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enorhabditis elegans 생체대체모델을 이용한 한국 영유아분변 유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in vivo 장 우점능 검토

        박미리,정은선,오상남,송민호,두재균,정용섭,문용일,김영훈,Park, Miri,Jeong, Eun-Seon,Oh, Sangnam,Song, Min-Ho,Doo, Jae-Kyun,Jeong, Yong-Seob,Moon, Yong-Il,Kim, Youngho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4

        Probiotic 기능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9개월 미만의 모유수유아로부터 100종의 Lactobacillus균을 분리하였다. C. elegans를 이용한 in vivo 실험으로 장내 우점능을 검사하여 L. rhamnosus GG와 비교했을 때 다른 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장환경에 대하여 우수한 우점특성을 갖는 probiotic 유산균주 9종을 선발하였다. Mucin을 이용한 in vitro 부착능력 검토결과, L. rhamnosus GG대비 90% 이상의 부착능을 보였으며, pH 2.5에서의 내산성 및 0.5% oxgall을 함유한 내담즙성에서 각각 97% 이상과 99%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또, 81% 이상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해능과 다양한 prebiotics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L. rhamnosus 4종, L. plantarum 5종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n vivo 실험을 통해 우선 선발한 균주들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우수하게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in vivo 모델로서 C. elegans을 이용한 장내우점능력 검토는 내산성, 내담즙성, 콜레스테롤 저하, 그리고 prebiotic 기질 이용능 등의 고기능성의 probiotic 균주 선발에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bility of probiotics to adhere to the intestinal epithelium like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ir coloniz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ere, we performed high-throughput screening (HTS) for suitabl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probiotic bacteria using attachment and colonization ability through a C. elegans surrogate in vivo model. A total of 100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infant feces were subjected to the colonization assay using C. elegans intestine. Based on colonization ability, we showed that nine isolates have a high attachment ability during whole experimental periods (up to 168 h), compared to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GG as a control. Also, through the use of an in vitro cell attachment model, nine isolates revealed highly binding activity to the mucus layer. Next, the selected 9 isolates were assayed for their survival ability when exposed to acidic and bile conditions as well as cholesterol reduction and the utilization of prebiotic substrates. As a result, the isolated nine strains were determined to be highly resistant to acid and bile conditions. In addition, they have significant activity for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utilization of several prebiotic substrates as a carbon source. Finally, the selected nine strains were identified by either L. rhamnosus or L. plantarum (4 strains for L. rhamnosus and 5 strains for L. plantarum, respectively). Taken together, we propose that the direct colonization of probiotics using C. elegans may be applicable to the rapid screening of valuable probiotic strains in vivo.

      • KCI등재

        만화ㆍ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박미리(Miri Park),이경화(Kyunghwa L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만화ㆍ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 10명(남아 : 4명, 여아 :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ㆍ사후 검사로 창의성 검사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5주간 14회에 걸쳐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만화ㆍ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만화ㆍ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언어 창의성, 도형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만화ㆍ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 the effect of a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on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problems to verify in this study were like these; How does the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affect children’s creativity in terms of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How does the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affect children’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generating ideas as possible solutions, and making choices required for action? To this end, a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a total 10 of 5 years old children, who were belonged to M kindergarten in Dongjak-gu, Seoul,. Ten young children who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struments employed in this study included Integrated creativity test(Lee & Lee, 2003)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Lee, 2006) for young children. Pre-pro testing was performed to verify homogeneity and to analyze the experiment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another creativity program not incorporating comics or anim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showed improved overall scores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exposed to an ordinary creative program. While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creative skills (i.e., imagination, originality, and non-conventionality),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erms of creative personality traits.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noticeably in term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problem; to generate ideas as potential solutions; and to make choices for required action)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the program like a comic and animation based creativity program tha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use effectively for fostering the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t kindergartens.

