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dee der Nachhaltigkeit’ und Aufgabe der Erziehung fur die Zukunft

        Kiseob Chung(정기섭)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aus der Idee der Nachhaltigkeit die Aufgabe der Erziehung für die Zukunft herauszuziehen. Dafür versucht diese Arbeit, zuerst den Bgriff der ‘Nachhaltigkeit’ und der ‘nachhaltigen Entwicklung’ klarzumachen, dann die Idee der Nachhaltigkeit in den UN-Dokumenten zu finden, und schließlich daraus die Aufgabe der Erziehung für die Zukunft herauszuziehen. Der Begriff der ‘Nachhaltigkeit’ wird als das Ziel der weltweiten Entwicklung, und der Begriff der ‘nachhaltigen Entwicklung’ als ein Prozeß zu desem Ziel verstanden. Idee der Nachhaltikeit funktioniert als die normativen Werte, womit uber die Handlungen des gegenwärtigen Menschen reflektiert werden soll. Aus diesem Verstandnis fordert die Idee der Nachhaltikeit auf die gemeinsame Verantwortung fur die Zukunft der Menschheit. Aus dieser Betrachtung folgt, daß die Aufgabe der Erziehung für die Zukunft die ‘Erziehung zur Verantwortung’ sein soll.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이념을 통하여 미래를 위한 교육의 과제를 찾고자 하였다. UN의 문헌들에서 지속가능성은 인류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하여 도달하여야 할 목표로서 이해된다. 지속가능발전은 도달된 상태가 아니라, 이상적인 사회를 향하여 노력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과정에 자발적으로 함께 참여할 인간육성의 필요성에서 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인간 스스로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이행하지 않는 이상 지속가능성의 실현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지속가능성은 현 인류의 발전이 나아가야할 길잡이면서, 동시에 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이기도 한 것이다. 이상적인 미래 사회는 인간들이 공동의 가치를 생활의 규범적 토대로서 수용하고 실천함으로서 도달되고 유지될 수 있음으로 교육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수단이다. UNESCO는 미래사회의 인간이 생활 속에서 실천하여야 할 규범적 가치로, 동시에 교육을 통하여 형성되어야 할 가치로 ‘모든 사람의 인권 존중’, ‘사회적․경제적 공정성을 위한 헌신’, ‘세대 간의 책임’, ‘지구 생태계의 보호’, ‘생명공동체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 ‘관용, 비폭력, 평화의 문화 형성에 헌신’을 제시하고 있다(UNESCO, 2005: 14). 이러한 가치들은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차원에서의 인간의 기본적인 요구들을 포괄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의 이념으로 현재 인간의 생활방식을 미래의 시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할수 있는 규범적 준거가 되어 행위의 주체자인 인간에게 미래에 대한 책임윤리를 요청한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미래를 위한 교육의 과제는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인간을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책임을 지는 인간을 기르는 교육의 원리로서는 적어도 ‘관계망적 사고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세 차원(개인, 사회, 인간)에서의 책임의식을 형성하는 교육’, ‘공동체에서의 실천적 행위를 통한 교육’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poly(acrylic acid)-poly(styrene-alt-maleic anhydride) core-shell microcapsule absorbents for cement mortar

        Kiseob Hwang,하기룡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1 No.5

        We synthesized core-shell microcapsule absorbents with cPAA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as thecore and PSMA (poly(styrene-alt-maleic anhydride)) as the shell by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where the shell servedto delay the absorption of excess water in cement mortars. To control shell thickness, the cPAA-PSMA capsules weresynthesized with core monomer mass to shell monomer mass ratios of 1/0.5, 1/1, and 1/1.5. We observed the hydrolysisof the PSMA polymer in a cement-saturated aqueous solution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Furthermore,core-shell structures were observed for 1/1 (cPAA-PSMA #3) and 1/1.5 (cPAA-PSMA #4) core/shell monomermass ratios, whereas no core-shell structures were observed for the 1/0.5 (cPAA-PSMA #2) microcapsules by transmissionelectron microscopy (TEM).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백제 국가형성사 연구 동향과 과제

