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말명사문의 사용 양상에 관한 일한대조연구

        김정민 ( Kim¸ Joung-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3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문말명사문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양국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新屋(2014)가 제시한 문말명사문의 의미 분류를 원용하여, 일한 소설과 신문에 사용된 문말명사문의 출현 빈도 및 명사의 종류를 조사하고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문말명사문의 전체 출현 빈도는 소설과 신문 모두 일본어보다 한국어가 더 높게 나타났다. (ii) 일본 소설에서는 「D. 주관」, 한국 소설에서는 「C. 상태」문말명사문의 사용률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본 신문에서는 「B. 속성」, 한국 신문에서는 「E. 해설」의 사용 비율이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iii) 양국의 「C. 상태」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명사는 소설에서는 「状態/상태」·「表情/표정」, 신문에서는 「状況/상황」·「状態/상태」였다. 한편, 한국 소설에서의 출현이 두드러진 「모양」에 대응되는 일본어의 「模様」는 일본 소설에 사용되지 않았다. (iv) 「C. 상태」문말명사문이 「한국어 원작→일본어 번역본」에서는 대부분 문말명사문으로 대응되었으나, 「일본어 원작→한국어 번역본」에서는 문말명사문 이외의 다양한 형식(예: 증거성 모달리티, 기능동사 등)으로 번역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noun-concluding sentence (henceforth, NCS) in Japanese and Korean and aims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e semantic classification(A~G)suggested by Shinya(201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requency of NCS occurred in novels and newspapers of the two langu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frequency of Korean NCS i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NCS in both novels and newspapers. (ii)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NCS is ‘D. Subjectivity’ in Japanese novels and ‘C. Situation’ in Korean novels, respectively. In terms of newspapers, each frequency of Korean ‘E. Elaboration’ NCS and Japanese ‘B. Attributes’ NCS i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and Korean, respectively. (ⅲ) Japanese and Korean are similar in that nouns such as jyootai/sangthay ‘state of affairs’, hyoojyoo/phyoceng ‘expression’ occurred in both novels, and jyookyoo/sanghwang ‘situation’, jyootai/sangtay ‘state of affairs’ appeared in both newspapers. In contrast to the high frequency of Korean noun moyang ‘shape’ in Korean novels, its Japanese counterpart moyoo does not occur in Japanese novels. (ⅳ) While Japanese ‘C. Situation’ NCS is almost corresponded to Korean NCS in ‘Japanese-Korean translated novels’, Korean ‘C. Situation’ NCS is translated into various Japanese expressions (e.g. evidential modality, co-occurring with functional verb) in ‘Korean-Japanese translated novels.’

      • KCI등재후보

        Literature Review on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perger Syndrome

        Joungmin Kim(김정민) 한국자폐학회 2010 자폐성 장애연구 Vol.10 No.1

        아스퍼거(asperger) 증후군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사회적 실마리를 (social cues)를 포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사교적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감정 표현의 수준을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그들의 사회적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성 중재는 필수적이다. 일련의 현존하는 사회성 중재 연구들에 의하면, 특정한 사회성 중재(intervention)가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바가 있으나, 아스퍼거에 관한 현존하는 사회성 중재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들은 지극히 비약하다. 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보고된(peer-reviewed) 논문 중 아스퍼거를 대상으로 한 실제적 경험(experimental studies) 중심의 사회성 중재 문학 연구들을 종합하고, 그것을 토대로 아스퍼거를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사회성 중재를 요약 및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집되어진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 사회성 중재 연구에 위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In light of the marked impairments individuals with Asperger Syndrome (AS) experience in understanding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s and their failure to pick up social cues,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ir social functioning. While anecdotal reports have identified specific interventions as effective (Myles & Simpson 2003), few empirical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hat address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 The purposes of this literature review were to (a) review and synthesize existing studies on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 and (b) explore and summarize existing social interventions that are available for this popul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article provides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on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

      • Cloud-BS: A MapReduce-based bisulfite sequencing aligner on cloud

        Choi, Joungmin,Park, Yoonjae,Kim, Sun,Chae, Heejoon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018 Journal of bio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biolog Vol.16 No.6

        <P>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utilizing DNA methylome data to answer fundamental biological questions. Bisulfite sequencing (BS-seq) has enabled measurement of a genome-wide absolute level of DNA methylation at single-nucleotide resolution. However, due to the ambiguity introduced by bisulfite-treatment, the aligning process especially in large-scale epigenetic research is still considered a huge burden. We present Cloud-BS, an efficient BS-seq aligner designed for parallel execution on a distributed environment. Utilizing Apache Hadoop framework, Cloud-BS splits sequencing reads into multiple blocks and transfers them to distributed nodes. By designing each aligning procedure into separate map and reducing tasks while an internal key-value structure is optimized based on the MapReduce programming model, the algorithm significantly improves alignment performance without sacrificing mapping accuracy. In addition, Cloud-BS minimizes the innate burden of configuring a distributed environment by providing a pre-configured cloud image. Cloud-BS shows significantly improved bisulfite alignment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existing BS-seq aligners. We believe our algorithm facilitates large-scale methylome data analysis. The algorithm is freely available at .</P>

