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有(you)’ and Korean ‘있다(issta)’ with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Jiang Linghui 한국언어연구학회 2014 언어학연구 Vol.19 No.3

        Jiang Linghui. 2014.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有(you)’ and Korean ‘있다(issta)’ with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Journal of Linguistic Studies 19(3), 255-280.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有(you)’ and Korean ‘있다(issta)’ through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by implementing the usage analysis of sentences. In Chinese, ‘有(you)’ has many meaning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is ‘to possess' or 'to own’ and ‘to exist’. Generally, Chinese-studying students think Chinese ‘有(you)’ is the same as Korean ‘있다(issta)’. It is because in many cases Chinese ‘有(you)’ is directly interpreted or translated to Korean ‘있다(issta)’ as a one-to-one correspondence. This paper reorganized the meanings of Chinese ‘有(you)’ through the existing dictionaries and grammar books, observed and analyzed the meanings by the sentences which were extracted from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and contrasted Chinese ‘有(you)’ with Korean ‘있다(issta)’ based on these sentences. (Yonsei University)

      • PCR-mediated Recombination of the Amplification Products of the Hibiscus tiliaceus Cytosolic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Wu, Linghui,Tang, Tian,Zhou, Renchao,Shi, Suhua Kore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 2007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Vol.40 No.2

        PCR-mediated recombination describes the process of in vitro chimera formation from related template sequences present in a single PCR amplification. The high levels of genetic redundancy in eukaryotic genomes should make recombination artifacts occur readily. However, few evolutionary biologists adequately consider this phenomenon when studying gene lineages. The cytosolic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GapC), which encodes a NADP-dependent nonphosphorylating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in the cytosol, is a classical lowcopy nuclear gene marker and is commonly used in molecular evolutionary studies. Here, we report on the occurrence of PCR-mediated recombination in the GapC gene family of Hibiscus tiliaceus. The study suggests that recombinant areas appear to be correlated with DNA template secondary structures. Our observations highlight that recombination artifacts should be considered when studying specific and allelic phylogenies. The authors suggest that nested PCR be used to suppress PCRmediated recombination.

      • KCI등재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 연구

        조능혜 ( Zhao Linghui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 현상으로 건축용지가 고밀도 개발과 활용으로 공간 용적률이 갈수록 높아져 필로티 공간의 활용은 건축이 차지하는 녹지와 활동공간을 효과적으로 채워주고. 그러나 실제적 필로티 공간에서는 공간구조의 모델화, 공간 분위기의 단일화, 문화와 예술적 콘텐츠가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로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서스펜디드 설치예술을 통한 필로티 공간을 연출하는 것은 공간의 표현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예술적, 미적 가치를 전달하여 공간예술에 더 큰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본 연구는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의 요소들이 필로티 공간에 합리적 활용될 수 있는 제안을 제시하고, 필로티 공간의 활동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전달해 편안한 공간의 분위기감을 선사하고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필로티 공간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정의를 알아보고,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표현특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앞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의 특성을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공통적 다섯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재정립하여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의 표현 특성을 도출한다.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표현 특성을 기준으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을 통한 필로티 공간 연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의 다양한 디자인 제안 및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에 대한5가지 표현특성(기능적 다양성, 시각적 유도성, 공간적 표현성, 심리적 전달성, 전체적 조화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5가지 디자인 요소 중 공간적 표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각적 유도성>심리적 전달성>기능적 다양성으로 나타냈고 전체적 조화성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서스펜디드 설치미술과 필로티 공간은 전통적 예술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깨뜨렸다. 인간은 공간의 체험자로서, 필로티 공간에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의 미적 기습을 받았을 때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지식 욕구를 풀어놓게 되고, 사람들이 수동적인 예술품 수용에서 능동적인 예술품 수용으로, 예술 공간과의 교류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은 사람들에게 독특한 시각체험을 선사하고 시각인식을 개척했다. 필로티 공간에 재미있는 공간 분위기를 형성하여 공간 환경의 편안함과 감상성을 높이고 있다.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필로티 공간에 대하여 더 많은 인기와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사람들은 공간체험을 하는 과정에 끊임없이 예술작품과 교류를 주고받으며 각자의 특별함이 있는 장소에서 정신과 문화적 가치를 전달해 공간예술에 더 큰 가능성을 열어준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urbanization phenomenon, the spatial floor area ratio of building sites increases due to high densit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the use of piloti space effectively fills the green space and activity space occupied by architectu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piloti space lacks the modeling of the spatial structure, the unification of the spatial atmosphere, and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In addition,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piloti space, creating piloti space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not only increases the expressiveness of space but also conveys artistic and aesthetic values, providing greater possibilities for spatial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uggestions that his elements can be used reasonably in the piloti space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to deliver a unique visual experience while satisfying the active needs of the piloti space, and to study piloti space design that impresses visitors. (Method)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prior research a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definition of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and to analyz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it is analyzed and redefined from five common aspects to deriv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iloti space production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various case analysis, the effect on the direction of piloti space production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is investigated in the futur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based on the derived characteristics, spatial ex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design elements overall, visual inductivity > psychological transferability > functional diversity, and overall harmony was analyzed to be the lowest. (Conclusions) Suspended installation art and piloti space have broken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and space. Humans, as experiencers of space, relieve people's desire for knowledge in their minds when they receive the aesthetic surprise of suspension installation art in the piloti space, and change from passive acceptance of artworks to active acceptance of artworks and exchanges with art spaces. Filotti space production through suspended installation art gave people a unique visual experience and pioneered visual recognition. By forming an interesting spatial atmosphere in the piloti space, the comfort and appreciation of the spatial environment are enhanced. It is gaining more popularity and vitality in the piloti space while satisfying social needs. People constantly exchange works of ar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space, delivering their spirit and cultural values in places with their own specialties, opening up greater possibilities for spatial art.

