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넷플릭스 효과: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미니시리즈 형식의 내러톨로지 혁신에 관한 연구 - 오징어 게임과 지옥을 중심으로

        마이클엉거 ( Michael A. Unger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3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6 No.2

        전세계적인 코로나 19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1년, 불과 두 달 만에 넷플릭스는 두 개의 디스토피아적인 한국의 미니시리즈 오징어 게임과 지옥을 발표해 각각 당시 넷플릭스 전체에서 최고의 시청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미국 디지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대한민국 한류의 성공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이 두 미니시리즈는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재앙적 혁신에 대한 신자유적인 대응이 미치는 부패의 효과에 대해서 소득 불평등이라는 한국 사회의 규범적인 이슈와 대중매체와 종교의 영향력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은 두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한정된 횟수의 시리즈 드라마 형식을 통해 어떻게 내러톨로지적인 혁신을 제시하고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은 게임 디자인 플롯 구조를 사용하는 반면 지옥은 두 개의 더 작고 상호 관련된 앤솔로지를 창조하여 중요한 스토리 격차를 구현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구조적 접근법은 국제 미디어 현상에서 볼 때 각각의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그들만의 주제적 관점으로 매력과 성공을 거머줬다고 압축해서 볼 수 있겠다. Within the span of two months in 2021 during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Netflix released two dystopian Korean miniseries Squid Game and Hellbound that each subsequently broke viewing records for Netflix’s most-watched series at that time, signaling the success of the Korean Hallyu in its latest incarnation of permeating American digital streaming platforms. Both miniseries address Korean societal norm issues of income inequality and the malaise of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religion that spoke to viewers across the world about the corrosive effects of neo-liberalism’s response to catastrophic events. This comparative article examines how these two miniseries present their own narratological innovations for the limited series drama format: Squid Game employs a game-design plot structure while Hellbound implements a significant in media res story gap at its midpoint to create two smaller, interrelated anthologies. In doing so, these structural approaches encapsulate the thematic dimensions of their respective miniseries that contributed to their appeal and success as an international media phenomenon.

      • KCI등재

        The Narratology of the 〈Russian Doll〉 Complex Serial Drama - Spiral Story Structure as a Time Loop -

        Michael A. Unger(마이클 엉거)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1

        호평과 인기를 동시에 얻고 있는 웹 텔레비전 시리즈 〈러시안 인형처럼〉 (넷플릭스, 2019-현재)은 컨셉과 스토리라인이 복잡한 특징을 띤 개방형 결말의 미국 시리즈 드라마로서 효과적인 케이스 스터디인데, 이 드라마는 과잉공급의 드라마 소비시장에서 틈새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러시안 인형처럼〉은 SF에, 미스터리, 드라마, 코미디, 심지어 형이상학까지 혼합된 창작 시리즈물로서 반복되는 시간 루프안에서의 SF 수사법을 활용하였다. 〈러시안 인형처럼〉에서 시간 루프는 나선형 스토리 구조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두 명의 주요 인물이 시간 루프에 갇히게 되면서 계속 반복되는 행동의 사이클을 발견하게 되고, 그 반복되는 사이클을 깨기 위한 적합한 전략을 찾아가는 흡사 비디오 게임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다른 SF 텔레비전 드라마가 시간 고리를 단지 서술적인 효과로 쓰는 것에 반해 “러시안 인형처럼”은 시즌1 전체를 시간 나선형으로 연대순 구성을 하는 혁신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시간 고리가 드라마에 어떻게 구조적으로 반영됐는지를 탐구하는 방식으로 “러시안 인형처럼”의 서사학 연구를 하고 있으며 반복과 연속을 각각 서술의 특성으로 기본들 둔 단막극이면서도 연속극인 형태인 드라마를 연구하고 있다. The critically acclaimed and popular web television series 〈Russian Doll〉 (Netflix, 2019-present) is an effective case study of how complexity of concept and storyline featured in the open end serial drama in the United States is employed towards finding a niche viewership among the plethora of shows available for consumption. 〈Russian Doll〉 utilizes the science fiction trope of the time loop to create a series that combines science fiction with mystery, drama, comedy, and even metaphysics. The time loop in 〈Russian Doll〉 takes on the form of a spiral story structure where its two main characters stuck in the time loop discover their own cycles of repeated behavior, much in a manner of a video game design, to find the right strategy to break the cycle. While other science fiction television shows employ time loops as a narrative conceit, 〈Russian Doll〉’s innovative approach is constructing its entire first season chronologically as a temporal spiral.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Russian Doll〉’s narratology by exploring how its time loop is structured and embodies the episodic and serial formats based on its narrative traits of repetition and progression respectively.

