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무대의 공연 활동 연구: 1910년대 전통연희공연을 중심으로

        김민수 ( Kim¸ Minsu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4

        본고는 1907년에 등장해 1930년까지 전통연희를 위한 전용극장의 역할을 했던 광무대의 운영 기간 중 1910년대에 전개된 전통연희공연을 시기별로 변화가 감지되는 특징에 따라 1910-1914년과 1915-1919년으로 구분해 그 사적 흐름을 규명해 보았다. 우선 주요 논의 대상인 1910년대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개장 초기인 1907-1909년까지 광무대가 지향한 전통연희공연의 방향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설립 초기에 여타의 극장들이 당시 운영되던 관영극장의 공연방식을 답습하고 있었던데 반해 광무대는 공연자와 공연레퍼토리에 대한 새로운 발상의 전환으로 흥행을 선도하며 전통연희공연을 위한 전문극장으로서 도약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10-1914년의 기간은 전통연희공연이 활성화되었던 시기로 광무대의 주요공연자와 이에 따른 공연레퍼토리에 초점을 맞춰 그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이 시기 전통연희를 공연하던 장안사와 단성사는 흥행을 위해 시기별로 단체를 조직하거나 명창과 더불어 기생을 고용해 무대에 올렸다. 그러나 광무대는 전통연희에 다재다능한 소수의 전속 기생을 고용해 공연 종목에 따른 관객의 반응 정도에 따라 전속 기생을 교차 출연시키는 방식으로 전통연희공연을 흥행으로 이끌었다. 특히 이 시기 광무대는 자신들만의 공연방식을 고착화하고 전통연희를 상설공연으로 정착시키며 전통연희를 위한 공연장으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정립해 나갔다. 1915-1919년의 기간은 전통연희를 위한 극장이 점차 축소되었던 때로 이에 따른 광무대의 대응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시기 광무대는 전통연희공연을 재편, 유지하며 공연자만을 전격 교체하는 것으로 극장의 분위기를 쇄신했다. 나아가 광무대는 당시 흥행을 담보하던 신파극을 끝내 수용하지 않고 신구파극이라는 새로운 공연레퍼토리를 고안함으로써 신파극의 유행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전통연희를 수호하는 유일한 극장으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istorical flow by dividing traditional performances into 1910-1914 and 1915-1919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1910s during the operation period of Gwangmudae, which appeared in 1907 and served as a theater dedic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s until 1930. First of all,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1910s, which is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we looked at the direction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imed by Gwangmudae from 1907 to 1909.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t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other theaters were following the previous performance method, while Gwangmudae was leaping as a specialized theater for traditional performances, leading the box office with a change of new ideas for performers and performance repertoire. The period 1910-1914 was when traditional performances were activat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y focusing on the major performers of the Gwangmudae and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repertoire. Jangansa Temple and Danseongsa Temple, which performed traditional performances during this period, organized groups by period for box office success or hired Gisaengs along with master singers to perform on the stage. However, Gwangmudae led the traditional performance to the box office by hiring a small number of exclusive Gisaengs who are versatile in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cross-staging them according to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performance event. In particular, during this period, Gwangmudae fixed its own performance method, established traditional performances as permanent performances, and firmly established its aspect as a performance hall for traditional performances. The period 1915-1919 was when the number of theaters for traditional performances gradually decreased, and we looked at the response of the Gwangmudae accordingly. During this period, Gwangmudae renewed the atmosphere of the theater by reorganizing and maintaining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replacing only performers. Furthermore, Gwangmudae confirmed that it was silently playing its role as the only theater to defend traditional performances by responding quickly to the trend of new dramas by devising a new performance repertoire called new and old dramas.

