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 the Ruins : Forgetting and Awakening Korean War Memories at Cheorwon

        Keunsik Jung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7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6 No.3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s of forgetting and silencing surrounding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as revealed by the rise of “security tourism” in Cheorwon, a small city o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Located just north of the 38th parallel, Cheorwon lies between the 1945 border that initially partitioned the Korean peninsula into the Soviet-occupied North and the US-occupied South and the inter-Korean border as it currently stands today, which was consolidated after the Korean War. From the South Korean perspective, Cheorwon is therefore a “recovered territory,” wrested from the North during the war. The checkered past of the city has given rise to different senses of place—Cheorwon is at once a fierce battlefield of the past, a city on the frontline in the present, and a site of the complex history of recovery. Each coordinates a different type of memory, associated in turn with a different actor: the soldiers who fought in the battlefields of Cheorwon during the Korean War, the native residents who witnessed their hometown turn into these battlefields, and the new residents who moved to Cheorwon after the war. Moreover, the city’s historical character as recovered territory has generated a unique dynamic of silencing, leading the residents to hide their identities for fear of reprisal or discrimination in postwar South Korea. By focusing on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lives of these bearers of Korean War memory, the essay explains the paradox of security tourism and discusses how attending to the historical reflection occasioned by Cheorwon’s ruins can heighten our sensitivity to the project of peacemaking. Taken as an allegory rather than a symbol, Cheorwon’s ruins can inspire new life and revitalize a message of peace.

      • China’s Memory and Commemoration of the Korean War in the Memorial Hall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Keunsik JUNG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Cross-Currents Vol.- No.14

        After confronting each other as enemies during the Korean Wa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forty years after fighting had ended. Around this time, the Chinese city of Dandong near the northern border of the Korean peninsula erected a memorial to observe the fortie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In the twenty years since, China has become South Korea’s primary economic partner and its largest market for exports. In effect, the memory of wartime hostility has coexisted with the reality of economic cooperation.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Korean War, known in China as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is commemorated by the war memorials in China,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memorial in Dandong. It also discusses how North and South Korea have responded to the contrasting perspectives on the war embodied by these memorials, and it concludes with some reflections about how the memory of war can be restructured to convey a message of peace for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냉전의 섬’에서의 평화 사상과 연대

        정근식(Keunsik Jun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5 No.2

        동아시아에는 제주도와 유사한 경험을 가진 ‘냉전의 섬’이 많이 있다. 1945년 미군이 점령한 후 지금까지 70년간 미국의 가장 강력한 해외 기지로 자리 잡은 오키나와, 국공내전의 끝자락에서 치열한 전장이 되었다가 냉전의 섬으로 전화된 금문도, 그리고 냉전 시기에는 풍요와 평화를 누리다가 탈냉전 시대에 국지적 심리전의 현장이 되어버린 연평도, 이런 섬들은 비록 비동시적이라고 해도 모두 냉전의 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 냉전의 섬들에서 어떻게 평화의 사상이 배태되었으며, 현재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를 동아시아 냉전·분단체제의 형성과 해체라는 맥락에서 생각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국가를 넘어서서 동아시아라는 지역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전환한 창법적 폭력들과 지방 수준에서의 주민 생존권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냉전의 섬들 연대는 동아시아의 평화를 촉진하는 변수가 될 수 있지만, 현재까지 현실적인 힘으로 성장한 것은 아니며,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는 더 많은 토론이 필요하다. East Asia has many “Cold War islands” with similar experiences to Jeju Island. Ever since it was conquered in 1945, Okinawa has been occupied by the U.S. military for over 70 years as a naval stronghold. The Kinman islands of Taiwan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symbol of the Cold War after having been one of the final battlegrounds of the Chinese Civil War, and Yeon pyeong Island has turned into a local psychological war zone in the post-Cold War era, leaving behind the relative peace and prosperity it enjoyed in the previous years. These islands share a common experience and identity as Cold War islan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se islands and how the ideals of peace have been cast aside, and furthermore contemplates the geopolitical situations they face in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and disintegration of the Cold War in East Asia. This paper calls forth a historical-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transnational violence at the regional level that fundamentally transformed the regional order and people’s right to life.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of these Cold War islands may emerge as a small but significant factor in promoting peace in East Asia, but more discussion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how to bring this about.

