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 출토 직물류 및 목제 빗의 과학적 분석

        조남철,김우현,김수철,Cho, Namchul,Kim, Woohyun,Kim, Soochul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고대 섬유의 과학적 분석은 그 시대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 및 각 지역의 직물문화, 제직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수침 고목재의 수종분석은 보존처리 방법의 설정뿐만 아니라 당시의 수목환경, 목제품의 종류에 따라 선호되던 수종, 외래수종을 통한 당시의 교역 교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인 분석방법이다.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에서 청동합 내 부장상태로 출토된 직물류와 목제 빗에 대하여 섬유 및 수종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직물1과 직물3은 쐐기풀과(Urticaceae)의 저마(Boehmeria nivea ; Ramie), 직물2는 아욱과(Malvaceae)의 면(Gossypium herbaceum), 목제 빗은 자작나무과(Betulaceae) 자작나무속(Betula spp.)으로 식별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고대 섬유 및 수종을 확인하여 비교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cientific analysis of ancient textiles provides significant data to understand weaving techniques and culture of textiles in each region and charateristics of materials used at that time. In addition, species identification of waterlogged wooden objects is a scientific analysis method that allow us to verify information of relation of foreign species trade and exchange, of preferable species through kinds of wooden products, and of forest environment as well as method setting of conservation. As a result of a species analysis about historical textiles and a wooden comb in a bronze bowl that were excavated from Hapgang-ri, Dong-Myun, Yungi-gun, Chungcheongnam-do, Textile1 and Textile3 are identified as Urticacese Boehmeri nivea ; ramie, Textie2 is identified as Malvaceae Gossypium herbaceum, and a wooden comb is identified as Betulaceae Betula spp.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help to make further comparative studies, identifying species of textiles and trees of ancient times.

      • KCI등재

        포항 오어사 동종(보물1280호)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분석

        조남철(Cho, NamChul),강형태(Kang, HyungTae)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1 No.-

        Chemical composition, microstructure and lead isotope ratio of Oeosa(temple) bronze bell (found in Hangsari, Ocheon-town, Nam-gu, Pohang-city, Gyeongbuk) have been analyzed by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 Metallurgical Microscope and TIMS(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respectively. Major chemical composition of bronze bell consisted of copper (Cu), tin (Sn) and lead (Pb) and the ratio was about 74.1 : 10.5 : 13.1. Especially, Pb content was much richer than bronze bells before Goryeo period. It suggested that the lead was intentionally added to improve the casting and save the contents of copper and tin since Goryeo period. Microstructure of bronze bell was mainly made up α-phase and α+δ eutectoid phase instead of dendrite structure as the bell was cooled slowly after casting. The result of provenance study using lead isotope analysis have shown that the galena of bell was originated from the China South. The results of these scientific analysis of bronze bell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comparison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 source of raw materials of bronze bells to be found in the future.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에서 발견된 오어사 동종(1216년, 보물1280호)에 대하여 성분분석 및 금속조직 관찰을 통하여 동종의 제작기법을 그리고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동종에 쓰인 납이 어느 지역의 방연석과 상관관계가 깊은지를 알아보았다. 동종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Cu 74.1%, Sn 10.5%, Pb 13.1%로 분석되었다. 특히 본 동종은 고려시대 이전 동종들에 비하여 납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고대 동종의 경우 다량의 납함량은 주조성은 좋아지나, 종의 강도를 떨어뜨리고, 문양을 좋게 하지만 합금에서 편석되기 쉬우며 소리를 둔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억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종의 미세조직은 주조 후 서냉함으로 인해 수지상 조직이 아닌 α상과 α상 주위로 (α+δ) 공석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조공정 이외에 특별한 열처리 흔적은 관찰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납동위원소비를 통한 산지 분석결과, 동종의 주조시 사용된 납의 출처는 중국 남부지역의 방연석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어사 동종은 지금까지 많은 발표가 이루어지지 못한 고려 동종의 성분조성 및 제작기법, 산지 연구에 관한 내용으로서 각 시대별 종의 조성별 또는 제작방법의 차이점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SCIESCOPUSKCI등재