      • KCI등재

        Synthesis of highly monodisperse silica nanoparticles in the microreactor system

        Min Su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4 No.2

        To avoid a poor mixing rate and local inhomogeneities in batch reactor systems, and to shorten the length of microchannels in microreactor systems, a new combined micromixer/microreactor/batch reactor system was used for the synthesis of colloidal silica particles. The silica particles with different sizes (from 20 nm to 2 μm) and size distribution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PDI from 0.01 to 0.40) were controllably synthesiz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s and the operating parameters in this system. The long microchannel with small diameter demonstrated a good mixing efficiency, and which produced small and uniform silica particle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inert gas into the system intensified the mixing, and the silica particles with decreased size and narrow distribution were obtained. It wa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high mixing efficiency in the microchannel led to small and uniform silica particles. Furthermor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ynthesis of nanoparticles in microreactors was established after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of mass transfer and reaction in the system.

      • KCI등재

        Mesoporous silica with monodispersed pores synthesized from the controlled self-assembly of silica nanoparticles

        Min Su,Hongjiu Su,Baolei Du,Xiaotong Li,Gaoyuan Ren,Shudong Wang 한국화학공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2 No.5

        Silica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sizes (ranging from 10 nm to 104 nm) and size distributions were synthesized by semi-batch and semi-batch/batch methods of the Stöber process. Then the amorphous silica with different surface areas (ranging from 30m2/g to 400m2/g) and pores (ranging from 3 nm to 33 nm) were obtained by various aging treatments and drying methods of the synthesized colloidal silica sol. The aging treatment resulted in the monodispersed pore distribution and decreased BET surface area of silica. The high-humidity drying method led to the mesoporous silica with uniform pores and decreased small pores. As the silica was obtained by the arrangement of silica nanoparticles, the pore diameter and pore distribution of mesoporous silica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nanoparticles. Furthermore, this study offered a new thought for the synthesis of other mesoporous materials with uniform pore distributions.

      • KCI등재

        Production of Acetate from Carbon Dioxide in Bioelectrochemical Systems Based on Autotrophic Mixed Culture

        ( Min Su ),( Yong Jiang ),( Da Ping Li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13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3 No.8

        Bioelectrochemical systems (BESs) have been suggested as a new technology for wastewater treatment while accomplishing energy and chemical genera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performance of BESs based on mixed culture that are capable of reducing carbon dioxide to acetate. The cathode potential was a critical factor that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BESs. The rate of acetate production increased as the electrode potential became more negative, from 0.38 mM d-1 (-900 mV vs. Ag/AgCl) to 2.35 mM d-1 (-1,100 mV), while the electron recovery efficiency of carbon dioxide reduction to acetate increased from 53.6% to 89.5%.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dominated by relatives of Acetobacterium woodii when a methanogenic inhibitor was added to the BESs initially.

      • KCI등재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 : 고대 근동 기록유물과 민족 지칭법을 중심으로

