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산 식물의 항균활성 검색

        최원균,김용성,조규성,성창근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5 No.4

        한국에서 자생하는 125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141가지 메탄올 추출물들에서 식품부패미생물인 Bacillus subtil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그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Bacillus subtillis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인 것은 오미자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해서 대황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는 산사가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금은화는 Bacillus subtilis를, 산사는 Stophylococcus aureus를, 모과와 황금은 Pseudomonas aeruginosa를, 모감주나무꽃, 밤나무꽃, 장미꽃과 파꽃은 Enterobacter aerogenes를, 오미자는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나머지 4가지 균주에 모두 항균력이 있었다 141 methanol extracts from 125 plant species which populate in Korea were screen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food-borne pathogens and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Those plants were selected from 3 different plant groups : traditional herbs, edible plants and flowers. The methanol extracts were tested by using the disk diffusion assay against five bacteria :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From the evaluation of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of microbial growth, the most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was observed from the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Turcz) Baill., Rheum officinale Baill., Schizandra chinesis (Turcz) Baill., Koelreuteria paniculata Lax and Crataegus pinnatifida Bunge, respectively. The extract from many plants - Koelreuteria paniculata Lax, Chaenomeles sinensis Koehne, Scutellaria bacicalensis Georgi,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Rosa centifolia L;, Allium fistulosum L. var. giganteum Makino,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chizandra chinensis (Turcz) Baill., Lonicera japonica -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ll four tested bacteria.

      • 어유에서 요소부가법에 의한 EPA와 DHA의 농축

        최원균,조재선 경희대학교 부설 식량자원개발연구소 1993 硏究論文集 Vol.14 No.-

        어유에틸에스터에서 요소부가법을 이용하여 고도불포화지방산, 특히 eicosapentaeno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를 농축할 때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용매의 종류와 최적 요소량과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용매는 5%수화된 아세톤을 사용한 것이 포화지방산과 단일 불포화지방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였다. 요소의 양은 시료의 양보다 부가물을 형성하는 포화지방산 및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포화 및 단일불포화지방산양의 5배를 첨가하는 것이 EPA와 DHA를 최대로 농축할 수 있었다. 이 조건하에서 EPA와 DHA는 각각 36%와 41%로 농축되었고 증량수율은 25.1%였다. 복잡한 공정을 단축시키기 위해 요소 column을 통과시켜 실시한 결과 EPA, DHA는 각각 29%, 36%로 농축되어 농축효율은 batch식보다 떨어졌으나 공정이 간단하며 시간이 절약되었다. High yield and efficient enrichment of eicosapentanoic acid(EPA) and docosahexanoic acid(DHA) from fish oil could be obtained by urea adduct formation. The content of EPA and DHA were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urea and monoenoic and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sample. Effective organic solvent and the amount of urea are 5% hydrated acetone and 5 times of saturated and monoenoic fatty acid in the sample. With the new method the fraction in which the total content of EPA and DHA is more than 80% could be obtained. Tough the low efficiency of enrichment was showed as 29% of EPA and 36% of DHA by continuous process with urea column but the process was simple and could be saved the operation time.