        Reduced Recombination Losses with Enhanced Dielectric Permittivity of Donor Polymers in Polymer Solar Cells

        Namchul Cho(조남철),Tae-Dong Kim(김태동),Alex K.-Y. Jen(알렉스 젠) 한국고분자학회 2018 폴리머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나이트릴 그룹을 작용기로 가지는 고분자에 전기장을 가해주어 고분자의 분극도를 높여 고분자의 유전상수를 증가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자주게 고분자의 유전상수를 증가시켜 재결합에 의한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이로 인해 고분자 태양전지의 개방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분자 태양전지에서 고분자의 유전상수가 가지는 중요성 및 외부 전기장에 의한 고분자의 배열을 이용한 응용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밝혔다. In this work,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electric field assisted poling of the donor polymer possessing conformationally labile nitrile groups increases dipolar polarization and dielectric permittivity. We find that the enhanced dielectric permittivity of the donor polymer reduces non-geminate recombination losses in bulk-heterojunction (BHJ) solar cells (SCs), resulting in increased open circuit voltage (VOC) compared with unpoled devices. This result reveals the importance of dielectric permittivity of polymers and also signifies the promising applicability of electric field assisted poling for high dielectric polymers in BHJ SCs.

      • SCIESCOPUSKCI등재

        Doctor Blade-Coated Polymer Solar Cells

        Namchul Cho(조남철),Jong H. Kim(김종현) 한국고분자학회 2016 폴리머 Vol.40 No.5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용액 인쇄장비인 닥터블레이드 코터를 이용하여 형성된 P3HT:PC71BM 및 PBDTTTEFT:PC71BM 벌크헤테로 졍션을 기반으로 하는 고분자 태양전지를 보고한다. 블레이드 코팅 인쇄공정으로 제작된 정구조와 역구조의 P3HT:PC71BM 고분자 태양전지로부터 기존 스핀코팅법으로 제작된 태양전지 성능보다 우수한 2.75, 3.03%의 광전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개선된 소자 성능의 균일도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블레이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3.10%의 광전변환효율을 나타내는 PBDTTT-EFT:PC71BM 기반의 플렉시블고분자 태양전지를 구현함으로써 블레이드 코팅법이 향후 대면적 고속 롤투롤 프린팅 인쇄공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In this work, we report polymer solar cells based on blade-coated P3HT:PC71BM and PBDTTT-EFT:PC71BM bulk heterojunction photoactive layers. Enhanc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2.75 (conventional structure) and 3.03%(inverted structure) with improved reproducibility was obtained from blade-coated P3HT:PC71BM solar cells, compared to spin-coated ones. Furthermore, by demonstrating 3.10% efficiency flexible solar cells using blade-coated PBDTTT-EFT:PC71BM films on the plastic substrates, we suggest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blade coating technique to the high-throughput roll-to-roll fabrication systems.

