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iscussion of Richard J. Samuels's Machiavelli's Children: Leaders and Their Legacies in Italy and Japan

        T. J. Pempel,Sheldon Garon,Junko Kato,Yves Tiberghien,Richard J. Samuels 동아시아연구원 2006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6 No.1

        Richard Samuels book, Machiavelli's Children: Leaders and Their Legacies in Italy and Japan raises a number of important issues concerning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role individual leaders can play in a nations history. This is a roundtable involving four critical essays and the authors response. Discussion centers on the book, its methods, its broader applicability and the ways in which it dovetails with other intellectual concerns, particularly as these apply to contemporary East Asia.

      • 공정한 한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 칼빈의 견해를 중심으로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1 고신신학 Vol.- No.13

        본 논문은 한국 교회가 공정한 한국 사회 실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고찰함에 있어서 제네바의 종교개혁자 존 칼빈 (John Calvin, 1509-1564)을 모델로 삼았다. 16세기 사회적 상황에서 칼빈의 공정성 (fairness) 이해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기초로 한 개념이며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율법을 지키고 상호간에 사랑의 직무를 행하는 것에 집중된다. 여기에서부터 곤경에 처한자에 대한 배려가 도출되며 다른 사람의 소유를 존중하는 정신도 생겨난다. 공정한 제네바 사회를 위한 칼빈의 역할은 크게 법률 전문가로서의 역할, 교회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나누어서 생각될 수 있다. 먼저 법률전문가로서 그는 <교회법령>을 작성하여 교회내에서 협력정신과 질서를 확립함으로써 공정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제네바 시에서 제네바시민법 개정에 동참하였고 사치금지법을 위시한 다양한 법률제정에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서 공정한 사회 실현에 이바지 하였다. 공정한 제네바 건설을 위한 칼빈의 실질적 역할은 그의 교회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집시제도의 확립을 통해서 제네바의 구빈원의 내실있는 운영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가난한 자들이 더욱 공정한 환경 속에서 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었다. 프랑스 기금은 제네바에 정착한 프랑스피난민들을 돕기 위한 일종의 자발적 제도로서 구호활동 뿐 아니라 모든 피난민들의 자녀들에게 그들의 능력에 걸맞는 교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공정한 제네바 실현에 기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칼빈의 본보기로부터 한국교회가 공정한 한국사회 구현을 위해서 공헌할 수 있는 바를 다음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안했다. 사회봉사를 위한 예배와 교회 교육의 회복과 실천, 집사제도의 재고를 통한 교회 내의 공정성 확보, 기독교 윤리의 보편성에 나타난 공정성에 대한 강조, 사회봉사에 있어서 전문성 확보를 통한 공정성의 확립, 사회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천.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of Korean Church to the realization of fair Korean society. It is the author's conviction that Calvin's role in development of fair society in Geneva during 16th century can function as a good model for accomplishing our purpose of achieving a fair Korean society and the role of Korean church for this purpose. In 16th century social setting, Calvin's understanding of fairness in Genevan society was largely based upon the concept of love for God and love for the neighbor. Fairness was sought on none other than the law of God showing great respect for divine love and its actual in terms of concern and care for the poor in the society. Calvin's practice for a fair society can be summarized in two categories of his ministry. First, Calvin pursued fairness as an expert in the field of law. He had written not only Ecclesiastical Ordinances (1541) for the Genevan church but also civil laws in the city including various laws. In Ecclesiastical Ordinances Calvin was able to show forth the concept of fairness by emphasizing corporate solidarity, collegiality, and euality among the pastors within the Genevan Church. Also he had indirectly influenced the legislation of the sumptuary law which was an attempt for equality to be reinforced regardless of one's status. Second, Calvin pursued fairness in society as a church minister. His influence can be seen in the establishment of deacons for properr care of the hospitals and Bourse française. Hospitals in Geneva, even though not 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hurch, had exercised the duty of taking care of the poor with fairness. Bourse française had provided fair opportunities to the French refugees in Geneva for them to realize their potential by preparing funds, educational facilities, etc. In light of Calvin's ministry in Geneva, fiv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Korean Church to possibly contribute for establishing a fair Korean society: recovery of worship and education for social service in the church, reconsiteration of the current office of deacon in the church, emphasis on the universality of Christian ethics as a proper element for accomplishing fairness in the society, necessity for acquiring expertise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s in the church, necessity for education toward society.

      • 성화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칼빈의 이해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0 고신신학 Vol.- No.12