        김기섭(Kim Kiseob)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1

        백제 국가형성 문제에 대해 역사학계는 인류학의 문화전파론적 시각과 문화진화론적 시각을 원용하며 『삼국사기』와 『삼국지』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대체로 북방 유이민, 만주의 부여 · 고구려 또는 예맥(濊貊)의 종족이동, 기마(騎馬)문화, 왕실교대 등을 주요 변인으로 삼은 문화전파론적 시각에 입각하면서도 성읍국가에서 영역국가로의 발전이라는 문화진화론적 시각도 1980년대 이후 꾸준히 견지하고 있다. 백제 건국시기 문제의 열쇠라고 할 수 있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편년을 다소 조정해야 한다는 이른바 분해론적 시각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기록의 구태설화를 근거로 삼아 2~4세기경 부여 또는 고구려에서 이탈한 세력집단이 남쪽으로 이주하여 백제를 건국했다는 주장이 늘고 있다. 그런데 구태설화는 6세기 중엽의 사실을 전하는 『주서(周書)』에 처음 나타나며, 이후 중국의 북조계 역사서에 실린 설화이다. 그러므로 구태설화를 기준으로 백제 건국과정을 설명하는 것은 6세기경 백제 사람들의 건국관념에 맞춰 백제 초기 역사를 재구성하는 일이 된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3~4세기에 한강유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다. 만주지역으로부터 부여계 유이민이 대거 남하함으로써 백제가 형성되었다는 시각에는 마한 50여 개 소국 중 하나였던 백제국(伯濟國)과 그 주민들의 정치 · 문화활동을 과소평가하고 한반도 북부지역의 낙랑군과 만주지역의 부여 · 고구려를 문화중심으로 간주하는 편견이 깔려 있다. 4세기 무렵 동아시아의 정치적 격변과 문화 발전을 문화중심부로부터의 종족이동, 정복활동이 만들어낸 문화전파, 문화변동이라고 단순화시킨 틀 안에서 여전히 백제 건국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결과적으로 마한 백제국(伯濟國)과 삼국 백제(百濟)의 연계를 차단하고 있다.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 대한 학계 논란을 조금 더 줄여야 한다. 그리고 고고자료에 대한 해석이 조금 더 거시적이어야 한다.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Baekje state, historians have analyzed the Samguksagi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Samgukji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n China), citing the cultural propagation view of anthropology and cultural evolution. In general, the cultural propagation view focuses on the movement of migrants from the northern region, Manchuria, Buyeo, or Goguryeo, and also the horsemen culture and the relocations of the state. The cultural evolution view focuses on the transition from a city-state country to a regional country. Recently, based on the legend of Gutae in Chinese records, many scholars argue that a group of forces that fled from Buyeo or Goguryeo migrated to the south and founded Baekje. However, the legend of Gutae first appeared in a text which conveys facts regarding the mid-sixth- century. Later, that text was understood to be a tale from history books in northern China. Therefore, explaining the founding process of Baekje based on old tales would be a reconstruction of the early history of Baekje according to the philosophy of the Baekje people around the sixth century. The most important question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happened in the Han River basin in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In the view that Baekje was formed due to a large number of migrants from Manchuria, the politic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the Mahan people were underestimated. This view eventually disconnects the link between Mahan and the Baekje Kingdom. In order to escape prejudice, the academic controversies regarding the early records in the Samguk sagi should be further reduced. And the interpretation of archaeological data should be more macroscopic.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지 꽤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는 여전히 다른 교육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 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성을 탐구하고, 그것을 준거로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 그램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성은 규범적 차원과 관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해로부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특성은 ‘연관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둘째, 학교현장에서 실행되는 지속가능 발전 교육프로그램에서는 ‘연관적 사고’능력 형성이라는 관점보다는 실천적 역량습득이라는 관점이 더 우선적인 것처럼 보였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한 특 성이 프로그램을 통해 구체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지속가능발전의 규범적 차원과 실 천적 차원의 연관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내려는 시도가 우선되기보다는 어떻게 실행 할 것인가에 더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넷째, ‘연관적 사고’능 력이 고려되지 않고 영역별로 요구되는 실천역량을 기르는 교육에 초점을 맞출 때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성은 여전히 모호해질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 debat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has been going on for some time, but it still raises questions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examine the program of ESD based on 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queness of ESD is related to the normative dimension. From thi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ESD is to develop interlinked thin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gram of ESD implemented at the school site, it seemed that the view of acquiring practical capacity rather than the viewpoint of interlinked thinking capacity building seemed to be a priority. Thir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ESD can not be materialized through the program because more emphasis is placed on how to implement rather than prioritize the link between the normative dimension and the practical dimen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urth, the uniqueness of ESD may still be ambiguous when focusing on education that fosters the capacity for action that is required in each area rather than interlinked thinking .