      • 중국 조선족 문학 연구: 조선족 작가 림원춘(林元春)을 중심으로

        조남철 ( Cho Namchul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8 통합인문학연구 Vol.10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족 문학의 개념 설정 문제를 재고하는 한편, 중국 조선족 문학의 대표작가 중 한 명인 림원춘의 작품을 통해 민족문학으로서의 조선족 문학의 의의를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과 중국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조선족’은 현재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주요한 변수가 되었으나, 윤동주의 문학이 중국 조선족 문학과 조선인(한인) 문학 중 어디로 귀속되어야 하는지를 둘러싼 논쟁에서 드러나듯 조선족 문학과 한국문학의 관계 설정은 어려운 문제다. 그러나 학문적 관점에서 보자면, 조선족 문학, 특히 광복 전 중국 내 조선인(한인) 문학은 엄연히 한국문학의 일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광복 전 중국 내 조선인의 문학은 중국 건국 이후 중국인으로 생활했던 조선족의 문학과 속지주의 원칙에 따라서도 구별되며, 또한 윤동주의 경우에는 중국을 ‘이국’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따라서 조선인(한인) 문학과 조선족 문학은 그 범주를 명백히 구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조선족 문학은 우리 민족문학사의 귀중한 자산이다. 림원춘이 대표작 <몽당치마>에서 고유어를 풍부하게 사용하며 조선족 사회의 풍속 및 민족적 특색을 핍진하게 그렸듯 조선족 문학은 통일 이후 우리 민족문학사의 귀중한 자산으로 그 의의를 인정받아야 하는 것이다.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A study on the concep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its meaning as Korean national literature is based on the literary works of Lim Won-ch’un.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Chines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the current Korean society, but as we can see in the dispute over the works of Yun Dong-Ju, whether they are Korean Chinese literature or Diaspora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 establishing proper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has been controversial. But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Korean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overseas Korean literature in China until the independence of Korea,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Korean literary tradition. Overseas Korean literature before 1945 is different from Korean Chinese literature after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ince Korean Chinese lived as Chinese nationalities so the territorial principle can be applied. It is also noticeable that Yun Dong-Ju considered China as ‘a foreign land.’ Thus, boundaries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Chinese Literature needs to be clarified. But Koean Chinese Literature is still a valuable part of the Korean literary tradition. As < Mongdangchima > in which Lim Won-ch’un describes the traditions and eth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society vividly using native Korean words shows,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recognized as valuable assets of the Korean literary tradi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Koreas. Thus, Korean Chinese Literature requires more scholarly attention.

      •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2지점 1호 석실분 출토 금제장식의 과학적 분석

        조현경 ( Hyunkyung Cho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3 문화재과학기술 Vol.18 No.1

        금속 가공기술의 일환으로 사용된 금장(도금) 기술은 금층을 다른 소재 표면에 입히는 고대 기술로 알려져 있다. 고대의 도금방법은 지역에 따라 달리 발전했으나, 금박, gold leaf, 그리고 수은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본 연구는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5점의 금제장식을 분석하여 제작방식과 사용된 재료의 특성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철을 소재로 하는 단추형식의 금제장식은 leaf gilding 방식을 통해 도금되었으며, XRF 분석결과 5점 모두 유사한 성분 함량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은 금 66.07~71.57%, 은 16.77~18.34%이다. 또한, 구리, 철, 알루미늄, 규소, 인 등의 성분도 확인되었다. 특히, 금박의 성분 비율이 유사하여 분석한 5점 모두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며, 금과 은을 합금한 것이 아닌 처음부터 은이 포함된 금을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금제장식 중 일부는 철제 장식에 부착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철제장식과는 별개의 유물로 판단된다. The gold plating (gilding) technique, a part of metalworking, involves applying a layer of gold onto the surface of other materials and has been known as an ancient technology. Although ancient gilding methods evol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iques involved the use of foil gilding, gold leaf, and mercury. This study analyzes five gold ornaments excavated during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at Tomb 1 in Section 2 of the Osong 2nd Life Science Complex. The findings reveal that button-shaped gold decorations made of iron were gilded using the leaf gilding method. XRF analysis indicates similar elemental compositions in all five ornaments, with gold ranging from 66.07 to 71.57% and silver from 16.77 to 18.34%. Copper, iron, aluminum, silicon, and phosphorus were also detected. Notably, the similar composition ratios of gold leaf suggest that the five analyzed items were made from the same material, indicating the use of gold that inherently contains silver, rather than an intentional alloying of gold and silver. Additionally, some gold ornaments were found attached to iron decorations, considered as separate artifacts from the iron decorations.

      • 천안 가산리 유적 출토 철제초두(鐵製鐎斗)의 보존처리 및 부식 특성

        신지수 ( Jisu Shin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2 문화재과학기술 Vol.17 No.1

