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중국어 문법서 연구 ― 문법용어 및 구성체계 비교를 중심으로

        서지은 ( Suh¸ Jieun ),박창수 ( Park¸ Changsoo ),최재영 ( Choi¸ Jaeyoung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6

        本文以16种汉语语法书为研究对象, 对语法术语的标准化问题进行了讨论, 并在语法术语和结构体系两个层面上进行了比较研究。主要结论如下: 第一, 在韩国出版的语法书中, 有一些语法书把介词、助动词、宾语、定语、状语和体分别称为“개사”、“능원동사”、“빈어”、“한정어”、“상황어”、“동태”, 它们都是借用汉字音的名称, 而在韩语中表示这些概念的名称都已存在, 如“전치사”、“조동사”、“목적어”、“관형어”、“부사어”、“상”等, 因此前一类的汉字音名称都是不必使用的。 第二, 有一些语法书把“代词”和“拟声词”分别称为“대명사”和“의성어”, 不过“代词”和“대명사”并非等同的概念, 而“의성어”这一名称容易误解为句子成分的一类。我们认为, 比这些名称更合适的是“대체사”和“의성사”。 第三, 特殊句式“X”字句 (如“把字句”) 共有两种韩语名称, 一种是“‘X’구문”, 另一种是“‘X’자문”。在构式语法里, 构式(即“구문”)指的是“形式语义匹配”, 因此如果用“‘X’구문”来指称“X”字句, 则会更好体现特殊句式本身的性质。此外, 一些语法书把“把”字句和被动句分别称为“처치문”和“‘被’구문”, 但“처치문”这一名称很难体现“把”字句的语义功能, “‘被’구문”是被动句的下位概念, 因此用这两个术语来指称“把”字句和被动句都是不合理的。 第四, 本文研究的16种汉语语法书根据结构体系可以分为A、B两类:A类以汉语语法体系为主 (10种), B类则以个别的表达方式为主 (6种)。另外, 大多数A类书都涉及几乎所有的基本语法项目, 而B类语法书仅涉及基本语法项目的一部分。据此而言, A类书更适合于想比较全面地学习汉语语法体系的学习者;B类书更适合于想根据各种情况能够说出基本语义表达的学习者。 第五, A、B类语法书在目录的编排上也有差异。A类语法书的排列顺序一般都是“先词类后句子”式, 而B类语法书的排列顺序既有“先句子后词类”式, 也有词类和句子的混合式。“先词类后句子”式和“先句子后词类”式各有好处, 前者是从汉语语法的基本单位开始的, 因此它能够让学习者逐步了解汉语语法体系的全貌, 而后者能够让学习者从学习的起步阶段开始就会表达出汉语的基本句式来。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to standardize the grammatical terms and examines the current 16 Chinese grammar books in Korea by comparing their grammatical terms and structural systems. It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ome of the grammar books still use Chinese consonants even though there are alternative terms in Korean, such as ‘개사’, ‘능원동사’, ‘빈어’, ‘한정어’, ‘상황어’, ‘동태’.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ir names to ‘전치사’, ‘조동사’,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상’, respectively. Second, Some grammar books use the terms ‘대명사’ and ‘의성어’ to refer to ‘代词’ and ‘拟声词’. ‘대명사’ is not equivalent to ‘代词’, and ‘의성어’ is easy to be misunderstood as a type of sentence component, so these terms should be replaced by ‘대체사’ and ‘의성사’ respectively. Third, the special sentence construction made on behalf of one or more of the letters (‘X’) are named differently as ‘ ‘X’구문’ or ‘ ‘X’자문’ in each grammar book. Given that the construction represents a particular pair of forms and meanings, the term ‘ ‘X’구문’ is more consistent with the special sentence construction. Some grammar books use the names ‘처치문’ and ‘ ‘被’구문’ to refer to 把-construction and passive construction, but ‘처치문’ does not clearly reflect the function of 把-construction and ‘ ‘被’구문’ is a subconcept of the passive construction, so they are not all appropriate terms. Fourth, the structures of 16 grammar book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ype A is based on the grammar system of Chinese, and type B is based on the expression of grammar items. The books of type A cover almost all basic grammar items, whereas the books of type B cover only a part of the basic grammar items. Therefore, the books of type A have the advantage that learners can systematically learn the entire grammatical structure of Chinese, and the books of type B have a practical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learning is less burdensome and the contents of learning can be applied immediately depending on the subjects. Fifth, the books of type A and B also differ in the table of contents arrangement. type A mostly follows the order from words to sentences, which can lead to more systematic learning as they begin with the most basic grammar units. type B follows the opposite order 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are mixed. The order that starts with sentences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learners speak a variety of basic sentences just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 KCI등재