      • KCI등재

        Performative Liveness in 〈Lost in London〉 (2017) - Live Streaming the Long Take in Global London as a Digital Happening -

        Michael A. Unger(마이클 엉거)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0 영상기술연구 Vol.- No.34

        영화 〈로스트 인 런던(2017)〉은 롱테이크 장편영화의 미학을 디지털적인 해프닝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시도하며 문화적 가치를 담은 라이브니스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라이브니스는 현장중계하는 식의 스트리밍으로 영화 촬영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관객들에게 편집단계 없이 영화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는 영국 런던에서 장소와 시간이 전혀 다른 미국에 있는 영화 관객들에게 촬영과 동시에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방식으로 방영되어 화제가 된 영화로서 롱테이크 기법으로 촬영한 카메라 앞에 펼쳐진 큰 이벤트를 가리킨다. 배우이자 영화감독인 하렐슨이 2002년 런던에서 자신이 경험한 하룻밤 동안의 사건을 재현하는 것을 기본 소재로 한 이 영화는 배우들이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것”과 그들의 유형성과 영화적 표현 사이의 구분이 모호한 것, 이 두 가지 퍼포먼스 구성으로 이루어진 감각적인 즉흥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롱테이크 기법으로 촬영된 영화적인 진정성은 라이브 스트리밍 영화 이벤트라는 고도의 예술적 기교성과 런던의 극장가 거리라는 장소적인 대표성으로 나타나는데, 하렐슨이 영화를 촬영하고자 마음을 먹은 런던 극장가 거리는 영화적인 랜드마크와 미장센 영화의 생방송 무대로서의 두 가지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이 영화에서 롱테이크의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미학은 런던이라는 무대와 스트리밍을 통해서 실시간 방영되는 것 이외에 생생함과 진정성으로 관객들과 소통한다. 영화 〈로스트 인 런던〉의 매력은 생방송 스트리밍이면서도 영구적으로 소장해서 관람할 수 있는 영화적 가치를 담은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Lost in London〉 (2017) celebrates claims of liveness in its cultural economy by incorporating the aesthetics of the long take feature film into a novel realm of a digital “happening.” It situates the profilmic event of shooting a long take film in London as a film event that was simultaneously streamed in real time to cinematic audience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a recreation of a night Harrelson experienced in 2002 in London, the film’s emphasis on its perceived immediacy is comprised of two performative components that “play themselves” and in doing so blur the distinction between their materiality and their cinematic representation: the cinematic authenticity of a long take film mediatized as a live streaming bravura film event and representing the theater district of London, where Harrelson decided to shoot the film, as a cinematic landmark that doubles as a live stage for the film’s mise-en-scene. These durational and spatial aesthetic components of the long take offer the viewer the sense of connectivity that is perceived as authentic rather than staged and mediatized. Altogether, they constitute 〈Lost in London’s〉 allure as a media site for live experience on the silver screen while at the same time offering a permanent availability of that experience.

      • KCI등재

        A Study of the Impenetration of the Human and the Technological in Science Fiction Film

        Michael A. Unger(마이클 엉거)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5 영상기술연구 Vol.- No.23

        리들리 스콧(Ridley Scott)의 선견지명이 있는 SF영화,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1982)가 처음 나온지 33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이 영화는 SF영화 장르에서 ‘다른 것’으로써의 ‘에일리언’ 개념의 사이버펑크 미학적이며 주제와 관련된 중요한 변화로 여겨지고 있다. 이 영화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서,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붕괴하는 새로운 주체성을 창조하는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결합을 설명하고 있는 기술적으로 디자인된 독립체를,“복제”라는 개념을 통해 이 영화의 디에게시스 안에서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친밀한 결합에 관한 설명을 재연구한다. 또한 이 재고찰은 영화가 현재 우리가 사는 글로벌 정보 시대에서 테크놀로지와 우리의 관계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 KCI등재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Korean Cities in Hollywood Film: Techno-Orientalism From Neo-Seoul to the Marvel Universe