      • KCI등재후보

        냉전과 소련군기념비

        정근식(Keunsik Jun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5 No.1

        중국 동북지방과 북한에는 다양한 유형의 소련군기념비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 기념비들의 대부분은 1945년부터 1957년까지 세워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 시간과 기념의 시간의 질서를 검토하고, 이들의 의미의 변화를 밝히며, 나아가 소련군기념비가 중국과 북한의 기념문화에 미친 영향을 동아시아 냉전문화 연구의 맥락에서 질문하고 있다. 초기 소련군기념비는 ‘해방’과 ‘추모’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지만, 1950년대 중반에는 ‘전승’과 ‘우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이들은 한국전쟁 이후에 북한과 중국에 세워진 전쟁기념비들에 영향을 미쳤다. 냉전기에 발생한 소련과 중국의 갈등, 북한의 주체사상은 동북아시아에서의 소련군기념비들의 역사적 중요성을 약화시켰으나, 탈냉전과 함께 소련군기념비는 동유럽과는 달리 국가 간 우호와 협력을 확인하는 역사적 기억의 터로 재활성화되고 있다. There are so many soviet army monuments in Northeastern China and North Korea. Most of them has been constructed during 1945 and 1957. This paper examines, first, the historical and commemorational times and the change of significance of them, second,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soviet monument culture on Chinese and North Korean memorial culture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Cold War studies. The early soviet army monuments were ascribed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mourning, but, the later monuments were distinguished by the victory and friendship around the pullout of the soviet army from Dalien. The monument culture of soviet army gave a model of commemoration culture in two countries including the victory and friendship tower. The emergent conflict between the USSR and the PRC as well as North Korea’s Juche doctrine, both emasculated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monuments in Northeastern Asia, but the end of the Cold War has been those revitalized as the site of the collective memory of cooperation and friendship, unlike their counterparts in Eastern Europe.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에서의 탈냉전과 전장 관광의 지속가능성

        정근식(Keunsik Jung),오준방(Chunfang Wu)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6 No.1

        이 글은 동아시아에서 새롭게 형성된 전장 관광의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로, 양안 사이에 있는 진먼(金門)에서의 전장 관광의 형성 과정과 관광의 실천, 효과를 살펴보려고 한다. 진먼은 양안 분단의 출발점이 된 꾸닝토어 전투(古寧頭戰役)의 현장이자, 양안 대치기의 포격전의 현장이었고, 타이완 측 최전방의 경계였다. 탈냉전과 함께 시작된 진먼 관광은 전장 관광과 국경 관광을 겸했다. 진먼 관광은 주로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두 집단, 즉 타이완에서 들어오는 관광객과 중국 대륙에서 들어오는 중국 관광객을 표적으로 하는데, 이 글에서는 관광의 구체적 동학을 관광객과 원주민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보면서, 타이완 관광객과 대륙 관광객의 시선과 행태의 차이를 검토한다. 더 나아가 진먼의 전장 관광이 어떻게 대안인 샤먼에서 이에 상응하는 전장 관광을 발전시켰는가를 탐구한다. 진먼의 전장 관광은 냉전경관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지만, 점차 문화적 자원들을 활용한 복합 관광으로 발전해가며, 나아가 지속가능성이 쟁점으로 등장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tudy the development, practice and consequences of battlefield tourism in Kinmen island, which is a border, serving as a prime example of newly formed battlefield tours in East Asia. Kinmen island was the site of the final battlefield in the Chinese Civil War, which divided into mainland China and Taiwan, so that it became the very frontline of the Cold War-division. During the Cold War, this island became the battlefield of artillery and psychological warfare.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tourism incorporating the experiences of battlefield and border has been started in this island. This tourism targets two groups; one is those who have a nostalgia among Taiwan; and the other is those who come from the mainland. This paper tries to analyse the dynamics of tourism through the interactions of the tourists and locals, the difference in the tourist’s gazes and the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consequences of the battlefield tourism in Kinmen for the corresponding tourism in Xiamen, as a counterpart of Kinmen in the Cold War. The border-cum battlefield tourism in Kinmen initially began with the Cold War landscape, but slowly developed into a more complex destination combining cultural resources, and finally, show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battlefield tourism resulting from the growth of tourists.

