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논에서 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및 농업기후대가 CH<sub>4</sub> 배출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이재생,우관식,송석보,강종래,서명철,곽도연,오병근,남민희,Ko, Jee-Yeon,Lee, Jae-Saeng,Woo, Koan-Sik,Song, Seok-Bo,Kang, Jong-Rae,Seo, Myung-Chul,Kwak, Do-Yeon,Oh, Byeong-Gun,Nam, Min-H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5

        영남지역에서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04년, 2005 및 2007년의 3년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시험포장과 인근 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 깊은 자연적 요인인 논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보통답, 미숙답, 습답 및 사질답) 및 농업기후대별 (영남내륙지대, 영남내륙산간지대 평지 및 산지, 동해안중부지대) 로 $CH_4$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논토양 유기물 함량에 따른 $CH_4$ 배출량은 동일비료의 장기연용에 의하여 인접한 토양임에도 토양유기물 함량이 서로 다른 시험구에서 벼 표준재배법에 따라 동일하게 시비관리하면서 조사하였다. 논토양 $CH_4$ 배출량은 GWP 기준으로 3요소+퇴비 장기시용에 의하여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던 처리구에서 $CH_4$ 배출량이 $3,597kg\;CO_2\;ha^{-1}\;yr^{-1}$ (1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퇴비 72.1%, 3요소 70.5%, 3요소+규산 49.9% 및 무비 4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 유기물 함량의 순서와 일치하였으며,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 사이에는 r = $0.963^{**}$의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y = $4.3096x^{1.81314}$, 단 x는 토양 유기물함량, g $kg^{-1}$).논 유형별 $CH_4$ 배출량 (GWP) 은 토양 투수속도가 느리고, 유기물 함량이 높아 토양의 혐기상태가 강하게 유지되는 습답에서 $14,160kg\;CO_2\;ha^{-1}\;yr^{-1}$ (100%)로 가장 많았고, 미숙답은 64.0%, 보통답 46.8%, 사질답 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기후대에 따른 논토양 $CH_4$ 배출량 (GWP)은 벼 재배기간 중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영남내륙지대 (밀양)에서 $4,967kg\;CO_2\;ha^{-1}\;yr^{-1}$ (100%)로 가장 배출량이 많았 고, 동해안중부지대 (영덕) 94.6%, 영남내륙산간 평지 (상주 신봉) 91.7% 및 영남내륙산간 산지 (상주 화서) 78.9%의 순이었다. 기후대별 온도인자 중 7-9월 평균기온과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 사이의 회귀식은 y = 389.7x-4,287(단 x는 농업기후대별 7-9월 평균기온, $R^2=0.906^*$)이었다. 이와 같은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CH_4$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논토양 입지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저감방법 구명 및 개발에 기초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evaluate the effects of abiotic factors of paddy fields on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from rice paddy fields by different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in Yeongnam area during 3 years. $CH_4$ emission amounts according to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 paddy field were conducted at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5 soil organic matters fields (23.6, 28.7, 31.0, 34.5, and $38.0g\;kg^{-1}$), The highest $CH_4$ emission amount was recorded in the highest soil organic matters plot of $38.0g\;kg^{-1}$.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0.963^{**}$) was obtained between $CH_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and their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According to paddy field type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at 4 different paddy fields as wet paddy, sandy paddy, immature paddy, and mature paddy. The highest $CH_4$ emissions was recorded in wet paddy (100%) and followed as immature paddy 64.0%, mature paddy 46.8%, and sandy paddy 23.8%, respectively. F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CH_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4 agricultural climatic zones were investigated, which were Yeongnam inland zone (YIZ), eastern coast of central zone (ECZ), plain area of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PMZ), and mountainous area of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MMZ). The order of $CH_4$ emission amounts from paddy fields by agricultural climatic zone were YIZ (100%) > ECZ (94.6%) > PMZ (91.6%) > MMZ (78.9%).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CH_4$ emission amounts from paddy fields and average air temperature of Jul. to Sep. of agricultural climatic zone was y = 389.7x-4,287 (x means average temperature of Jul. to Sep. of agricultural climatic zone, $R^2=0.906^*$)

      • KCI등재

        시설재배지의 재배방법 및 입지적 조건이 지하수 NO<sub>3</sub>-N 함량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이재생,김민태,김춘송,강위금,강항원,Ko, Jee-Yeon,Lee, Jae-Sang,Kim, Min-Tae,Kim, Choon-Song,Kang, Ui-Gum,Kang, Hang-Won 한국환경농학회 200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4 No.3