        가열담배 관심도 분석: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와 온라인 뉴스 내용 분석을 기반으로

        황지은 ( Hwang¸ Jie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2017년 6월 필립모리스의 iQOS가 국내 시판된 이래로 국내 담배 시장에 새롭게 가열담배가 진입하게 되었고, 가열담배 사용자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가열담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심도가 온라인 뉴스보도와 연관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 현재까지 네이버 검색어의 추세를 살펴보았고 같은 기간 동안 가열담배 주제로 보도된 연합뉴스 내용을 보도형태(기사, 포토뉴스, 기사)와 보도내용(정책, 건강영향, 담배회사활동, 추세, 기타)으로 분류하였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네이버 포털 사이트를 통한 사람들의 가열담배 검색 활동은 2017년 6~8월과 2018년 5~6월에 가장 활발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연합뉴스에 게재된 가열담배 관련 뉴스는 총 533건으로 기사 321건(60.2%), 포토뉴스 197건(37.0%), 기타 15건(2.8%)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 11월(n=71, 13.3%)에 가장 많은 뉴스가 보도되었다. 기타를 제외한 기사와 포토뉴스는 담배회사 활동 내용이 전체의 37.1%를 차지해 정책(29.7%), 건강영향(11.6%), 추세(11.0%) 뉴스보다 많았다. 가열담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신제품에 대한 정보 이외에도 전자담배에 대한 안전성 이슈로 나타나 가열담배의 단기 및 장기 사용에 따른 건강영향을 추적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이 구축되어야 하겠다. The public recognizes that HTPs are less harmful than conventional cigarettes and possibly less addictive. For these reasons, the number of HTPs is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d people's interest in HTPs over time and analyzed whether their interests were related to online news reports. From January 1, 2017 to June 30, 2020, the HTP search volume through Naver was extracted using the Naver Trend homepage, and the change in the search volume over time was examined. In addition, Yonhap News reports on HTPs during the same period were classified into report type (article, photo news, etc.) and content (policy, health-related issues, tobacco company activity, trend, etc.). From January 1, 2017 to June 30, 2020, HTP search activity through the Naver portal site was most active in June 2017.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were a total of 533 HTPs-related online news pieces published by Yonhap News, with 321 articles (60.2%), 197 photos (37.0%), and 15 etc. (2.8%). Article and photographic news, excluding etc., accounted for 37.1% of tobacco company activities and comprised news about policies (29.7%), health-related issues (11.6%), and trends (11.0%). Thu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creasing use of HTPs that have not yet been validated as safe by preparing a plan that shares the health risks of HTP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성인기 전환교육에 대한 메타적 중요도-실행도(IPA) 분석 : 2000년 이후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황지은 ( Hwang¸ Jieun ),이미지 ( Lee¸ Miji ),박지현 ( Park¸ Jihy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교사인식에 따른 국내 발달장애 대상 성인기 전환교육에 대한 중요도-실행도(IPA) 연구를 메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진 전환교육의 하위영역별 중요성과 실행도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 앞으로의 접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출판된 발달장애학생들의 성인기 전환교육에 관한 교사인식을 다룬 연구 중에서 중요도와 실행도를 모두 포함하는 총 14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적인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연구에 대한 개별 매트릭스를 도출한 뒤 하나의 전체 매트릭스로 통합하고 사분면에 제시된 중영역의 특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전환교육 계획 및 실행, 진로/직업, 전환 협력, 교사 역량, 학생 역량’이라는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다시 사분면에 따른 주제별 비율로 제시하였다. 둘째, 전환주제별 세부항목이 사분면에 위치하는 양상을 중복성과 단일성 여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2개 이상의 사분면에 중복 위치한 항목이 다수 나타났고 단일 사분면에 위치한 항목들도 주제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IPA 매트릭스에 대한 메타적 의미 분석에 따라 발달장애 대상 전환교육의 현 실정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지원 방향성 및 후속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gre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bcategories of transition education from a holistic perspectiv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approach by met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tudies of transition education to adulthood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s. A meta-analyzing method was conducted on the 14 studies published since 2000s, including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analysis areas are as follows: the entire analysis of the key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14 studies, a meta-analysis with the entire IPA matrix applied, and subjects derivation based on subcategorie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its’ quadrant layout asp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ive themes, 'transition educa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career/job, transition cooperation, teacher competency, and student competency', were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categories presented in the quadrant and then they were presented again as a topic-specific ratio according to the quadrant. Second, the detailed items of each transition topic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redundancy and unity, and many items were found to be overlapped in two or more quadrants, and items located in a single quadrant could be checked by subjects. Following the meta-meaning analysis of these IPA matrices, the current state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xamin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upport directions and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박지은 ( Park¸ Ji-eu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과 우울증상의 관계를 검증하고,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공동반추 척도(CRQ)’, ‘특질 초기분 척도(TMMS)의 정서인식 명확성 문항’, ‘우울척도(CES-D)’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증상은 공동반추의 하위요인인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인식 명확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공동반추 하위요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만이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공동반추의 속성 중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정서인식 명확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 factors of co-rumination o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between the sub factors of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The subjects comprised 170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ve symptom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Second, only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ird, emotional clarity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s.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aking emotional clarity into accoun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포스트-서사학적 소설교육을 위한 시론 - 「동백꽃」의 어수룩한 ‘나’의 감정 ‘다시’ 보기 -

