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몇個 樹種의 針葉樹 苗木에 對한 SO₂가스의 被害에 關한 硏究

        朱榮特,金英彩,李壬均 경희대학교 부설 식량자원개발연구소 1993 硏究論文集 Vol.14 No.-

        本 硏究에서 使用된 3個樹種의 供試木인 잣나무, 전나무, 주목의 3∼4年生 苗木에 대한 5개 수준(0, 0.5, 1, 2, 4ppm)의 亞黃酸가스 處理 實驗을 통하여 供試木의 可視的被害 發見 및 葉中 水溶性 硫黃含量 그리고, 體內 葉綠素의 含量, 樹皮酸度, 葉中水分含量을 測定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알 수 있었다. 1. 亞黃酸가스 處理에 대한 被害症狀의 程度를 가장 敏感하게 나타낸 數種은 供試木中 전나무, 그리고 주목의 順으로 나타났다. 被害樣相은 處理 濃度 2ppm 以下의 低濃度에서는 被害症勢가 發見되지 않았으나, 4ppm의 高濃度 處理에서는 그에 대해 나타나는 被害症勢가 24時間 經過後 잎의 선단부 부터 發見되기 始作하였다. 2. 供試樹種間의 濃度別 葉中 水溶性 硫黃 含量은 亞黃酸가스 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增加하였고, 樹種別 平均 葉中 水溶性 硫黃 含量은 전나무가 0.076±0.026%로 이들 3개 樹種의 供試木을 통하여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에 주목은 0.0711±0.018%, 그리고 잣나무는 0.0704±0.019%의 順을 보였다. 3. 供試樹種間의 亞黃酸가스 處理의 濃度別 葉綠素 含量은 Gas의 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減少하였는데, 樹種別 Total 葉綠素 含量은 주목이 4.704±1.33 ㎎/g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나무는 3.597㎎0.82 ㎎/g, 잣나무는 3.028±0.72 ㎎/g등을 나타내었다. 4. 供試樹種間의 濃度別 樹皮酸度는 亞黃酸가스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減少하였는데 全體 平均酸度는 전나무가 pH 4.774±0.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주목은 pH 4.556±0.25, 잣나무는 pH 4.486±0.31의 結果를 나타내었다. 5. 供試樹種間의 濃度別 葉中水分含量은 亞黃酸가스의 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減少하였는데 全體 平均 葉中水分含量은 주목이 62.74±2.1%로 가장 많았으며, 잣나무가 60.20±2.2%, 전나무가 57.70±2.5%의 結果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 for the effect of sulfur dioxide on some seedlings as Taxus cuspidata, Pinus koraiensis, and Abies bolopbylla. Selected seedlings put in chamber(85×85㎝) were treated by sulfur dioxide at five levels(0, 0.5, 1, 2, 4ppm) for four hou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s follows: 1. Visible damages of sulfur dioxide were showed from margin of leaves, at high concentration(4 ppm) about 24 hours later and that orders were Pinus koraiensis, Abies bolophylla, and Taxus cuspidata. 2. It was appeared that the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among tree spec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and soluble sulfur contents of Abies bolophylla(0.0796±0.026%) were higher than those of Taxus cuspidata(0.0711±0.018%) and Pinus koraiensts(0.0704±0.019%). 3. Leaf chlorophyll contents of among tree spec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It showed that leaf chlorophyll contents were the heighest in Taxus cuspidata(4.704±1.33㎎/g) follow by Abies bolophylla(3.597±0.82㎎/g) and Pinus koraiensts(3.028±0.72㎎/g). 4. Bark acidity of among tree spec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and bark acidity of Abies bolophylla(pH 4.774±0.33) were higher than those of Taxus cuspidata(pH 4.55±0.25) and Pinus koraiensif(pH 4.486±0.31). 5. Leaf water contents of among tree spec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It showed that leaf water contents was the highest in Taxus cuspidata(62.74±2.1%) follow by Pinus koraiensis(60.20±2.2%) and Abies bolophylla(57.70±2.5%).

