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태석 가야금병창<십장가>연구

        하선영 ( Seon Young Ha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4 藝術論集 Vol.14 No.-

        가야금병창은 판소리나 단가 또는 민요 등을 창자 자신의 가야금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음악장르이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가야금병창은 모두 오태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오태석은 이전 시기와는 다르게 가야금병창을 독자적인 음악장르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오태석 가야금병창 <십장가>를 중심으로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오태석의 <십장가>는 2옥타브가 넘는 넓은 음역에 계면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사설의 내용에 따라 우조로의 일시적 변조가 자주 나타난다. 오태석은 <십장가>에서 노래를 본청으로 맺지 않고 음악적 변화를 꾀하는 경우가 많다. 노래 선율이 본청이 아닌 음으로 끝날 때 오태석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야금으로 본청을 연주하여 종지를 강조하였다. 가야금으로 안정감 있게 맺어주는 것이다. 오태석의 <십장가>에 사용된 붙임새는 대마디 대장단, 밀어붙임, 교대죽 등으로 붙임새의 활용이 단순하였다. 각각의 붙임새에 따른 가야금 반주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가야금은 노래 선율의 주요음을 따라 반주하는 수성가락의 기능과 장단의 첫 박을 강조하고 맺어주는 역할, 노래 선율이 본청이 아닌 음으로 끝날 때 본청으로 종지를 강조하는 역할 등을 하였다. 오태석의 <십장가>에서 주목할 만한 가야금 반주의 특징은 판소리 고법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패턴의 리듬유형이 자주 출현하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가야금병창 발생 초기 가야금은 판소리 연주에서의 북의 기능을 대체하는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십장가>의 마지막 부분에서 오태석은 가야금으로 창자의 역할을 대신하였다. 오태석은 판소리 명창이자 가야금 명인으로서 음역은 넓고 높았으며, 반주 악기인 가야금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노래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한편 가야금으로 음악적 안정을 보강하였다. Gayageum Byeongchang is a music genre where singers sing Pansori, Tanka or folk song with their own Gayageum(12-stringed zither) accompaniment. Oh Taeseok has a different signification in that he developed Gayageum Byeongchang to a independent music genre unlike his previous time. The genre has been developed from Oh since the mid-20th century.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Oh Taeseok’s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SipJanga(Song of Ten Punishment) from the famous pansori repertorie Chunhyangga(Song of Chunhyang), Oh Taeseok’s Gayageum Byeongchang. Oh Taeseok’s Sipjanga consists of a wide range of Gyemyunjo, exceeding 2 octaves. However, temporary modulation of ujo mode often occur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ccasions. Oh Taeseok tended to attempt musical change rather than finishing the song with tonal center in Sipjanga. When the melody of song ends with note rather than the tonal center, Oh Taeseok emphasized cadence playing the tonal center with the Gayageum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at way, he ended the song with stabel Gayageum accompanying melody. The texts used in Oh Taeseok’s Sipjanga have a simple use in the strict formality with slight varia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ypes of Gayageum accompanim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texts and the melody, it was found that Gayageum has a role that emphasizes and combines the first rhythm and function of melodic improvisation which accompanies to the rhythm of central notes of song melody and that emphasizes cadence with the tonal center when song melody ends with note, not the tonal center. The notable characteristics of Gayageum accompaniment in Oh Taeseok’s Sipjanga is that rhythm types of pattern thought to be related to Pansori method often occur. From this fact, we could know initial Gayageum of Gayageum Byungchang had a role which replaces the function of drum in Pansori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Oh Taeseok replaced the function of singer with Gayageum in the last part of Sipjanga. As a master singer and master artist of Gayageum, Oh Taeseok had a wide and high range, and strengthened musical stability as well as enriching the song through utilization of Gayageum which is an accompaniment instrument.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인 수용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하선영(Ha, Seon-Young),전주성(Jun, JuS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ulticultural population acceptability scale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based on DeVellis(2003)" scale development procedur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ttending 5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13 items with the 5-point Likert scale was administered to 600 students and the data from 541 valid cases were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show that the suggested scale of 13 items with 3 sub domain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is valid to measure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acce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multiple group internal consistency, and criterion validity. This scale could be utilized to provide an empirical foundation for making policies on multicultural issues and design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