      • KCI등재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과제

        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이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 논의 및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을 주제로 한 연구가 거의 없고, 다문화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논의될 수 있다는 관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지속가능성을 실천적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과정을 규제하는 이념으로 파악하고, 지속가능성의 한 부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틀 에서 다문화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가 현상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가짐으로써 방향을 상실한 채 그때그때의 땜질식 처방을 하는 것은 아닌지에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교육 논의에서 사회통합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구성원 모두의 능력습득을 요구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하는 능력에는 사회적 결속과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 의 물질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도 포함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ebate and research by examining the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i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ocial dimension i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vie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iscuss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is study first identifies sustainability as idea that regulates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s social sustainability as a part of sustainability. This study denn defines in the framework of social sustainability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d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s concerned only with phenomenal problems, so that it will lose its direction and make a tinkering prescription at that time. Second, in the debate o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of all members to adapt to changing society. Third, the ability to acquire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rocure the material demands of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독일의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사례 및 시사점 (Unterstützungs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in Deutschland und ihre Bedeutung für präventive Maßnahmen in Korea)

        정기섭(Chung Kiseob)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3

        이 연구는 독일의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하여 독일 학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교부적응 개념, 학교부적응 현황과 원인, 학교부적응 학생 지원사례를 살펴보았다. 주제와 관련하여 독일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PISA 2000의 결과에 따른 쇼크이후 진행된 중등교육 단계의 학교구조개혁을 통하여 경제적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교육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을 계속하였고, 그 결과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과 치료 중심의 학교부적응 학생 지원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공동체 삶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역량을 기를수 있도록 학교차원에서의 변화도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 인력의 사례관리를 통한 학생맞춤형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인력과 학교교사의 협력적 관계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 밖 기관에 위탁되어 가질 수 있는 소외감과 고립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학교 모델 개발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Unterstützungs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in Deutschland zu betrachten und daraus die Punkte, die für die Maßnahmen zum Schulbsentismus in Korea bedeutend sind, herauszustellen. In dieser Arbeit umreißt der Begriff ‘Schulabsentismus’ alle Verhaltensmuster, bei denen Schüler ohne ausreichende Berechtigung der Schule fernbleiben. Gemäß dem Grundanliegen handelte diese Arbeit zunüchst über den Begriff ‘Schulabsentismus’, der im deutschen akademischen Bereich verwendet wird; anschließend über die Situation des Schulabsentismuses in Deutschland und seine Ursachen; dann über 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Schlißlich stellte diese Arbeit die folgenden Punkte heraus, die für 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in Korea bedeutend sein können. Erstens, Unterstützungs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sollen sich nicht nur auf psychosoziale Beratungen und Heilungen von Einzelnen beschränken, als auch die änderung der Schule zum Erwerb der sozialen Kompetenz begleiten. Zweitens, Unterstützung von Einzelnen durch Case Management soll verstärkt werden. Dafür soll das Verhältnis zwischen Lehrern und anderen Fachleuten in Schule kooperativ sein. Drittens, die Entwicklung der kooperativen Schule soll als ein Modell betrachtet werden, das zur überwindung der Isolierung der Schüler, die der Schule fernbleiben, dient.

