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한준(兪漢雋),박윤원(朴胤源)의 도문분리 논쟁과 유한준(兪漢雋)의 각도기도론(各道其道論)

        박경남 ( Kyeong Nam Park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본고는 18세기의 저명한 도학자인 朴胤源(1734-1799)과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兪漢雋(1732-1811)간의 서신 논쟁의 맥락과 그 구체적 내용을 검토하고, 그런 가운데 兪漢雋 도문분리론의 성격과 의의를 밝힌 것이다. 두 사람은 절친한 벗으로서 道文分離論爭은 그들의 평소 토론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었다. 박윤원은 “도학이 훌륭하면 문장도 훌륭해진다”는 도문일치적 관점에서 유한준의 평소 생각인 도문분리의 관점을 비판하는 편지를 보냈고, 유한준은 “도학이 훌륭하지 못해도 문장은 뛰어난” 여러 反例를 제시함으로써 도문일치론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성리학적 道가 아니더라도 “각자는 모두 자신의 道를 道로 삼아” 그것을 끝까지 추구해 나가면 훌륭한 문학에 이를 수 있다는 ‘各道其道論’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유한준이 말년에 자신의 道文分離論을 철회하고 載道論으로 회귀하였다는 주장도 있어 왔으나 본고는 논쟁 이후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유한준이 말년까지도 ‘문학의 독자적 영역’과 ‘道文의 동등한 가치’를 주장하는 ‘道文分離’의 핵심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道文一致의 이상을 받아들인 것임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도문일치적 이상도 성리학적 가치만을 인정하는 ‘載道論’이 아니라 모든 개인의 가치를 긍정하는 ‘各道其道論’ 위에 세워짐으로써 유한준의 도문분리론이 각자의 삶에 기반한 ‘모든 개인들의 다양한 사상과 취향’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새로운 문학적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짐을 밝혔다. This essay is to review The Argument about Do-Mun-Bun-Ri(the argument on Separate of Morality and Literature; 道文分離論爭) between Park, Yun-won 朴胤源(1734-1799) and Yu, Han-jun 兪漢雋(1732-1811). As a good friend, Yu and Park often disputed with each other about many topics, The Argument about Do-Mun-Bun-Ri 道文分離 also arose from an usual disputation between them by letter. Park, Yun-won 朴胤源 wrote Yu, Han-jun 兪漢雋 a letter, in the letter, he criticized Yu`s idea supported Do-Mun-Bun-Ri on view of Do-Mun-Il-Chi-Ron 道文一致論, the idea that Morality and literature are in consistency. But Yu, Han-jun 兪漢雋 contradicted Park`s view by presentation of a lot of counterexamples, and he made his case that though not in basis of the Confucian morality, all the people can produce the best literary works and other results in that followed out their own moral behavior, idea and talent. The very same idea that he assert was called Gak-Do-Gi-Do-Ron 各道其道論 by him. After the Argument, Yu, Han-jun 兪漢雋 abided by his view to his last moment, but also accecpted the ideal of Do-Mun-Il-Chi 道文一致 in preserving the core of Do-Mun-Bun-Ri 道文分離, that is the idea of Literature`s value is equal to Morality`s and all of two have their own province. As this idea about Do-Mun-Il-Chi 道文一致 of Yu`s is not in the basis of Jae-Do-Ron 載道論, the idea that Literature is a method expressing the Confucian Morality, but in the basis of Gak-Do-Gi-Do-Ron 各道其道論, it ha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bring up it on Literary to a new point that affirm a various morality, idea and taste of each individual person.