      • KCI등재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조능혜 ( Zhao Linghui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발전에 따라 사회는 산업 시대부터 디지털 정보 시대로 발전했다. 이로 인해 미디어 수단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전달과 공간의 형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기존 문화시설의 공간이 점차 단일화 되는 것이 현시대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전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시설과 연결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전이공간은 문헌공간디자인을 다양화하고, 다층적으로 만들게 하며, 관객의 정서를 끌어내고 연계성과 전이성에 이르는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이공간의 디자인은 문화시설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또한 빛 연출 디자인은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더욱 풍부한 공간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요소를 분석이며, 실제로 구현된 문화시설 분석을 통해 그 특성들이 공간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문화시설이 표현하는 주제들을 더욱 돋보이게 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보다 나은 공간적 분위기와 체험을 만들어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빛 연출과 문화시설의 전이공간들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통한 빛 연출과 문화시설에서 전이공간의 정의와 특성을 알아본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에서의 전이공간의 특성에 대해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앞서 빛 연출의 통한 문화시설에서 전이공간의 디자인 요소를 토대로 사례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각 사례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결과) 빛 연출과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 전이공간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가변성, 시각적 유도성, 기능적 다양성, 심리적 전환성, 전체적 연속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다섯 가지 디자인 요소 중 시각적 유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심리적 전환성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규칙적인 디자인과 균일한 빛 연출일수록 표현된 물리적 가변성과 기능적 다양성이 낮게 분석되었다. 반면, 전체적인 연속성은 전이공간의 규모와 빛 연출의 디자인에 따라 표현의 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한 문화시설은 대중의 예술 공간이면서 전이공간은 예술적 분위기를 자아내는 중요한 공간이다. 문화시설의 디자인은 문화 그 자체를 충분히 담아내고, 문화시설 내의 전이공간에서 빛 연출을 통하여 관람자들에게 효과적인 흥미를 자극하며, 쾌적한 환경으로 인식하게 하며, 문헌공간속 주제를 더욱 잘 전달하게 한다. 즉, 이러한 공간은 관람자들에게 다채로운 공간의 체험과 감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the society has changed from the industrial age to the digital information age, and the communication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spatial forms attached to it are changing rapidly through the media. In recent years, in the existing cultural facilities, the space design method is simplified, while the transition space makes the cultural space design become diversified. Therefore, cultural space design needs a transition space that the 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design of transition space is important for cultural facilities. The research it to analyze the design factors of light Performance in transitional space of cultural facilities. Through actual analysis of cultural facilities, the research puts forward relevant space solutions according to its features, In this way, the theme which is expressed by cultural facilities can be better highlighted to create a good space atmosphere and experience for the audience.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centers on the transition Spaces in light performances and cultural facilitie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Spaces in light performances and cultural facilities are examined and understood through literature. Moreove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transition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can be obtained. Then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light performance in the transition space of cultural facilities, each case is analyz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Results)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of the light performance and the transition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light performance in the transition space of cultural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physical variability, visual guidance, functional diversity,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and overall continuity.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case is analyzed. Among the five design elements, the visual guidance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is also high. In addition, the more regular the design and uniform light performance, they show less physical variability and functional diversity. The scale of the overall continuous transition spac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performance design, and the intensity of the performance is also different. (Conclusions) Cultural facilities are a kind of art space for the public, and the transition space can shape the artistic atmosphere of the space. The design of transition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should fully reflect its own cultural implications, and light environment design is also needed to better stimulate the visitors' interest in the transition space, so as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the audience. This can also better convey the theme of cultural space, so as to trigger people to think and let people achieve visual freedom and space enjoyment.