        마이클 엉거(Michael A. Unger)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서울은 가장 성공적인 동아시아의 메가시티이자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 등을 국제적으로 수출하는한류문화 콘텐츠 창조의 중심이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할리우드 주류 영화에서 서울의 대표성은 대부분 동아시아어느 한 도시의 대역 내지는 배경에 불과하고, 균질화된 도시와 그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시민들을 보여주는데 있어서 세계적인 슈퍼 문화라기보다는 테크노 오리엔탈리즘적인 메가시티로 보여지고 있다. 본 논문은 서울이 무대가 된 세 편의 할리우드 영화와 부산을 배경으로 하는 한편의 영화, 총 네 편의 영화를바탕으로 연구하고 있다. 우선 SF영화로는 서울을 배경으로 한 콜로설Colossal(2016)과 미국 국방부 요원 이야기인 본 레거시 Bourne Legacy(2012)가 있고, 액션/환타지 왕국인 마블 유니버스 영화로는 서울을 배경으로 한 어벤저스: 에이지 오브 울드론Avengers: Age of Ultron(2015)과, 또 부산을 배경으로 하는 블랜팬서Black Panther(2019)가 있는데, 이 두 마블 영화는 모두 추격 장면에서 한국의 도시를 이국적이고 테크놀로지적인 무대로 그리고 있다. 이 네 편의 할리우드 영화의 대표성은 발전되고는 있기는 하지만 일관된 웨스턴 영화의 패턴을 보여주는데, 할리우드 미디어 상품에서 코스메틱 멀티-문화주의 주입을 시도한다는 그저 이국적인 볼거리로써 세계화와는상관없이 한국의 도시를 얄팍하게 영화에 담는 것에만 치중했다는 아쉬움을 보여주고 있다. Although Seoul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mega-cities in East Asia and the center of the creation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such as television dramas, feature films, music videos exported internationally, Seoul s cinematic representation in the last ten years as found in Hollywood mainstream cinema has regulated it largely to an East Asian urban stand-in or backdrop, a megacity which denotes a techno-orientalist rather than a cosmopolitan culture in its homogenization of the city and its inhabitants that form and constitute these urban milieus. This article surveys three Hollywood films that feature Seoul as a city, and one that features Busan: Two of these films within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depict Seoul as a site of destruction in Colossal (2016) and the other as part of a global, American military industrial complex for screen in The Bourne Legacy (2012). Within the action/fantasy realm of the Marvel Universe franchise, Seoul (Avengers: Age of Ultron (2015)) and Busan (Black Panther (2019)) both serve as an exotic technological for its staged chase scenes. These four Hollywood representations together characterize a developing but consistent pattern of a Western, conditioned cinematic visibility of Korea s cities that contains little depth beyond its own glocalization as an exotic spectacle in an attempt to inject a cosmetic multi-culturalism in their media products.

      • KCI등재

        Forging the Personal with the Historical in Cheonggyecheon Medley

        Michael A. Unger(마이클 엉거)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8 영상기술연구 Vol.- No.28

        다큐멘터리 미학에 있어서 실험다큐멘터리는 한국 영화에 있어서 더욱 유연한 다큐멘터리 문화를 만들어내는 것에 이바지해 왔다. 박경근감독의 영화 〈청계천 메들리(2010)〉는 요즘 세대의 혁신주의자로서 폭 넓게 포용하며 상징적으로 접근했고 이러한 점이 그의 영화가 한국 실험 다큐멘터리로써 국제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현대화의 메타포로 쇠를 소재로 하는 이 영화는 박경근 감독의 기록 영화로 기존과는 다른 다큐멘터리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박감독의 메들리 혹은 콜라주로써 동네 금속 노동자를 관찰하여 촬영한 영상과 음악이 있는 몽타주, 에세이 같은 느낌의 내레이션으로 변화무쌍한 색다른 다큐멘터리의 감성을 표현해 내고 있다. 해외교포 출신인 박경근감독은 그의 시선으로 한국의 불안정한 노동자라는 사회적 소재에 관해 자신의 주관적이고 분열된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어떠한 방식으로 그의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구성을 관객들에게 보여 주는 지와 각각의 다큐멘터리 방식이 어떻게 사회적 문제를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지에 관해 연구하고 있고 이것이 본문의 추상적 개념의 방식이기도 하다. 다큐멘터리 산업에 있어서 입증할 수 있는 지식의 유형과 표현성은 상호간에 독점적인 카테고리가 아니라 그것들이 서로 교차하는 것이고, 그리고 이는 영상 민족학에서 볼 때 비판적인 주관성의 유효하고 획기적인 유형을 창조해내는 사회적 문제의 환기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