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K-디자인 현상 비평

        김상규(Kim Sangkyu)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한 나라의 디자인 경향을 표현할 때 국가명을 앞세우곤 한다. 국내에서는 한국 디자인이라고 표현되어왔으나 근래에는 K-디자인이라는 용어가 매체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접두사로 대문자 K를 쓴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는 한류 현상과 연결되어 있다. K-디자인은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공표한 것으로, 역시나 한류의 후광효과를 기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류의 특성과 비교할 때 K-디자인은 한류와 연계성이 낮고 과거의 디자인 진흥 정책을 이어가면서 새 이름을 부여한 것이다. 공공기관에서 사업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브랜딩 전략을 취할 수 있으나 현재의 용어 의미를 분석했을 때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의 공감대가 없고 국가 중심의 디자인 인식을 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 분야의 성과는 공공의 지원이 일정 역할을 담당한 결과로 볼 수 있지만 한류 현상에서 파생된 이름으로 공식화하는 것은 분야의 고유 특성과 개인들이 성취한 다각적인 성과를 무색하게 한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K-디자인을 성찰적으로 분석한 내용이다. Recently, the term ‘K-design’ has begun to appear in the media. In an increasing variety of fields, experts are using ‘K’ as a prefix,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Hallyu phenomenon. In design, the KIDP officially announced and began to use K-design as an attempt to gain the halo effect of the Hallyu wave. However, it is harder to find in K-design Hallyu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 in other fields. Rather, K-design is a new name the KIDP declared in the institution’s continuing design policy-making processes and their practices. Public institutions do often use brand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ir programs. What is problematic in this case is the lack of consensus on the current use of the term amongst the design experts and that it is constituted mainly based on a state-centered perception of design.

      • 교육개혁론의 시점

        김상규(Sangkyu Kim)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문제연구 Vol.26 No.2

        교육부의 폐지 또는 개편 논의는 2000년 이후 정권변동기에 제기되고 있는 교육개혁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에서 제기된 중앙교육행정기관 폐지 논의의 역사성을 살펴보고 계속된 폐지논의에도 불구하고 제도가 유지되고 있는 역학관계를 역사적 제도론적 접근방법에 의거 고찰한다. 역사적 제도론에서는 제도의 형성·유지·변화를 ‘경로의존성’, ‘균형단절’, ‘중대국면’ 등의 개념을 들어 설명하는데,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에서의 중앙교육행정기관 폐지 논의는 정치체제의 변화라는 ‘중대국면’에서 생겼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각국에서 교육부처가 폐지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것은 제도의 안정성 및 계속성, 변화에 대한 저항력, 즉 ‘경로의 존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에서의 중앙교육행정기관 개혁 논의의 역사성 및 특징의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행정 개혁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Since 2000, arguments on abolition or restructuring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is being an important political agenda.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ospective candidates also claime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the top agenda of educational reform. This study narrows down on the history of arguments and dynamics concerning aboli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y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y historical institutionalist, institutional formation, maintenance and change are analyzed in line with “critical juncture”, “punctuated equilibrium”, and “path dependence” as concepts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Discussions on abolition in three countries, meanwhile, have a lot common as “critical juncture” due to the change of the political system. Furthermore, what the institutions are maintained without being abolished can be explained by “path dependence”. This study overviews the history and contexts of the arguments on a refor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y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gives consideration directions about refor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디자인 뮤지엄의 쟁점에 관한 연구

        김상규(Kim, Sangkyu)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1

        연구배경: 모던 디자인의 유산을 기반으로 세계 주요 도시에 설립된 디자인뮤지엄은 21세기 상황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이 질문은 디자인뮤지엄의 동시대성에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미 서구의 박물관들이 21세기의 변화된 모델을 모색해왔고 국립디자인박물관 설립이 추진중인 국내 상황에서 중요한 쟁점이 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쟁점 비평의 접근 방법으로 디자인 뮤지엄을 다룬다. 우선, 전통적인 뮤지엄과 차별화된 유형을 보이는 주요 사례들을 발굴하고 근래에 발표된 뮤지엄 이론들을 토대로 뮤지엄의 환경변화에 따른 21세기 모델을 설정한다. 이를 근거로 오늘날 디자인뮤지엄을 둘러싼 쟁점을 정리하여 디자인뮤지엄의 동시대적 가치와 디자인뮤지엄 연구의 방향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디자인뮤지엄은 아트뮤지엄의 장르 확장으로 보거나 디자인 컬렉션 중심의 기관으로 인식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디자인 활동 뿐 아니라 디자인을 경험하는 생활 세계의 기록, 보존, 해석, 연구가 이루어지는 구심점이 된다는 것이다. 결론: 이 디자인뮤지엄의 쟁점들은 결국 21세기의 디자인 뮤지엄 모델로 귀결된다. 즉, 모던디자인의 유산을 소장하는 틀에서 벗어나 동시대적인 가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디자인사, 디자인 연구의 접근방법에서 박물관학, 기록학, 고고학적 접근방법의 수용으로 전환하여 디자인뮤지엄의 모델을 만들 연구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Design museums began to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odern design history. However, it is still arguable if design museum is meaningful in the 21st century cultural context as it may cause a dispute on the meaning of contemporaneity. Experts of design museums in the West have explored new models for design museum. In the Korean situation, particularly when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Design Museum is in progress, its existential meaning can be an important subject of discussion more than ever. Methods: This study deals with design museum as a subject of critical discussion. First, I search for primary examples that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sense of museum. I, then, set up a model for the 21st century museum based on recent museum theories, considering changes of museum environment. Grounded on these examinations, I draw the contemporary meanings and the value of design museum and the research direction for design museum of the new century. Result: Design museum is not merely an extended version of art museum nor a collection institution for design items. Rather, it has its importance, functioning as a hub not only for design activities, but for design archive, preservation and research of contemporary living world. Conclusion: Such issues on design museum provide a basis upon which to explore a new model for design museum of the 21st century. That is, design museum of the new era is no longer a collection of modern designs heritage, but it is a space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value of contemporary values. This new model requires a transition from research approaches limited to design history to an extended studies embracing museology, archive studies and archaeology, which suggest and bring up new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분리 상태를 고려한 탄성마찰시스템의 임계 쐐기 계수

        김상규(Sangkyu Kim),장용훈(Yong Hoon Jang)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20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지 (Tribol. Lubr.) Vol.36 No.6

        Wedging in a frictional elastic system is defined if the state of stick exists after the external loading on the system is removed.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determine the critical coefficient of wedging for an elastic frictional system by considering the separation state. Wedging is always possible if the coefficient of friction exceeds a critical value known as the critical wedging coefficient. This method requires two concept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wedging, which can be interpreted as positive spanning sets of constraint vectors existing in the wedged system, and the minimal positive basis that enables a minimum wedging coefficient. The algorithm based on the positive spanning concept is repeatedly executed after eliminating nodes from the contact stiffness matrix, for which the separation states are impend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nce a node enters the separation state, it never returns to the contact state again and the critical wedging coefficient reduces during repeated algorithm execution. The benefit of this method is that the computation time permits handling models with large numbers of contact nodes. The algorithm can also numerically find the critical wedging coefficient, thereby contributing to fastening and assembly performance improvements in mechanical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