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Linguistic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term Hangeul

        Kiaer Jieun,Shin Jiyoung(신지영)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0 No.-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한글’이라는 명칭의 역사는 명확하지 않아서 언제 누가 그 명칭을 만들었는지를 특정할 수 없다. 명명자를 둘러싼 이러한 불명확성은, 아마도 고유 문자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가 동시에 존재한 당시의 복잡한 다국어적 언어 환경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언문에서 한글로 혹은 다른 명칭들로의 변화는 결코 명쾌하거나 동시적이지 않다. 오히려 ‘한글’이라는 명칭으로 가장 널리 불리게 된 1927년 이전까지는 다양한 명칭이 공존하는 상황이었다. 1910년 일본에 의한 강제 병합은 ‘한글’이라는 명칭을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는 주로 ‘한글’이라는 문자의 이름이 만들어지고 전파되는 데 있어서 국내 학자들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에만 초점을 두어왔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한글이라는 용어가 서양 선교사와 국내 학자들 사이의 지적인 상호 교류의 산물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Despite the common belief, the history of the term Hangeul is not clear, unable to be pinned down to a single originator.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originator of the term perhaps reflects the “crowded” multilingual linguistic environment of a time when numerous terms for the Korean alphabet coexisted at once. There was never a clear-cut, simultaneous shift from Eonmun to Hangeul, or between other terms. Rather, until 1927 when Hangeul started becoming the most popular term, many terms coexisted. The Japanese annexation of Joseon in 1910 greatly contributed to the making of the name Hangeul. Many past studies into the history of the term have focused on the role of native Korean scholars in creating and popularising the term. This paper however shows that the coining of the term Hangeul was the result of mutual intellectual exchanges between Western missionaries and native scholars.

      • KCI등재

        The Roles of Age, Gender and Setting in Korean Half-talk Shift

        Jieun Kiaer,Mee-Jeong Park,Naya Choi,Derek Driggs 담화·인지언어학회 2019 담화와 인지 Vol.26 No.3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half-talk shift’, the dropping of the politeness particle -yo in discourse that involves a newly established relationship. This phenomenon is very common in Korean discourse. It can be recognized as a token of establishing a more intimate relationship. Yet, at the same time when it is used inappropriately, it can be perceived as inappropriate or offensive. Therefore, it is often hard even for native speakers to decide whether to shift into half-talk or not. In the literature, it is usually described that age and social status are the key factors in half-talk shift (Lee 2012; Yeon and Brown 2011). Simply, it is stated that people with old age or higher social status use half-talk to their juniors. In this paper, using interviews, online analysis, newspaper analysis, and a large-scale survey, we aim to re-explore the functions of speech styles in Korean by showing how half-talk is perceived by native Korean speakers. We also aim to explore whether half-talk shift is used differently in workplace and school settings, whether age and gender play any role in deciding the appropriateness of half-talk shift, and what role negotiation has in half-talk shift.

      • Korean Drama and Variety Shows in teaching Pragmatic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Jieun Kiaer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1

        본 논문에서 우리는 한국의 드라마 (K-drama)와 버라이어티쇼(variety show) 등을 이용한 화용(pragmatics)과 문화 상호간 소통 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의 교육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한류의 붐을 타고 한국 드라마는 중국과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과 영미권에서까지 큰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드라마를 통해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이미 한국어 교육에서 드라마는 중요한 학습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 는 학습자 인터뷰를 통해서 무엇보다 발화속의 상호 관계(interpersonal relation) 습득에 드라마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우리는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상호관계사 (interpersonal particles) 로 보고자 하며, 이러한 상호관계사의 습득, 운율과 제스처 등의 화용 습득과 더불어 궁극적으로 문화 상호간 소통 능력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습득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목적격조사 생략 현상에 대한 운율적 해석

        Jieun Kiaer,신지영(Shin, Jiyoung)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7 No.-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omission of the object particle in spoken Korean can be better explained by considering not only semantic/pragmatic factors but also the prosodic nature of the phenomenon. We argue that the omission of the object particle is prosodically similar to the phonological contraction or compound formation.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the object and predicate forms one phonological phrase (PP) in an unmarked/default situation, and that this is the core, behind-the-scenes driving force of the particle omission. This observation supports the Minimised Form and Minimised Domain hypothesis of Hawkins (2004). Previ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show that the realization of the object particle is related to a (contrastive) focus based on semantic/pragmatic factors. This paper, however, demonstrates that proso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alization of object particles as well. In addition this paper also addresses the limits of written-sentence-based works related to particle omissions.

      • Social Media in Korean Language Assessment: Potential of Dialogue-based CALL for Politeness Feedback

        조지은 ( Jieun Kiaer ),( Toby Bladen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9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

        Acquiring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is exceptionally difficult for native English-speaking learners. A major reason why learners find Korean challenging is because of the extent of socio-pragmatic complexity embedded in language use. Current teaching materials are ill-suited to acquiring these pragmatic skills as they rarely give learners an opportunity to use the full spectrum of speech levels and address term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Dialogue-based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techniques are potentially useful for providing learners with feedback on their use of politeness levels and address terms in Korean. As an avenue for future research,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task-based learning platform to assess and correct users’ conversational use of politeness.

      •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Cooking in the Digital Kitchen

        Jaeuk Park(박재욱),Jieun Kiaer(조지은),Paul Seedhouse(폴시드하우스),Robert Comber(로버트코머)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6 국제한국어교육 Vol.2 No.2

        본 연구는 과제 중심 학습법과 최신 컴퓨터 기술을 융합한 외국어 교수법을 한국어 교육에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요리라는 과제(task)를 디지털 키친에서 수행하며 한국어 를 배우는 사례와 일반 교실에서 사진을 보며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을 비교 대조하여, 전자의 경우가 한국어 어휘 학습에 훨씬 효과적임을 보여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체는 EU 주관하에 실시된 유럽식 디지털 키친 프로젝트였는데, 이 과제는, 유럽의 여러 언어와 문화를 요리라는 과제를 디지털 키친에서 수행하며 습득하게 하는 과제였고, 제2외국어 교육에 획기적인 방법으로 간주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영어나 인구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에게 어원적으로 아무 연관이 없는 한국어 특히 한국어 어휘 습득은 결코 쉽지 않는 장애물이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 는 학습자들이 요리라는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특별한 노력 없이 어휘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게 됨을 보여준다. 우리는 본 연구와 같이 디지털 기술에 과제 중심적인 언어 교육을 접목한 방법이 향후 특히 영어권에서 한국어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