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 서사무가의 음악적 특징

        박정경(Bak Jeonggyeong)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오늘날 호남의 무속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진도를 거점으로 하여 순천, 화순 등지의 전남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의 무속은 악사를 대동하여 가무를 행하는 무당의 굿을 가리키며, 법사가 독경을 구송하는 앉은 굿, 점쟁이의 점복행위 등은 논외로 한다. 가무를 곁들인 선굿의 경우, 전북지역의 악사와 무당이 대부분 무업을 중단하고 타지로 이동하거나 생업을 바꾸어 전승이 거의 끊어진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전북의 당골들에 대한 기존 자료에서 서사무가가 다수 발견된다는 점이 오늘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진도씻김굿 쪽에서 서사무가를 거의 부르지 않는 양상과 변별되는 전북 무속음악의 특징이라고 가정하고, 시나위권에 속하는 타지역 무속음악과의 비교를 겸하여 전북 지역 서사무가의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기존에 채록된 무가집이나 무속 관련 단행본은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음악적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음원이나 영상 등 시청각 자료를 주 자료로 다루었다. 서사무가를 제보한 전북의 당골은 신귀녀, 김옥남, 전금순 등 3명이며, 같은 시나위권에 속하는 경기도 남부의 오수복, 전라남도의 채정례, 이완순의 무속음악 자료를 비교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전북지역은 전남에 비하여 서사무가가 풍부하게 전승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음악적 분석에 따르면, 사설의 내용에 따라 무당이 즉흥적인 선율과 장단으로 자유롭게 구송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제석굿이라도 지역과 사람에 따라 음악 구성과 순서가 다르고 구송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전북의 제석굿에 대한 정형성을 찾기는 어렵다. 세 사람의 무당이 구송한 전북의 제석굿 무가는 대체적으로 내용 전달을 위해 음악적 기교나 변화를 지양하고 단조로운 가운데 1자 다음의 리듬형과 길게 끄는 선율에 넣는 시김새로 음악성을 보완한다. 그러나 육자백이토리 특유의 떠는 음, 꺾는 음의 사용이 약화되어, 최저음 Mi에 요성을 넣는 외에, 특정한 원칙 없이 긴 시가를 점유하는 음은 대개 떨어주며 do가 Si로 꺾여 내려가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많으며 Sol이 등장하여 경토리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전북 무가의 음악적 특징은 같은 시나위권에 속하는 경기도 남부 및 전남 지역과도 변별되는 점을 보이는데, 경기도 남부 및 전남지역과 비교했을 때 전북지역은 굿의 구조적 정형성이 약하고 서사무가의 논리성은 발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음악적 완성도는 전남에 비해 떨어지지만 무당의 음악성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꾀하는 점은 경기도 남부에 비하여 발달해 있다고 보여진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인접 지역이나 동일한 무가권의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서 무속음악의 변이와 전개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서사무가의 구송 방식에 있어서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인다는 점이 주목되는데, 신 중심의 신화적 ‘구송창’이 한강 이북 및 서울의 강신무들의 방식이라면, 경기도 남부와 전북 지역은 점차 관중을 의식하여 인간의 흥미를 유발하는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전남지역에서는 제의적 성격이 약화되고 예술성이 강조되어 ‘연희창’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이 나타난다. 