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部地方家構法'에 대한 박길룡의 평가와 개량안 : 『中部朝鮮地方住家에 對한 一考察』을 중심으로

        김명선,이정우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7

        This study investigates Park, Kil-Ryong's " A study on the housing plan of the middle area of the Jo-Seon", which dorms early phase of his thought on housing improvement. But the importance of his study has not been noticed until now.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his appreciation and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the housing plan of the middle area of Jo-W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His appreciation of traditional housing was on the functionalism and he focused on courtyard type plan. 2) But on this article, he presented three suggestions which are based on the traditional courtyard type plan. Those are unique examples considering the other housing plans of him are compact type. 3) Behind Park, Kil-Ryong's thought on the housing improvement, there is a evolutionistic way of thinking which explains housing improvement as an evolutional process, that is, the evolutionistic thinking represents all the way of life; eating, wearing and housing, rather than confines only to housing.

      • KCI등재
      • 박동진의 주택개량론 연구

        김명선 대한건축학회 대전충남지회 2002 대한건축학회 대전충남지회 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is on the Park, Dong-jin's discourse about housing improvement. He is one of Korean architects who contributed his own thinking about housing improvement to modern journals and designed several housings by following his thinking. The premise of his discourse was the rationalism and consideration of hygiene. He proposed to make a 'Mass' type of housing in which rooms are connected organically through a central corridor. He insisted on abandoning the 'On-dol' system and adapting another heating system like 'pechka'(a Russian stove) because it was technically difficult to apply this system to multi floors of housing.

      • KCI등재

        텍스트 결속 기제로 작용하는 국어 명사의 특징에 대한 연구

        신명선 한국어학회 2009 한국어학 Vol.42 No.-

        This thesis aims at describing the cohesive device of nouns that are restricted bare-predicative nouns and a part of non bare-predicative nouns For example there are 비판(criticise) 한계(limit), 문제(Problem) and so on How nouns used as a cohesive device in tex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hesive device like substitution ellipsis reference conjunction words It follow as ellipsis(l stage) →'pseud reference (2 stage) The rous that used as cohesive device will have a impact on text structure And that can be show metadiscourse function.