      • KCI등재

        18세기 서울 편중 인사(人事)와 정조(正祖)의 지역(地域) 인재 선발 -정조대(正祖代) 인사(人事) 관련 전교문(傳敎文)을 중심으로

        박경남 ( Kyeong Nam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6 No.-

        18세기에는 조선 사회의 각 부문에서 서울과 지방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었다. 경제적으로 발달된 서울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고와 문화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 지방민을 소외시키는 사회구조가 갈수록 공고해져 가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 하에 소외된 지역 문인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인사상의 지역차별 구조를 혁파하고자 했던 정조의 일련의 정책을 살펴보았다. 일부 京華世族 가문에 집중되어가는 人事의 서울 편중을 극복하고자하는 노력은 이미 숙종대부터 있어왔지만, 그러한 노력이 실제적인 결실을 맺은 것은 정조대에 이르러서였다. 정조는 서울 지역 문인들의 주요한 관직 진출 통로로 이용되어왔던 庭試의 비중을 축소하는 한편, 外方 別試 및 賓興科를 적극 활용하여 소외된 지역 문인들의 문과 급제 비율을 높였다. 또한 賢者를 등용하는 관리 등용의 원칙을 지키면서, 先代에 通淸의 자격을 얻었던 지역 인사의 후손을 淸要職에 임명함으로써 門閥이 낮음을 내세워 지방선비들의 청요직 등용을 반대하는 논리를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다. 정조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인재 등용의 지역 간 격차는 정조대에 와서 눈에 띨 정도로 완화될 수 있었다. ``도시``와 ``지방``간 격차가 날로 심화되어 가는 지금, 古典을 창조적으로 變用했던 正祖의 지혜와 반대자를 설득하는 소통의 정치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This essay is to analyze Jungjo 正祖`s several policies for selecting the local talentd people. Since the late Chosun 朝鮮 dynasty, more and more the government official had been come from the seoul, the capital of Chosun. Thu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gap between seoul and other regions in Chosun had seriously increased. Jungjo 正祖 refined several policy to solve this problem. First, He reduced the importance of the Jungsi 庭試, that is an irregular test holding in palace in Seoul, when have a happy event in the state. So the local people have little acquaintance with it and did not engage it. Instead of that, He carryed out a special examination for local student of Oibang Byeolsi 外方 別試 more than ever before. Second, He created a new exam of Binhenggua 賓興科, that is a system recommending a good and smart student lived in the country, but he changed it appositely to the case and selected them for himself not through recommendation but by examination. Third, after a series of tests, he chose local talented people of good family first in order to prevent a knot of established bureaucrat from disconfirming new face come from local and country. By implement a series of this new measures, Jungjo 正祖 reduced regional disparity and could seek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without any particular confrict. I hope to learn it from Jungjo 正祖 how to transform and use a classical scholarship, and to be able to solve our own regional disparity problems.

      • KCI등재

        김창협(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왕세정(王世貞) 산문(散文)의 진면목 -상판(商販) 비지문(碑誌文)을 중심으로

        박경남 ( Kyeong Nam Park ) 한국한문학회 201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6