        농업활동 및 지하수의 입지적 조건이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NO_3-N$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영남지역 10개 시군의 주요 시설재배단지에서 지하수 1370 지점의 $NO_3-N$ 함량을 조사하고, 재배조건으로서 시설재배지의 경작년수, 퇴비시용량, 제염방법 및 입지적 조건으로서 지하수깊이, 점토함량, 배수등급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지점 중 천층지하수의 19.7%, 암반지하수의 1.3%가 우리나라 음용수 수질기준인 $10mg/{\ell}$를 초과하였고,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20mg/{\ell}$를 초과하는 지점은 천층수 6.3%, 암반수 0.4%로 나타났다. 지하수 $NO_3-N$함량과 가장 상관이 높은 것은 점토함량 및 지하수깊이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점토함량 $r=-0.241^{**}$, 지하수깊이 $r=-0.228^{**}$). 재배조건에 따라서는 경작년수와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경작년수 $r=0.104^*$), 퇴비시용량 등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아 재배조건과 같은 농업활동보다는 토성과 깊이 등의 입지적 조건이 지하수 $NO_3-N$함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층수의 $NO_3-N$과 암반수의 $NO_3-N$ 함량 사이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 양자 사이에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r=0.532^{**})$이 인정되어 천층수의 수질이 암반수 $NO_3-N$함량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fanning practice and $NO_3-N$ contents of groundwater in intensive horticultural greenhouse area of Yeongnam province, the groundwater samples from 1,370 si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cultivation year, crops, desalinization methods, amounts of manure application, tube well depth and soil texture with clay contents were observed. Of the investigated sites, 19.7% of shallow groundwater and 1.3% of confined groundwater were exceeded over $10mg/{\ell}$ as the $NO_3-N$ drinking limit value, respectively. $NO_3-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was highly significantly correlative with clay content $(r=-0.241^{**})$, well depth $(r=-0.228^{**})$ and cultivation duration $(r=0.104^*)$, respectively. In case of desalting crop method being executed for desalinization of greenhouse soil, the $NO_3-N$ value of groundwater was lower than any other desalinization method. The fact that $NO_3-N$ contents of confined groundwater was affected by shallow groundwater was clarified by that $NO_3-N$ contents in shallow were significantly correlative with the confined groundwater $(r=0.532^{**})$.

      • KCI등재

        배수 개선처리에 따른 토양 투수속도 변화가 논에서 CH<sub>4</sub> 및 N<sub>2</sub>O 배출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이재생,정기열,최영대,이동욱,윤을수,김춘식,박성태,Ko, Jee-Yeon,Lee, Jae-Saeng,Jung, Ki-Yeol,Choi, Young Dae,Lee, Dong-Wook,Yun, Eul-Soo,Kim, Choon-Shik,Park, Seong-Tae 한국토양비료학회 2007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0 No.3

        The effects of soil percolation rate on $CH_4$ and $N_2O$ emissions were investigated from paddy fields with different drainage systems. Subsurface tile drainage plot of soil percolation rate $11.9mm\;d^{-1}$ and non-subsurface drainage plots of soil percolation rate $7.4mm\;d^{-1}$ and $6.9mm\;d^{-1}$ were designed. The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were measured at each drainage plots. The subsurface tile drainage plot of soil percolation rate $11.9mm\;d^{-1}$ showed the lower emission amount both of $CH_4$ and $N_2O$ among treatments. In the subsurface tile drainage plot of $11.9mm\;d^{-1}$ percolation rate, 46% of $CH_4$ and 33% of $N_2O$ emission amounts were reduced in comparison of non-subsurface drainage plot of $6.9mm\;d^{-1}$ percolation rate. With rice straw application, the $CH_4$ emission amount was 2.1 times to that from no-applied plot, the $N_2O$ emission amount was not affected by rice straw application.

      • KCI등재

        논토양에서 경운 및 무경운재배시 재배방법별 메탄 배출 양상

        고지연,이재생,김민태,강항원,강위금,이동창,신용광,김건엽,이경보,Ko, Jee-Yeon,Lee, Jae-Saeng,Kim, Min-Tae,Kang, Hang-Won,Kang, Ui-Gum,Lee, Dong-Chang,Shin, Yong-Gwang,Kim, Kun-Yeop,Lee, Kyeong-Bo 한국토양비료학회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4