      • KCI등재

        교육복지사의 경험에서 본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과제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정기섭 ( Chung Kiseob ),손미란 ( Son Miran ),윤혜성 ( Yun Hyes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1990년대 말 외환위기(IMF) 이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는 한국사회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복지정책 중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시의 초등학교에 배치되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복지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 소통의 어려움, 교육복지사업 운영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것은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3개의 상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점으로 다음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육복지사의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다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멘토링, 슈퍼비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복지에 대한 관련 당사자들의 이해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기관 복지담당자 간의 교육복지의 개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법 규정에 의한 지원대상의 사각지대에 있는 교육소외계층 학생 발굴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At the end of 1990s, which was the age of financial crisis, education gap among classes became a salient issue of Korean societ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and solutions of national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marginalized class, which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project among nation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five school social workers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who are working on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s a result, the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positively. In spite of this positive evaluation, there were three problems such as `awareness of educational welfar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o solve the problems, solutions can be suggested. First,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ng educational worker and mentoring and supervision for developing them are needed. Second, they need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welfare and develop their compet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educational welfare among teachers, parents and social workers. Fourth, welfare system has to focus on educationally alienated class in the blind spot and develop personal competencies of school social worker.

      • KCI등재

        4~5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백제의 외교정책

        김기섭 ( Kim Kiseob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6

        백제는 濊族, 貊族, 韓族뿐 아니라 漢·倭 출신까지 다양한 종족이 한데 섞여 살았던 多種族, 多文化 국가였다. 백제는 馬韓의 여러 小國들과 경쟁하는 가운데 북방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漢문화에 익숙한 낙랑·대방 유민을 대거 흡수함으로써 3세기 말~4세기 초 국력을 크게 키웠다. 그리고 4세기 중엽부터 고구려와 각축을 벌이며 북쪽으로 황해도 일대를 장악하였고, 남쪽으로 마한의 여러 소국을 병탄하거나 가야·신라·왜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특히, 중국 東晋에 조공하고 근초고왕이 鎭東將軍領樂浪太守 작호를 받음으로써 동아시아 국제사회에서 백제왕의 위상을 높였으며, 樂浪·帶方故地를 경영하는 데에도 매우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4세기 후반, 백제는 고구려와 치열하게 다투면서 加耶·新羅·東晋·倭 등 주변나라들과의 외교에 힘을 많이 쏟았다. 고구려의 강력한 군사력에 지속적으로 대항하려면 당연한 방책이었다. 백제의 모든 군사력을 북쪽의 강적에 맞서는 데 쏟고 있었으므로 남쪽에서는 최소한의 군사활동과 다각적인 외교활동을 통해 영역을 확장하고 지역패권을 형성하려 하였다. 특히, 바다 건너 왜로 향하는 길을 안전하게 만들려면 加耶와 新彌·牟奴 등 남부 해안지역에 분포한 국가·세력의 협조가 긴요하였다. 백제는 인구가 많은 倭의 군사적 도움을 기대하며 七支刀를 만들어 보내고 학자·기술자를 파견하는 등 선진문물을 과시하였다. 4세기 말~5세기 초, 백제는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거듭 패배하였다. 그리하여 이제는 王都가 위협받을 정도로 군사적 열세에 놓였다. 이에 백제는 바다 건너 倭의 군사력을 동원하는 일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王室 사이의 혼인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人的, 物的 교류에 힘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75년 고구려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왕도 함락과 왕실 궤멸이라는 대참패를 겪고 말았지만, 그동안 구축한 외교라인(백제-가야-신라-송-왜)이 단단했기에 웅진에서 극적으로 부활하며 6세기를 맞을 수 있었던 것이다. Baekje was a multiracial, multi-cultural nation where various ethnic groups such as Yemaek tribe(濊貊族), Han tribe(韓族), Han(漢) and Wae(倭) lived together. From the late third and early fourth centuries, Baekje, while competing with several small countries of Mahan(馬韓), expanded its national power by accepting a large number of immigrants from the north and migrants from Nakrang and Daebang who were familiar with the Han(漢) culture. In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Baekje vied with Goguryeo and took control of Hwanghae-do province to the north, annexed small countries of Mahan and maintaine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Silla, Gaya and Wae to the south. In particular, King Geunchogo enhanced his statu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stayed ahead of managing Nakrang and Daebang province through paying tribute to the Eastern Jin(東晋) and receiving the title of Jindongjanggun-yeong-Nakrangtaesu(鎭東將軍領樂浪太守; General Stabilizing the East and Governor-Designate of Nakrang) in return. In the late fourth century, Baekje fought fiercely against Goguryeo, and focused heavily on diplomat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Silla, Gaya, the Eastern Jin and Wae. It was a natural measure to continue to be proactive against the powerful military strength of Goguryeo. Since Baekje combined all it`s forces against the formidable rival in the north, it sought to expand its territory and create regional hegemony in the south through minimum military action and a wide range of diplomatic activity. Especially, cooperation among the countries next to the southern coastal areas such as Gaya, Silla, and Mono(牟奴) was vital in order to secure the marine route to Wae. Baekje showed off its advanced culture by sending out scholars and engineers and gave the Seven-Branched Sword(七支刀) to Wae in expectation of many soldiers. In the late fourth and early fifth centuries, Baekje was repeatedly beaten in the battle against Goguryeo. Thus, Baekje was in military inferiority so that the capital was threatened. Baekje, therefore, engaged in mobilizing military forces of Wae across the sea, making efforts to promote human and material interchange in various fields like marriage between royal families. Although Baekje suffered a devastating defeat against Goguryeo by the fall of the capital and the destruction of the royal family, it could have been revived dramatically in Ungjin in the six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strong diplomatic ties amongst Baekje, Gaya, Silla, the Song dynasty and Wae.