        본고는 金昌協의 비판적 언술을 매개로, 조선문단에서 찬사와 비난을 동시에 받으며 적지 않은 논란을 제공했던 明代擬古派의 대표자인 王世貞문학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한 것이다. 김창협은 대상인물의 핵심을 끌어내고[提楔綱領], 그 핵심이 된 주제[綱領]를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단락을 긴밀하게 조직·배치[錯綜關節]하는 것이 사마천 등 典範이 되는 작가들에게서 배워야할 작문의 정수라고 이해하면서, 왕세정이 그들의 정수를 배우지 못하고, 단지 고문의 字句만을 모의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그는 簡嚴을 중시하는 碑誌文의 장르적 관습을 고수하며,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商人·商婦들의 자질구레한 삶을 장황하게 서술하고 있는 왕세정의 商販婦女誌傳을 통틀어 비판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왕세정 문집에 수록된 碑誌文에 대한 본고의 개괄적 분석과 「顧翁墓誌銘」을 대상으로 한 예시적 분석에 따르면, 김창협의 말대로 왕세정은 다수의 商人·商婦碑誌文을 창작하고 있었으며, 또한 창작과정에서 사마천의 史記의 일부 字句를 인용하거나 碑誌文의 장르 관습을 벗어나 商人들을 墓主로 삼아 그들의 일상과 생애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기도 하였다. 하지만, 史記 「遊俠列傳」과 「貨殖列傳」등에 나오는 몇몇 구절의 인용은 단순한 자구 모방이기보다는 閭巷의 俠客과 商人들의 삶에도 정당한 가치를 부여하고자 했던 사마천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했던 의도가 없지않았다. 또한 商人의 다양한 면모를 풍부하게 보여주고 있는 왕세정의 商人·商婦비지문은 하층민을 입전했던 司馬遷의 傳창작의 혁신적 전통을 碑誌文에 도입함으로써 碑誌文장르의 소재와 문체, 주제와 형식의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시각을 달리 하면, 오히려 碑誌文장르의 창조적 혁신으로 평가할만한 점이 없지 않다. 따라서 본고를 계기로 단지 비판자의 시선을 통해 擬古派로 낙인찍혀 별다른 검증없이 부정적으로만 이해되어 왔던 중국과 조선의 의고 지향의 문인들에 대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이 촉진되길 기대한다. This essay is to review the truth of Wang Shi Zhen 王世貞`s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criticism of Kim, Chang-hyup 金昌協about it. Kim, Chang-hyup remarked that Wang was not a good Sima Qian 司馬遷`s learner, for he didn`t learn Sima Qian`s essential ways of writing a work, but only copied the wording and expression of the Sagi 史記. Kim especially criticized a string of epitaphs for vendors written by Wang, in that he wasted a thousund and one words for vendors and their trifling matters not being worth to comment and write. However, in an overview and a case analysis of this article about the epitaphs for vendors written by Wang Shi Zhen, It is true that he had written not a few works for vendors and had cited several of the expressions of the Sagi in writing a epitaph, but it was close to not being so much a blind imitation as a creative transformation. Wang Shi Zhen would succeed to the creative spirit of Sima Qian by citing some espressions Biographies of Trader 貨殖列傳and Biographies of Knight errant 遊俠列傳in the Sagi. As the skill he used is called The Yongsa 用事, a method of conventional composition that quotes or modifies former text in expressions level, his citation from the Sagi was not just a copy, and a wrong imitation like Kim`s remark. By citing the wordof in Biographies of Trader and Knight errant, Wang Shi Zhen would make an indirect allusion that his epitaphs for vendors succeeded to the spirits of Sima Qian who wished to discover and appreciate values of the life of the lower class like trader and errant. Therefore, Escaping from Kim`s viewpoints, just ascertaining the fact of Wang Shi Zhen`s work, we will be recognized that the epitaphs for vendors written by Wang Shi Zhen transformed epitaph genre creatively in subjects, themes, form and style.

      • KCI등재

        정조의 자연·만물관과 공존의 정치

        박경남(Park, Kyeong-nam)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5

        This paper examines King Jeongjo正祖’s view of “nature” and “all things”, through his response to a winter thunder storm and harmful insect problem, and reects on his respect for life and the politics of coexistence through his response to heretics and heterodoxy. King Jeongjo regarded nature and society as an organic body that interactedwith and respondedto each other. He very much tried to preserve harmful insectsthat could seriously harm people, and this conviction and his accommodative attitude toward heretics have many things in common. Even after the Jinsan incident, when a memorial service for his ancestors was refused, King Jeongjo thought that it would be better for Catholic Christians to return to the “right way” by themselvesrather than to vigorously suppress them.

      • KCI등재
      • KCI등재

        이영(李領)의 왜구 주체 논쟁과 현재적 과제

        박경남(Park, Kyeong-nam)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2

        This paper is to research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Korean Waegu(倭寇) study focusing on the study of professor Yi Young(李領) represented Waegu Studies in Korea. With a group of Japanese scholars, Yi have long disputed over the subject of Waegu in the late Koryo Dynasty in 14th Century. Such Japanese scholars as Tanaga Takeo(田中健夫) continued to assert that the subject of Waegu was not Japanese alone but Koryo people in alliance with Japanese. Yi proved that their assertion was ill founded with reasons through more resources, and suggested that the subject of Waegu in the late Koryo Dynasty, especially since 1350 was Japanese naval forces control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regional powerful family of Tsushima(對馬島) and Matsuuratou(松浦黨) as group of warriors of Kyushu(九州). Because Waegu since 1350 is more frequent and enormous like never before, more organised and powerful that it beat Koryo government army. In his recent study, Yi started perceiving Waegu as being analogous to Corsair in the western history in that pirates hired by state or government, and he was associating Waegu with formation and collapse of Pax Mongolica. That is to say, Yi understands Waegu in the change of the East Asia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and goes further and looks for a way to research Waegu and Corsair together. Through this way, Yi was beginning to get over national historic view and secure the global-marine historic view of understanding Waegu.

