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피로와 음성특징과의 상관관계 측정

        김정인(Kim, Jungin),권철홍(Kwon, Chulhong)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2

        This paper deals with how mental fatigue has an effect on human voice. For this a monotonous task to increase the feeling of the fatigue and a set of subjective questionnaire for rating the fatigue were designed. From the experiments the designed task was proven to be monotono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s. To investigate a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speech feature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speech data and fatigue, the T test for two-related-samples was used.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speech parameters deeply related to the fatigue are the first formant bandwidth, Jitter, H1-H2, cepstral peak prominence, and harmonics-to-noise ratio.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voice is changed to be breathy as mental fatigue proceeds.

      • KCI등재

        지방의회 의원의 전문성과 다양성의 관계

        김정인(Kim, Jung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회 의원들의 전문성, 다양성 및 전문성과 다양성의 관계를 기초 지방의회 의원들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제 7기(2014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의 전반기) 226개 기초 지방의회를 분석단위로 하여 기초 지방의회 의원들의 전문성을 세 가지 차원(개인, 조직, 사회차원)에서 살펴보고, 다양성을 성별, 연령, 정당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성과 다양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기초 지방 의회 의원의 전문직 경력 전문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차원과 사회차원의 전문성 역시 높지 않았다. 반면에 기초 지방의회 의원의 성별 다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정당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초 지방의회 의원들의 전문성과 다양성 관계는 예상과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차원의 전문성은 다양 성과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나, 조직과 사회차원의 전문성은 다양성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기초 지방의회 의원들의 전문성과 다양성 향상 방안에 정책적 함의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the status and relations of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in the local assembly member. Using 226 local assembly samples between 2014 and 2016 year, this study examined professionalism in the three perspectives(individual, organizational, society-level), diversity regarding gender, age, and par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individual-level professionalism regarding education and job career were not high, and organizational-level and society-level professionalism was low. In addition, while gender diversity was relatively low, age and party diversity were high.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level professionalism regarding education and diversity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level and society-level and diversity.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 with effective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management in the local assembly member.

      • KCI등재

        지방세무직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

        김정인(Kim, Jung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지방세무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적ㆍ직무적 특성에 따라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와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이 어떻게 달라지며, 특히 공무원들의 개인적ㆍ직무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경우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분석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개인적ㆍ직무적 특성과 관련이 없었으나, 지방세무직 공무원이 남성일 경우와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일 때 공공봉사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직에 비해 관리직에서, 외청 근무자보다는 본청 근무자의 공공봉사동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공봉사동기 변수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요인인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는 조직시민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동정심과 자기희생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합리적인 지방세무직 공무원들의 인사관리를 위해서는 공무원의 개인적ㆍ직무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of local revenue officers were associated to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the impact of PSM on the OCB when their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As a result, OCB was not related to their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and their PSM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conditions of men, higher education, higher rank, and headquarters. In addition, four-factor PS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OCB, but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OCB, and other three-factor PSM(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Compassion, and Self-Sacrifice)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 Accordingly, the result suggested for r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and to improve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공리더십에 관한 경험적 연구

        김정인(Kim, Jung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현대 행정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공리더십을 관료적・절차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협력적 리더십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오늘날 급변하는 행정환경 특성에 적합한 공공부문 리더십은 하나의 주류적 리더십이 아니라 다차원적인 리더십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행정환경 변화의 직접적이고도 중요한 현장이 되는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공기관의 리더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여 관료적・절차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협력적 리더십이 행정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관료적・절차적 리더십은 권위적인 행태가 아닌 절차와 규정에 따른 분권적 리더십으로 나타났고, 변혁적리더십은 공공성 추구라는 공공조직 미션, 비전, 전략목표 설정 시 조직 내・외부 고객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과정에서 나타났다.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 모두가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리더십으로 작용하였으며, 협력 리더십은 조직 내・외부 다양한 기관들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방자치단체 행정현장의 다차원적인 공공리더십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지방분권시대의 공공부문 리더십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examined an effective public leadership in times of modern administrative environment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four leadership behaviors: bureaucratic or procedur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thical leadership,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An relevant leadership in times of modern administrativ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cludes a multi-level integrative public leadership instead of one mainstream leadership behavior.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leaders in the public enterprises of local gover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y maintained bureaucratic or procedur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thical leadership,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As a result, bureaucratic or procedural leadership meaned decentralized leadership based on procedure and rule instead of authoritarian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eaned active leadership which reflect various opinions from inside or outside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ublic organizational mission, vision and strategic goals like publicness; ethical leadership meaned basic leadership which all leaders and members should obey;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meaned network leadership which connect closely with various inside or outside organization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future public leadership study by conducting an empirical public leadership.