향후 남해안 굿 음악의 연구를 더하여 시나위권 무속음악의 존재양상과 서사무가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완성하는 일이 과제로 남는다. Generally, researches about shaman ritual in Jeolla province are focused on south area on the basis of Jindo, Suncheon and Hwasun. In this study, shaman ritual means "Gut" performed music, song and dance by shaman and music players, except shaman rituals performed by "Beopsa", a priest read some taoism scriptures aloud. In the case of Gut, shaman and musicians in north Jeolla province had stopped performing and migrated to other province so the folklore of shaman ritual almost discontinued now. This essay have views on various narrative shaman songs are one of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shaman music in north Jeolla province comparing with other shaman music belongs to the "range of Sinawii"; accompanied with music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n shaman ritual. In here, shaman narrative song "Jeseokgut" in north Jeolla province are studied in detail and compared with other Jeseokgut of range of Sinawii. In shaman ritual, north Jeolla province possess more various narrative songs than south Jeolla province. According to the musical analysis, shaman sing narrative songs offhand melodies and rhythmic patterns on the case by case of the stories. Also,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fixed form of music, for even same song of story sang by same shaman can have different musical styles. Song of Jeseokgut in north Jeolla province restrains musical changes and technics for successful transmission of the story. But shamans often use several ornaments in the monotone music with long melodies at one phoneme or vibrato to avoid boring atmosphere of long performance. And peculiarities of "Yukchabegi Tori; own musical characteristics of Jeolla province", vibrato at "Mi", dropping speedily "do" to "Si" are not so salient comparing to south Jeolla province. Instead of it, "Sol" would not use in "Yukchabegi Tori" but consist "Gyeong Tori; musical style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ten appearances in music of north Jeolla province. Narrative shaman song of north Jeolla province has weak regularity of structure, while logicality of story is well-developed. musical style of north Jeolla province is not sophisticated, but diversity of changing music is more distinguished than any other province contained in range of Sinawii. It is worthy to note that method of making narrative song varies in different localities. Hereditary shaman of South Gyeonggi and north Jeolla province are changed to induce the spectators' interest, while possessed shaman of North Han River and Seoul performs Myth and god-oriented song. In south Jeolla province, shaman songs have been transformed to performing arts by artistic expression is more splendid and sacredness for god tend to be weak these day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be made full use of study about transition of shaman music and its transmission. Adding analysis of shaman music in south coast, comprehensive researches about existence of shaman music and narrative songs in range of Sinawii should store up after now.