        천안 가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철제초두(鐵製鐎斗)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토대로 보존 처리를 진행하여 원형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과학적 분석으로는 X선 회절 분석, 금속현미경 관찰, SEM-EDS 분석, 라만 마이크로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회주철 조직이 관찰되었으며 철이 먼저 부식되어 탄소만 남는 흑연 부식이 확인되었다. 주요 부식화합물은 X선 회절 분석과 라만 마이크로분광 분석을 교차검증하여 Goethite, Magnetite로 동정하였다. 유물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X-ray 촬영을 하였고 육안 관찰을 토대로 유물기록카드를 작성하였다. 처리 전 조사를 바탕으로 이물질 제거, 1차 접합, 탈수 및 건조, 강화 및 건조, 2차 접합 및 복원, 색맞춤 순서로 처리를 실시하였다. 과학적 분석을 통해 철제 유물의 제작 기법과 부식 특성 등을 알 수 있었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보존처리를 진행하여 유물의 원형을 찾아주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편구형으로 다리는 철제초두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ㄱ’자형으로 확인되며 구연부는 전(顎) 상부의 동체로부터 그대로 구연단까지 내경이 이어지며 둥글게 마감된 것으로 관찰된다. 철제초두 중에서도 매우 특이한 형태를 가지므로 가치가 큰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철제초두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분석의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철제초두 보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tripod Iron Cauldron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Gasan-ri in Cheonan was analyzed scientifically and conservation treatmented based on the results,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s scientific analysis, X-ray diffraction analysis, metallurgical microscope observation, SEM-EDS analysi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gray cast iron structure, which is rarely found in cast artifacts, was observed, and graphite corrosion, in which iron corroded first and only carbon remained, was confirmed. The main corrosio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Goethite and Magnetite by cross-verification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artifact, X-ray was taken, and a relic record card was created based on the visual observ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before treatment, the treatment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irst bonding, dehydration and drying, reinforcement and drying, second bonding and restoration, and color matching. Through scientific analysis,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iron artifacts were foun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ppropriat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original form of the artifact. The overall shape is spherical, and the legs are confirmed as a ‘ㄱ’ shape, which is very rare in Tripod Iron Cauldron, and it is observed that the lip of Tripod Iron Cauldron part is connected from the upper body of Jeon(顎) to the lim of Tripod Iron Cauldron end and finished in a round shape. It seems to be of great value because it has a very unique form among Tripod Iron Cauldrons, an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ron candle conservation by accumulating data from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analysis.

      • 공주 안영리유적 출토 철부(鐵斧)의 보존처리 및 부식화합물 분석

        전상희 ( Sanghee Jeon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1 문화재과학기술 Vol.16 No.1

        공주 안영리는 선사시대의 유적으로는 가장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유적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본 유적에서 출토된 철부 2점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과학적 분석은 금속현미경과 SEM-EDS를 이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제작기법 및 부식물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철부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녹혹과 균열, 흙 등의 이물질이 두텁게 덮여 있어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해 유물의 부식인자를 차단하고 원형을 복원하였다. 미세조직을 통한 과학적 분석결과 소재는 백주철 조직으로 확인되었다. 오랜 시간 매장됨으로서 다양한 철산화물이 층위를 이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 염들이 농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보존처리는 유물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고자 X-ray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육안 관찰 및 X-ray 촬영결과를 이용해 표면에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 후 철부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자 알코올을 이용한 탈수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 건조, Paraloide B-72를 이용한 강화처리, 접합 및 복원, 색맞춤 등의 과정으로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더 이상의 부식인자들로부터 안정화되었고 원형에 맞게 보존처리하여 마무리하였다. Gongju Anyeong-ri is one of the earliest prehistoric sites, and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were carried out on the two iron parts excavated from this site. For scientific analysis, the microstructure was observed using a metallographic microscope and SEM-EDS to identif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products.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rust, cracks,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are thickly covered on the surface of the iron part, so scientific preservation treatment is required. The corrosion factor of the artifact was blocked and the original shape was restored. As a result of scientific analysis through microstructure, the material was confirmed to be white cast iron tissue. As it was buried for a long time, it could be confirmed that various iron oxides were layered, and some salts were concentrated. For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X-ray imaging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ate of the artifact.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on the surface using the visual observation and X-ray imaging results, dehydration using alcohol to remove moisture from the iron part treatment was carried out. After that, it was preserved from further corrosion factors by drying, strengthening treatment using Paraloide B-72, bonding and restoration, and color matching. And it was finished by preserving it according to the original shape.