        오민수 ( Oh¸ Min Su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6 No.-

        대부분의 학자들의 견해는 이스라엘의 정체(正體)와 기원을 적어도 국가적 경향을 가진 정체(政體)에서 찾고 있다. ‘이스라엘’이란 용어는 독립 국가로 출현한 이후이거나, 아니면 포로기 귀환공동체가 이 호칭을 사용하였고 본문의 전승자들은 - 성경 이야기체의 역사 서술 맥락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로 - 신학적 의미를 추가하고, 이를 성경 속 해석적 지표로 집어넣었다고 추론한다. 성경 저자들은 청자의 현재와 과거 사건과의 실존적 연속성을 위해 이스라엘이란 용어를 범주적인 구분없이 사용한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에 대해 모호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역사적 유물과 자료들 너머에 있는 기억의 흔적들을 소급하여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에 대한 사실적이고 언어적인 근거를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성경 외의 자료(고대 석비들의 판독과 근래의 해석 가능성), 팔레스타인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 그리고 성경 내 자료를 종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가릿의 전사자 목록(BC 13세기 말)은 신명 ‘엘’(El)이 포함된 ‘이스라엘’이란 인명이 레반트 지경 지역에 낯선 이름이 아니었음을 알려준다. 메렌프타 석비(BC 1209/8)에서 이스라엘은 지역이나 영토를 말하는 것이 아닌 인적 집단을 지칭하였다. 다만 이 석비는 이스라엘이 단일한 기원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말해 주고 있지 않다. 살만에셀 3세의 석비(BC 853)와 모압 왕 메사의 석비(BC 840)는 각각 9세기 중반 이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북부에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정치적 실체로 역사의 무대에 세력을 행사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BC 12세기에서 BC 9세기 중엽까지의 고대자료들은 직접적으로 이스라엘을 언급하지 않은 체 침묵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세계관적 기억 속에 남겨진 흔적을 추적하기 위해 오랜 언어적 관습 중에 하나인 민족들의 지칭법을 살펴보면, 언어적 표현 너머에 있는 당시 기억 속에 각인되어 담겨진 해석적 의미들을 되살려 보았다. 민족들을 지칭하는 명명법에는 1) 시조나 지경에 따른 지칭법(에돔, 모압, 암몬), 2) 역사적 배경에 따른 지칭법(블레셋), 3) 도시에 따른 지칭법(두로, 시돈, 앗시리아, 바벨론)이 있었다. 가나안 땅 유역의 주변 민족의 경우 모두 - 블레셋을 제외하고는 - 조상명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지만,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나 그 인근 지역에 있던 나라들의 경우, 모두 도시명을 따르고 있었다. 이스라엘이란 지칭을 살펴본 결과, 이스라엘은 조상명과 동시에 지경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지칭은 애초부터 정치적 실체와 국가와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이 지칭의 유래는 왕국 시기나 포로기 이후의 명칭이 아니라, 포로기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있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이란 지칭에는 한 조상으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일정 정도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인적인 집단으로서, 하나님으로부터 특정 지역을 할당받았다는 사상이 내재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성경 내의 민족들의 지칭법 연구는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과 하나님으로부터 거주할 땅을 할당받았다는 역사의식을 명백히 표현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지칭의 사용이 국가형성 시기나 포로기 후기로 편력하는 기존의 일반적 견해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opinion of most scholars, the identity and origin of Israel lies at least in the state of a national tendency. The term ‘Israel’ is either after the emergence of an independent state, or the returning community of captivity has used this designation, and he editors of the text-as opposed to the historical narrative context of the biblical narrative-add a theological meaning and interpret it in the Bible. And they would put this term into the text as an interpretive indicator. Biblical authors use the term Israel without categorical distinction for the existential continuity of the listener’s present and past events. Thus, the identity and origin of Israel can be vagu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trospectively trace traces of memories beyond hisIsrael’s torical relics and data to find a factual and linguistic basis for Israel’s identity and origin. To this end, the researcher used non-biblical data (reading of ancient monuments and the possibility of recent interpretation), archaeological records of Palestine, and a method of synthesizing data in the Bible. Ugarit’s list of the warriors (end of the 13th century BC) reveals that the name “Israel,” which includes the deity “El,” was not an unfamiliar name in the region of the Levant. In the Merenphtha Stele (1209/8 BC), Israel refers to human groups, not regions or territories. However, this stone monument does not tell whether Israel had a single origin. The monument of Salmaneser III (853 BC) and the monument of Mesa of Moab (840 BC), respectively, indicate that since the mid-9th century, Israel has exercised power on the stage of history as a political entity occupying a region in northern Palestine. Ancient data from the 12th century BC to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BC remain silent without directly mentioning Israel. In order to trace the traces left in the memory of the worldview,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naming method of peoples, one of the old linguistic conventions, and revived the interpretive meanings engraved in the memories of the time beyond linguistic expressions. The nomenclature for nations includes: 1) nomenclature according to the origins or regions (Edom, Moab, Ammon), 2) nomenclature according to historical background (Philistines), 3) nomenclature according to cities (Duro, Sidon, Assyria, Babylon). All the neighboring peoples in the Canaanite basin-except for the Philistines-were based on their ancestor names, but all the Mesopotamian civilizations and neighboring countries followed the city na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signation of Israel, Israel had both the ancestral name and the geographical name. Therefore, from the beginning, this designation had nothing to do with the political entity and the state. Thus, this designation dates back to before the period, not after the period of the kingdom or the period of captivity. The idea of “Israel” as a human group based on a certain degree of homogeneity that it originated from an ancestor, was assigned a specific area by God was inherent.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designation of nations in the Bible clearly expresses the origin of Israel based on homogeneity and the identity of God assigned the land to live in. Therefore, the existing general view of the use of this designation as the period of state formation or post-captivity should be revised.