      • KCI등재

        파괴와 새 구성: 파울 클레와 카를 아인슈타인의 형상화 방식

        박미리 ( Park Miri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4

        본고는 파울 클레와 카를 아인슈타인의 유사한 형상화 방식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둘의 작품의 예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그들의 형상화 원칙은 아인슈타인에 의해서는 “변화와 새 형성”, 클레에 의해서는 “변경과 새 형성”이라 일컬어진 ‘파괴와 새 구성’이다. 클레는 완성된 그림들을 두세 조각으로 잘라, 이 잘라내진 그림 조각들을 돌려 혹은 서로 뒤바꾸어 붙였다. 가위와 풀로 하는 이 작업방식은 추상화를 강화시키는가 하면, 추상화 경향과 함께 의미가 변화된다든지 그림 내용이 거꾸로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아인슈타인의 경우 파괴는 주로 대상의 미메시스적 모사, 합리성, 논리학, 원근법, 인과성에게 행해진다. 그의 새 구성은 요소들을 작품구성적 내적인 원칙에 따라 새로이 형성하는 것을 뜻한다. ‘파괴와 새 구성’이라는 이 기본구조는 그의 소설 『베부퀸』에서도 입증된다. ‘절단과 새 조합’이라는 클레의 작업 과정은 『베부퀸』에서 해체적 요소들과 통합적 요소들의 결합으로서 나타난다. 해체적 요소들로서는 에피소드들 간의 선형적 연관성의 부재, 선형적 연대기적 이야기 진행의 거부, 인물들의 심리학적 형상화의 거절, 인과적 줄거리 진행의 결핍 등이다. 통합적 기능을 하는 것은 테마적으로 통일적인 배경을 이루는 모든 장소들, 각 부분 속에 전체의 포함, 시간 진행의 방향성, 화자의 현존 등이다. Die vorliegende Arbeit verfolgt das Ziel, eine Gestaltungsweise von Paul Klee und Carl Einstein, die v.a. die gemeinsame Ausrichtung beider widerspiegelt, theoretisch zu erhellen und konkret an ihren Werkbeispielen zu erörtern. Ihr Gestaltungsprinzip ist ‘Zerstörung und neue Konstruktion’, die von Einstein “Verwandlung und Neubildung”, von Klee “Abåndern und Neubilden” genannt werden. Klee schnitt die fertig gezeichneten und gemalten Bilder in zwei oder drei Bildstücke und kombinierte die zerschnittenen Bilderstücke drehend oder austauschend. Diese Arbeitsweise mit Schere und Klebestoff zog bald die Verstärkung der Abstraktion, bald das Einhergehen der Abstraktion mit der Sinnveränderung, bald die Verkehrung des Bildgehalts nach sich. Bei Einstein gilt die Zerstörung der hergebrachten Konzepten wie mimetische Abbildung des Gegenstandes, Rationalität, Logik, Perspektive und Kausalität. Seine neue Konstruktion stellt das neue Bilden der Elementen nach dem werkkonstitutiven inneren Prinzip dar. Diese Grundstruktur ‘Zerstörung und neue Konstruktion’ zeigt sich in seiner Prosa Bebuquin. Klees Arbeitsprozess enthüllt sich in Bebuquin als Verbindung der Elementen der Desintegration mit denen der Integration. Zu den Elementen der Desintegration gehören Abwesenheit des linearen Zusammenhangs zwischen den Episoden, Absage am linearen chronologischen Erzählverlauf, Verweigerung der psychologischen Gestaltung der Figuren und Mangel am kausalen Handlungsverlauf usw. Integrierte Funktion haben alle Orts als der thematische einheitliche Hintergrund, konsequente Motive, Einbeziehung des Ganzen in jedem Teil, Gerichtetsein des Zeitverlaufs und Dasein des Erzählers etc.