      • Aesthetic Female Images in Lermontov's Taman

        김근식(Keunsik Kim)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2

        우리시대의 영웅의 타만은 하나의 독립된 작품으로서도 손색이 없을 만치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그러한 완성미에 대해 벨린스키,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체호프 등이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타만의 미학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인물과 그녀의 역할과 직관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주인공이라 불릴 만치 중요한 의미를 띤 타만의 처녀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측면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기적 차원에서 이 장편의 단초 역할을 하는 타만의 서사구조는, 이방인이자 화자이자 주인공인 페초린이 오지의 타만과 그곳 주민의 삶을 들여다보는 형식으로 꾸며져 있다. 이것은 그림 속의 그림처럼 소설 전체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며 이 소설의 전개양식을 예술적으로 함축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점에서 타만은이 장편소설의 에피그라프 역까지 담당하고 있다. 우리시대의 영웅은 그 서사구조에서 러시아판 오디세이라 부를 정도로 호머의 오디세이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단지 두 작품의 차이는, 오디세이와 달리 페초린이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지 않고 여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디세이의 한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사이렌은 유럽지역에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요정의 형상을 상징적이고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이렌은 타만의 야성적 처녀의 원형이라 할 정도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양 쪽은 모두 전형적 ‘femme fatale’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때문에 페초린이 이 낯설고 수수께끼 같은 여성의 삶을 들여다보고 거기에 대한 대가를 치르는 것이 이 작품의 메시지이다. 이 처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사이렌 또는 성경의 ‘뒤돌아보지 마라’에서 얻는 교훈과도 일치한다. 그 교훈 속에는 목적지를 가는 도중에 유혹당하거나 목적 이외의 무엇엔가 이끌려 뒤돌아보아서는 안 된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언제든 쉽게 유혹에 빠질 수 있는 나약한 의지를 지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요정이 야기나 ‘뒤돌아보지 말라’는 성경 이야기는 ‘유혹의 시험’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타만에서의 여성의 역할은 의미가 깊다. 자만심이 가득 찬 페초린도 그러한 여성을 통해 자신의 독백적 세계관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는 처녀와 그녀의 사람들이 유지해왔던 삶의 질서를 깨트린 자신의 행위에 죄책감마저 느끼고 있다. 그것은 지금껏 자신의 행위에 참회를 몰랐던 페초린이 요정의 형상을 한 처녀와의 만남을 통해 세상 사람에게일말의 동정심과 인간적 감정을 가지게 하는 동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Taman, one of the short stories belonging to A Hero of Our Time, might be perfect itself even if it were separated as an independent work. Prominent Russian writers and critics set a high value on the art of Taman and consider it as a model of perfect prose. Taman's aestheticism is associated with the female character and her extraordinary role in the work. So this article is devoted to analyzing aesthetic aspects of the would-be heroin, the enigmatic savage woma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aman, which could be the beginning of the novel in a biographic arrangement, also is in a form where Pechorin, a stranger, narrator, and hero, looks into the god-forsaken town Taman, and the lives of its enigmatic inhabitants. This means that Taman takes the same structure as the whole novel, and artistically implies consequent development of this novel. In this regard, Taman plays the function of an epigraph of the whole novel. In general, A Hero of Our Time is so similar to Homer's Odyssey in its narrative structure as to call it Odyssey in Russian with parodic cynicism. The only conspicuous difference between two works is that Pechorin ventures voyage without purpose, contrary to Odyssey. The image of Sirens from Odyssey, who represent a variety of nymphs, rusalkas and undines appearing throughout European and Slavic folk tales and poetic works, bear analogy with that of Taman's 18-year old savage girl. Both images have the feature of typical femme fatale. In the cost that Pechorin pays,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girl's artistic imagery that peeping into the life of a strange girl is a very dangerous adventure. The precept that the girl gives to Pechorin corresponds to the lesson of "do not look back" in the Bible, makes the message more concrete that one should keep going one's way without looking back, we can infer an instructive message that one should keep one's own way,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s or taking one's eyes off the destination, and without being seduced in such a situation where one might otherwise be. However, humans have such a nature with which they are readily seduced as they are easily changed due to having a weak will. Therefore, we can regard the rusalka story or the "looking back" in the Bible as the same concept as that of "trial to seduction." In this respect, the role of woman in Taman is very meaningful. Self-conceited Pechorin faces a new phase to change his monologic world-view on account of her. He feels guilty about his behaviour, destroying the life rule being kept by the girl and her people, when he finds himself separated fully from their world. This might mean that Pechorin, who never knows to repent for his behavior, has come to have a tinge of sympathy in his heart with the world, people, and simple human feelings. As such, through an unpredicted meeting with the girl with rusalka's figure, he opens to himself a possibility to be a human who can dig into others' life and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