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학 전 정상구어발달 아동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서경희(Sehr, Kye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은 자연스럽고 빠르게 모델링했을 때 4~6세 37명이 산출한 조음교대운동(DDK) 결과를 통해 모음구 조의 DDK도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했고, DDK속도와 함께 조음오류 빈도와 유형 및 규칙성도 분석해야 말장애 아동의 조음능력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자모음(예: ‘퍼’)과 모음(예: ‘아이’)의 음운 구조를 반복 산출한 자료에서 각 검사음을 반복한 횟수, 오류 빈도, 오류 유형 및 규칙성(DDKsdp)을 측정했다. 그 결 과, 조음교대운동 평균 속도는 연령과 함께 증가했으나, 음운 구조나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DDK 수행 시 나타난 실수를 분석한 결과, 4세의 오류빈도는 5세 및 6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DDKsdp에서 표준화된 발음검 사 점수와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This paper ai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DDK performances of 37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ange of 4-6 years. DDK tasks included with the Consonant-Vowel(CV) syllables and with the Vowel-Vowel(VV) syllables. For DDK rate, all spoken AMR and SMR in one second were measured by Multi-Speech, and analyzed with Motor Speech Profile for DDK regularity. Error frequency and type in DDK performance were transcribed and auditorily judged by two professional speech pathologis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follow as: First, DDK rate became faster as the age of children were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ag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V and VV syllables of DDK tasks. Third, the frequency of articulatory error in DD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ge of 4 than other two groups.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언어장애 진단을 위한 조사연구

        서경희(Sehr, Kye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은 충남 OO군에서 4년 동안 만 3~6세 총 193명 아동에게 실시한 말․언어장애 검사 결과를 기초로 아동언어장애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알아보았다. 공식언어검사의 민감도가 낮고, 장애판정 가능성이 높은 아동이 치료에 의뢰되는 비율이 낮으며, 아동과 친숙한 사람의 보고형 체크리스트가 장애 진단에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 다. PRES, REVT, KOSECT 및 APAC의 결과가 3%ile미만이면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했고, 5, 6세 아동의 교사 에게 CCC2를 실시해 보고형 검사가 장애판정에 유용한지 조사했다. 장애로 판정받은 아동은 89.4%(민감도), 정상아 동은 76.3%(특이도) 구별했다. 언어장애 가능성이 있는 아동이 치료에 의뢰되었는지 조사한 결과, 민감도 10.5%, 특이 도 99.2%였다. CCC2의 GCC는 장애 가능성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 total of 193 children between three and six years of age were given tests by using the PRES, REVT, KOSECT, and APAC. A specificity between referred and non-referred cases was not high. In the current study, the sensitivity of formal tests was insufficient. But combining of parental report with formal language tests could provide good criteria for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The CCC-2 may provide an effective means to identify language difficulties using a standardized approach.

      • KCI등재후보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mongst Ugandan Sesame (Sesamum indicum L.) Landraces Based on Agromorphological Traits and Genetic Markers

        Eva M. Sehr,Walter Okello-Anyanga,Karin Hasel-Hohl,Agnes Burg,Stephan Gaubitzer,Patrick R. Rubaihayo,Patrick Okori,Johann Vollmann,Paul Gibson,Silvia Fluch 한국작물학회 2016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9 No.1

        Sesame (Sesamum indicum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cient oilseed crops grown throughout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In Uganda, most of the cultivated sesame varieties are local landraces which are frequently traded between farmers. Although these traditional landraces are an important source of genetic diversity, knowledge of their genetic diversity is still limited. Agromorphological traits and a set of published and newly developed microsatellite markers were analyzed on a collection of 121 accessions of Ugandan sesame landraces. CpSSR analysis revealed four haplotypes, whereby haplotype B was present in 96% of the individuals. The analysis of nSSR markers from 6 non-coding regions revealed a mean PIC value of 0.56 whereas the PIC value of eight selected EST-derived SSRs was 0.26. Accession-wise, the expected heterozygosity (He) varied from 0 to 0.396. AMOV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variance occurred among the individuals accounting for 75% of the total variation, only 6% was attributed to differences among the districts, pointing towards a high gene flow (Nm = 4.476). These results are supported by the PCoA analysis as well as the NJ tree both of which revealed no clustering of the accessions according to their geographic origin. Als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10 agromorphological traits indicated no clear pattern related to the geographic origin. Such a poor grouping, indicative of considerable gene flow across geographic domains, could be explained either by a high outcrossing rate, and/or through extensive seed trading.

