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thinking Global Convergence in Bank Regulation

        Pak In Sop(박인섭) 한국무역상무학회 2007 貿易商務硏究 Vol.36 No.-

          This paper attempts to assess the Basel Committee’s bank supervisory standards and capital adequacy rules, and thereby rethink whether global convergence in banking regulation is desirable. To that end, it seeks to address the impetus for the creation of the Basel Committee, and explore driving forces behi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bank regulatory and supervisory standards. Following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bank regulatory standards, the movement toward global standards in banking is reviewed.<BR>  More importantly,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origins of the Basel Accord on bank capital adequacy. To do so, it largely relies on current theories on the process of negotiating the capital adequacy standards in the areas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t this point, this study takes a position as a break against the force of international market failure logic that has enjoyed an exceptionally positive reception among economists, political scientists, and legal experts. Nonetheless, it does not intend to freeze the international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of banking regulation.<BR>  Given th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s behind the creation of the Basel Accord, this paper evaluates the Basel Accord of 1988 and the new capital adequacy framework (Basel II), and then moves beyond the assessment of the capital adequacy standards In doing so, this study draws lessons from Basel in search of a just world order in the global finance.

      • KCI등재

        The Role of the State as an actor in Global Governance: Implications for East Asia

        박인섭(In Sop Pak) 한국아시아학회 2009 아시아연구 Vol.12 No.2

        탈냉전 이후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국제정치경제질서의 혁명적 변화로 국가간 상호의존도가 커지면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국제사회의 의사결정과 관리에 대한 규범창출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1세기적 담론으로서 글로벌 거버넌스의 논의는 비전통적 안보이슈인 환경, 인권, 개발 등의 영역은 물론 인터넷 거버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의 세계화에 따른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특히 금융의 세계화와 금융기법의 혁신으로 인한 국제 금융환경의 혁명적인 변화로 인하여 20세기말 세계금융시장의 위기와 최근 미국 발 글로벌 금융 불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 금융 감독 체제는 금융의 세계화가 야기한 위험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가(정부)의 잘못과 시장의 실패로 금융위기가 야기되었음이 근래의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밝혀져 금융을 시장의 논리에만 맡겨서는 안 되며 국가프로젝트 차원에서 전략화함으로써 국가적 헤게모니를 유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여야 한다는 주장의 논거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나타난 시장과 민주화의 주역으로 등장한 시민사회의 위세 앞에 선 국가의 현주소와 미래를 국제법과 국제관계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규범통합의 주체로서 국가의 주권개념도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화에 부응하는 분석을 통하여 권위적인 국가의 몰락이 아니라 시대에 맞는 국가의 역할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것은 국가 없이는 시장도 시민사회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국가와 시민사회 및 국제기구의 협력강화를 위한 공조체제의 구축을 주장하고 있다. 끝으로 미국 발 금융위기 이후 주목을 받고 있는 아시아적 가치를 발판으로 동아시아 국가의 상호협력을 통한 아시아경제통합을 달성함으로써 주요열강과 함께 세계경제의 성장과 발전을 주도하는 아시아세기를 열 수있는 범아시아지역주의의 결성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이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이다. Globalization is underway in numerous dimensions. Today, more than ever, it comes into practice in various aspects. All the people on our globe are increasingly seeing the new issues and countereffects that governments and societies must confront. In recent year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state sovereignty has been subject to critical scrutiny. Some argue that globalization has eroded state sovereignty through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revolution. Others claim that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ctually has fostered the authority of state. At the center of the heated debate, this paper takes the position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non-state actors on our globe and the territorially bound nation-state lies somewhere between the extremes of globalism that sees a state`s obsoleteness and the realism stressing the primacy of nation-state as the central actor. In support of this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ynamics of rule of 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law under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state sovereignty. Given the close relationship, this study seeks to address the status of the state under international law and in a changing world. In this regard, it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he traditional notion of state sovereignty in a global era. Then it highlights the increased interaction and interdependence both between states and between the state and global civil society in the global economy. Finally, this paper will draw from suggestions that may be useful to those involved in promoting Asian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and thereby enhancing global financial governance.

