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상교육 플랫폼을 이용한 원격 수업의 문제점 및 학습자 분석 : 교육전문 포털 사이트의 시험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량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교육전문 포털 사이트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험 운영해 본 완전 가상수업 사례를 토대로 이러한 유형의 수업에 있을 수 있는 문제점과 학습자의 수업행동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가상수업이 진행되는 기간 내내 이루어진 학습자와의 의사소통에 기초하여 수집하였고 강의기간 2/3 경과 시점에 게시판에 다섯 문항의 온라인 설문을 게시함으로써 설문에 온라인으로 응답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수집,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개방형 설문에 응답한 학습자들은 설문 문항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도 포괄적인 진술을 제공해 줌으로써 연구자로 하여금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수업 참여의 과정을 짐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하였다. 포털 사이트의 시험 운영기간동안 수강 학습자에 대한 아무런 제한 없이 무료로 진행된 만큼 학습자의 태도 및 수업참여, 예절, 과제 완성도 등은 너무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의 반응은 교수자의 수업전력의 정도에도 영향을 미쳤던 바, 학습자의 적극적인 가상수업 참여에 교수자의 안내와 촉진적 역할이 중요한 것 못지 않게 학습자의 학습참여나 학습활동의 정도도 교수자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EStudy Anytime'이라는 강력한 기능을 가진 가상교육 플랫폼이 제공되었음에도 이러한 학습유형에 익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은 오히려 더 혼란을 겪어 교수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새로운 수업도구를 사용하기 전에 교수자 및 학습자 모두를 위한 사전 오리엔테이션이 충분히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는 측면이다. 어차피 모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수업의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기계를 매개로 하는 교육적 대화가 인간간의 정과 유대를 강화할 수 있다면 그 동안 끊임없이 제기되어 오던 가상수업의 한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수업의 대안적 모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ossible problems and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of cyber instruction through the testing instruction for two months at portal site related to education. This site provides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with cyber educational platform called 'EStudy Anytime', which has powerful functions to help both of them. Data collection techniques for analysis were informal cyber class observation, e-mail, and online survey etc. The assignments submitted as a part of instruction were another criteria for learner analysis. Besides some of learners answered to open-ended questions especially gave the researcher much broader informations via personal e-mail that i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us. According to synthetic analysis of learners' cyber learning activities, there was a variety of the degree of completion at cyber class, learners' participation, attitude, manners of communication, and task submission under the condition of individual learner and learning contexts. It is realized that input from the aspect of learners is also a great impact on the involvement of instructor. Even though powerful platform was provided for helping cyber instructional or learning activities, most of participants had very confusing experiences because they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of getting to know the functions of platform. This situation indicates that we need to have a kind of orientation about how to use a specific tool before applying to real contexts. At any rate, there is no ideal instructional models which can meet the various needs of learners. If a certain educational encounter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mediated by the machine called 'computer', facilitates the bond of human relationship, it can be one of alternative ways of instruction at cyber space.

      • 디지털 학습 플랫포밍 최적화 전략

        김미량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2002 敎育硏究 Vol.1 No.1

        디지털 학습은 전자우편, 토론, 실시간 컨퍼런싱, 그룹웨어, 파일전송, 응용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교육과정 개발 및 관리 도구 등을 구성요소로 하여 디지털 세상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이다. 디지털 학습플랫폼은 이와 같은 구성요소 중에서 디지털 학습을 설계, 개발, 실행, 평가, 관리하는 기지의 역할을 하는 통합 프로그램을 말한다. 디지털 학습 플랫폼이 얼마나 최적의 기능과 학습환경을 제공해 주는가에 따라, 또 디지털 학습 플랫폼이 얼마나 디지털 학습의 설계, 개발,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가에 따라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은 물론 학습에의 시간, 노력, 참여와 같은 투입행동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 학습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에는 저작기능, 컨퍼린싱 기능, 상호작용 지원도구, 관리평가기능, 학습보조지원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플랫폼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학습장면에서 일어나야 하는 개별 학습자의 학습경험과 활동들을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디지털 학습환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의 방법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문제는 저마다 다른 '개인' 학습자의 고유한 학습환경에 완벽한 최상의 플랫폼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다양한 개인 학습자의 요구들을 수렴하고 구체적인 학습내용과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 효율적, 매력적 학습을 시도, 지도, 관리하기 위해 플랫폼의 최적화를 추구할 따름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디지털 학습환경을 개인 학습자에게 제공해 주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Digital learning offers distinct advantages over traditional classroom training. It accommodates all levels of expertise, and lets students work at their own pace, and it can be accessed from anywhere in the world. The Digital Learning Platform is an integrated Internet-based courseware development and delivery platform. The platform is used to develop and deploy self-paced courses. With the right digital learning platform, a virtual classroom can become a reality. The main components of the platform include the authoring tools, conferencing tool, interactive supporting t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learning assistance t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 provides management a way to obtain information on training progress and drive result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building an effective platform is to design the system around the individual learners' experiences and learning activities. The platform also needs to be designed to fully utilize various learning methods. But the problem is there exists no single best, optimized platform for every individual learner. Once the needs of individual learners, the scope of training contents, and the goals of training are determined, unique platform strategy might be optimized. In this paper, strategic guidelines for optimizing digital learning platform are to be provided.