      • KCI등재

        하이너 뮐러의 「그림쓰기」에서 에크프라시스의 상태성

        박미리 ( Park Miri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6 獨逸文學 Vol.57 No.4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in der Bildbeschreibung Heiner Mullers durch Textanalyse zu klaren, ob hier eine Ekphrasis zustande kommt, oder, wenn nicht, wie Ekphrasis in diesem Werk transformiert ist. Dabei wird die Frage der Ekphrasis im Text v.a. auf der Basis von Lessings Laokoon betrachtet. Ekphrasis, die ursprunglich vom alt-griechischen rhetorischen Genre herruhrte, nennt man die Beschreibung der bildenden Kunstwerke. Das Ziel der Ekphrasis liegt darin, den Gegenstand der bildenden Kunst moglichst anschaulich zu vergegenwartigen. Lessing kritisiert in seinem Laokoon die Ekphrasis, indem er die mediale Differenz zwischen Literatur und der bildenden Kunst hervorhebt, und deutet eine neue Moglichkeit der Ekphrasis an, namlich die Nachahmung der Gestaltungsweise. Die Beschreibung in der Bildbeschreibung Mullers wird durch 1) eine Strategie der Ubermalung, 2) eine Erweiterung des Augenblicks zur Potentialitat, 3) den aus dem Betrachter losgelosten Blick, und durch 4) eine Konstruktion des Imaginationsraumes destruiert. Folglich wird deutlich, dass eine Ekphrasis im traditionellen Sinn in der Bildbeschreibung nicht zustande kommt. Die Bildbeschreibung besteht aus der Simulation der Gestaltungsweise eines Bildes, dessen Materialitat hervorgehoben und dessen Referenz sehr schwach ist, namlich einer a-mimetischen Gestaltungsweise mit zahlreichen manche Zwischenraume erzeugenden, mehrfach ubermalten Strichen, unkenntlich unklaren Linien und Konturen. Das Objekt der Beschreibung wird erst im Prozess der sprachlichen Beschreibung geschaffen. So legt Mullers Text eine neue Moglichkeit der Ekphrasis vor.