      • KCI등재

        조선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2) -기(氣) 위주 문학관을 중심으로-

        박경남 ( Park¸ Kyeong-nam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본고는 문학관을 매개로 한국문학의 정체성 및 정체성 개념 그 자체를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하는 두번째 기획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전통적 문학관의 다기한 측면중 ‘氣를 중심으로 한 문학관’을 소개하고, 이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기 위주 문학관 역시 중국의 문학 담론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며 조선 문인들 개개인의 고민과 시대적 요청 속에서 새롭게 호명되고, 서로 경쟁하며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고려 중기부터 조선 전기까지는 선천적인 기를 중시하는 문기론과 유람과 독서를 통한 양기론이 각축했고, 이러한 각축은 서거정 단계에서 양기론을 긍정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이후 조선에서는 선천적인 기를 중시하는 담론은 논의의 중심에서 사라지고, 유람을 통한 양기론과 경전 독서를 통한 양기론이 공존하며 점차 강화되어 갔다. 또한, 독서를 통한 의기 함양 담론은 유가 성리학 경전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독서를 지향하는 개방적 경향과 유가 성리학 이외의 서적에 대한 독서를 이단으로 취급하며 배제하는 경향이 공존하며 각축했다. 다만, 동아시아의 기철학과 서구 근대학문의 성과를 종합하고자 했던 최한기와 같은 개방적인 기 위주 문학관은 서구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했고 그로 인해 기 위주 문학관은 근대 이후 계승되지 못하고 그 생명력을 상실했다. 그럼에도 기 위주 문학관에서 강조되었던 ‘부단한 독서’와 ‘내면적 성찰’, ‘여행을 통한 견문의 확대’ 등은 현대에도 여전히 창작 수련의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비록 기라는 용어의 쓰임새와 유효성은 현대사회에서 미미해졌지만 기 중심의 문학 담론으로 제출되었던 여러 의견들은 여전히 문학 창작과 비평에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second study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identity and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a point of view on Literature. To this end, we introduced and reviewed it at different times to the discourse of Qi 氣-oriented literature among the diverse aspect of the point of view on literature in the pre-modern East Asia. The discourse of Qi-oriented literature had also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nese literary discourse, and was newly called,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showed aspects of change amid Joseon writers' individual concerns and requests of the times. From the mid-Goryeo perio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discourse of WenQi 文氣 that values innate Qi and the discourse of LiangQi 養氣 through sightseeing and reading were competed. This competition resulted in the affirmation of the discourse of LiangQi 養氣 in the period of Seo GeoJung 徐居正. Since then, the discourse of WenQi has disappeared from the center of discussion in Joseon, and the discourse of LiangQi that train one's mind through sightseeing and reading has gradually been strengthened by coexistence. Furthermore, the discourse of LiangQi through reading competed and coexisted with the open tendency toward various reading not limited to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tendency to treat it as heresy and exclude reading of books other than the Confucian scriptures. However, open views such as Choi Hanki 崔漢綺, who sought to combine the achievements of East Asian philosophy of Qi and Western modern university culture, were no longer spread or enlightened by Western and Japanese imperial invasions.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Qi-oriented literature was no longer inherited and lost its vitality after modern times, but the constant reading, internal reflection and expanding knowledge through sightseeing and reading that were emphasized in it are still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ways of literary creation and training. Therefore, although the usefulness and validity of the term Qi has become insignificant in modern society, many opinions that have been submitted as a Qi-oriented literary discourse are still valid in literary creation and criticism.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유한준(兪漢雋)의 『언기(諺記)』와 조선후기 한역(漢譯) 속담집(俗談集)편찬의 재인식