      •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 출토 이식(耳飾)의 성분 조성과 제작기법

        정다연 ( Dayeon Jung ),조현경 ( Hyunkyung Cho ),박수경 ( Sukyoung Park ),배채린 ( Chaerin Bae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0 문화재과학기술 Vol.15 No.1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 6점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 및 성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타 지역 출토 백제지역 이식과 재료학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식의 제작기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으로 세부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성분 분석은 비파괴성분분석기인 휴대용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모두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재를 먼저 제작한 후 금판을 감싸고 가열압접한 후 둥그렇게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보령 웅천 구룡리 출토 금제이식의 4점은 매장상태에서 금장이 탈락되어 심재만 남은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점은 금 75∼85%, 은 15∼25%, 구리 10% 미만이다. 보령 웅천 구룡리 외에 부여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 서산 부장리 출토 백제이식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기법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식의 사용된 금장의 순도는 전반적으로 4∼5세기에 출토된 서산 부장리 이식은 금 70% 이하의 범위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그룹Ⅲ), 6세기 후반∼7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보령 웅천 구룡리, 부여 합정리 출토 이식은 금 70%이상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그룹Ⅳ). 이를 통해 이식을 만드는 제작기법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4∼5세기보다는 6∼7세기에 금의 순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가 사회적 지위, 기술의 발전에 의한 특징인지 또는 지역별 제련한 금의 순도 차인지는 시기별 이식의 대한 자료가 아직 부족하므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six Earrings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mponents, and to compare and study the Earring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aekje excavated from other regions. Detailed ima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actual microscopy to find ou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Earrings,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made using a Portable X-ray Fluorescence Sesquential Spectrometer, a non-destructive component analyzer. As a results, All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seem to have first made of copper-based core material, then wrapped the gold plate, heated and p r essed, and then applied the same process of forming a r ound shape. It is estimated that only copper remains due to the removal of the gold sheet from the burial condition of the 4 points of the Golden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The remaining two points are 75-85% gold, 15-25% silver, and less than 10% copper. In addition to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Habjung-ri site in Buyeo and Bujang-ri site in Seosan showed that they were made with the same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purity of gold used for earrings is generally less than 70% of gold for Bujang-ri site in Seosan excavated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Group III). For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and Habjung-ri site in Buyeo, more than 70% of gold can be confirmed (Group IV). Although the technique of making earrings does not change much, the purity of gold is higher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than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Whether the result is a characteristic of social status, technological advancement, or the difference in the purity of smelted gold by region, it seems tha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data on earrings by perio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be needed in the future.

      • 용인 신갈 출토 목관 표면 적색 물질의 과학적 조사

        정다연 ( Dayeon Jeong ),전지민 ( Jimin Jeon ),김우현 ( Woohyun Kim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3 문화재과학기술 Vol.18 No.1

        본 연구는 용인 신갈 출토 목관의 표면에 도포된 적색 물질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 안료의 사용과 제작 방법을 연구하였다. 분석 대상 시료는 휴대용 XRF를 사용하여 적색 물질의 성분을 알아보았으며, 실체현미경과 SEM-EDS 분석을 통해 표면의 세부 상태 및 단면구조를 확인하였다.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표면에는 흙 등의 이물질과 적색 물질이 혼합되어 있었으며, 단면 관찰을 통해 적색 물질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XRF와 SEM-EDS 분석 결과, HgS와 CaCO<sub>3</sub>이 서로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용인 신갈에서 출토된 목관은 표면에 진사(HgS)를 사용한 적색 물질과 바탕물질로 호분(CaCO<sub>3</sub>)을 혼합하여 일정한 두께로 표면에 도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ancient pigments in Korea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red materials applied to the surface of wooden coffin excavated in Shingal, Yongin. The sample was analyzed using a Portable XRF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the red materials, and the detailed condition and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urface were confirmed using a Optical Microscope and SEM-EDS analysis. Observations with a Optical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red materials wer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on the surface, and cross-sectional observations confirmed that the red materials were applied with a certain thickness. XRF and SEM-EDS analyses revealed that HgS and CaCO<sub>3</sub> were mix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wooden coffin excavated in Shingal, Yongin used HgS as reddish materials on the surface and CaCO<sub>3</sub> as a base material, which were mixed and applied to the surface with a certain thick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