      •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 방법의 설계에 대한 시고

        신명선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최근 읽기를 하나의 사회적 실천(social practice)행위로 보려는 관점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진술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그 구체적인 양상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한다. 특히 사화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가 갖는 성격을 고려할 때, 적절한 읽기 방법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운다. 그러나 미리 밝히지만, 이 논문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와는 거리가 멀다. 이논문은 그러한 목적에 도달하려는 하나의 시도일 뿐이다. 사화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 방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첫째, 언어 이론과 문화 이론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언어 이론과 문화 이론의 단순한 합이나 위계적 및 단계적인 통합은 지양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텍스트의 유동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읽기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텍스트의 유동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읽기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텍스트가 고정관 실체가 아닌 동적 실체라면 이를 고려한 읽기 방법의 설계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Fairclough(1992)에 기대어 그 주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Fairclough(1992)는 담론 분석을 위해 텍스트(text). 담론적 실천(discourse practice). 사회적 실천(social practice)의 세 가지 차원을 다룰 것을 제안한다.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텍스트의 언어적 차원 즉 어휘,문법, 응집성(cohesion), 텍스트 구조 등에 대한 분석을 의미하는 것이며 담론적 실천에 대한 분석은 텍스트의 생산(production), 유통(distribution), 소비(consumption)에 대한 분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발화의 힘(the force of utterance), 결속 구조(coherence),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대한 분석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천에 대한 분석은 담론 사건(discursive event)이 사회 제도나 환경등과 어떻게 교류하여 담론적 실천의 속성을 형성하고 담론적 구성 효과(constructive effect)를 갖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텍스트,담론적 실천,사회적 실천의 세 차원은 결코 단계화 되어 있지 않다. 텍스트를 분석한 후 담론적 실천 차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적 실천 차원을 분석하는 방식은 지양한다. 사회적 실천 차원이 담론적 실천 차원을, 담론적 실천 차원이 다시 텍스트 차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이들의 관계가 결코 단계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담론적 실천 및 사회적 실천 차원에 대한 분석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서로가 엄격하게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각 차원을 분리 하여 텍스트를 읽으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다. 텍스트, 담론적 실천,사회적 실천의 세 차원을 일직선으로 나열할 때, 텍스트 차원으로 갈수록 언어 이론의 영향이 크고 사외적 실천 차원으로 갈수록 문화 이론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이들을 엄격하게 분리하려는 시도가 무의미한 것처럼 차원에 따라 각 이론의 적용 범위를 분리하려는 시도 또한 무의미하다. It's a trend to regard reading as social practice actions lately. But we haven't stated 'The reading of social practice actions' yet concretely. This paper set the goal at studying of the concrete phase.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the reading of social practice actions specially, this paper focused on searching the appropriate reading methods. This paper doesn't try to studying the goal comprehensively, but the one of trial to reach the goal. In order to design the method of reading, first, the theory of language and the theory of culture need to be integrated which doesn't purse simple mix and integration in stages. Second, it is to be chosen to guarantee the flexibility of the text which is based on not the fixed entity but the flexible entity of the text. This paper talked on the concrete method based on the Fairclough (1992) who suggest's analysis of discourse with treating of the three aspect such as text, dis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The analysis of the text means the analysis of linguistic aspect such as vocabulary, grammar, cohesion, textual,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 practice means the productions, distribution, consumption of the text, and means the analysis of the force of utterance, coherence, intertextuality concretely. The analysis of the social practice means that how the discursive event exchange's with social institution and environment, and build's up the entity of discourse practice with constructive effect. Text, di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don't exist in stages. It would be better stop analyzing social practi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 practice after analysis of the text. It doesn't means that the relations among text. Di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aren't in stages because the sphere of social practice include the sphere of dicourse practice which include the sphere of text. For example, the analysis of the text can be made simultaneously with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It is meaningless trial to read text, with dividing strictly among the sphere of text, di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When text, di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effect of the language theory is big with an inclination to the sphere of the text, the effect of the culture theory is big with an inclination to the sphere of the social practice. But as it is meaningless trial to divide strictly among the sphere of text, di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It is also meaningless trial to divide the applied scope of the sphere of the theory. It haven't been clear to answer to a question such at what is the reading as a social practice, what is the concrete method. This paper just emphasizes again the necessity of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be discussed profoundly what the reading as a social practice is and what the concrete method is.