        박경남 ( Kyeong Nam Park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고는 유한준의 漢譯속담집인 『諺記』의 서문 및 그 내용을 살피고, 이를 홍만종·이익·정약용의 속담집 편찬 의식과 비교함으로써, 유한준의 속담집 편찬이 기존 실학자들의 한역 속담집 편찬 의식 및 실천과 동궤에 있는 것임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이제까지 속담 연구에서 부당하게 소외되었던 『諺記』 수록 한역 속담의 의미와 특징들이 밝혀질 수 있었고, 또한 그 서문 및 속담 한역에 보이는 속담의 경전화 경향 및 고전화의 실상들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었다. 유한준은 속담이 ‘비유’를 통해 세상사의 이치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易經』·詩經』·『春秋』 등의 경전의 언어와 비견된다고 함으로써, 속담의 가치를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提高하고 있다. 또한 구전 속담을 직역하기 보다는 그 의미를 해석 혹은 해설하는 방식으로 속담을 한역함으로써, 비속한 속담을 마치 『논어』·『맹자』의 한구절처럼 군자들이 살아가는 데 참고해야 할 삶의 지침이 되는 구절로 만들어내고 있다. 이를 통해 속담의 원형이 불가피하게 변형되기도 했지만, 보다 정련되고 품격 있는 언어로 속담의 표현들이 다듬어질 수 있었다. 이는 卑俗한 민중의 언어인 속담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것을 『詩經』 등의 고전의 언어로 다듬었던 실학자들의 의식과 실천을 계승하는 것이었으며, 유한준 및 일군의 실학적 지식인들의 노력을 통해 속담은 비로소 백성들뿐만 아니라 군자로 지칭되는 지식인들도 향유할만한 고전이 될 수 있었다. This paper determined the content of the EnGi that is collection of proverbs translated in Chinese characters by Yu Han-jun, and compared it with the editing consciousness of a collection of proverbs by Hong Man-jong, Yi Ik, and Jung Yak-yong. Through this work,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proverbs included in the EnGi which had been unfairly neglected in that area of proverb research. And It could be found entirely the tendency of a change in Confucian classics and the truth of a change in classical works by analysis about the introductions of the EnGi and proverbs translated in Chinese characters. As Yu argued that proverbs could be comparable to the language in scriptures such as Yijing, Shijing, and Chunqiu in that they reveal the way of the world through “metaphors,” he enhanced the value of the proverb logically and convincingly. In addition, as he translated proverbs by interpreting or explaining the meanings rather than in translating literally, he made the ignominious proverbs into phrases which served as a guideline that needed to be followed throughout the noble man’s life, such as in the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Mencius. Because of this, the original form of the proverbs were inevitably somewhat changed but the proverbs were able to be expressed in a more refined and polished language. His purpose was to rediscover the value of proverbs which was a language of the undignified public, and hand down the consciousness of the Silhak scholars who had tried to recreate them in classical languages such as Shijing. Through the efforts of Yu Han-jun and a group of Silhak scholars, proverbs not only became enjoyable classics for the people, but also for literati who were known as noble men.

      • KCI등재

        조선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1) ― 유가 성리학적 이념의 구현과 체현으로서의 문학관을 중심으로

        朴京男 ( Park Kyeong-na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본고는 문학관을 매개로 한국문학의 정체성 및 정체성 개념 그 자체를 다시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전통적 문학관의 다기한 측면을 소개하고, 그중하나의 문학관을 택해 조선시대 문학관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근대 이전 시기의 문학관을 ‘학문과 박학으로서의 문학관’만으로 단순하게 요약하는 근대 문학 연구자들의 생각과 달리, 전통시대에는 이 밖에도 ‘뜻과 정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문학’, ‘사물·인간의 기질과 기상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문학’, ‘울분과 불평한 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문학’, ‘유가 성리학적 이념의 구현과 체현으로서의 문학’ 등 문학을 바라보는 여러 관점이 일정한 계보를 형성하며 공존하고 있었다. 본고는 전통시대 문학관의 이러한 ‘복수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중 ‘유가 성리학적 이념의 구현과 체현으로서의 문학관’의 역사적 변모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전통시대 문인들이 자신이 처한 위치와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다양한 문학관을 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동일성’에 기반한 기존의 정체성 개념 대신 ‘복수성’과 ‘관계성’, ‘차이’ 및 ‘변화’에 입각한 새로운 정체성 개념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문학의 정체성이 새롭게 모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identity and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a point of view on Literature. To this end, we introduced a diverse aspect of the point of view on literature in the pre-modern East Asia, and took one of them, examined the literary views of Chosŏn Dynasty periodically. Most modern literary researchers recognize that thinking about literature in the pre-modern is mixed the concept of academic and literature. But except the point of view of literature as an academism, more various thinking about literature existed in the pre-modern. That is to say, literature as an expression of meaning and affection; literature as a manifestation of the temperament of things and men; literature as a manifestation of one's pent-up and grumbling mind; literature as the embodiment of confucian ideology etc. each had its own lineage and coexisted. This paper revealed this pluralism of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an intellectuals in the pre-modern expressed various thinking about literature in his position and historical time and space, through reconsidering literature as the embodiment of confucian ideology.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identity based on 'plurality', 'relationship', 'difference' and 'change' instead of existing identity based on 'sameness'. And emphasized that the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should be newly searched.