      • SCIEKCI등재

        韓紙抄造用 粘液에 관한 硏究 : 第一報. 느릅나무根粘液의 糖類檢索 Part Ⅰ. Detection of Sugars in the Mucilage of Ulmus Coreana, Nakai Root

        孫周煥,任齊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5 No.3

        느릅나무 粘液의 液性은 처음에는 中性이나 酸性으로 變한 다음 中性에 가까워지는 經時的 變化가 일어나며 粘液의 粘度低下는 黃蜀葵根 粘液 매우 緩慢하다. 또 이것은 遊離 還元糖을 含有하고 含量은 經時的으로 變化하여 처음에는 增加한 다음 急激하게 減少하며 糖含量과 粘度와의 사이에서 分明한 比例關係를 찾아볼 수는 없다. 糖類를 經詩的으로 分析한 結果 黃蜀葵根 粘液과는 달리 glucose 및 galacturonic acid等 2種의 糖類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粘質物의 加水分解 生成物에서 檢出된 糖類는 rhamnose, mannose, galactose, arabinose 그리고 galacturonic acid 等이며 黃蜀葵根 粘質物에서 檢出되었던 xylose는 檢出되지 아니하고 mannoserk 檢出되었다. The changes of hydrogen ton concentration, viscosity and free sugars in the water-soluble mucilage of Ulmus Coreana, Nakai root upon storage at 10℃ were studied,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e mucilage changed pH7→pH4→pH6 or 7. The viscosity of mucilage decreased very slowly. The mucilage contained glucose and galacturonic acid. The hydrolyzed products of mucilage consisted of rhamnose, mannose, galactose, arabinose, xylose, glucose and galacturonic acid.

      • 산모 및 제대 혈중 납농도에 관련된 행태학적 및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조사

        김주자,우극현,이임순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1

        생활환경에 따라 산모 및 제대 혈중 납농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며 그러한 납농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행태학적 및 사회경제적 수준의 영향이 어느정도일가 하는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대상 지역을 도시, 농촌, 공단 지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지역에 거주하는 분만중의 산모를 대상으로 혈중 납농도 및 신생아의 제대 혈중 납농도를 조사하였으며 그에 관련된 여러 위험요인들에 대하여도 조사하였다. 도시지역으로는 서울에서 순천향 서울병원, 농촌지역으로는 음성에서 순천향 음성병원, 공단지역으로는 구미에서 순천향 구미병원을 선정하였다. 1993년 1월 부터 3월 사이의 기간동안 분만을 위하여 각 병원에 입원한 산모 306명에게서 일반 기초검사 및 혈중납 측정을 하였으며 분만시 신생아의 제대혈을 채취하였고 같은 기간동안 분만보조 간호사에 의하여 면접에 의한 설문작성을 하였으며 또한 의무기록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인 산모의 평균 연령은 27.5±5.3세, 임신기간은 39.4±3.1주로 모든 지역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산모 혈중 납농도는 4.73±1.49 ㎍/dl, 제대 혈중 납농도는 4.35±1.29 ㎍/dl이었으며 모두 지역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산모의 생물학적 및 사회경제적 요인을 4분위로 나누어 각 등급정도에 따른 산모 및 제대 혈중 납농도의 변화경향을 조사한 결과 산모연령, 아기의 출생시 체중, 임신기간, 가정의 총 연수입등의 정도에 따라 일정한 변화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산모 및 제대 혈중 납농도의 변화경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산모 및 남편의 건강행태를 질문하여 전혀, 가끔, 자주, 매일의 4가지로 구분하여 그 정도에 따라 산모및 제대 혈중 납농도를 조사한 결과 임신중 산모의 철분복용, 비타민 복용, 화장품사용, 흡연, 음주, 커피음용에 있어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남편의 흡연, 음주, 커피음용의 정도에 있어서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모든 조사대항 요인들과 산모 및 제대혈중 납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산모 혈중 납농도와 제대 혈중 납농도와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남편의 교육정도와는 산모 및 제대 혈중 납농도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emographic and behavioral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maternal and cord blood lead level. Three Soon Chun Hyang University Hospitals (Seoul, Eumsung, Kumi) participated as of urban, rural, industrial areas, respectively. Blood sampling for lead and other routine tests and questionnaire were done on 306 pregnant women who were admitted to these hospitals to deliver the baby. Women who have history of disease, such as diabetes, hepatitis etc.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maternal age was 27.5±5.3, and mean gestational period was 39.4±3.1 weeks. Mean concentration was 4.73±1.49 ㎍/dl in maternal blood lead and 4.35±1.29 ㎍/dl in cord blood lea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munity areas. 2. Tendency of maternal and cord blood lead level by the degree of quartile of each demogr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ternal age, baby birth weight, gestational period, family income. 3. Tendency of maternal and cord blood lead level by the degree (never, often, very often, everyday) of maternal and paternal health behavior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ternal iron supplement, vitamine intake, use of cosmetics, smoking, alcohol drinking, coffee drinking during pregnancy and paternal smoking, alcohol drinking, coffee drinking. 4.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health behavioral, socioeconomic variables and maternal and cord blood lea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and cord blood lead, and also correlation of paternal education to both maternal and cord blood lead.

