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뉴질랜드 독립의 변곡점에서 본 시론(時論)의 기억 -20세기 전환기 연방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분리와 통합-

        이민경 ( Lee¸ Min-kyoung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50

        본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뉴질랜드 분리’의 역사를 뉴질랜드 중심의 시각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제를 둘러싼 당대의 역사가 품고 있는 기억의 실제를 고찰하는 시도이다. 무엇보다 1901년의 오스트레일리아연방 출발 시점이 아니라 연방 형성의 과정을 주목하여 뉴질랜드의 주권적 사고가 피력되는 양상을 추적하는 동시에 뉴질랜드의 정체성 및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통합’이라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이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제를 위한 회의들이 진행되는 동안 독립성을 지키고자 한 뉴질랜드만의 위신, 나아가 뉴질랜드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뉴질랜드는 원주민에 대한 처우와 식민의 역사가 다른 오스트레일리아와의 ‘연방’이라는 구상에 대해 종속적인 하나의 ‘주’가 되는 것을 꺼렸다. 무엇보다 뉴질랜드를 구성하는 파케하와 마오리의 특성을 융합하는 새로운 민족주의적 정치체 속에서 남태평양 제국에 대한 청사진, 오스트랄라시아의 구심점으로서 뉴질랜드의 유토피아적 미래를 구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y of memory of the contemporary history surrounding the Australian federal system, from a New Zealand perspective with respect to the historical fact of ‘the separation of New Zealand from Australia’. First of all, it trace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New Zealand’s sovereign thinking by not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Federal Australia’, not the starting point of ‘Commonwealth of Australia’ in 1901. At the same time, it considers the issue of New Zealand’s identity and the “integration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s out how New Zealand’s prestige of maintaining her independence as part of the British Empire and New Zealand’s identity were revealed during several meetings for the federal Australia: New Zealand differed from Australia in its treatment of indigenous peoples and colonial history. She was reluctant to become a ‘state’ subordinate to the idea of a ‘federation’ with other Australian colonies. Above all, New Zealand’s utopian future was conceived as a blueprint for the South Pacific Empire and the center of Australasia in a new nationalist polity that fuses the characterstics of Pākehā and Maori that made up ‘New Zealand’.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minklee@sogang.ac.kr)

      • KCI우수등재

        ‘키위(Kiwi)’로 가는 길목의 ‘카키(Khaki)’ 열풍 -남아프리카 전쟁과 뉴질랜드의 분리와 통합-

        이민경 ( Lee¸ Min-kyoung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7

        본고는 남아프리카 전쟁에 대해 ‘전쟁 참전국’의 관점에서 영제국 식민지 뉴질랜드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남아프리카 전쟁의 의미를 고찰해 보는 시도이다. 특히 대중의 적극적 지지아래 식민지 가운데 높은 비율의 지원병을 파견한 뉴질랜드 사회 내부적 반응을 통해 ‘뉴질랜드와 뉴질랜드인’의 개념에 대한 사고를 통찰해보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파병대 모집에 관련된 뉴질랜드 사회의 논쟁과 움직임들에서 뉴질랜드의 사회적 동의의 면면을 탐구한다. 또한 파병 지원에 대한 반응들을 분석함으로써 사회 내부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인종 및 민족의 감각을 살펴본다. 아울러 ‘통합’과 ‘분리’라는 프레임에서 이 전쟁에 대한 뉴질랜드의 열정이 국가 정체성 형성을 위해 어떠한 의미를 갖는 지 고찰한다. 남아프리카 전쟁 당시 뉴질랜드 사회에 만연했던 군국주의와 애국주의적 행보들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본고는 이 질문을 중심에 두고 ‘국민’과 ‘민족주의’에 기반을 둔 ‘뉴질랜드’라는 국가 인식이 부상하게 된 중요한 경험으로 남아프리카 전쟁을 조망한다. 아울러 파병 지원과 전쟁 지원에 관련된 논쟁과 활동들이 정체성의 하위 세트인 인종과 민족의 표현을 구별하지 않는 통합된 의식의 기초를 마련하고 있었음을 확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South African War by analyzing the response of the British colony - New Zealand to the South Afric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ticipating n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proposes to think of the concepts of “New Zealand and New Zealanders” by observing the internal social response to the war, noting that New Zealand, which sent a high percentage of volunteers among the British Colonies with high public support.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aspects of the social consensus of New Zealand in the disputes and movements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recruitment of troops for the war. It also analyzes the responses to the troop dispatch to identify the racial and ethnic feelings that were divided in the society. In addition, it looks over what New Zealand’s enthusiasm for the war means to build national identity, especially in the frame of “integration” and “separation”; how the militaristic and patriotic moves that prevailed in New Zealand society during the South African War can be interpreted? Focusing on these issues, this article views the South African war as an important experience in the rise of the national perception of “nation” and “nationalism.” And it finds that the debates and activities related to supporting troops and war supports lay the foundation for an integrated consciousness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racial and ethnic expressions, a sub-set of identity.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minklee@cku.ac.kr)