      • KCI등재

        도서해안지역 서사무가의 음악적 특징

        박정경(Park, Jeonggyeong)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6

        굿은 의식과 음악, 춤, 연희와 같은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복합적 문화유산이다. 본고는 내륙에 비해 굿을 비롯한 토착신앙이 매우 강하게 남아있는 도서해안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음악, 특히 무당이 구송하는 무가의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지역적으로는 서사무가가 비교적 잘 전승되고 있는 세습무 권역인 동해안과 남해안으로 선정하여 두 지역에 전승되는 서사무가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 구송방법, 음악적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지역 서사무가의 공통점은 첫째, 지역의 음악적 특징을 담고 있으나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동해안과 남해안 서사무가는 각각 해당지역 민요와 같은 메나리토리, 육자백이토리가 중심이 되지만 전형적인 메나리토리와 육자백이토리에서는 다소 벗어난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로 인해 일반적인 민요와 다른 느낌을 준다. 즉, 무가는 지역의 음악성을 기반으로 하되, 전승집단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고유한 선율을 고수함으로써 민요나 다른 예술음악과 차별화되고 있다. 둘째는 본격적인 서사무가를 구송하기 전에 도입부분에 해당되는 축원 또는 발원이 있다는 점이다. 굿거리 내에서 서사무가를 구송하기 전후 제차가 있는 것은 세습무권 무속의 특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데, 세습무권의 굿은 각 굿거리마다 악사의 노래, 연주, 무녀의 굿과 바라지, 춤 등이 매우 세밀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두 지역 서사무가의 차이점은 첫째, 동해안 서사무가는 일정한 장단에 의해 구송되고, 남해안 서사무가는 자유리듬으로 불리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해안의 서사무가는 스스로 음악의 속도와 휴지부를 조절하여 노래할 수 있지만 동해안은 악사의 반주에 맞춰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구송하기 위해서 노래 중간에 아니리와 같은 말을 삽입함으로써 무녀가 목을 쉬고 단조롭게 이어지는 무가의 지루함을 덜어주는 기능을 충족시킨다. 둘째, 구송 방식의 차이다. 두 지역 모두 통절형식으로 노래하지만 동해안 바리데기 무가는 무녀가 노래와 말을 교차하여 연행된다. 반면 남해안 칠공주풀이와 손님풀이는 무녀가 중간에 노래를 끊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서사무가를 구송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로 인해 동해안과 남해안의 서사무가 구송 시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동해안이 2~3시간에 걸쳐 서사무가를 노래하는 것과 달리 남해안 서사무가는 30~50분 내외다. 결론적으로, 동해안은 서사무가를 구송함에 있어서 제의성보다 연희적 측면, 예술성이 강조되어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고, 남해안은 제의성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남해안의 서사무가는 종류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무가의 종류에 따른 차이, 그리고 전승이 일시적으로 단절되었던 것과 관련하여 과거와 현재의 음악이 다소 달라졌다는 점이 드러났다. 서사무가는 굿에 등장하는 여러 신들의 내력과 다양한 상징을 담고 있어 무속연구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분야 중 하나다. 본고에서 밝힌 여러 가지 사실들을 종합하고 민속학적 연구를 덧붙여 지역별로 전승되는 서사무가의 보편성과 차이점을 심도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서사무가를 통해 드러난 지역별 특성이 다른 무속음악이나 절차에 있어서도 상호 연관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후속작업으로 미룬다. Shamanism is compositive cultural inheritance combined with ritual, music, dance and performance. This is a research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 songs handed down in coastal islands, specially east and south coast area which have the tradition of inherited shamans rituals. It is focused on the performing method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everal narrative shaman songs. One of the common points is ‘unique melodic line’ based on the local folk music styles. East coastal shaman song follows the musical style of Menari tori, universally transmitted at the east coast and Gyeongsangdo, but the song is somewhat different with original folk music of this area; for example, sometimes shamans skip the middle tone “sol” on the way down “la-solmi”, although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Menari tori. It makes shaman song seem to be similar to expression of Pansori. Also in case of south coastal shaman songs, it is quite different with typical melodic line of Yukchabaegi tori, used in Jeollado and South Gyeongsando. Shamans in South coastal area use “si” in their songs independently, and this is unusual in the common yukchabaegi tori. Recitation the narrative songs just like local dialect is another distinguished features in South Coastal shaman songs. In other words, these difference shows that shaman music is unique and artistic expressions and they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local folk music. Second point is both of them have praying procedure before singing the main narrative songs. We can say that this is a common feature of hereditary shaman retuals in Korea. It is the strong backing that most of hereditary shaman ceremony contains the process of musician’s song(praying), accompanied songs, playing instruments and shaman’s song and dance in each process of ritual. The differences of east and south coastal shaman songs are two; first, east coastal shaman songs are sung with regular Jangdan(rhythmic pettern) but south coastal shaman songs are performed freely by shaman without Jangdan(rhythmic pettern) and musician’s accompaniment. Second, east coastal shamans insert “talk” during the narrative songs, and it similar with Pansori’s singing method. But south coastal shamans sing their narrative songs without stop. It brings about the difference of performing time; singing the east coastal narrative song takes 2~3 hours but south coastal narrative shaman songs are sung meanwhile just 30~50 minutes.