      • KCI등재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의 표현 특성연구

        조능혜 ( Zhao Linghui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현대사회는 탈 산업시대를 벗어나 정보화 사회(informational society)로 진입하고 신소재, 신기술, 새로운 디자인 컨셉의 등장으로 정보화와 인터넷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의 심미적 인식과 행위방식이 변화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전통적인 행동 공간 모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람들과 소통하고 안내하는 유동적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시대의 발전에 맞는 새로운 공간 형식이다. 유동적 공간의 형성은 구조 및 재료와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반투명 재료는 물리적 특성을 반영 할 뿐만 아니라 미학적 가치도 제공한다. 오늘날 사람들에게 공간에서 시각적 영향뿐만 아니라 유동적이고 열린 공간체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동적 공간과 반투명 재료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통한 도출한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실재된 사례를 조사 통하여 그의 요소들이 유동적 공간에 활용될 수 있는 제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능적 욕구와 감각적 경험을 충족시키고, 사람들의 공간과의 소통을 촉진하는 유동적 공간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유동적 공간과 반투명 재료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한 반투명 재료와 유동적 공간의 정의와 유형을 분석하고 정리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유동적 공간의 특성과 반투명 재료의 특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재정립한다. 이를 토대로 사례 분석을 통해 다각도로 종합 분석하였다. (결과) 유동적 공간과 반투명 재료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 나타나는 물리적 연속성, 가변성, 투과성, 다양성, 감각적 유동성, 유도성, 심미성, 모호성의 8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8가지 디자인 요소 중 감각적 유도성과 심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각적 유동성>감각적 모호성, 물리적 연속성과 투과성>물리적 가변성으로 나타냈고 물리적 다양성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정보화 시대에 사람들의 심미적 관념과 행위방식의 변화로 인해 유동적 공간이 새로운 공간형태가 되었다. 유동적 공간의 형성은 재료와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공간의 디자인은 공간의 기능적 욕구와 감각적 체험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더욱 탐구하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사람과 공간의 용합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자유롭고 유동적인 공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층적인 정신적 즐거움과 심리적 공감을 얻는 역할을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entering th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has gradually broken away from the post-industrial era and entered the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new design concepts, people's aesthetic concepts have chang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eople no longer need that closed space model, but need a new space form that can meet the needs of space and space,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conform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formation of flowing spac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ranslucent materials, which not only embodies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provides aesthetic value for flowing space. Therefore, today's people need a flexible and open spatial system as well as visual effects in space. This study focuses on the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analyzes the elements of translucent materials in the flowing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semi-transparent design of the flowing space, these elements are reasonably used in the subsequent space design to enhance the overall sense of space flow and better meet people's functional needs and sensory experience of space. (Method) In this study, the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are taken as research objects, the definition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lucent materials and flowing space are analyzed and sorted out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the design elements of translucent materials in flowing space are obtained and sorted out. Before that, we made comprehensive analysis from multiple angl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first research on the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ranslucent materials in flowing space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continuity, variability, light transmission, diversity, sensory mobility, guidance, aesthetics and fuzziness.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characteristics, the example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sensory guidance and aesthetics are the highest among the eight design elements, Secondly, the fluidity of senses is higher than the fuzziness of senses, the continuity and transparency of physics are higher than the variability of physics, the diversity of physics is the weakest. (Conclusions) The change of people's aesthetic idea and behavior mode in the information age makes the flowing space become a new space form. The formation of the flow spac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ranslucent material, flow space use a translucent material design can not only mee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flowing space and sensory experience, also effectively motivate people to further explore interest, promotes the fusion of people and space, provide people with a free, the space of flow experience, In this way, people can obtain multi-level psychological resonance.

      • KCI등재

        Glucosinolate Enhancement in Leaves and Roots of Pak 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by Methyl Jasmonate

        Yunxiang Zang,Hao Zhang,Linghui Huang,Fang Wang,Fei Gao,Xishan Lv,Jing Yang,Biao Zhu,홍승범,Zhujun Zhu 한국원예학회 2015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6 No.6

        Glucosinolate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past several decades because of their involvement in pathogen and insect resistance of Brassicaceae as well a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on activity in humans. Methyl jasmonate (MeJA) treatment generally increases the levels of indole and aromatic glucosinolates; however, the time course of MeJA effects on the levels of individual glucosinolates in different pak choi cultivars has not been studied. Here, we found that foliar MeJA application increased accumulation of indole glucosinolates in both leaves and roots of four cultivars. However, roots accumulated much higher levels of indole glucosinolates and, compared to leaves, showed a delayed response to MeJA in terms of indole glucosinolate accumulation in all four cultivars. Individual indole glucosinolate levels in roots differed depending on the sampling time in different cultivars. The level of neoglucobrassicin steadily increased over 72 h. Glucobrassicin was induced in leaves of SHQ and HZYDE, and in roots of three cultivars, whereas 4-methoxyglucobrassicin was induced only in roots. Aromatic glucosinolate enrichment occurred only in roots. Aliphatic glucosinolates were detected only in the leaves but not in roots, accumulating to comparable levels as in untreated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ogenous MeJA-mediated signal transduction did not immediately lead to biosynthesis of aliphatic and aromatic glucosinolates but did induce increased accumulation of indole glucosinolates in pak choi. Individual glucosinolate accumulation profi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cultiv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