      •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김미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6 No.1

        웹에 존재하는 넘치는 정보 중에서 이를 교육의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에 대한 사전 검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에도 웹의 많은 정보들이 교수-학습의 내용으로 활용되고 있고 또 웹기반교육이나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소재가 되고 있으나 이들 정보에 대한 총체적 질을 관리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는 교육용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질 관리에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의 준거를 개발, 적용해 보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교육용 웹 사이트 설계, 개발과정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용 웹 사이트의 평가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평가항목들을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고 교육용 웹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 항목을 추가한 뒤, 통계적 분석과정을 통해 의미있는 평가준거들을 제안하였다. 각 개별 평가항목을 설문항목으로 전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별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으며 이 과정을 통해 추출된 14개 요인과 웹 사이트 만족도 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중요 평가지표들을 추출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중심의 교육용 웹 사이트 개발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평가지표들이 제안되었고, 설계적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Educational web sites are proliferating at an astonishing rate, however many of those web sites are of poor or unknown quality. Educators are need of instruments to assist in evaluating educational web sites for authenticity, applicability, authorship, bias and usability, etc. The ability to critically evaluate educational content form numerous web sites is an important skill in this information age. In this paper, indicators of educational web site quality have been identifi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our own research, and classified within 8 categories. To tes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indicator to the satisfaction level from using educational web sit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Subjects were asked to visit the educational web site of his or her choice and rate the quality level of each indicator. 25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turned in for analysis. Cronbach's Alpha 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and 14 independent factors. Implication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guidelines for evaluating educational web sites were provided.

      • KCI등재

        요구분석과정을 통한 정보화교육 및 정책방향의 탐색 : 여성정보화를 중심으로 Focusing on Women Informatization

        김미량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1

        'Cyber Korea 21' 이라는 국가 정보화 계획을 중심으로 전 국민의 정보화를 위한 노력 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보화에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교육'에 있음을 주지하고 다양한 정보화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 제공되고 있다. 특히 대상층을 달리하는 특성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서 정보소외계층으로 간주되던 '여성'의 정보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추진되어온 여러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이 최종 대상자인 여성의 요구를 간과한 채 정보격차 해소의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진행되어온 경향이 컸던 바,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여성의 정보화를 위해 다양한 여성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체적인 요구가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과정과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여성의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 정책결정에 반영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대상층 및 범주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는 정보화과정의 차별화, 특성화, 다양화 전략을 강구해 보았다. 이는 정보화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이 최종 사용자의 요구를 수렴, 반영하여 개발, 제공될 때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을 전제한 것으로, 이러한 요구분석의 결과는 향후 재검토될 여성정보화 관련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에 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otenti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already had a profound impact on many ways of our living and society. According to this trend, our government shows the planned vision for informatization called 'Cyber Korea 21' and fully supports the education for informatization, which is the key factors to narrow down the digital divide. In spite of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different targets and related policies, there are still lots of digital dividers who need a help for joining a golobalized, technologized society. Above all, we need to show serious concerns for 'women' who tend to be alienated from the new digitized cyber world.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policy-making for informatization through need analysis focusing on women. Despite most of the policies are apt to be implemented based on top-down approach, we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some critical and basic needs from the perspectives of end users - if they are successfully fulfilled.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the need analysis ⅰ) to identify the women's specific needs for educational programs/policies related to informatization, ⅱ) minimize the possible barriers, ⅲ) elici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strategies, ⅳ)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ⅴ) specialize the educational process for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various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empowering women to engage in a high-quality living through the process of informatization.