      • KCI등재

        김천흥과 <조선무악>을 통한 국립국악원의 무용복원 연구

        박정경 ( Park Jeonggyeo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7 무용역사기록학 Vol.47 No.-

        본고는 김천흥과 <조선무악>을 통하여 국립국악원이 정재를 복원한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이를 위해 김천흥이 이왕직아악부와 국립국악원에서 배우고 공연했던 정재의 내용을 재정리하고, 김천흥의 정재 복원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학계 및 대중들에게 김천흥의 정재 전승과 복원에 대한 당위성과 신뢰를 제공한 1931년의 기록영화 <조선무악>의 내용과 활용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정재 복원에 중심에 있었던 것은 무보나 홀기 등의 문헌이나 <조선무악>과 같은 영상이 아닌 ‘김천흥’이라는 사실로 귀결하였다. 그는 정재를 꽃피웠던 조선후기와 근대 국립국악원 설립 이전 시기를 이어준 이왕직아악부에서 몸소 정재를 익히고 추었던 실존 인물이기 때문이다. <조선무악>은 김천흥이 정재를 전승하고 복원할 적임자라는 명분과 신뢰를 주는 근거로서의 존재 가치를 지닐 뿐, 실제 정재 복원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 것으로 보았다. 정재의 복원 양상은 세 단계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정재 레퍼토리를 확장하고 춤사위를 복원하는 단계로, 김천흥과 그 제자들에 의해 조선후기 및 이왕직아악부 정재일람표에 기록된 내용이 거의 모두 복원되었다. 두 번째는 정재가 연행되었던 조선조 궁중연례악, 혹은 회례연 등의 의식 절차를 복원하는 단계이며, 세 번째는 정재를 바탕으로 극적 내용이나 새로운 안무를 곁들여 창작 무용극으로 발전시키는 단계로, 이 때 활용된 기재 중에는 의궤, 홀기와 같은 조선시대의 기록 외에 <조선무악>이 포함된다. 또한, 정재를 복원함에 있어서 그 토대는 사료와 도상자료 등 옛 문헌이 제공했지만 결국에는 창작으로 완성되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연속적인 움직임을 지니는 정재를 장면 단위로 기록한 무보나 글로 설명한 것은 한계가 있다. 이 불연속의 간극을 매우는 것은 창작일 수밖에 없으며, 김천흥은 이 창작의 도구로 자신의 일생을 통해 익혔던 정재와 여타의 춤사위를 활용했다. 궁중진연에서 직접 정재를 공연한 경험으로 후학들에게 정재를 전수할 수 있었고, 기록영화 <조선무악>은 김천흥의 복원 작업에 대한 신뢰를 더해주었다. 이제는 김천흥의 업적을 발판삼아 정재의 창조적 활용에 더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정재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정재에 대한 무용계 및 문화계의 가치 공유가 우선이고, 둘째는 이를 바탕으로 무용 전공자들은 물론 일반 초ㆍ중학생들에게 정재를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교육해야 하며, 마지막으로는 엄격한 궁중 문화 및 정재의 문턱을 허물고 다양한 창작 기저로 활용해야 한다. 향후 정재가 보유하고 있는 깊은 멋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 무용학계와 국악, 미학, 연극 등 인접분야에서 함께 연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This is an essay about restore of court dance by searching at activiies of Kim Cheon-heung, a great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and a silent film < Joseon Muak[朝鮮舞樂] > made in the 1931. To the research, Jeongjae; traditional court dance performed by Kim and the restoration procedure are reviewed. Also the contents and utilization values of < Joseon Muak > which offered appropriateness and confidence of Kim's Jeongjae project to audi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re of the Jeongjae restoration was Kim Cheon-heung, not documents of Joseon Dynasty, record paintings; Uigwe[儀軌] and Holgi[笏記]. This is because Kim was existence figure who served as a successor of Jeongjae since late Joseon Dynasty containing modern court music institute, Yiwangjik Aakpu. < Joseon Muak > has the existence of justification for the very reason that Kim is entitled to restore Jeongjae. The restoration of the danc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s steps to expand repertoire of Jeongjae and restore dancing, second is steps to restore each processes of court ritual, and last is steps to develop new creative dance drama by using Jeongjae. In the third case, historical documents, paintings and film such as < Joseon Muak > are paalied as a materials of creation. Also, in the restoration process, it was suggested that the beginning of the restoration work was made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 such Uigwe[儀軌] and Holgi[笏記], but eventually completed by creation. There is a limit to the writing or painting of a series of movements with continuous movements. It is only possible to create a gap between the cracks in this discontinuity, and Kim used the dance he had learned through his lifetime as a tool for creativity. Now we need to concentrate more on the creative exploitation of dance with Kim's achievements. First,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dance, the importance of dance and cultural sharing of dance worlds is paramount. Second, the dance majors should be systematically educated by Jeongjae as well a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astly, Jeongjae should be used as a free ingredient rather than as part of a rigid court culture. I expect to study in neighboring areas such as dance academia, classical music, aesthetics, and theater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굿 음악의 지역별 특징 연구