      • 언어재활사의 언어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실태 조사

        서경희(Kyeunghee Sehr),유진(Jin Yu),정한진(Hanjin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가 현장에서 행하고 있는 언어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현재 여러 가지 면에서 문제점이 있는 언어장애 판정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자료 조사는 google 설문지를 이용했고 문항은 총 47문항으로 언어재활사(언어치료사)를 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 개인정보에 관련된 문항 7개, 영유아기 언어장애의 의뢰 및 선별에 관련된 문항 7개, 언어장애 진단의 필요성에 관련된 문항 4개, 영유아기 언어장애 진단에 관련된 문항 10개, 검사 실시와 결과의 해석에 관련된 문항 11개, 진단평가 결과의 공유와 관련된 문항 5개, 개선방안에 대한 문항 3개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응답에 참여한 73명 중에서 여자가 63명으로 86.3%였고 남자는 10명으로 13.7%였다. 석사학위 소지자가 43명(56.6%)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30대의 비율(47.4%)이 가장 높았다. 또, 언어치료사로 일한지 5년 이상~10년 미만인 응답자의 비율(43.4%)이 가장 높았고, 근무처는 전문언어치료센터(36.8%)가, 취득한 자격증은 언어재활사 1급 자격증 소지자의 응답 비율(53.9%)이 높았다. 응답자들은 아동언어장애 사례를 가장 많이 치료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67.1%로 가장 많았다. 진단평가는 주로 보호자의 의뢰(84.2%)로 이루어지며, 2세(27.6%), 3세(38.2%)가 가장 많이 언어장애 진단평가에 의뢰되고 있었다. 언어장애에 대해서는 학령전기의 경우, 주로 언어지연(72.4%)으로 진단하고 있었으며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거나 기질적인 이유가 없으면 장애진단은 이른 것 같다는 등의 이유로 ‘언어장애’라고 진단 내리지 않고 있었다. 영유아기 언어장애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전문가는 ‘언어재활사’(90.8%)라고 대부분이 생각하고 있었고 어린이집/유치원교사(36.8%)와 진단 평가 과정에서 가장 많이 협력하고 있는 전문가였다. 진단을 위해 2회기(34.2%), 2일이나 1주(38.2%) 정도 소요되고 있었으며 영유아기 언어장애에 대한 기준은 ‘12개월 지연’(34.2%)이 가장 많은 이가 선택한 기준이 되고 있었다. 영유아기 언어장애 진단영역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은 언어장애로 진단하기 위한 세부적이고 공통된 근거의 마련, 다양한 언어 검사도구 개발, 언어 검사 관련 연수, 언어장애 진단에 필요한 비공식검사의 개발, 관련 전문가와의 협력, 언어진단평가 관련 모임의 활성화 등이라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장애 진단

        서경희(Kyoung-Hee Sehr),유진(Jin Yu)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6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4 No.2

        본 논문은 학령전기 아동 149명에게 표준화된 말·언어검사를 실시하고 -1.25SD 이하와 -2SD 이하의 및 언어검사 결과 중 가장 높은/낮은 규준점수의 적용에 따른 네 가지 준거 유형에 따라 언어장애의 출현율을 비교해서 언어재활의 합리적인 기준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규준점수가 엄격해질수록, 언어검사의 규준점수 중 낮은 것을 선택할수록 언어장애 출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준거유형이 출현율에 영향을 미쳤다. 검사의 특이도와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최소한 두 언어검사를 실시하고 가장 높은 규준점수로는 10퍼센타일(-1.25SD) 이하의 준거를 가장 낮은 규준점수로는 3퍼센타일(-2SD) 이하의 준거를 적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제안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according to type of criteria. A total of 149 children between 2;6 and 6;6 were given tests by using the PRES, REVT, and APAC. Children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SSD, LD, SLD, TD) according to the norm criteria for language & speech tests. .A prevalence of LD was influenced when criteria were -2S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of criteria affects the prevalence of LD.