      • KCI등재

        A Critique of Global Financial Governance and Some Proposals: Implications for East Asia

        박인섭(In Sop Pak)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1 No.2

        세계화와 함께 국제 금융환경의 혁명적인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국제 금융시장을 적절히 감독하고 규제하기 위하여 각 국가의 금융감독기관은 물론 국제 금융 감독기구를 통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들어 금융 글로벌 거버넌스가 지구촌의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국가(정부)의 잘못과 시장의 실패로 금융위기가 야기되었음이 근래의 국제 금융위기에서 밝혀져 국가(정부)-시장의 이분법은 오늘날의 국제 금융상황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행 금융감독과 규제 관련 국제협약에 따라 제정된 각종 기준이 지나치게 효율성만을 중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국제협약의 제정과 운용에 있어서 민주성과 적법성 그리고 책임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급변하는 국제 금융환경과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현행 글로벌 금융 거버넌스 체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나아가 그 해결책을 살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국가(정부)와 시장의 공동체의 구축을 통한 새로운 금융 거버넌스의 틀을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은 국가간 지역통합에 따른 역내 통화와 금융감독의 협력강화를 통한 역내 금융 거버넌스의 확립이 국제금융질서의 안정에 기여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글로벌 금융 거버넌스의 패러다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아시아지역 개별국가의 금융감독기관과 금융기관을 포함한 모든 금융시장 참가자의 상호협력을 위한 방안의 강구가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이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이다. Global governance has become an agenda for rethinking the rules and norms that underpin the world order as a result of the financial turbulences around the globe in the preceding decades. The crises have shifted the focus in global and domestic policy debates back to the notion of market failure. The consequence is to reassess the state-market dichotomy approach viewing states and markets as separate entities, because the past decades witnessed states and markets are part of same integrated ensembles of governance. Another result entails a need for a new paradigm for governing globalization, because the global governance agenda that emphasizes the universalization of understanding of global governance based on efficiency through one-size-fits-all formulas, in which democratic accountability and participation is a secondary variable even though a diverse world cannot have rigid rules uniformly. The ongoing standard-setting process has a crucial shortcoming in that most developing countries have had little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and thereby do not have the incentives to embrace and implement international financial standards. Thus, it needs to devise effective and legitimate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a world infused by democratic norms. Further, the market is deemed to stand in need of reevalu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public authority and private interests in order to build the state-market condominium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Given the difficulties of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is paper emphasizes the regional cooperation for global financial governance. It seeks to search for the proper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responses to global financial integration, and thus provide a new paradigm in financial governance. Finally, this paper will draw from a few suggestions which may be of some use to those involved in restructuring regional financial governance in East Asia.

      • KCI등재후보

        U.S. Trade Policy in Transition

        PAK IN SOP(박인섭),MyongSop Pak(박명섭)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06 통상법률 Vol.- No.69

        Since the early 1980s the U.S. has been suffering large and chronic trade and current account deficits. These have been caused by large U.S. budget deficits, increased industrial competition from many countries. The World debt crisis of the 1980s had a big impact on U.S. trade bargaining strategy, the Uruguay RoundGATT outcomes. The U.S. trade policy has adjusted to new conditions to capture the full gains from the developments with the rapid evolution of global trading relationship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adjustment environment in the U.S. as set out by the U.S. trade remedy laws (countervailing duties for subsidies, anti-dumping duties, Section 201 safeguard relief, Section 301 remedies, and balance of payments relief) under GATT/WTO. How has the U.S. responded to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global trade relations? Specifically, what options for improved U.S. trade balance operated under the GATT 1947? How does the GATT 1994 and the WTO alter this situation and the scope for U.S. trade remedies? This paper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U.S. with respect to foreign trade. Then, it examines how U.S. trade policy could accomplish in response to changes in global market condition by the means provided by GATT 1994, or by the measures provided by GATT 1947, if there would be any need for a change. Based on the review, we will provide prospects of the U.S. trade policy for the future and the implications for global trade relationships.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국가와 주권

        박인섭(Pak, In-Sop)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圓光法學 Vol.28 No.1

