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함지율에 따른 목섬유 단열재의 이화학적 및 연소적 특성

        박세휘 ( Sehwi Park ),이민 ( Min Lee ),서푸른나래 ( Puren-narae Seo ),강은창 ( Eunchang Kang ),( Chunwon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화학제품은 환경파괴에 일조하며, 이러한 제품의 사용을 반드시 줄여나가야 한다. EPS, XPS 또는 우레탄 폼과 같은 플라스틱 단열재는 국내에서 90% 이상 사용되고 있다. 목섬유 단열재는 이러한 것들을 대체 가능한 유망한 재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지 사용량에 따른 목섬유 단열재의 최적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난연재를 MFU 수지와 혼합하여 20%에서 35%사 이의 조건으로 도포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과 연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높은 함지율에서 물리적 특성이 개선되었으며, 반면 열전도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35% 함지율을 제외하고 목섬유 단열재는 한국 기준에서 요구하는 폼알데하이드 방출 기준 Super E0 등급(0.3mg/L 이하)을 충족하였다. 목섬유 단열재의 이화학적 특성은 단열 자재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화염 연사 시험에서 20% 함지율을 제외한 모든 시편에서 화염 관통에 저항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시험에서 MFU 수지 25% 이상 도포되었을 떄 효과적인 난연 성능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냈다.

      • 밀도와 함지율에 따른 저밀도 섬유판의 음향 특성

        박세휘 ( Sehwi Park ),이민 ( Min Lee ),서푸른나래 ( Puren-narae Seo ),강은창 ( Eunchang Kang ),강춘원 ( Chunwon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주거환경에서의 소음문제 해결는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석유화학계열 또는 유기 소음재는 지속가능한 자원이 아니거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체품으로 목섬유는 좋은 친환경 흡음 소재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나무 목섬유와 MFU수지를 혼합하여 밀도와 함지율을 다양하게 조절한 섬유판을 제조하였다. 물성과, 음향특성 및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음향 특성은 섬유판 제조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낮은 밀도가 높은 흡음 성능을 나타냈다. 나아가 함지율을 낮게 조성한 시편에서 낮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성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된 섬유판들은 섬유판 기준에서 요구하는 물리적 성능을 모두 충족하였다. 밀도가 증가할수록 치수안정성과 휨강도가 증가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함지율은 물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형태 관찰에서 밀도와 함지율의 차이에 따른 공극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공극은 소음 감소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저렴하고 환경적인 섬유판의 장점으로 인해 기존 흡음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국내외 목구조용 판상재의 규격 조사 및 분석 (파티클보드 및 섬유판)

        박세휘 ( Sehwi Park ),이민 ( Min Lee ),서푸른나래 ( Puren-narae Seo ),강은창 ( Eunchang Kang ),( Chunwon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국내 경골목구조 시장에서 전단벽에 해당되는 구조용 판상재는 대다수 수입산 OSB에 의존하고 있다. 제품의 국산화를 위한 목질판상재를 개발하고 새로운 벽체 시스템을 만드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국내 OSB 생산 라인의 부재로 인해 PB 혹은 MDF로 대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국내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국외에서 구조용 판상재에 적용되고 있는 기준들을 조사하였으며, 향후 이를 토대로 국내실정에 맞는 새로운 규격을 제정하고자 한다. 일본(JIS), 유럽(EN), 오세아니아(AS/NZS)와 국제기준(ISO)을 참조하여 휨강도, 박리강도, 흡수두께팽창률, 함수율,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등이 도출되었다. 구조용 판상재 9mm 기준으로 도출된 값은 지역마다 구별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PB 휨탄성계수는 1900에서 3350까지의 범위로 나타났다. 유럽과 국제규격에서는 가열-냉동-건조를 반복하는 Cyclic test가 수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못관통력과 못측면저항이 측정되었다. 국내 기준은 구조용 판상재에 등급이 없기 때문에 수치를 반영하지 않고 수행되는 시험종류만 표시되었다.