      • KCI등재후보

        중국 광동성 한국전통정원 조성사업 기본계획

        서주환,이준근,심성보,전영임 경희대학교 디자인연구원 2004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7 No.1

        The cultural interchange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between Korea and China since the diplomatic agreement on the 24th of August, 1992, Among the several discus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particularly building up Korea traditional garden will take concrete shape in Kwan-dong in China. These followings are the basic plans. First, the project approaches the garden as a place for the interchang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ounties, and where people can experience Korea traditional garden. Secondly, it is plotted to express the distinct character and originality of Korea traditional garden. Third, it applies the same materials, subject matters and the same construction method of Korea traditional garden. We can use the most similar materials if it is not possible. Fourth, the project is plotted to make the efficient use of the land form to decrease the damage of natural environment.

      • 다산부에서 자간전증의 임상적 고찰

        이주롱,이석민,한효상,이해혁,이임순,이권해 순천향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7 No.2

        목적 : 전자간증 산모에서 초임신부와 다산부 각각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년간 순천향대학 서울병원에서 입원 분만한 임신성 고혈압성 질환 환자중 초임신부 106명과 다산부 50명, 총 150명을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 분만까지 임신기간의 비교시 초임신부에서는 33-36주에서 17.9%였고 다산부에서는 34.0%로, 다산부에서 조기분만의 예가 의의있게 많았다. 신생아 체중이 2500g 미만인 군이 초임신부군에서는 36.8%였고 다산부군에서는 62.0%로 다산부군에서 더 많았다. 임신성 고혈압성 질환의 중등도를 보면 중증자간전증의 초임신부에서 35.8%와 다산부에서는 44.0%로, 초임신부에 비해 다산부군의 중증 자간전증의 비율이 많았다. 결론 : 중증 임신성 고혈압성 질환이 다산부군에서 더 많았으며 적은 주수에서 제왕절개술을 시행해 출생아의 체중이 초임신부군에 비해 더 작았고 Apgar 점수도 더 낮았다. Objective : To study the clinical differences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preeclamptic patients. Methods : We statistically analyzed 106 primiparous and 50 multiparous preeclampt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Results : It was statistically found that multiparae were more likely to give premature birth than primiparae: Thirty four percents of multiparae gave birth in the period between the 33rd and the 36th gestational weeks while 17.9% of primiparae did in the same period. Sixty two percents of the newborn babies of multiparae weighed less than 2500g. Among primiparae, the ratio was 36.8%. In addition, more multiparae(44.0% vs. 35.8%) suffered from severe preeclampsia. Conclusion : severe preeclampsia was found more frequently among multiparae. Since they gave birth earlier by cesarian section than primiparae, their babies weighed less and had lower apgar scores.

      • KCI우수등재

        CG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 서면‘젊음의 거리’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Street of Youth’in Seo-myoun

        최임주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effects and schemes for the streetscape of 'Street of Youth' in Seo-myoun,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in Busan, according as each important variation of the factors which are to have an effect on the evaluation to be selected visual perceptual ascendancy factors and a demanding for facilities to evaluate the existing streetscape. The result is to describe clearly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ach streetscape component in the effects of improvements. As a result, this study can be a valuable guideline for the future streetscape reform project to lead the demanding effect of the investment and the priority order in the plan.