      • KCI등재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공론화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공론조사의 국가적 특수성, 대표성과 집합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김정인 ( Jungin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8 정부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공론화와 정책결정의 관계, 공론화가 정책결정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 효과적인 공론화를 위한 조건 등을 이론적·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공론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결과 국가적 특수성, 대표성과 공론화 참여자들 간 집합적 합리성이 효과적인 공론화의 조건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스탠포드 대학의 숙의민주주의 센터(Center for Deliberative Democracy)에서 제공하는 해외 공론조사 사례 47건을 심층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각 국가들의 정치제도, 행정문화, 정책결정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공론화 적용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는 도시개발·교통·공동체 등 지역 생활형 정책이슈들과 같이 특정 집단에 편향되지 않으며, 참여자들의 정치적 평등이 확보되고, 정책이슈의 포괄성 등이 높을 때 공론화 적용 가능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화 대상이 된 정책이슈의 대안선택 폭, 대안선택의 기준/방법, 최적대안의 선택유무 역시 공론화 적용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조건들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에서 효과적인 공론화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ive democracy (DD) and policy decision mak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DD on policy decision making, and conditions for achieving effective DD. As DD has been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reflecting citizens' refined opinions on policy making, national characteristics regarding DD, representativeness, and collective rationality among DD participants could be conditions for attaining effective DD.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d 47 international deliberative polls cases provided by Center for Deliberative Democracy in USA.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applicability of DD depended on political system, administrative culture, and policy decision-making system among nations.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DD was high when policy issues were not biased toward specific groups. Participants had high level of political equality and political issue maintained high level of inclusivity. Additionally, the applicability of DD was highly related to policy alternative range, policy alternative criteria, and best alternative choice in the process of DD. These findings provide us with effective DD strategy in Korea.

      • KCI등재

        주민자치회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김정인 ( Kim Jungi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2 地方行政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서 주민자치회 관련 조항이 삭제된 데 대한 문제인식을 환기하고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범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주민자치회의 형성 요인을 주민참여와 지역공동체 의식, 자치단체 자원, 자치단체 정책결정자의 정치적 이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치단체장이 진보적 정치성향을 지닐수록, 자치단체의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주민투표율이 낮을수록, 재정자립도가 낮을수록 주민자치회 도입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현재 도입·운영 중인 주민자치회는 주민들의 참여와 공동체 의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앙정부 및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 아래 운영되고 있고, 진보성향 자치단체장의 영향력을 많이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진정한 의미의 풀뿌리 주민자치회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회에서 주민참여와 주민의견 반영을 우선해야 하며, 기초자치단체와 주민자치회의 재정역량을 증가시켜야 하고, 자치단체 정책결정자의 정치적 이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향후 주민자치회에 관한 법률 제·개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의의를 지닌다. The background and motiva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problem recognition of the deletion of provisions of the residents’ autonomous councils(RAC) excluded from the recently revised 「Local Autonomy Act」 and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RAC currently operated as a pilot project. For this purpose, our research analyzed the factors for the adoption of RAC, which are currently operated as a pilo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 participation, local community consciousness, local government resources, and the political ideology of local government policy maker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adopting RAC was higher when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had a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the higher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autonomy, the lower the referendum, and the lower th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RAC did not actively reflect the participation and sense of community of the residents, was under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heads of progressive local governments. In order for a desirable RAC to operate in the future, RAC needs to give priority to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increase the financial capacity of basic local government and RAC; and be independent of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local government’s policy makers. Considering this point, we need to enact a law related to RAC in the future.