      • KCI등재

        고려시기 토지소유론의 비판적 계승과 ‘전호(佃戶)’의 실체

        金琪燮 ( Kim Kiseob )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5

        I have repeatedly questioned what the reality of land ownership in the Goryeo Era was and tried to find out its reality. The idea of always hovering in my head was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life the peasants as direct producers lived. In all kinds of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adverse conditions, it was always questioned how the farmers had secured basic living conditions for their own and family life, and bore the burden of taxes and zones defined by social relations. Under the Jeonsigwa(田柴科) in the Goryeo, the Sujogwon-bungeub(收租權分給:distribution of the right to receive tax) is considered to have been done in a way corresponding to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time. It was operated through the Jeonjeong-yeonlibje(田丁連立制) unique to the Goryeo era, and the Sadaebu of the late Goryeo period recognized this system as the Sajeon(私田) in the meaning of the ‘Jojongseongbeob’(‘祖宗成法’:ancestral method). The Minjeon(民田) meaned the land of common people, but the Sajeon(私田) meaned the ownership of the class, that is, the land ownership of the ruling class, and in that system the farmers who did cultivating directly had little significance. Perhaps it was believed that to the ruling class they were nothing more than cultivators and merely successors to the land. This was the actuality of the cultivators who were succeeded with the Jeonjeong(田丁) under the Jeonjeong-yeonlibje(田丁連立制), and they could not be homogenous with the general cultivators of the Minjeon(民田). In the concept of the Gongjeon(公田) and the Sajeon(私田), the national position and the class position were fundamentally projected, and because the Gongjeon(公田) meant the Sujoji(收租地:renting land) of a state government or a public institution, even the Minjeon(民田) was forced to be recognized as the Samgwa Gongjeon(3科公田). Because the Sajeon(私田) was also the Sujoji(收租地:Renting land) of private people, its cultivators were farmers standing at the boundary between the Jeongaeg(佃客) and the Jeonho(佃戶). In terms of contents, the Sajeon(私田) system of the Jeonsigwa(田柴科) was a kind of the Myeonjogwon-bungeub(免租權分給:distribution of the tax-free right) in which the Sujogwon(收租權) was widely distributed on the Sajeon(私田) owned by the individual.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Sujoyul(收租率:rental rate) was 1/10 on the Minjeon(民田), 1/4 the Gongjeon(公田), and 1/2 the Sajeon(私田). In my opinion, this was the reality of land ownership and farmers as cultivators in the first half of the Goryeo period. Perhaps it is was very complex land ownership structure that can not be defined only as privatization of land, and it can be said to be a ‘medieval privatization of land’ which appear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rogressive privatization of land in the Goryeo period. The existence of the Jeongaeg(佃客) farmers was seen in the Noggwajeonje(祿科田制), but its typicality was confirmed in the Gwajeonbeob(科田法), and the existence of as practical landowners was revealed as the national Toji-bungeubje(土地分給制:distribution system of land) disappe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