        김지은 ( Kim¸ Ji-eu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본 연구는 소설교육의 중요한 제재로서 다루어져 온 김유정의 「동백꽃」을 중심으로, 포스트-서사학적 접근을 통해 의미 구성 주체로서 학습자들의 자리를 마련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때 본 연구에서는 소설 속 비가시적인 양상으로 존재하는 ‘감정’에 주목하고, 여러 상황과 사건, 행위 안에서 ‘나’의 감정이 어떻게 잠재되어있고, 다른 감정과 접촉하며, 전이 및 확장되는가를 ‘마을’과 ‘눈물’, ‘닭싸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감정’ 중심의 접근을 통해 고정된 관계를 새롭게 재편하는 존재론적 변환의 조건이자 계기로서 무감(無感)과 분노, 수치, 애증 등의 뒤섞인 감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남성/여성, 적극적/소극적, 조숙함/미숙함, 마름/소작인과 같은 기존의 강자/약자 분할선을 재확인하고 반복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균열을, 불완전함을,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해석의 공백으로 남겨져 있던 무감으로부터 애정까지 이행되는 감정의 충돌과 전이, 확장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논의는 서사학적 개념이나 교수학습-지식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토대로 세대와 계급, 젠더와 노동의 문제를 풍성하게 독해해내는 오늘날 학습자들에게 그것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포착하도록 함으로써 해석의 다양성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토대로 포스트-서사학과 관련한 다양한 문학교육적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post-narratology in the novel education. Focusing on Kim, Yujeong’s “Dongbaekkkot”, this study reviews ‘I’’s emotions which exist in an invisible way. Through this,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nge of emotions in many situations, events, and actions through “village”, “tears”, and “chicken fight”. Through this ‘emotional’ approach, emotions such as insensitivity, anger, shame, love and hatred were identified as a condition and an opportunity for ontological transformation to reshape a fixed relationship. In this regard, it does not just reaffirm and repeat existing split lines such as male/female, activeness/passiveness, precocious/ immature, landlord/tenant, but also allows the identification of its cracks, imperfections and deviations. Thu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onflict, movement, and expansion of emotions that are carried out from insensitivity to affection that have been left blank in interpreta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today’s learners, who sare already reading problems of generations, classes, gender and labor, have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by capturing their intersections. Based on this study, various literary and educational discussions would take place regarding post-narratology studies.

      • KCI등재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배경 분석과 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견해