      • “Figur”-Konzeption des späten Rilke als Abstraktion

        Park MiRi(박미리) 한국카프카학회 2009 카프카연구 Vol.0 No.22

        본 논문은 릴케의 ‘형상’ 개념을 다루는 몇몇 오르페우스-소네트의 분석을 통해, 어떻게 후기 릴케의 형상 개념이 추상성의 강령으로서 나타나는지를 증명하려 한다. 그 경우 본고는 릴케의 형상 개념이 지시성의 배제 및 자기관련성을 의미한다는 테제에서 출발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오르페우스-소네트 1부 11번째, 12번째 소네트를 살펴보고, 이어서 2부의 18번째 소네트를 『신시집』의 「스페인 무희」와 비교 고찰하겠다. 11번째 소네트에서 형상은 지시대상의 부재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등장한다. 왜냐하면 시가 대상으로 삼는 “기수”라는 별자리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수와 말의 일치에서 생겨나는 별자리 형상 “기수”는 시의 중간에서 환각으로서, 단순한 순간적인 가상으로서 표명된다. 그럼으로써 메타언어적으로 기의와 기표의 일치로부터 성립되는 형상은 허구로서 입증된다. 형상의 본질적 허구성은 시의 마지막에서 인정된다. 요컨대 이 시에서 형상은 어떠한 존재론적인 효용성도 획득하지 못한다. 12번째 소네트에서 형상 개념은 “관련”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우리 인간들의 진정한 실존은 관련 속에 있다는 것이다. 이 관련의 이미지는 대기 중에 눈에 보이지 않게 퍼져있는 전자파들에 의해 결합되는 안테나들의 상을 통해 표현된다. 보이지 않게 대기 중에 있는 관련은 “아득함”에 까지 뻗쳐 있다. “텅 빈 아득함”은 물질로 채워져 있지 않고 그 속에는 보이지 않는 관련들만이 있다. 즉 “아득함”이 지니고 있는 것은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관련이다. 시는 형상을 구상하는 정신의 칭송으로 시작해서 지상의 찬양으로 끝난다. 앞의 소네트가 형상에 관한 존재론적인 질문에 이어 형상의 허구적 성격을 인정한 후, 이 시에서는 형상의 존재론적인 토대를 자연 속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네트의 형상의 존재론적 상태도 불확실하다. 왜냐하면 여기서 형상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관련들로서 지극히 추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추상성이 릴케의 형상 개념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이처럼 중기 릴케에게서 육체성을 지녔던 사물들은 후기에 이르러 지양되어 추상적 형상으로 된다. 중기의 시 「스페인의 무희」가 하나의 구체적 무희를 춤의 여러 단계에서 제시하고 무희의 많은 세부들을 일컫는 반면, 제2부 18번째 소네트에서 무희는 그녀의 운동으로부터 구별될 수 없다. 그녀의 구체적 형상은 춤의 운동으로 변환되어 나타난다. 형상화되는 것은 무희가 아니라 그녀의 운동의 흔적이고, 문제는 움직이는 육체적 형상이 아니라 운동의 형상이다. 춤도 중기의 시에서처럼 구체적으로 시작, 정점, 끝의 발전과정을 통해 묘사되는 게 아니라 기껏해야 추론될 수 있을 뿐이다. 무희와 춤은 완전히 소네트의 언어운동 속에 동화되어 있다. 「스페인의 무희」에서는 무희가 자신의 춤에 거리를 취하고 바라보는 반면, 이 소네트에서 무희는 춤 속에 포함되어 있다. 즉 춤과 무희는 서로 하나로 융합되어 있다. 또한 이 소네트에서 춤은 「스페인 무희」에서처럼 구체적 움직임들, 몸짓들, 걸음걸이를 통해 묘사되는 게 아니라, 춤과 연결되기에는 대단히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표현들, 예컨대 “운동으로부터의 나무”, “황홀의 나무”, “고요의 우듬지”, “열매”, “항아리”, “화병”에 비유된다. 마지막으로 이 소네트의 추상성은 비유 측면과 사실 측면의, 비본래적인 말과 본래적인 말의 분리될 수 없는 동일성에서 표명된다. 왜냐하면 전통적으로 비유 측면과 사실 측면의 이원성에 토대를 두는 메타퍼는 그럼으로써 이 소네트에서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소네트에서는 형상이 메타퍼의 과제를 떠맡는다. 위의 시 분석들은 릴케의 형상 개념이 지시성의 상실을 함축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이는 릴케의 형상이 추상화의 경향에 속한다는 점을 명백히 입증한다. 특히 마지막으로 언급된 소네트는 추상성을 언어적 형상화에서 직접 보여준다.

      • KCI등재

        VIT: 게스트 운영체제의 실시간성 지원을 위한 타이머 하이퍼콜

        박미리(Miri Park),홍철호(Cheol-ho Hong),유시환(See-hwan Yoo),유혁(Chuck Yoo)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7 No.1

        가상화 환경에서는 여러 개의 게스트 운영체제가 자원을 공유하고 있는데 특히 CPU는 시간 분할 방식에 의해 분배 된다. 따라서 각 가상 머신은 모든 물리 시간을 점유하지 못하고, 이는 CPU를 점유하지 못한 시간에 동작해야 하는 태스크 실행이 보장되지 못하는 결과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은 응답성의 저하는 기존의 서버 가상화에서 치명적인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실시간 태스크 측면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하는 요구사항이 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실시간성과 관련된 타이머를 가상 머신 모니터에 등록할 수 있는 하이퍼콜을 제안한다. 이 하이퍼콜을 통하여 등록된 타이머는 만료된 시점에 해당 가상 머신이 실행되게 한다. 따라서 실시간성을 요하는 태스크들이 의도된 시간에 실행 가능하게 하며 다른 가상 머신의 기아 현상을 완화시켜 준다. 이어지는 실험에서는 Xen-Arm에 이를 구현하여 게스트 운영체제인 리눅스에서의 실시간성을 평가한다. 특히 테스트 응용과 Mplayer의 응답성 및 초당 프레임 수를 측정하여 한 개의 게스트 운영체제만이 동작하는 환경에서와 비슷한 실시간성이 지원될 수 있음을 보인다. Guest operating systems running over the virtual machines share a variety of resources. Since CPU is allocated in a time division manner it consequently leads them to having the unknown physical time. It is not regarded as a serious problem in the server virtualization fields. However, it becomes critical in embedded systems because it prevents guest OS from executing real time tasks when it does not occupy CPU.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percall to register a timer service to notify the timer request related real time. It enables hypervisor to schedule a virtual machine which has real time tasks to execute, and allows guest OS to take CPU on time to support real time. The following experiment shows its implementation on Xen-Arm and para-virtualized Linux. We also analyze the real time performance with response time of test application and frames per second of Mplayer.