      • KCI등재

        CCC2를 이용한 아동 의사소통 능력 발달연구

        서경희(Kyoung-Hee Sehr)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5 No.-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ge group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ypical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between three and six years of age. They were examined using the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2(CCC2). Th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were investigated. For each scale of the CCC-2, the means & standard deviations of raw scores showed a decrease with respect to age. The performance of the three-year-old children differed on the Speech, Semantics and Stereotyped language subscales for the 4, 5, & 6-year-old children; and on the Syntax, Coherence, Inappropriate initiate, and Use of context subscales form the 5 & 6-year-old children. Three-year-old children differed from the five-year-olds o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 subscales. Boys performed similarly to girls except on the Semantics scale. The CCC-2's internal reliability was near normal range in the Speech, Syntax, Semantic, and Social relations subscales. On the Stereotyped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ubscales, the internal reliability was not high. This inconsistency could be explained by parental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s well as cultural sensitivity. The CCC-2 may provide an effective mean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pragmatic language difficulties using a standardized approach.

      • 생성이름대기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서경희(Kyoung-Hee Sehr)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과 높은 읽기 기술이 요구되는 4학년의 생성이름대기(GN: 의미 및 음소)에서의 군집과 전환, 빠른 자동이름대기(음소 RAN)에서의 수행능력을 일차적으로 조사했다. GN과제에서 전환의 수, 총 개수 평균이 2학년보다 4학년이 높았다. 이는 군집크기 변화보다 전환의 수 증가가 총 개수에 오히려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과제별로 살펴보았을 때, GN보다 음소GN에서 모든 학년에서 평균이 낮았다. 음소GN의 경우 학령기의 문식성을 반영하므로 신경학적 경로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GN과제의 군집과 전환에서 학년별 평균 차이와 어휘능력과의 관련성을 시사하는 점은 아동의 어휘 및 인지 능력에 대한 또 다른 지표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평가 결과

        서경희(Kyoung-Hee Sehr)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집 아동 2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표준화된 언어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발달장애 의심군, 위험군, 전형적인 언어발달군으로 판정한 후 이를 연도별 및 연령별로 비율을 산출하고 경향을 보고하고 있다. 판정 기준은 자연주의자의 엄격한 기준을 따라 평균으로부터 2SD이하(3퍼센타일미만)인 경우를 언어발달장애 의심군으로 했다. 결과, 전체 아동의 8%가 이에 속했고, 29%는 위험군으로 판정되었다. 기존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비율로 검사의 민감도나 SES를 고려함과 더불어 여러 관점에서 진단판정을 해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 여성 성인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서경희(Kyung-hee Sehr),정한진(Han-jin Jeong)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5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3 No.1

        본 연구는 청각 장애인 여성 성인의 음향 매개 변수(F0, F1, F2)를 비교, 분석하여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재활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첫째, 청각장애 여성의 F1, F2는 모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F0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건청 여성의 F1, F2는 모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F0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청각장애 여성과 건청 여성의 F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1, F2의 경우는 청각장애인이 건청 성인보다 모음을 중성화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ome acoustic parameters(F0, F1, F2) of the hearing impaired female adults and to suggest a basic data on speech rehabilit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First, in the case of the hearing impaired group, F1, F2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0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the normal-hearing group, F1, F2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0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hearing-impaired and the normal-hearing F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 F2 is obtained if the same result as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hearing-impaired have a vowel neutralized than the normal-hearing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