        Calvin's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a vital portion of his soteriology. In his discussion of salvation, his viewpoint is clearly seen in the title of Book 3 of Institutes, 'the way we receive the grace of Christ'. However, almose all the works dealing with this doctrine have not been mainly studied from his understanding of grace. Most of them starts their discussions from human situation associated with the progress of salvation. This articles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d reevaluate this doctrine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grace. Calvin's understanding of grace can be explained by his concept of the holiness of God. In Calvin's thought there are wrath and judgment of God as he faces human evil arising out of sinfulness. But he refuses to consider divine holiness as one of the attributes of God. On the contrary Calvin understandings it as one of the attitudes of God regarding human. This kind of understanding enables him to see that grace is already included in the concept of holiness. Based upon such concept of holiness, Calvin starts to see sanctification as one's consecration to God. Consecration means to acknowledge self-denial before God knowing one belongs to God. It is possible only when one has faith in God and Christ. The sanctification of Christ shows that He had been cleansed before his actual engagement with the work of propitiatory work of redemption. The sanctification of church cannot be thought apart from both consecration to God and sanctification of Christ. Her holiness cannot be acquired from her own ability alone. It is given to her by the holiness of Christ as the result of his offering himself to God. Thus the sanctification of church is actually realized in the rule of Word and Spirit. Lastly, the role of grace in sanctification is discussed in terms of Word, repentance and human action. First, Word is considered as the instrument of grace even though Calvin prefers to have an expression, "Grace is given in the Word." Second, repentance is totally dependent upon the grace of God. It is not possible by the assisting grace of God as Roman Catholics have argued. Calvin's emphasis is on the adjective 'total' in his explanation of the necessity of divine grace in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He praises the excellence of grace in comparison with human weakness. This is the reason why we need to continuously seek his grace in our repentance and thus sanctification. Third, human action cannot be accepted by God apart from his grace. Human actions can have value only it is accompanied by divine grace. The reason, first of all, has every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all human actions in sanctification are encouraged and made possible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God cannot reject the results of the sanctifying work of his own Spirit. Another reason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human actions in sanctification are indeed activities of promoting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and are glady accepted by him. 칼빈의 성화론은 그의 구원론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그는 구원을 논함에 있어서 이를 '그리스도의 은혜를 누리는 방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한다. 그러나 칼빈의 성화론은 지금까지 대부분 그의 은혜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는 구원의 진보와 관련된 인간의 상황이 성화론 논의의 출발점이었다. 이제 그의 성화론은 하나님의 은혜를 중심으로 새롭게 고찰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칼빈이 은혜를 이해함에 있어서 하나님의 거룩을 그 정초로 삼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이런 이유에서 그의 성화론은 하나님의 거룩 이해에 근거한 은혜로부터 고찰되어야 한다. 칼빈은 하나님의 거룩의 본질에 죄악으로 가득찬 인간을 향항 진노와 심판이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는 거룩을 하나님의 속성이 아니라 그가 인간을 대하시는 태도로서 이해함으로서 그의 거룩에 대한 이해에는 은혜의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거룩에 대한 개념을 정초로 칼빈은 성화를 하나님께 드리는 자기 헌신으로 파악하는데 이는 자신이 하나님께 속한 존재이며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가능한 것인데 이는 성령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스도의 성화는 그가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는 사역으로서 먼저 자신을 정결하게 하시므로 온 인류의 죄악을 대속하시게 된 것이다. 하나님께 자신을 드리는 성화와 그리스도의 성화를 통해서 교회의 성화가 이루어진다. 교회의 거룩함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죽음으로 획득하신 거룩함이 부여된 결과이다. 따라서 교회의 성화는 구체적으로 말씀과 성령의 통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성화에 있어서 은혜가 어떤 역할을 차지하는 가에 관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첫째, 말씀은 하나님의 은혜를 인간에게 가져다 주는 수단에 해당된다. 칼빈은 이를 말씀 안에서 은혜가 주어진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둘째, 로마 가톨릭의 잘못된 가르침에 대항하여 칼빈은 회개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은혜가 인간이 회개하도록 도우는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은혜 없이는 회개와 성화가 불가능하다고 밝힌다. 우리가 지속적으로 회개하고 은혜를 간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서 칼빈은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과 인간의 연약함을 대조하면서 강조한다. 셋째, 인간의 행위는 그 자체로서 결코 하나님께 인정받을 수 없는 것이다.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만 행위는 수용되고 인정된다. 왜냐하면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인간의 행위로서의 성화는 바로 하나님 자신의 영의 행위이므로 이를 하나님께서 인정하시지 아니할 수 없으며 이는 또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도록 만드는 행위이므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칼빈은 성화에 있어서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가 지속성을 지닌다고 강조하면서 이러한 지속성이 은혜의 성장을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 칼빈과 판넨베르크의 섭리 이해에 나타난 창조의 역할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2 고신신학 Vol.- No.14

        종교개혁자 칼빈은 섭리 이해에 있어서 하나님의 최초의 행위인 창조에 드러난 그의 무한한 능력이 보존과 통치를 가능하게 한다는 관점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칼빈은 특별히 자연의 보존과 관련한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을 그의 <욥기설교>에서 이를 정확하게 묘하사는 가운데 하나님의 주권을 높이고 찬양한다. 판넨베르크의 섭리 이해는 보존, 통치, 협력이라는 기본적 골격에 있어서 칼빈과 유사한 차원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섭리 이해는 그가 진화론을 수용한 결과 사실상 하나님의 무한한 능력에 대한 강조보다는 진화를 통한 자연의 역할 자체에 더욱 집중하는 가운데 창조에 나타난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관점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Reformer John Calvin, in his understanding of providence, strongly emphasized the power of God in creation which made possible preservation and government. In his Sermons on Job, Calvin particularly showed his keen interest in describing the omnipotent power of God. By doing so it was possible for him to magnify the power of God. Pannenberg's understanding of providence is located within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preservation, government and concurrence. Nevertheless, as a result of accepting theory of evolution, providence is no thought of from the viewpoint of power of God revealed in creation. Instead his understanding is geared toward the power of nature in realizing its inherent power in providing explanation for providence.

      • Reconsidering Bathsheba’s Story from an Asian Perspective

        Samuel Cheon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12 No.-

        The story of Bathsheba in 2 Samuel 11 is one of the most tragic narratives in the Hebrew Bible. It describes how a king’s lust drove him to destroy cruelly the family of a loyal soldier. Its characters, including David, Uriah, Bathsheba and Joab, were involved in this tragic event—an event which distorted their lives. For example, David, the king of all Israel, had been blessed and the recipient of promises through the prophet Nathan (2 Samuel 7), but, for this incident, he angered God and as a consequence his house was involved in serious trouble (2 Sam 12.10). Though Uriah was very faithful to his king, his master killed him for this scandalous event. Bathsheba was the wife of a loyal soldier, but, because of this incident in which she became an object of the king’s lust, was deprived of her loving husband and lost the unexpected child conceived through David, and was later part of the power struggle in the Davidic pal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