      • 이란산 흑석류 농축액과 그 제품의 성분 및 함유된 Phyto 에스트로겐류에 관한 연구

        최원균,정교순,조규성,황명오,유영숙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5 No.2

        천연 호르몬 보충 제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이란산 흑석류 과즙 농축액과 이를 이용한 제품의 화학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석류 농축액의 일반성분은 수분 39.3%, 조지방 0.4%, 조단백질 0.9%, 조회분 1.4%, 그리고 탄수화물은 42.0%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글루탐산이 1310.Oppm, 아스파르트산이 896.2ppm, 아르기닌이 877.7ppm, 페닐알라닌이 57.5ppm순으필 무기 성분들은 철분 6640.Oppm, 염소 3464.Oppm, 칼륨 2550.8ppm, 인 150.Oppm, 칼슘 80.Oppm 순으로 많이 함유되 어 있었다 비타민은 5가지의 수용성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비타민 C(20mg/100g)를 제외한 나머지 비타민들이 아주 적은 양이 있었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8.3%)와 stearic acid(69.4%)로 전체 지방산의 약 60~8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6종의 phyto및 에스트로겐류가 들어 있었으며 각각daidzein 23.72ppm, quercetin 9,75ppm, catechin 1.48ppm, genistein 0.29ppm, 2,3-di-MeO-estradiol이 0.04ppm, 그리고 17β-에스츠라디올이 0.15ppm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석류 농축액으로 제조한 제품 포에버 120과 칡과 대두 isoflavon 농축분말과 비교하다. Phytoestrogens are non-steroidal compounds found in a variety of plants, which exert estrogenic effects in animals.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ranian black pomegranate extract and its products as preliminarily research for the developing of natural estrogen supplement were evaluat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Iranian black pomegranate extracts and its product (Forever 120) were analyzed. Proximate compositions of pomegranate extracts were as follows; crude lipid 0.4%, crude protein 0.9%, crude ash 1.4% and carbohydrate 42.0%. Major amino acids of pomegranate extracts are glutamic acid (1310.Oppm), aspartic acid (896.2ppm), arginine (877.7ppm) and phenylalanine (57.5ppm). Fatty acid compositions of pomegranate extract lipid extracted by chloroform-methanol (2:1) were myristic (13.1%), stearic (69.4), oleic acid (6.8%) and palmitic acid (8.3%). Mineral elements were ferrous (6640.Oppm) and potassium (2550.8ppm). Vitamins were composed of ascorbic acid(20.Omg/100g), Vit. B_1 (0.12mg/100g) and niacin (0.80mg/100g), 20 phytoestrogens and 20 estrogens of pomegranate extracts were detected Daidzein (0.29ppm), quercetin (9.75ppm) genistein (0.29ppm) and 17 β-estradiol(0.15ppm). Above the chemical components of pomegranate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pome granate its product or other isoflavon concentrates.

      • 한약재로부터 대장균 O-157에 대한 항균물질의 검색

        김윤진,최원균,조재선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1998 硏究論文集 Vol.19 No.-

        한약 처방 76종과 58종의 약재로 각 균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색한 겨로가 처방에서는 삼소음과 주중황연탕이, 한약재에서는 소목과 황연이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이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이 강한 것으로 검색되었다. 한약처방 76종에서 각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이 강한 삼소음과 주증황연탕 추출물의 최소억제농도 실험 결과 삼소음 메탄올 추출물의 최소억제농도는 S. aureus 균주가 0.07 ㎎/㎖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S. sonnel, S. flexnery, S. typhi는 0.31 ㎎/㎖를 나타냈으며, E. coli O157(V1+V2)와 E. coli O-157(none)에서는 각각 2.5 ㎎/㎖, 1.25 ㎎/㎖로 나타냈다. 주증황연탕 추출물의 최소억제농도는 S. aureus에서 0.01 ㎎/㎖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S. sonnei, S. flexnery, S. typhi에서는 각각 0.15 ㎎/㎖, 0.07 ㎎/㎖, 0.31 ㎎/㎖를 보였으며, E. coli O-157(V1+V2)과 E. coli O-157(none)은 5.0 ㎎/㎖를 나타냈다. 장내 세균에 대한 58종의 최소억제농도 실험 결과 이중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타나낸 것은 소목 추출물로 최소억제농도는 E. coli O157(V1+V2)와 E. coli O157(none)에서 1.25 ㎎/㎖, S. aureus와 S. flexnery에서는 각각 0.39 ㎎/㎖, 0.078 ㎎/㎖를 보였으며, S. sonnei와 S. typhi는 0.15 ㎎/㎖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creening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76 tradihonal prescriptions and 58 medicmal herbs. Among the prescriptions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Samsou˘m, Chujunghwang-yon'tang, and Sashinhwa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and Chujunghwang-yont'ang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the medicmal herbs,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Terminalia chebula, Caesalpinia Sappan, and Coptis chiriensis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0157, Staphylococcus nureus, Shigella flexnery, Shigella. sonnet, Salmonella. typhi. Prescription such as Samsou˘m, Chujunghwang-yont'ang, and Sashinhwan were also interesting because both m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active. Chujunghwang-yont'ang showed the most strong antimicrobial activies for the microoganisms tested.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Terminalla chebuln, Caesalpinia Sappan, and Coptis chmensu showed the highest m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all bacteria test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0157 : H7 from Plants in Korea

        One-Kyun Choi,Insun Joo,KiHyun Kim,Chang Keun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3 No.4

        We screened the methanol extracts from 133 plant species growing in Korea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0157:H7. Those plants are selected from three plant groupings; traditional medicinal herbs, edible plants, and flowers. They were tested by disk diffusion assay. From evaluation of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of microbial growth, we found that the flower extract of Rhododendron Schlipenbachii Max had the most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the medicinal herbs, the extracts of Prunus mume S. et Z. had the b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is bacteria. Extracts from most of the vegetables and plants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for the leaves of Ginkgo biloba L. and the seeds of Prunus Sallicina L.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