        무경운 재배가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1998~2000년에 걸쳐 식질계 답토양에서 질소비종(요소, 유안, 완효성비료), 시비방법(전층시비, 표층시비), 유기물 시용(볏집시용, 무시용) 및 재배양식(건답직파, 중묘이앙) 등의 다양한 재배조건별 메탄가스 배출량을 경운과 무경운재배에서 조사하였다. 질소비종은 경운유무에 관계없이 유안시비구에서 메탄배출량이 가장 낮았다(요소 대비 26.6~41.1% 저감). 그러나 경운재배에 비해 수량이 낮은 무경운재배에서는 완효성 비료가 메탄배출량이 요소구에 비해 약간 적었고, 수량은 다른 질소비료 시비량이 80% 처리수준에서도 가장 높아 더 효율적인 비종으로 고려되었다. 시비방법에 따라서는 전층시비시 경운구에 비해 무경운구의 메탄배출량이 낮았으나 표층시비시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볏짚 시용시에는 무경운에 의한 메탄배출 저감 효과가 강조되는 경향으로, 볏짚을 시용하지 않았을 때는 경운 대비 10.7% 저감되었고, $5000kg\;ha^{-1}$시용 시는 26.6% 저감되었다. 중묘이앙 재배시 무경운은 경운에 비해 26.6%의 메탄 배출 저감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건답직파 재배시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메탄배출이 11.2% 증가하였는데 이는 건답직파시 논토양이 완전 담수되는 3엽기 이전에 경운에 의해 토양에 투입된 볏짚 중 상당한 양이 산화적으로 분해되어 $CO_2$로 대기중으로 배출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cultural practices on methane($CH_4$) emission in tillage and no-tillage practice in a clayey paddy soil from 1998 to 2000. The factors evaluated in tillage and no-tillage methods were types of nitrogen fertilizers, application method of chemical fertilizers, rice straw application and cultivation method. Of the nitrogen fertilizers, the amount of $CH_4$ emission in ammonium sulfate plot was the lowest, regardless of tillage and the application method. 26.4~41.1% of reduction by ammonium sulfate compared with urea. But in no-tillage which have problem of poor rice yield than tillage, coated urea was more effective nitrogen fertilizer because that showed similar $CH_4$ emission and highest rice yield at 80% of dosage of nitrogen. No-tillage plot emitted lower $CH_4$ than tillage plot where the fertilizers were incorporated. On the contrary, no-tillage plot showed a little higher $CH_4$ emission compared with tillage plot for the surface application. When rice straw was applied, no-tillage practice reduced methane emission by 26.6% compared with tillage practice, but showing a little difference of 10.7% in no application. With cultivation method, no-tillage practice reduced methane emission 26.6% compared with tillage for the 30-d-old seedling transplanting. But for the dry direct seeding practice, no-tillage was a less effective because considerable amounts of rice straw incorporated by tillage were more decomposed aerobically in the soil and emitted as $CO_2$ to the atmosphere with flooding in no-tillage soil.

      • KCI등재

        배유특성이 다른 수수가루 첨가가 건면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Jee Yeon Ko),우관식(Koan Sik Woo),김정인(Jung In Kim),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김현영(Hyun Young Kim),정태욱(Tae Wook Jung),김기영(Ki Young Kim),곽도연(Do Yeon Kwak),오인석(In Seok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8

        항산화성 높은 수수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기술을 개발하고 기능성 국수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배유특성과 항산화활성이 서로 다른 수수 ‘황금찰’과 ‘동안메’를 5%, 10% 첨가한 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들어진 건면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징,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활성 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조리 시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수가루가 첨가된 건면의 조리국물에서 수수 첨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찰수수인 ‘황금찰’이 첨가된 국수에서 메수수인 ‘동안메’ 첨가국수에 비하여 조리국물의 탁도 및 손실율이 높게 나타났다. 처리별 폴리페놀, 탄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수수가루를 첨가한 수수에서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탄닌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23배 증가하였다. 수수 품종에 따라서는 ‘황금찰’에 비하여 ‘동안메’ 수수 첨가 시 폴리페놀, 탄닌,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3.7~4.1, 67.6~72.3 및 33.5~101.6% 증가하였고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도 처리별 페놀성 물질 함량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동안메’ 수수 10% 첨가 시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0.189 및 17.950 mg TE/100 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수가루 첨가 건면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조리 전에 비하여 조리 후에는 10.9~11.2% 더 증가하였으며, 처리별로는 조리전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수 분말내 항산화활성이 조리 후에도 유지될 뿐 아니라 가열반응에 의하여 오히려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색과 외관이 ‘황금찰’ 첨가 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고 모든 처리에서 대조군인 밀가루 100%로 제조한 국수보다 기호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y noodles with addi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flour from glutinous and non-glutinous varieties. The sorghum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were glutinous ‘Hwaggumchal’ and non-glutinous ‘Donganme’, and the contents added to noodles were ‘Hwaggumchal’ 5%, ‘Hwaggumchal’ 10%, ‘Donganme’ 5%, and ‘Donganme’ 10%. The turbidity of soup of cooked noodles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sorghum flour. The cooking loss of ‘Hwaggumchal’ flour added noodles (HFN) was greater than that of ‘Donganme’ flour added noodles (DFN), reflecting endosperm characteristics. Phenolic compounds such as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flour added noodle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s of added sorghum flour. In the added varieties, DFN showed greater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higher level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HFN.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5~10% DFN were increased by 4.6~6.2 fold and 10.5~13.4 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non-added noodles. Regarding cooking effe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orghum flour added noodles were increased by 10.9~11.2% after cooking. In sensory evaluation, color and appearance value were highest in HFN, and no differences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 KCI등재