      • KCI등재후보

        사이버 교수-학습과정에서 상호작용성 평가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미량,장정무,한광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1

        사이버 교수-학습환경이 활성화되면서 그 교육 과정의 핵심 요소로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사이버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상호작용성의 특성상, 그 과정 자체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고 또 이를 계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추상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을 평가하고자 사이버 체제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데이터를 기초로 DEA기법과 가중치 적용기법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서의 수준을 계량적으로 평가해 보았다. 이 두 가지 정량적 평가모형을 월별로 적용한 결과간의 상관계수와 서열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이 두 모형의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추상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을 정량적 접근을 통해 평가해 봄으로써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성의 정도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Since computer integrated technology was introduced to the field of education, it has offered an expanding range of interactive possibilities which are remarkably powerful and helpful for the learners, especially constructing the cyber learning environments. Interactivity, the critical element in cyber learning, i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student-to-contents, student-to-student and student-to-instructors. Six surrogate variables are introduced, and two quantitative model are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interactivity. The first model, which is called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is a linear programming based technique for measuring the relativ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units where the presence of multiple inputs and outputs makes comparison difficult. DEA model allows each unit to adopt a set of weight that shows it in the most favorable light in comparison to the other unit. The Second model employes the weighted average of standardized input variables for evaluation. Actual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Cyber IT university and these two models are applied for comparis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sults from these two models are very much similar to each other, and are high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class satisfaction.

      • 초등학생을 위한 사이버 커뮤니티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광현,김미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5 No.2

        많은 수의 초등학생들이 인터넷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그 중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면대면의 학교 상황에서 여러 요인으로 인해 원활하지 못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사이버 학급커뮤니티의 활용사례도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사이버 커뮤니터의 관찰과 분석을 통해 사이버 커뮤니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로서는 커뮤니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커뮤니티의 활용 방향성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채널 특성에 대한 사전 탐색이 필요하다는 것과, 학생 자율권과 교사 권한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운영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상호 유기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누적물은 학생들의 포트폴리오로서 학기말에 학생들에게 제공될 때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도 도출되었다. Cyber school community appears to have essentially emerged from the nee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which would not be easy in normal school environments. Message board, chatting rooms and e-mails allow students to connect with each others, share news, find ways to help study, or post personal sto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set of guidelines, based upon the direct observations and questionnaire analysis, for utilizing the cyber school commun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ovided; the appropriate goal needs to be set before the cyber school community is to be developed: the balance between the off-line and on-line interaction needs to be maintained; actions for motiva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yber community need to be taken by teachers.

      • 웹 컨텐츠를 이용한 실습교육의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교과를 중심으로

        김성배,김미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5 No.4

        7차 교육과정이후 ICT는 실업계 고교의 수업에서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전자과 실습교육을 위한 웹 컨텐츠를 설계, 개발, 수업에 적용하여 어떤 요인들이 학습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에는 웹 컨텐츠의 용이성, 유용성, 재미 등의 요소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이외의 웹 컨텐츠의 디자인, 이미지, 질 , 학습자의 태도, 자기 효능감 등의 요인들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업계 고교 수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웹 컨텐츠 설계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7th educational renovation was established, ICT has emerged as an indispensable tool for teaching a variety of subjects in technical high schools. This paper develops the model for expla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web contents as a mode for studying Electronic subject.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students who studied the Electronic subject using web contents, a following conclusion is provided: the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the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but the design of contents, image, quality, attitude as well as self-efficacy only indirectly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This result might provide the useful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web-contents fo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주요 평가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과학관련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광현,안중열,김미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3

        7차 교육과정이후 ICT는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요소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러 과학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하고 이를 평가한 학생들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분산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을 토대로 하여 어떤 요인들이 학습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과학학습의 경우 학습자의 웹 사이트의 사용자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뢰성과 이해성/흥미유발과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제시방식이나 화면구성, 학습내용은 이들의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속성이나 학습내용 자체는 만족도에 대한 직접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established, ICT has emerged as an indispensable tool for teaching a variety of subjects in K-12 education systems. This paper develops the model for explaining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in using web contents for science clas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students who evaluated the web sites provid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ience subj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presented. From this model, a following conclusion is provided : credibility and understandability/motivat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but the presentation method, the screen design as well as contents itself has indirect impact on user satisfaction through understandability/motivation. Other interesting results are also provided. This result might provide the useful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web-contents for science class in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