        지난 20세기 말 이후 일련의 세계경제위기와 최근 미국 발 글로벌 금융 불안에 기인해 국제금융체제와 금융산업에 대한 재평가 작업의 진행과 함께 글로벌 금융위기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국제금융감독 시스템의 구축에 지구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금융의 세계화와 금융기법의 혁신으로 인한 국제 금융환경의 혁명적인 변화로 인하여 현행 금융 감독 체제는 금융의 세계화가 야기한 위험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가(정부)의 잘못과 시장의 실패로 금융위기가 야기되었음이 근래의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밝혀져 금융을 시장의 논리에만 맡겨서는 안 되며 국가프로젝트 차원에서 전략화함으로써 국가적 헤게모니를 유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여야 한다는 주장의 논거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나타난 시장과 세계화의 주역으로 등장한 국제경제기구의 위세 앞에 선 국가의 현주소와 미래를 국제법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규범통합의 주체로서 국가의 주권개념도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화에 부응하는 분석을 통하여 권위적인 국가의 몰락이 아니라 글로벌 사회계약 당사자로서 동시에 국제경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수행해야 할 국가의 책임과 의무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설정하고 있다. 그것은 국가 없이는 시장은 물론 국제기구도 존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Rethinking Global Tax Governance

        박인섭(Pak, In-Sop)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圓光法學 Vol.27 No.4

        In recent years, effects of financial globalization on state sovereignty have been subject to critical scrutiny. Some argue the process of financial globalization propelled by information revolu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has posed potential dangers to countries’ ability to pursue national tax regimes, thereby generating revenue losses and fiscal threats due to taxpayers’ shift in financial activities seeking cross-border tax arbitrage and lower tax jurisdictions. It is further argued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neutralize different tax systems is necessary to enhance national and worldwide welfare. In contrast, others claim that the process of financial globalization has fostered the tax autonomy of nation-state in providing a tax inducement to attract business activities from another country to its jurisdiction. Arguably, the increased mobility of capital has strengthened the state sovereignty over national tax policy leading to international tax competition. At the center of the debate, this paper takes the posi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globalization and national fiscal sovereignty lies somewhere between the globalism that stresses international tax harmonization and cooperation among national tax authorities, and the realism that emphasizes the primacy of nation-state as the central actor. Giv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state sovereignty, this paper seeks to address global challenges to national fiscal sovereignty. In this regard, it discusses the pros and cons of tax competition and harmonization in a global era. Then,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the measures to enhance global governance in the international tax regime. To that end, it takes a traditional approach to analyze the law in terms of pursuing the dual policies of worldwide efficiency and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the international tax burden. In that regard, it mainly examines the role of the current bilateral tax treaty network based on the OECD Model. Finally, it draws from suggestions that may be useful to those involved in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f tax matters. 정보혁명과 함께 세계화의 진전으로 국제 자본이동이 증가됨에 따라 국제자본거래 소득에 대한 과세가 전 지구촌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본시장의 자유화와 국경간 자본이동의 증가로 조세우대와 조세회피를 통한 국가 간 조세경쟁이 각국 및 전 세계적 차원에서 재원감소로 인한 재정기반의 잠식과 국제적 투자의 왜곡으로 인한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개별국가의 세원존립기반에 위협을 줌으로써 각국의 조세주권에 까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금융시장의 세계화가 개별국가의 조세주권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 현행 세수분배질서 아래 국제조세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국제조세협력의 증진을 통해 바람직한 글로벌 조세 거버넌스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OECD를 중심으로 한 현행 양자간 조세협약 네트워크의 역할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본 논문은 국제조세협력의 증진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끝으로 새로운 글로벌 조세 거버넌스의 구축을 위해 주요열강과 함께 최근 경제적 지위의 강화로 주목을 받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상호협력을 통한 주도적 역할수행이 필요하다는 점이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중국 외환 정책 개혁의 변화

        박인섭(Pak In sop),토이로바 무비나(Mubina Toirov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4