        도정도와 볶음시간에 따른 수수차의 이화학적 특성

        고지연(Jee Yeon Ko),우관식(Koan Sik Woo),송석보(Seuk Bo Song),서혜인(Hye In Seo),김현영(Hyun Young Kim),김정인(Jung In Kim),이재생(Jae Saeng Lee),정태욱(Tae Wook Jung),김기영(Ki Young Kim),곽도연(Do Yeon Kwak),오인석(In Seok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1

        항산화성 높은 수수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기술을 개발하여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도정도가 다른 수수를 이용하여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수수차 제조과정이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도정(0%), 최소 도정(5%), 도정(20%)으로 도정 정도가 다른 수수를 1~10분간 볶음처리하여 항산화성분 및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수 볶음차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다가 7~9분 사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이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수의 도정도별로는 미도정 수수를 볶음처리한 수수차에서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이 총 폴리페놀 12.95 mg GAE/g, 플라보노이드 7.43 ㎎ CE/g 및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19.97 및 33.11 ㎎ TE/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최소 도정 수수 볶음차, 도정 수수 볶음차의 순이었다. 이와는 다르게 도정도별 수수 볶음차의 열수 침출물의 항산화활성은 도정 수수 볶음차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최소 도정 수수 볶음차, 미도정 수수 볶음차의 순이었으며, 이는 수수 볶음차 열수 침출액의 색도 및 탁도와 같은 경향으로 도정 수수 볶음차의 경우 종피의 손상에 의해 오히려 열수에 의한 색소 및 항산화성 물질의 용출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In this study, sorghum teas were prepared from Sorghum bicolor L. Moench subjected to different types of milling (no milling (0%), minimum milling (5%), and milling (20%)) and pan-firing times (1 to 10 minute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s to milling type, total polyphenolic, flavonoid, tan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both no milling sorghum and its tea were highest, followed by minimum milling and milling in decreasing order. Crude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in milling sorghum and its tea regardless of pan-firing time. With regards to pan-firing time, total polyphenolic, flavonoid, tan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rghum te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an-firing time regardless of milling type. The high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at a pan-firing time between 7 to 9 minutes. In contrast to ethanol extracts of pan-fried sorghum tea, antioxidant activities, chromaticity, and turbidity of hot water leaching liqueur of sorghum tea were highest in milling sorghum tea, followed by minimum milling and no milling sorghum tea.

      • KCI등재

        발아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화학적 성분 변화

        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서명철(Myung Chul Seo),오병근(Byeong Geun Oh),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ng),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발아시간에 따른 잡곡류의 싹 길이, 단백질, 식이섬유, GABA,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한 결과 싹 길이는 수수가 가장 빠르게 크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 조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발아 황금조, 청차조, 붉은기장, 노란찰기장, 황금찰수수 및 흰찰수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6.3, 7.3, 6.2, 5.2, 7.0 및 9.0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96시간 발아시킨 시료는 각각 16.3, 13.9, 9.4, 6.5, 15.9 및 12.5 g/100 g으로 증가하였다.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GABA 함량은 일정시간 동안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발아시간은 조는 24시간(각각 347.4 및 336.5 ㎍/g), 붉은기장은 84시간(347.4 ㎍/g), 노란찰기장은 36시간(344.9 ㎍/g), 황금찰수수는 48시간(410.4 ㎍/g), 흰찰수수는 72시간(444.0 ㎍/g)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 항산화성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조와 기장 각각 두 품종과 흰찰수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금찰수수는 초반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발아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는 무발아 시료 및 96시간 발아시킨 시료에서 각각 201.00 및 137.17 ㎎/g을 보였으며, 흰찰수수는 각각 54.23 및 97.90 ㎎/g으로 나타났다. 황금조 및 붉은기장 무발아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0.29 및 19.81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96시간 발아시료에서 각각 51.96 및 26.17 ㎎ TE/g의 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 무발아 시료는 176.03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시료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를 이용한 발아잡곡의 제조는 살수를 하는 공정이 없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고 조, 기장 등의 잡곡은 발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during germination were determin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three cerea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wherea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three cereals increased during germination. The content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of Whanggeum-cho (347.4 ㎍/g), Chongcha-cho (336.5 ㎍/g), Bulgeun-gijang (347.4 ㎍/g), Noranchal-gijang (344.9 ㎍/g), Whanggeumchal-susu (410.4 ㎍/g), and Whinchal-susu (444.0 ㎍/g) increased after 24, 24, 84, 36, 48, and 72 hr of germination, respectively, and then sharply de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annin i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Whinchal-susu tended to increase during germination. However,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48 hr of germination and then considerably increased, wherea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Total tannin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slowly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remained constant, whereas those of other cereals did not grea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during g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