      • KCI등재

        왕세정(王世貞)의 『사기(史記)』 인식과 계승 양상 -16,17세기 조선 문인들의 『사기』 수용과 계승 양상과 관련하여

        박경남 ( Kyeong Nam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3 No.-

        본고는 명대 중엽의 대가 王世貞의 『史記』 이해 및 그 계승의 실천적 양상을 조선 문단과의 관련 속에서 비교 검토한 것이다. 왕세정은 16세기 조선의 주류 문인 들이 조선간본 『사기』 선집을 제작할 당시 그가 서문을 쓴 『史記簒』을 模本으로 제작하였다는 점과 그럼에도 17세기 주류 문단을 대표하는 김창협에 의해서 그의 『사기』 계승 양상이 비판받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본고는 먼저 『사기찬』 제작 과정을 검토하면서 조선의 『사기』 선집 편찬 당시 왕세정 및 명대 문단의 영향 을 되짚어 보고, 특히 명대 唐宋派 문인들의 영향 하에 산문 비평의 관점에서 『사기』를 계승하고자 했던 김창협과의 대비 속에서 왕세정의 『사기』 계승 양상의 특징적인 면모를 살펴보았다. 왕세정은 자신의 문집에 『사기』에 수록된 작품 및 인물에 관한 여러 편의 독서평을 남기고 있다. 또한 『사기』 비평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는 凌稚隆의 『史記評林』의 의의를 십분 긍정하는 서문을 쓴 것에서 알 수 있듯, 왕세정 역시 산문 비평의 관점에서 『사기』를 계승하고자 했던 명대 문단의 조류에 적극 부응하고 있었다. 다만 그는 명대의 여타 문인이나 조선의 김창협과는 달리 산문의 고전으로만 『사기』 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當代의 인간을 기록하고 한 시대를 정리하는 역사서로서의 『사기』를 계승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독특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 왕세정은 明代의 제도와 문화 및 각계각층의 삶을 정리한 『□山堂別集』을 편찬하였고, 『嘉靖以來首輔傳』, 商人商婦 墓誌銘 등을 창작함으로써 상하층을 망라하는 자기시대 인간의 삶과 그를 둘러싼 당대 사회 및 제도적 환경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기』를 계승하고자 했던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Wang Shizhen(王世貞)``s the aspect of the Awareness and Succession of Shiji(『史記』),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son and China Literary Circles. Wang is worthy of note in that The Choson mainstream literary man in 16th century modeled after Shijizuan(『史記纂』) written a preface by him while they had published Shiji Anthology of a printed by Choson, titled the Sachan. But Wang also received some harsh criticism for copying from Shiji by Kim Changhyup(金昌協), one of the leading writers in 17th century Choson. So This paper examined the publication process of the Sachan in Choson first, and revised Wang``s own distinctive aspects of succession of Shiji by comparison with Kim. The publication of the Sachan in Choson and Kim``s the literary commentaries of Shiji were all influenced by a prose writer critique of Shiji, a new trend in 16th century Ming dynasty. Wang had also responded to such tendencies, but he should succeed to Shiji of a complete contemporary historical records and even go a little further. And then he had compiled and wrote Yanshantangbieji(『□山堂別集』), Jiajingyilaishoufuzhuan(『嘉靖以來首輔傳』) and a biography of merchants(商人傳記), aimed at recording people of all ranks and classes, system and culture of the contemporary Ming dynasty. Through these routes, he could present his own way, succeeding to Shiji of the history recording contemporary people and putting together a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