        중국은 지난 30년 이상 점진적 진화를 통한 경제 개혁으로 중앙 정부 계획경제에서 지방 분권 시장경제 체제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중국의 1980년대 초기 경제개혁시행은 지구촌 경제통합 강화의 단초 역할을 하였다. 특히 중국 정부가 외환 관리통제를 완화함으로써 중국 내 외환 거래와 자본 유입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동안 중국은 여러 번의 획기적인 조치, 즉 단일환율제도에서 이원환율제도를 거쳐 외환 정책으로 시장 기반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중국정부의 지속적인 개혁의지와 노력에 힘입어 위안화가 마침내 2016년 10월부터 국제준비통화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중국 위안화의 특별인출권 구성 통화 편입 이후 특별인출권 바스켓 편입 비율에 따르면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 및 영국 파운드는 똑같은 경로를 밟아 변경된 통화바스켓 내 거의 비슷한 수준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별인출권 바스켓 통화국인 일본과 영국의 외환 정책 개혁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중국 외환 정책의 입안과 시행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 gradual evolutionary economic reform process has transformed China from a centrally planned economy to a decentralized market based economy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s in the early 1980s has brought China to enhancing integration with economies worldwide. Particularly, the foreign exchange administration controls have been alleviated, which led to growth of foreign trade and capital inflows. China’s foreign exchange policy has experienced several historical formation steps, passing through a single official rate regime to dual track rate regime and lastly to market based managed floating regime. Due to considerable efforts of Chinese government, starting from October 2016, renminbi is served as an international reserve currency. It became obvious by looking through the SDR basket that the Chinese renminbi, the Japanese yen and the British pound have undergone nearly the same path and in the revised basket have nearly the same weights.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implications for China,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foreign exchange reforms of Japan and U.K. in SDR basket group.

      • KCI등재
      • KCI등재

        한미 FTA 체결 이후 대미 금융서비스 무역 변화

        최건아(Gun-A Choi),박인섭(In-Sop Pak),송재두(Jae-Do Song) 한국무역상무학회 2021 貿易商務硏究 Vol.89 No.-

        한미 FTA를 구성하는 금융서비스의 협상은 다른 분야의 협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금융 산업이 이미 폭넓게 개방되어 있고 금융서비스의 국경 간 거래의 적용이 배제된 가운데 신금융서비스에 대한 국외법 적용 등과 같이 이를 규제·감독 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한미 FTA 체결 이후 한국의 미국 금융서비스에 대한 시장점유율, 비교우위지수, 무역특화도의 변화를 시계열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충격 반응함수, 분산분해, 그랜저인과관계분석을 통하여 대미 금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한미FTA 체결이 대미 금융서비스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는 확인되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한국이 금융서비스를 확대하였다고 할 수 없으므로 미국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별도의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Negotiations in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of the Korea-US FTA did not attract so much attention as negotiations in other fields. The reason is that Korea"s financial industry was already widely opened and legal basis to regulate cross-border transactions in financial services was not prepared. Time series analysis on financial services between two countries is focused on Korea’s market share, comparative advantage, and trade specification in theUS financial market after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Impact response, variance decomposition and Granger causality test are used to see the influence of FTA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market share, comparative advantage and trade specification in the US financial market. Negotiation settlement, and effectuation of FTA are generally regarded to have an effect on the above three indices, but it can not be clearly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Korea-US FTA can be the factor of market share and comparative advantage changes under rough significant level, but it can not be the factor of trade specification in the US financial market.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 that Korea needs appropriate strategy for advancement into the US financial market.

      • KCI등재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S)과 우리나라 기 체결 FTA 서비스규정 비교 분석

        최건아(Gun-A Choi),박인섭(In-Sop Pak) 한국무역상무학회 2020 貿易商務硏究 Vol.88 No.-

        우리나라가 체결한 지역무역협정에서 서비스 양허는 서비스무역에관한일반협정(GATS) 방식 혹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방식을 따르고 있다. 지역무역협정의 확산과 함께 FTA에서는 GATS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규정되고 있다. 또한, FTA 규정 방식에 따라 서비스 구조와 양허 및 유보방식이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서비스무역 자유화에 따라 열거주의와 포괄주의 방식으로 주요 조항 채택, 독립 챕터 분류, 양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WTO 체제 하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S)의 적용 범위와 기본 구조를 파악하고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의 서비스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와 전략적 시사점이 향후 다른 국가와의 FTA 체결 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concluded by Korea, service concessions are made as stipulated in the 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GATS) or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As regional trade agreements such as FTAs increase, services are regulated in various forms in FTAs, unlike the framework of the GATS. Depending on the stipulations of each FTA, various methods of service structure, concession and reservation are adopted. In the case of Korea’s FT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list methods, found within the service trade liberalization list methods, are adopted so that the adoption of major provisions,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chapters, and the concession metho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rvice trade liberalization list methods the positive list methods and the negative list methods are adopted so the adoption of major provisions,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chapters, and the concession methods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ope and basic structure of the GATS under the WTO system. Finally, the research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future FTAs arising from analysis and comparisons of services provisions of the FTAs concluded by Korea thus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