      • KCI등재

        프란츠 카프카의 자동적 글쓰기

        박미리 ( Park Miri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2

        본 연구의 목표는 카프카의 글쓰기가 자동적이라는 점을 문헌학적 검토를 토대로 증명하는 데 있다. 이어서 카프카의 글쓰기와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들을 밝혀냄으로써 카프카의 자동적 글쓰기의 고유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선고」를 본보기로 분석한 결과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에 본질적인 인자인 즉흥적 요소, 꿈같은 요소, 무의식적 요소가 추론된다. 즉흥적 요소는 카프카의 글쓰기에 전형적인, 글쓰기의 비계획적 시작, 텍스트 진행의 비일관성, 한 소설의 시작 부분의 다양함, 미미한 수정, 흐르는 병렬문체, 규칙에 거스르는 기이한 구두점 사용에서 드러난다. 꿈같은 요소는 작품에서 자아의 심리 내 갈등의 여러 인물로의 분열, 얘기 진행에서 인과적 연쇄의 결핍, 정상적인 경험적 경계를 넘어서기, 모든 사건들의 뒤섞여 흐름, 꿈과 현실 사이의 구분의 용해 등에서 표명된다. 카프카는 그의 글쓰기를 “꿈같은 내적인 삶의 서술”로서 표명했다. 무의식적 요소는 무엇보다 카프카의 여러 진술에서 증명될 수 있다. 이를테면 “작가는 인물들이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모르고서 어두운 터널 속에서 써야 한다”, “어두운 힘들로 내려감”, “인격의 미지의 깊은 층들”에 잠김 등.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과의 유사성과 차이점들을 고려해 볼 때, 결국 카프카 버전의 자동적 글쓰기는 초현실주의의 저편에서 이루어진 고유한 평행적 발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verify Franz Kafka’s automatic writing based on a philological review. Furthermore, the paper aims to highlight the authenticity of Franz Kafka’s automatic writing by sugges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ranz Kafka’s automatic writing and Écriture Automatique of Surrealism.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on “The Judgment (Das Urteil)” as an example for automatic writing demonstrate that improvisational elements, dreamlike elements, and unconscious elements are inferred as the essential factors in the automatic writing of Surrealism. The improvisational elements are manifested in the typical, unplanned beginning of writing, inconsistency of text progression, numerous beginning parts of a novel, slight revision, a flowing style of parallelism in writing, and the eccentric use of punctuation marks that go against school rules. The dreamlike element is expressed in the work as the split different characters in a psychological conflict, a lack of causal chain in the progress of the story, exceeding a normal, experiential boundary, flowing all incidents put in disorder, a dissolved division of dream and reality. Kafka stated his writing as a “description of dreamlike inner life.” The unconscious elements, before anything else, can be attested by Kafka’s many different statements. For example, “one must write as if in a dark tunnel, without knowing how the characters are going to develop,” “descent to the dark powers”, and “submerged in unknown deep levels of personality.”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afka’s writing and Écriture Automatique of Surrealism, Kafka’s version of automatic writing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digenous parallel development achieved on the other side of Surr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