      • KCI등재

        채팅의 '의미 함정' 현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신명선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채팅은 문자적 기호에 의한 동시적, 즉각적, 비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종류의 의사소통이다. 채팅이 갖고 있는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채팅에서는 종종 의미 함정 현상이 일어난다. 본고에 서는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채팅에서 발생하는 의미 함정 현상을 분석하고 그 국어교육적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언어가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치 중의 하나는 범주화및 분류화이다. 일반적으로 범주화와 분류화는 현실을 이해하는 용이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언어는 현실 그 자체가 아니기 때문에 언어로 명명화된 대상을 언어의 범주 내에서만 이해하고자 한다면 실체와 당연히 거리가 생기게 된다. 이처럼 어떤 대상을 그 실체와 상관없이 우리 사회가 부여하고 있는 언어적 코드(code) 속에서만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을 의미 함정(semantic trap)이라고 부른다. 의미 함정은 일반적으로 대상의 실체를 흐릿하게 하는 효과, 즉 표백 효과(blurring effect)를 유발한다. 채팅에서 발생하는 의미 함정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에 의미 함정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볼 것인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에 한해서만 의미 함정현상으로 보았다. 첫째, 어떤 사람을 그 사람의 나이, 성별, 사는 곳, '하는 일(선생님, 의사, 고등학생, 검사, 깡패, 날라리 등)에 근거해 일정한 범주 안에서 파악했음이 명확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둘째, 그러한 파악의 결과(범주화)로 그 사람의 행위나 말에 대한 일정한 판단 및 단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그러한 판단 및 단정의 결과가 의사소통 장벽(communication gap)의 원인이 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장벽은 의사소통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정의하도로 한다. 실제 채팅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채팅에서는 의미 함정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채팅이 진정한 의사소통의 도구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장벽으로 작용하는 의미 함정 현상에 대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적 대안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일반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으로, 언어 의식(language awareness)고양 교육의 강화이다. 둘째는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으로, 기자적인 접근, 목록화하기, 애매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가능한 한 양적으로 나타내기, 의사소통의 본질인 내게는(to me)을 기억해서 자신을 표현하기, 의미를 명료하게 하기등이다. Chatting is the new style communication in the point of simultaneous, immediat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using character symbol, which cause often semantic trap. This paper analyze semantic trap which happened in chatting and try to present the alternative proposal of Korean education aspect. 'Category' and 'classification' is the typical way of showing reality in language. Generally 'category' and 'classification' is the easy means to understand reality but language don't show reality itself. So understanding the objects and worlds in the language category cause gap between the language and the reality. Semantic trap is the comprehension of object and worlds in the language code made by our society and cause blurring effect that obscure the reality. To analyze the semantic trap in chatting, it is necessary to define which case is the semantic trap, this article said three condition to consider semantic trap. First, the case of comprehending someone limited in the language category based on age, sex, place to live and job. Second, the case of expressing fixed judgment and decision based on that prescribed category. Third, that regular judgment and decision cause the communication gap which obstruct the smooth communication process. The analysis result of the chatting material shows the semantic trap happened frequently. So, the education treat is needed to revise a chatting as a authentic communication tool. This paper proposed two things. First, general and macro aspect which means the reinforcement of language awareness. Second, detail and micro aspect which includes 'approach like reporter', 'making category', 'not using ambiguous word', 'expressing for <to me>' etc.

      • 木浦港의 出入港 航路에 관한 硏究

        정명선,박선규 木浦海洋大學校 1996 論文集 Vol.4 No.1

        The changes of coastal water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ur was carried out. Special problem was placed on the clarification of water level changes and coastal current structure, Daebul industrial complex and Halla shipyard etc. in this area. Specially Halla shipyard builded very large ships(more 50,000tons) continuously. And the VTS of passage need for the safety of passing ships. So I studied on the passage of Mokpo near sea area.

      • 木浦港 沿岸水域 變化와 出入港 航路에 관한 硏究

        정명선 木浦海洋大學校 1995 論文集 Vol.3 No.1

        The changes of coastal water area due to the developement of Mokpo harbour was carried out. Special ploblem was placed on the clarification of water level changes and coastal current structure and influence of the enviromental factors in this area. And the route needed for the safety of passing ships and the developement of Mokpo harbour. So I studied on these factors.

      • KCI우수등재
      • 어휘 능력의 성격을 통해 본 어휘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 연구

        신명선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2005 先淸語文 Vol.33 No.-

        A discussion on vocabulary education have a relation with the object of Korean education, As for the point of view on vocabulary in the research, the mainstream is to regard vocabulary as a tool of using Korean. These situation demand the study of two aspects. The first, the discussion how we should view vocabulary in Korean education has to proceed, in order to develop scientific system of vocabulary education, The second is to make a character of lexicon competence clear, the point of view on vocabulary is not defined because of the insufficient discussion on the character of lexicon competence which is the vocabulary educational object This paper has tried to solve those two problems, dividing the print of view on vocabulary into two point like tools and human intellect and researched the character of lexical competence which is discriminated between symbolic competence and indicative competence. the character of symbolic competence have a relation to personal knowledge and thinking ability. the character of indicative competence is centralized to the way of activity and meaning. This paper discussed that symbolic and indicative competence are a unity and proposed the complementary viewpoint of vocabul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