        박정경(Park Jeonggyeong)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본고는 각 지역의 굿 음악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 진 글이다.. 이를 위해 굿 음악에 관하여 기존에 연구되었던 내용을 정리하는 것과 함께 연행주체, 음악적 요소 등의 특정을 모두 아우르고자 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별 굿 음악을 세밀하게 다.루지 않고 매우 단순화ㆍ유형화하였다.. 본고에서 전통 굿이 전승되는 8개 지역은 다.음 세 가지 성격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연행 주체에 따른 분류로, 무당 주도형과 악사 주도형으로 나누어진다. 무당 주도형은 주무 외에 조무기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신의 위용을 드러내기 위해 무당 자신도 위염과 화려함을 갖추고 굿을 연행한다. 황해도와 서울, 충칭도 제주도가 이에 속한다. 악사주도형은 굿을 주재하는 주무가 보통 l명이고 악사들이 추임새와 바라지 외에 앉은 상태에서 무가를 부르거나 서서 가무를 연행하는 등 굿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를 말한다. 경기도 납부, 전라도 동해안, 남해안 등 세습무권이 이에 속한다. 둘째는 연주형태에 따른 분류다. 선율악기가 중심이 되는 선율 중심형과 타악 중심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율중심형은 대금, 피리, 해금 등 삼현육각 반주기 수반되는 지역을 뜻하며 서울, 경기도 남부, 충청도 전라도, 남해안 등이 이에 속한다. 타악중심형은 강렬한 타악기의 음색을 강조하여 강신 행위를 돕는 황해도와 제주요 복합적이고 세련된 장단이 발달한 동해안이 이에 속한다. 셋째는 음악 구성 내용에 따른 분류로 의례형, 서사형, 서정형, 복합형 등으로 나누었다. 모든 지역의 굿 음악이 의례성 무가와 서사무가 서정무가와 삽입가요를 고루 포함하고 있지만 특히 발달해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특성화해 본 시도이다. 의례형에는 황해도와 서울, 충청도가 속한다. 무가의 종류가 비교적 많지 않고 삽입가요와 유희요가 있으나 대체로 굿 의식의 진행에 꼭 필요한 필수 무기가 중심이 된다. 서사형은 서사무가기 유독 발달해 있는 지역으로 동해안과 제주도를 꼽을 수 있다. 서정형에는 삽입가요와 유희요가 풍부한 전라도가 속한다. 그 외에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고루 발달해 있는 경우를 복합형이라 하여 경기도 남부와 남해안을 별도로 분류하였다. 이처럼 이 땅에 존재하는 굿 음악은 저마다 조금씩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닌 채 전승되고 있다. 꾸준히 지역적 특성을 보존하며 전송되는 지역도 많지만 근래에 전통이 끊어지거나 변형ㆍ축소되어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는 지역도 있다. 충청도는 이미 세습무의 전통이 사라졌고 경상도 내륙은 과거의 자료조차 구하기 힘들다. 본고에서 황해도라 분류하였으나 사실은 인천과 서해안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굿도 있다. 오랜 시간 지역적으로 분단되고 정치ㆍ사상적으로 단절되어 더 이상 과거의 모습을 캐낼 수 없게 된 북한 지역의 음악이 가까운 우리 곁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This essay has a porpose to research the local shaman music in whole of Korea. For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musical requisities, main agents of performances are mentioned and finally the simplifying and categorizing are tried. In general, Korean shaman retuals divided by three different types in musical characteristics. First, classifying by main agents of performances, second, classifying by accompaniment, and the third is classifying by contents of music. First is divided by two types again; shaman-leading types and players-leading type, Second has melody-oriented type and rythmic music-oriented type. The last is divided by four different types; ritual-oriented, epic-oriented, lyric-oriented and complex form. Shaman music in Korea have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and they are still transmissed in different way. Some shaman rituals keep their original form and music but many other cases are now in a crisis of extinction, modifying or reduction. For example, we could not find hereditary shamans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formations of shaman rituals in inland of Gyeongsang province anymore. Shaman ritual of Hwanghae province refered in this essay is performed and transmissed in Incheon and west beach, in fact. But it has still valuable for investigation about shaman ritual of North Korea where has no more traditional religious.

      • KCI등재

        Vaccine Storage Practices and the Effects of Education in Some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이새롬,임현술,Ohyon Kim,Jeonggyeong Nam,Yeongsun Kim,Hyungrae Woo,Woojin Noh,Kyenam Kim 대한예방의학회 2012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5 No.2

        Objectives: Although vaccination rates have increased, problems still remain in the storage and handling of vaccines. This study focused on inspecting actual vaccine storage status and awareness, and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provided. Methods: In the primary inspection, a status survey checklist was completed by visual inspection. A questionnaire on the awareness of proper vaccine storage and handling was also administered to vaccine administrators in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in 4 regions in Gyeongsangbuk-province. One-on-one education was then carried out, and our self-produced manual on safe vaccine storage and management methods was provided. In the secondary inspection, the investigators visited the same medical institutions and used the same questionnaire and checklist used during the primary inspection.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education were compared, by treating each appropriate answer as 1 point. Results: The average checklists score was 9.74 (out of 15 points), which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ducation was provided (by 0.84, p<0.001).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improved practices in recording storage temperatures (p=0.016), storing vaccines in the center of the refrigerator (p=0.004), storing vaccines with other medication and nonmedical items (p=0.031) after education. The average score calculated from the questionnaires was 10.48 (out of 14points), which increased after education (by 1.03, p<0.001).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vaccine storage practices and awareness are inadequate, but can be partially improved by providing relevant education. Repetitive education and policy-making are required to store vaccines safely because one-off education and unenforced guidelines offer limited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