      • 대형 평판재하시험을 통한 PF 공법의 하중전이 특성 분석

        강민수 ( Kang¸ Min-su ),조명수 ( Jo¸ Myung-su ),고용택 ( Koh¸ Yong-taek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general ground conditions in Korea are distributed in order of fill, deposit soil, weathered soil, weathered rock, soft rock. The fill soil and deposit soil located at the top have relatively low strength compared to the lower layer, and they are sometimes classified as soft ground according to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results. In this study, the PF method, a ground improvement method, was applied to the soft layer, a large plate load test was conducted on the improved ground, and the results were reviewed.

      • 중성화가 콘크리트의 물성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민수 ( Kim¸ Min-su ),김진근 ( Kim¸ Jin-keun ),하재담 ( Ha¸ Jae-da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6 No.2

        Chemical reactions of penetrating carbon dioxide with the cement matrix reduce the alkalinity of the concrete and this phenomenon is called carbonation or neutralization. This give rise to corrode of steel by diminishing protect property of concrete and vary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The researches related to carbonation have been emphasized on the former and not noticed the latter. However, in extreme case, it is known that carbonation can cause increasing of rebound number of concrete surface may be up to 50%, and this overestimate strength prediction by using rebound hammer method.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from experimental study that investigate to explore the effect of carbonation on the rebound number, pulse veloc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especially give priority to the rebound number.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s of carbonation on compressive strength and pulse velocity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rebound number were remarkable especially for low strength concrete.

      • KCI등재

        시민구제를 위한‘생태 친화적 산책자’개념 정초 - 벤야민의 ‘거리 산책자’의 생태적 확장과 전환 -

        김민수 ( Kim¸ Min-su ) 한국환경철학회 2020 환경철학 Vol.0 No.30

        본 연구는‘생태 친화적 산책자’개념을 시민구제의 관점에서 정초하기 위해 기획된 글이다. 논의의 전개 과정은 벤야민이 제시한‘거리 산책자(der Flaneur)’개념을‘생태 친화적 산책자’개념으로 확장 및 전환시키는 것에 있다. 그래서 논지전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우선, 논자는 벤야민의 거리 산책자’개념을 보들레르의 시 정신으로부터 분석하고, 또한 그의 아케이드 프로젝트 속에서 어떠한 시대적 문제의식에서 성립되었는지를 밝힌다. 다음, 논자는 두 가지 연결고리를 통해 벤야민의 ‘거리 산책자’개념을 ‘생태 친화적 산책자’로 확장 및 전환한다. 첫째,‘생태(eco)’개념을 ‘집’을 뜻하는 희랍어 ‘오이코스(oikos)’로부터 연원을 찾아서 그 의미가 벤야민의 현대 도시 공간 분석에 맞닿아 있음을 해명하다. 둘째, 벤야민의 ‘거리 산책자’개념에 담긴 시민구제론을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 담긴 논의 구조로 재해석하면서 그 의미를 밝히고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논의를 통해서‘생태 친화적 산책자’개념을 정초하고 실천적 관점에서 그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ground the concept of “Walker of Eco-Affinity”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Salvation”. Discussion is to expand and transform the concept of “der Flaneur” proposed by Benjamin to the concept of “Walker of Eco-Affinity”. Therefor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is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First of all, the writer analyzes the concept “der Flaneur” of Benjamin from Baudelaire's poetry spirit, and also reveals in what periodic problem consciousness was established. Next, The writer develops the core logic through two links. First,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eco” is derived from the Greek word “oikos,” which means “house,” and clarifies that its meaning is in line with Benjamin's analysis of modern metropolitan space. Second, I reinterpret the civic salvation theory contained in Benjamin's concept of “der Flaneur” into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contained in Plato's parable of the cave, clarifying its meaning and presenting problems. And through discussions to solve the problem, the concept of “Walker of Eco-Affinity” is established and its necessity is presente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 KCI등재