      • KCI등재

        오스트레일리아의 부정적 문화유산(Negative Heritage)과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의 기억 -태즈메이니아(Tasmania) 지역을 중심으로-

        이민경 ( Lee¸ Min-kyoung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3 No.-

        본고는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의 부정적 문화유산과 투어리즘을 역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하며 다크 투어리즘과 기억의 유산에 대한 역사성을 고찰해보는 시도이다. 먼저 이 지역 다크 투어리즘의 실질적 대상인 유형지와 유형수, 그리고 투어리즘과 관련된 기억의 유산들을 살펴보면서 부정적 과거에 대한 기억의 산물이 어떻게 투어리즘의 주체적 대상으로 승화되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후반 이후 확산된 투어리즘의 역사를 추적하는 한편, 태즈메이니아의 유형지 기억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과거 유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그리고 다크 투어리즘 현상의 의미를 추적해 본다. 이를 통해 본고는 태즈메이니아의 부정적 문화유산을 탐방하는 관광의 상품화가 19세기 사상적, 경제적, 사회사적 맥락과 닿은 역사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준다. 아울러 지역의 부정적 기억이 다크 투어리즘을 통해 제국의 건설을 이루어간 영국인들의 역량을 역사로 합리화시키는 일종의 표식으로 전환됨을 확인한다. 또한 기념과 기억에 대한 시대적 맥락에서 그 가치를 더해가는 보존의 대상으로 변화함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gative heritage of Tasmania in Australia,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discusses the historical nature of dark tourism and of what heritage remembers. First of all, it looks over the penal places and transported criminals, the tangible objects of dark tourism, and the heritage of memories related to the tourism. And it explores how the products of memory of the negative past of the colonial times are sublimated into the subjects of tourism. Also it traces the history of tourism that has sprea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hile tracking the changing perception of Tasmania’s negative past and Australia’s past heritage, and the meaning of dark tourism.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tourism to explore Tasmania’s negative heritage, has historical significance within the ideological, economic and social historical context of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the negative memories of Tasmania, through the dark tourism, have turned into a sort of sign that rationalizes the capabilities of British people into history. And also it reveals that the negative heritage of the place has changed into a subject of conservation that has been added value in the context of its time-honoured justification as commemoration and memory of the Australia’s origins.

      • Characterization of Exosome-Like Plant Nanoparticles and Their Physiological Activity

        Minkyoung Kang,Juyeon Lee,Jiseon Yoo,Bohyun Yun,Sangnam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Exosomes are known as membrane-bound organelles secreted by eukaryotic cells, and there has been a long debate over the possible production of exosomes in plants due to the presence of cell wall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e secretion of exosome like nanoparticle, including bioactive lipids, proteins, small RNAs and other pharmacologically active molecules from plants. In this study, we isolated nanoparticles from 11 vegetables (PNPs; plant nanoparticles) using the polyethylene glycol 6000, and characterize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e.g., particle size, contents, morphology and miRNA content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and bioanalyzer. Most of PNPs showed round shapes and diameters of 200nm or less. Interestingly, anti-inflammation activities effect of PNPs from 11 different plant sources were observed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accompanied with re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TNF-α). These results showed the potential use of exosome-like nanoparticles was suggested as pharmaceutical dietary supplement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 KCI등재

        The Effect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Pai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Primary Dysmenorrhea

        Minkyoung Kwon,최원재 물리치료재활과학회 2023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Vol.12 No.3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as a non-invasive therapeutic approach for managing pai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suffering from primary dysmenorrhea. Design: A case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a cohort of 6 women diagnosed with primary dysmenorrhea, aged between 20 to 30 years. Participants were received microcurrent stimulation using low-intensity microcurrents for 30 minutes every day for 4 weeks. The intensity of microcurrent stimulation was 25 μA and the frequency was 8 Hz. The intervention was administered between the menstruations, with pain intensity and quality of life being assessed at baseline, and then at the end of menstrual cycle. Pain intensity was evaluat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menstrual symptom questionnaire (MSQ), while the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through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and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EDI-Q).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participants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pain intensity, as evidenced by improved VAS scores (p<0.05). However, the changes in MSQ scor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quality of life measu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RI, STAI, CES-D, and MEDI-Q scores after the intervention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 that microcurrent stimulation holds promise as a potential treatment option for alleviating pain associated with primary dysmenorrh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