      • KCI등재

        대학 서술형 강의평가 실태 및 네트워크 분석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민(Joungmin Kim),정진성(Jinseong Cheong),정하보(Habo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충남에 위치한 S 대학에서 총 7학기에 걸쳐 이루어진 서술형 강의평가 결과를 대상으로 대학생들의 응답 실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세부적으로 학생, 교과목, 평가내용에 따라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텍스톰과 Ucinet 6 넷드로(NetDraw) 기능을 통해 키워드 분석 및 네트워크 시각화를 시행하였다. 또한, 도출된 키워드의 유사 군집을 도출하기 위해 CONCOR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째, 서술형 강의평가 내용에는 비문(非文), 한 글자, 의견 없음과 같은 잡음(noise) 데이터의 비율이 전체 평가 건수 중 19.41%에 달하였으며, 서술된 문장도 20자 이하의 짧은 글로 이루어진 비율이 전체의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 단어는 긍정, 부정, 중립으로 나뉘어 살펴본 결과, 긍정의견이 66.1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중립 27.60%, 부정 6.21% 순이었다. 강의평가 내용 중 시험과 평가에 대한 부정 의견이 2,253건(0.6%)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 소감 영역에서 75.78%의 서술형 강의평가 의견이 기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의평가와 관련하여 높은 빈도를 보인 키워드는 ‘감사’, ‘좋음’, ‘수업’, ‘없음’, ‘수고’ 등의 순이었으며, 네트워크 분석 결과, 수업/감사, 좋음/수업, 가르침/감사, 수업/재미, 수업/내용 등이 주요하게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를 키워드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움’, ‘시험’, ‘도움’, ‘힘듦’, ‘많음’이 주요 의견 그룹으로 형성되었다. 결론 강의평가의 형성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양적⋅질적으로 풍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현재의 강의평가 방식의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lecture evaluation conducted over a total of seven semesters at S university. Methods The keyword analysis and network visualization including CONCOR were conducted to derive similar cluster text by textorm and Ucinet 6 NetDraw program. Results The ratio of noise data was 19.41% and the written sentences and 61.7% of sentences were less than 20 characters. Second, the emotional words were divided into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and as a result, positive was the highest at 66.19%, next was neutral 27.60% and negative 6.21%. There were 2,253 negative opinions (0.6%) on the test and task evaluation, and 75.78% of narrative opinions were recorded in most of the impressions. Third, th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in the order of ‘thank you’, ‘good’, ‘class’, ‘none’, etc.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classes/thanks, good/class, teaching/thanks, class/fun, class/content, etc., were mainly fou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keywords, learning, examination, help, difficulty, and abundance were formed as major opinion groups. Conclusions In order to be used as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ectur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lecture evaluation method to collec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eaningful response data. Implic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Praise in On-task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in Inclusive Settings

        Kim, joungmin(김정민)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통합학급에서의 일반교사의 자폐아의 바람직한 행동에 따른 구체적인 칭찬(behavior-specific praise)이 증가함에 따라 몽상, 방해, 자리이탈 등의 문제를 가진 3명의 자폐아의 on-task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 연구에 포함된 대상은 통합학급의 일반교사 세 명과, 자폐 진단을 받은 3명의 초등학생이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20분간 직접관찰을 통한 빈도를 각각의 구체적인 행동에 따른 칭찬/꾸중 그리고 통합학급의 수업참여 행동 기록지를 바탕으로. 데이터 수집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구체적인 칭찬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폐성장애 아동 모두 수업참여 행동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조사를 위해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점들과 함께 암시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behavior-specific praise in students’ on-task behavior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who had day dreaming, disturbing others, and left group etc. in inclusive settings. Participants were thre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in inclusive classrooms. The data was gathered by direct-observation, frequency count sampling in 20 minute continuous intervals with ‘on–off-task behavior,’ data sheet and ‘teacher praise’ data shee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on-task behavior increased when the teachers behavior-specific praise increas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과 교육 인식 및 제고 방안

        김정민(Joungmin Kim),박애스더(Esther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에 대한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및 비교과 경험이 있는 팀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과 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방법 16명의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및 팀장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이질적인 정보로부터 새로운 발상을 이끌어 내기 위한 KJ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KJ법의 분석 과정은 라벨 만들기, 그룹 편성, 도해화, 서술화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결과 KJ법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와 팀장의 비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라벨 수가 많은 것부터 보면,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는 관리 운영 방안(58), 문제 상황 파악(38), 운영 실태(30), 운영 성과(29), 운영의 어려움(25), 운영 노력(13)의 순이며 이는 총 193개의 라벨로 구성된 6개 그룹으로, 그룹별 구성은 5단계 그룹 2개, 4단계 그룹 3개, 3단계 그룹 1개다. 팀장은 관리 운영 방안(33), 운영 성과(19), 문제 상황 파악(16), 비교과 인식(7)의 순으로 그룹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총 75개의 라벨로 구성된 4개 그룹으로, 그룹별 구성은 5단계~2단계 그룹 각 1개다. 결론 본 연구의 시도와 결과는 향후 효율적으로 비교과 교육을 운영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략을 세우는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staffs and department team leaders about extra-curricular in universities and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non-specialty education based on th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performing FGI for 16 extra-curricular staffs and department team lead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KJ method to derive new ideas from heterogeneous information. The analysis process of the KJ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label making, group organization, illustration, and narrative. Results After going through the KJ method analysis process, finally looking at the employee's perception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label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aff’s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are Suggestion of operation direction(58), Identification of problematic situation(38), Status(30), Performance(29), Difficulty in operation(25), and Operation effort(13) were derived in the order. There are 6 groups with a total of 193 labels, and each group consists of 2 groups at 5th level, 3 groups at 4th level, and 1 group at 3rd level. Second, the team leaders were derived from the group in the order of Suggestion of operation direction(33), Performance(19), Identification of problematic situation(16), Awareness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tra- curricular(7), which consists of four groups consisting of a totla of 75 labels, with one group of five to two stages. Conclusions The trial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derive effective non-extra-curricular education operations and outcom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