        ‘해방’의 전통과 복원 - 김학철을 중심으로

        김민수 ( Kim¸ Min-su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89 No.-

        이 글은 조선의용군 출신 작가 김학철(金學鐵, 1916~2001)의 서지를 보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일차적으로는 김학철이 독립운동가에서 작가로 변모했던 해방 직후의 불완전한 서지를 갈무리하고자 하였다. 월북 이전의 작품목록을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당시의 정치지형을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김학철이 조선의용군을 형상화한 작품이 ‘해금’을 전후한 시기에 어떠한 방식으로 복원된 것인지 살피고자 하였다. 1980년대 민주화의 열기와 맞물려 ‘해방전후사(解放前後史)’는 출판문화계의 지대한 화두로 자리했다. 특히 중국에서 출판된 김학철의 전기문학 『항전별곡』(1983)과 『격정시대』(1986) 등이 일본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한국에서 해적판으로 출판된 정황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때 그의 소설은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사료’로 취급된 바 있을 정도이다. 이처럼 규율화된 폭력(Gewalt)을 무릅쓰고 우리에게 돌아온 조선의용군 서사는 ‘잔존(Survivance)’의 가치를 논의하기에 충분한 것이라 할 수가 있다. ‘해방’과 ‘해금’ 사이의 공차를 저울질하는 작업을 통하여 반세기에 걸쳐 금압의 역사로 자리했던 ‘해방공간’의 의미를 재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out the bibliography of Kim Hak-cheol (1916-2001), author and member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First, I organize incomplete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period following the Liberation, when Kim shifted from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to author. In organizing Kim’s list of works prior to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I also investigate the political geography of the period. I then examine how Kim’s depiction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was restored around the time of the ‘lifting of the ban.’ In step with the fervor of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history at the time of liberation’ became an immensely important topic in the publishing world. In particular, I trac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Kim’s biographical works Hangjeonbyeolgok (1983) and Gyukjeongsidae (1986), originally published in China, were published in pirate editions by way of Japan. At this time, Kim’s novels were treated mostly as historical resources o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vercoming disciplinary violence (gewalt) to return to South Korean readers, this Korean Volunteer Army narrative offers an important chance to discuss the value of ‘survivance.’ By measuring the difference that appears between the ‘liberation’ and the ‘lifting of the ban,’ it is possible to begin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Liberation Period,’ which occupied the position of suppressed history for half a centur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소외와 기술권력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김민수 ( Kim¸ Min Su ),노희정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드러나는 인간소외와 기술권력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이다. 우리 시대에 인간의 소외가 어떻게 일어나고 있으며, 그 소외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윤리학적 해명과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인간 소외 현상의 본질이 인간의 사회 문화적 가치 증대의 힘으로 여겨왔던 기술적 행위 권력에 있으며, 이 권력에 의해 인간의 자기소외가 일어난다는 점을 주요 내용으로 고찰한다. 본론에서 우리는 ‘소외(疎外, Entfremdung)’라는 철학적 개념을 논의의 중심에 놓고 헤겔, 마르크스, 그리고 요나스의 소외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기술권력에 대한 규제로서의 윤리학과 계몽의 반성적 자기비판을 다룰 것이다. 이러한 논의 결과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인간중심의 유토피아를 희망하는 인간적 기술권력에 대한 규제와 자기반성적 비판을 통해서 우리 시대 소외 현상의 극복을 위한 대안과 전망을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ethical inquiry into human alienation and technological power in our society ente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ethics of how human alienation is occurring in our time and what the essence of the alienation is.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today lies in the power of technological ac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power of increasing human sociocultural value, and this power causes self-alienation of humans. In the main subject, we will critically examine Hegel, Marx, and Jonas's theory of alienation, putting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alienation”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nd it will deal with the reflective self-criticism of enlightenment and ethics as a regulation on technological power. As a result of these discuss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ill present alternatives and prospects for overcoming the alienation phenomenon in our time through regulation and self-reflection criticism of human technological power that hopes for a human-centered utop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