      • 국내유통 구조용 OSB의 성능평가

        박세휘 ( Sehwi Park ),이민 ( Min Lee ),서푸른나래 ( Puren-narae Seo ),유명진 ( Eunchang Kang ),강은창 ( Myongjin Yu ),( Chunwon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국내 목구조 시장에서 전단벽체 또는 바닥용 벽체는 대다수 수입산 OSB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국내 생산라인 부재와 구조용 판상재에 해당 국내 기준이 없어 PB나 MDF와 같은 다른 보드로 대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OSB의 성능을 평가하여 이로부터 올바른 성능을 도출하고 나아가 국내 실정에 맞는 기준을 제정하고자 하는 목표가 수립되었다. 먼저, 해외구조용 판상재로부터 시험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맞추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북미산, 유럽산, 중국산, 동남아시아산 OSB 9종에 대한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물리적 성질, 역학적 성질, 폼알데 하이드 방출량 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목조건축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조용 휨강도 시험이 추가되었다. 용도 (바닥용, 벽체용) 및 두께 (11mm, 15mm, 18mm)로 구별하여 비교조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제품들은 목표 밀도와 두께의 허용범위 안에 제조된 점을 확인하였다. 부분밀도 조사결과 전 시편에서 전반적으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휨강도와 박리강도 시험은 지역별 수치가 큰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높고 낮은 수치간의 차이가 3배 이상 나는 경우도 있었다. 못관통력 및 못측면저항 시험은 전 시편에서 요구 성능을 충족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국내에 유통되는 구조용 OSB의 전반적인 성능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국내 실정에 맞춘 구조용 판상재 제조 연구에 반영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융합전공의 운영 실태와 영향 요인 분석 : A 대학교 사범대학 학생들의 융합전공 이수 경험을 중심으로

        김경민 ( Kim¸ Gyeongmin ),박세휘 ( Park¸ Sehwi ),홍수민 ( Hong¸ Soomin ),변기용 ( Byun¸ Kiyo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A 대학교 사범대학 학습자들의 융합전공 이수 경험을 사례연구함으로써 융합전공 운영상 나타나는 문제점과 영향 원인을 파악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사범대학 소속으로서 융합전공을 이수 중인 15명의 학생과 전공주임 교수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했다. 자료 분석은 기노시타의 수정 근거이론 접근법(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사범대학 학습자들의 관점에서 볼 때 융합전공의 운영과정 전반에 걸쳐 교과 간 융합의 모호성, 행정 서비스의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타 대학 주관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사범대학 학생들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적절한 배려를 받지 못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1) 학습자 차원(융합전공에 대한 이수 준비도, 진로의식, 새로운 것을 수용하는 긍정적 학생의 태도 여부), (2) 주관대학 차원(융합전공과 이수 학생에 대한 교수자의 관심과 지원 부족, 융합전공과 이수 학생에 대한 주관대학의 행정적 관심과 전반적 지원 부재, 타 대학 융합전공 이수자들에 대한 주관대학의 체계적 정보제공 미흡), (3) 대학 본부 차원(융합전공 도입·운영에 대한 대학 본부의 몰이해와 목적의식 부재, 대학 본부 차원의 체계적 융합전공 운영·관리 체제의 부재, 융합전공에 대한 대학 본부의 행·재정적 지원 부족) 등 다양한 층위의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A 대학교 융합전공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해결방안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is case study aims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ystem at A university by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contextual factors of convergence major implem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ing students majoring in convergence major at A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To this end, researchers held an interview with 15 students and two professors who are assigned to convergence major at A University.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Kinosita’s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M-GTA).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belonging to college of education, several problems such as ambiguity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lack of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found through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whole convergence major. In particular, students from college of education who complete convergence majors organized by other colleges were suffering from lack of proper consideration for school internship practice. These difficulties are at the individual level (readiness for convergence majors, career awareness, positive attitude of students accepting new things), lack of interest and support from faculty members, and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convergence majors from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ers proposed a couple of solu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convergence major in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 SCOPUSKCI등재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aulownia tomentosa Root Wood

        Yue Qi,Jaehyuk Jang,Wahyu Hidayat,Aehee Lee,Sehwi Park,Seunghwan Lee,Namhun Kim 한국목재공학회 2016 목재공학 Vol.4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several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aulownia tomentosa roots. The root wood wasseparated into three parts from stem base (top, middle, and base) at different positions below ground. Qualitative anatomical data suggested that the growth rings in earlywood and latewood were structurally different. Furthermore, the root wood vessels were found having 2 to 3 radial multiples and they were appeared in theform of clusters. In addition, some sheath cells and septate axial parenchyma were observed. Regarding the quantitative anatomical characteristics, vessel and ray numbers per mm2, as well as ray width and height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op, middle, and base rood wood par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ssel diameters, cell wall thickness, and width and length of wood fibers among those parts. The crystallinity of the root top par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and base parts. Furthermore, the vessel numbers, ray numbers, and ray width and height in the near pith (NP) area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in the near bark (NB) area. However, the fiber width and fiber length at NP were lower than those at NB.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p, middle, and base parts of root wood from Paulownia toment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