        공지은 ( Kong¸ Ji Eun ),성기완 ( Sung¸ Kiw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의 배경 분포를 조사함과 동시에, 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견해를 조사하는 것이다. Cortazzi와 Jin(1999)의 문화 배경 유형을 수정한 Chao(2011)의 분류를 바탕으로 한 전체 35개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문화적 배경 분석 결과 일부 교과서에는 충분한 자국 문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여전히 미국 문화 내용이 다른 영어권 국가에 비해 많았다. 또한 다양한 국가에 대한 문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일부 특정한 국가의 문화가 교과서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10명의 현직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을 주요 어구 및 주제별 코딩 분석(key word & thematic coding)을 한 결과 교사들은 교과서에는 문화내용이나 의미 있는 활동이 많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문화학습에 대한 흥미 감소하고 또한 시험 위주의 학습으로 인한 제한점 등에 대해 언급했다. 10명의 현직 교사 중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화 수업을 할 때는 교과서의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교과서 이외의 다양한 자료, 수업 전략과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영어교과서에는 보다 의미 있는 문화 학습을 위해 다양하고 양질의 문화 내용과 활동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전문가들은 교사가 학습자들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자문화 및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세계시민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와 적절한 교수적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look into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background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o examine teachers’ views on culture teaching.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analysis of all the 35 textbooks based on Chao’s classification (2011) modified from Cortazzi and Jin’s (1999) categorization, not all textbooks included enough source culture content, whereas there was still a dominant coverage of the U.S. culture compared to other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re were also cultures from diverse countries but cultural content on some major countries was repeatedly presented throughout the textbooks. The key word and thematic coding analyses of the responses on the open-ended questions by the ten in-service teachers showed that there was not enough content or meaningful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here were also some constraints in teaching culture such as learners’ lack of interest and excessive focus on high-stakes tests. Accordingly, all the teachers except one mentioned they used various materials, teaching strategies, and tools to complement shortcomings of the cultural content and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herefore, the study revealed tha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include diverse yet quality cultural content and activities for meaningful culture learning. In order to do so, curriculum and materials developers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diverse resources and appropriate pedagogical directions to achieve the curricular goal of helping learners’ understanding of diverse cultures to become global citizens who respect their own and other cultures.

      • KCI등재

        농업생산자조직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몰입,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딸기 공선출하회를 중심으로 -

        차지은 ( Cha¸ Ji-eun ),장동헌 ( Jang¸ Dong-heon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9 No.2

        이 연구는 공공 및 민간영역과 지역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성이 검증된 사회적 자본을 농업생산자조직을 통해 측정하고 조직몰입과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생산자조직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리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속에 공동목표로 조직된 단일품목 생산자조직인 남원딸기연합회를 대상으로 수집된 159개 샘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중 신뢰와 규범은 정서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은 모두 비재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사회적 자본 중 규범은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조직몰입은 비재무성과의 증진을 통해 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의 축적은 조직몰입을 통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고, 농업인들의 신뢰증가, 규범의 준수를 확립하여 조직몰입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정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규모별, 경영체별 맞춤형 정책지원과 지역 내 농업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자조직으로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age and utilize the social capital of producer organizations by measuring the social capital verif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ublic, private, and local areas through agricultural producer organizations and analyze how i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used a sample of 159 members from the Namwon Strawberry Federation, which is a single-item production organization with a common goal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ust and norm in the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both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norm in the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t was also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s effects financial achievement due to the improvemen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should be recognized to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establish conditions for farmers to focu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ncreasing trust and complying with norm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oster a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er organization through customized policy support by size, management body, and cooperation among agricultural institutions in the region.

      • KCI등재

        문법 교육적 개념으로서의 ‘문장’

        오지은 ( Oh¸ Ji-eu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2

        이 연구의 목적은 문장의 개념에 대한 기존 교육 내용의 한계를 지적하고 문법 교육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문장'의 개념을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기존 교육 내용을 검토하여 학습자의 문장 개념을 정교화하기 위한 교육적 처치가 부족하다는 점, 전통적인 문장의 정의를 단순히 가공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 문장의 개념이 문장 교육의 내용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그 한계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제안된 문장의 개념과 그 속성을 검토하여 원형 이론적인 관점에서 문법 교육적 문장 개념의 속성을 [±종결 표지], [±통사적 구조체], [±의도된 의미]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문법 교육적인 문장의 개념이 문법 교육과 학습자의 언어생활 간의 간극을 축소하고, 다양한 문장 사례를 일관적이고 세밀하게 설명할 수 있게 하며, 문장에 대한 교육 내용과 연결을 강화한다는 의의를 밝혔다. 이 연구는 학습자가 일상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학문적으로는 합의된 개념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 ‘문장’의 개념을 문법 교육적인 관점에서 정립하였다는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sentence' from a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irst, it was present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concept of ‘sentence’ in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curriculum. After a thorough review of definitions and propert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sentence’, the educational concept of ‘sentence’ was proposed. As the properties of the educational concept of ‘sentence’, [±ending marker], [± syntactic structure], and [±intended meaning] are suggested based on the prototype theory.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 concept set by this study has specific educational advanta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d the concept of 'sentences' from a grammatical educational perspective, which are used as everyday concepts and do not have the academically agreed conceptual defi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