 mRNA를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M4 mRNA는 54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단백질로 번역된다. 우리는 독감 바이러스 M 유전자에 또 다른 스플라이싱 부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스플라이싱 부위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A/WSN/33 바이러스 M 유전자의 스플라이싱 예상 부위를 얻었다. M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디자인하고 RT-PCR을 통해 새로운 전사체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플루엔자 A/WSN/33 바이러스가 기존에 알려진 스플라이싱 부위 이외에 새로운 스플라이싱 부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A/WSN/33 바이러스는 5' 부위에 새로운 스플라이싱 부위를 가지며, 이는 12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단백질을 번역하리라 예상된다. 우리는 이 새로운 전사체를 M5 mRNA라 명명하였다.

      • Development of Discrete Element Method (DEM) for penetration of a deformable projectile on a concrete target

        성유진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A bunker buster is a kind of bomb designed to destroy deeply buried bunkers. This bomb penetrates hardened targets or targets buried deep underground, such as military bunkers. After the penetration, a delay fuze detonates the warhead deep inside the targe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dict survivability considering penetration and perforation phenomenon during penetration in order to optimize performance of the bomb. The reliable numerical simulation is needed to analyze the impact behavior involving penetration and perforation instead of high-cost or impossible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three-dimensional discrete element method (DEM) has been developed to simulate the penetration of a deformable projectile on a concrete target. First, DEM for granular particles has been developed to simulate collision behaviors of particles. The developed DEM was validated and verified using a simulation of the impact of a sphere against a rigid wall.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analytical and experimental data in terms of the particle kinematics during and after impact. Next, DEM has been extended to account for the elastic deformation and the fracture of a concrete. The microscopic model parameters for concrete were calibrated using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During the calibration, it i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cohesion determines fracture pattern: the shear fracture only, and the shear fracture and the delamination. With the calibrated model parameters, the DEM code is verifi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palling test. Finally, DEM has been modified to account for the plastic deformation of a metal by introducing a three-dimensional bond. A particle having mass utilizes to update the locations, while a bond is essential to calculate a bonding force on each particle. Unlike above two DEM modeling, no calibration of model parameters required in this modeling. It is due to the conventional constitutive equations, which is used for stress calculation of a bond. This modeling was verifi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on Tayler impact test and was checked a possibility to reproduce spalling and scabbing phenomenon observed in penetration test. Three types of DEM modeling have a potential to extend many fields such as safety evaluation of buildings, mix design of concrete, and micro-crack propagation, and so on.

      • Nanoporous NiCo2O4 nanowire arrays enhanced with oxygen vacancy and N doping : high-performance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 and enzymeless glucose sensor

        성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Transition metal oxides (TMOs) are emerging as electrode materials widely used in energy storage devices and electrochemical biosensing fields due to their high electrochemical activity. However,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re degraded due to the limited electrochemically active sites, low conductivity, poor capacity retention and stability characteristic of intrinsic transition metal oxides. Here, I propose an effective strategy to overcome the above mentioned limitations of nickel-cobalt oxide bimetallic nanowire arrays through nitrogen doping and oxygen vacancies enhancement. The optimized electrode (N/Ov/NCO-350) provides a tunable surface nanoporous structure and beneficial electronic structure, resulting in excellent electrochemical properties with a significantly improved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sufficient electron/ion diffusion network. As a supercapacitor device, the synthesized hybrid electrode (N/Ov/NCO-350) exhibits noticeable specific capacitance of 1512.17 F g-1 at 1 mA cm-2 and high energy/power density 88.72 Wh kg-1 at 216.63 W kg-1. In addition, a non-enzymatic glucose sensor based on N/Ov/NCO-350 was designed to achieve a wide linear detection range of 0 ~ 555 μM, and an ultrasensitivity of 29,811.5 μA mM-1 cm-2. Besides, the short response time of about 2.2 s and the low detection limit of 0.02 μM (S/N = 3) of the N/Ov/NCO-350 electrode proves the fast electrochemical response rate. These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N/Ov/NCO-350 hybrid demonstrate its great potential in practical applications. The N/Ov/NCO-350 electrode, developed with an N-doping and oxygen vacancies strategy, promotes electrochemical reactions and increases in charge/discharge capacity in energy-related applications, and presents a methodology to achieve high sensitivity in biosensors. 전이금속산화물은 높은 전기화학적 활성으로 인해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전극 재료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고유 전이금속 산화물의 제한된 전기화학적 활성 부위, 낮은 전도성, 낮은 정전용량 유지 및 안정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전기화학적 특성이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 위에서 언급된 니켈-코발트 산화물 바이메탈 나노와이어 어레이의 한계를 질소 도핑과 산소 결손 강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제안합니다. 최적화된 전극(N/Ov/NCO-350)은 조정 가능한 나노다공성 표면 구조와 효율적인 전자 구조를 제공하여 크게 개선된 높은 비표면적 및 충분한 전자/이온 확산 네트워크를 이룸으로써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제공합니다. 슈퍼커패시터 소자로서 합성된 하이브리드 전극(N/Ov/NCO-350)은 1 mA cm-2 에서 1512.17 F g-1 의 현저한 비정전용량을 나타내고 216.63 W kg-1 , 88.72 Wh kg-1 에서 높은 에너지/전력 밀도를 나타냅니다. 또한, N/Ov/NCO-350 기반의 비효소 글루코스 센서는 0 ~ 555 μM 의 넓은 선형 검출 범위와 29,811.5 μA mM-1 cm-2 의 초고감도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N/Ov/NCO-350 전극의 약 2.2 초의 짧은 응답시간과 0.02 μM (S/N = 3)의 낮은 검출 한계는 빠른 전기화학적 응답 속도를 증명합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N/Ov/NCO-350 하이브리드 전극의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은 실제 응용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질소 도핑 및 산소 결손 전략으로 효과적으로 성능이 향상된 N/Ov/NCO-350 전극은 에너지 관련 응용 분야에서 충전/방전 용량 증가와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전기화학적 고감도 신호를 달성하는 방법론을 제안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