      • KCI등재

        공무원 채용과정에서의 실적주의: 미국과 일본의 공무원 채용제도를 중심으로

        김정인(Kim, Jungin),이윤석(Lee, Yoonseock)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미국과 일본 공무원 채용과정에서의 실적주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과 일본 모두 공무원 채용과정에서 지원자들의 역량, 기술, 지식, 능력 등 다양한 실적요소들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연방정부는 역량과 KSAs를 중요한 실적요소로 고려하고 있었으며, 부처별 자율채용제도, Competitive Service 분야에 3단계 경쟁채용 절차 적용, 등급에 맞는 채용 평가방법 적용, 젊은 인재 유치를 위한 the Pathways Programs 도입, 능력 있는 공무원 채용 네트워크인 Hiring Excellence Campaign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일본 역시 2012년 국가공무원 시험 전면 개편을 통해 기초능력시험, 전문시험, 정책과제토의시험, 면접시험 등에서 개인의 지능, 역량, 지식, 기술 등 다양한 실적요소를 평가하고 있었다. 연령 제한으로 인해 채용의 기회균등이 다소 제한되기는 하였지만, 종합직·전문직·경험자 채용시험을 도입하여 유능한 인재 선발에 적극 노력하고 있었다. 서로 다른 공직분류제도를 운영하는 미국과 일본의 채용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실적요소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의 공무원 채용과정에서 실적주의를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할 때 중요한 함의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ur study was conducted in the recruitment process of civil servants in the U.S. and Japan. Our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U.S. and Japan reflected various performance factors such as competency, skills, knowledge, and ability of applicants in the recruitment process for civil servants. In particular, the U.S. federal government considered competency and KSAs as important performance factors, and operated the voluntary recruitment system for each department, a three-step competitive hiring process in the field of competitive services, recruitment evaluation methods according to grades, Pathways Programs to attract young talent, and the Hiring Excellence Campaign(a network for hiring competent civil servants). Also, Japan evaluated various performance factors such as individual intelligence, competency, knowledge, and skills in the basic ability test, professional test, policy task discussion test, and interview test through the complet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2012. Although equal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were somewhat limited due to age restrictions, Japan government tried actively to select competent talents by adopting general, professional, and experienced recruitment exams. In the hiring process of the U.S. and Japan, which operate different public service classification systems, performance factors are commonly reflected. These results give important implications when looking for ways to improve performance-oriented in the recruitment process of civil servants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기관 인사관리 제도의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과 원인 분석: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김정인 ( Kim Jungi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2

        본 연구는 Meyer & Rowan(1977)이 처음 논의한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과 원인을 공공기관의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의 기간 동안 311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공공기관의 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이러한 제도 도입과 다르게 제도 운영이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이루어지는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공공기관의 내·외부 환경요인들이 디커플링 현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정부 주무부처에 대한 종속성이 강할수록, 공공기관이 국민들에게 공공서비스를 간접적으로 제공할수록, 공공기관이 다루는 사업의 시장성이 강할수록, 그리고 인력의 대체가능성이 낮을수록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의 디커플링 현상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내부 환경과 관련해서는 전체 여성인력 분포와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디커플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인사관리 제도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함의점을 제시해 준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balanced-human resource system and flexible work system in the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decoupling explained by Meyer & Rowan(1977). By using the panel data of 311 public institutions from 2011 to 2015 year, this article found o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c institutions which implemented balanced-human resource system and flexible work system, but public institutions actually decouple their practices from their formal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institutional decoupl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external factors, when there were stronger dependence of public institutions on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delivered indirectly public service to people; they produce more highly marketable product; they had more powerful manpower substitutability, there was increase in probability of decoupling emergence in the balanced-human resource system and flexible work system. Additionally, the ratio of women manpower to total employees and the existence of union would be critical factors to affect the institutional decoupling as internal factors. Accordingly, this research will present us with som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uman-resource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