      • KCI등재후보

        농촌경관 중요요소의 조작을 통한 경관평가 : 농촌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The case of Rural Culture Village

        서주환,심성보,전영임,박태희,조영배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5 No.1

        This study does questionnaire over recognition of landscape, major landscape and impressive site in rural community, and research visual preference through precessing pictures with a computer about major landscape. The landscape with natural fabric generally harmonizing with background is high in preference. Also, though major landscape factors are similar, preference is different according to shape, size, quality and color.

      • KCI등재

        Ferric sulfate를이용한 치수절단술 후 성견 치수의 조직반응에 관한 연구

        이창섭,임철승,박주철,이상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견 치아에서 ferric sulfate로 치수절단술을 시행하고 상부 이장재의 영향을 최소화한 후에 잔존 치수 조직 반응을 formocresol을 사용한 군과 조직병리학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생후 6~7개월, 체중 10~12Kg 정도의 성견 5마리의 전치 40개에 5급 와동을 형성하여 치수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치수를 formocresol과 ferric sulfate를 이용하여 복조를 시행하고 IRM으로 밀봉하였다. 실험동물으 3일,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 후에 관류 고정하여 희생되었으며, 표본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Ferric sulfate군과 formocresol군 모두에서 치수절단술 후에 염증 반응을 보였지만 ferric sulfate군에서 현저히 감소된 염증 양상과 빠른 치수조직 회복소견을 보였다. 2.Ferric sulfate군에서 치수절단술 후 치수 측벽의 상아모세포의 배열 양상은 초기에는 치관부 1/3에 불규칙한 배열양상을 나타내었지만 2주 후부터는 대체로 회복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formocresol군에서는 불규칙한 배열양상이 실험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3.치근을 따라 넓고 길게 형성된 수복상아질층이 formocresol군 8주의 1개 치아에서 나타났으며 상아질교의 형성은 ferric sulfate군 8주의 2개 치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주요어 : Ferric sulfate, formocresol, 치수절단술, 치수조직반응

      • KCI등재후보
      • Ether 吸入麻醉時 心筋細胞의 微細形態 變化

        孫泰重,姜林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1 慶北醫大誌 Vol.22 No.1

        백서를 실험동물로 하여 ether흡입마취를 30분간 단회 시행하고 경시적으로 심근세포에 일어나는 변화를 미세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취를 시행하고 난 직후에서는 mitochondria의 외막과 cristae의 국소적인 소실 및 Chondrosphere 형성이 뚜렷하였고 mitochondria 주위에 있는 glycogen과립의 경한 감소 그리고 sarcoplasmci reticulum의 중등도 확장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소견들은 마취 후 4시간 때에서는 훨씬 경미하게 나타나서 12시간 때에서는 거의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정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종합하여 보면 ether 마취에 있어서 심근 세포는 주로 mitochondria, sarcoplasmic reticulum 및 glycogen particle에 중등도 적응성 변화가 야기되며 이러한 변화들은 대체로 마취 후 단시간내에 회복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author studie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myocardial fibers under ether anesthesia. Nine albino rats were anesthetized of 30 minutes. Each of three group were sacrificed immediately, four and twelve hours after anestheia respectively. And then hearts extract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mmediately after ether anesthesia the myocardial fiber showed moderate swelling and partial loss of the cristae and the outer mombrane in mitochodria. Considerable degree of chondrosphere formation, moderate decrease of glycogen particles surrounding the mitochondria, and moderate dilatation of sarcoplasmic reticulum were found. Four hours after ether anesthesia, these changes were relatively milder but, returned to the normal limits 12 hours after ether anesthesia. The results suggested that relatively moderate degree of adaptational alterations were occured in the mitochondria, the sarcoplamic reticulum and the glycogen particles of the myocardial fiber immediately after ether anesthesia which were reco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