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장된 인간 연장된 문제 팬더믹 시대: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장된 인간의 문제

        박일준 ( Park¸ Iljoo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2 No.-

        본고는 미디어를 인간의 연장으로 보았던 마샬 맥루한과 인간을 자연적으로 태어난 사이보그로 보면서, 이를 연장된 마음 개념으로 재구성하였던 앤디 클라크의 ‘연장’에 대한 관점들을 통해 팬더믹 이후 초래될 포스트휴먼 시대를 미리 서술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인간의 연장이 초래할 문제들을 크게 자가절단과 감성과 감수성의 분극화로 진단하며, 이 문제들에 대한 대안이나 해법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기술의 발달은 인간이 미디어를 통해 외부세계로 더욱 넓게 연장되는 결과들을 가져오고, 이러한 연장은 중추신경계에 스트레스와 긴장을 야기하면서 자가절단을 수행하게 만드는데, 프랑코 베라르디는 이를 감성과감수성의 분극화의 관점에서 매우 심각한 증상으로 진단한다.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만남을 대치하면서, 사람들 간의 접촉이 접속으로 대치되고, 그래서 타자에 대한 정보처리 기능은 원활하지만, 상대방에 대한 배려나 공감은 매우 둔해진다. 자연스레 SNS나 인터넷 댓글에는 비인간적이고 부도덕한 공격적 언사들이 난무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첨단미디어들이 가짜뉴스를 생산하는 온상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연장된 마음 개념을 통해 인간과 기계가 혼종적 존재를 구성하며 사이보그적 실재를 현실화하는 시대를 그저 개념적 전환이 필요한 시대라고 단조롭게 넘어가던 클라크의 서술이 전혀 포착하지 못하고 있었던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의 근원에는 팬더믹 이전부터 사람들 간의 격차를 부채질하고 있었던 슈퍼스타 경제, 즉 불평등의 업그레이드라는 무한경쟁과 승자독식의 시스템이 놓여 있음을 클라크는 전적으로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넘어서기 위한 개념적 전환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자연적으로 태어난 사이보그’나 ‘연장된 정신’이 아니라 생명의 ‘공-산’이어야 할 것이다. 즉 생명은 개체들 간의 생존경쟁이 아니라 함께 얽힌 공생의 공-산인 것이다. This article anticipates a posthuman reality after this covid-19 pandemic, dealing with Marshall McLuhan’s concept of media as the extensions of Man and Andy Clark’s concept of humans as natural-born cyborgs. The latter proposes the concept of the extended mind. This article expecially explores the concept of extension in McLuhan and Clark. The extension of human being will cause some serious changes with problems, and they can be summarized into autoamputation and the polarization of sensitivity and sensibility. This is an attempt to find an alternative or solution to them. The brillian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made humans to extend via technological media over the external world, and it causes the central nerve system (CNS) stress and tension. the unbearable stress and tension have CNS perform autoamputation. Franco Berardi dignozes it very serious in the context of the polarization of sensitivity and sensibility. In our pandemic actuality, in which people replace meeting with digital network, that is, contact with connect, people are still processing well information via network without any trouble, but they lack sympathy or empathy in their encounter with the other. Naturally, social media and internet are full of inhuman, unethical, and aggressive resposes and replies, and these new technologies further are turning into a hotbed of fake news. These are not what Clark never anticipates or perceives in his philosophical descriptions of human-machine hybrids and cybernetic reality, because he was just focusing on a conceptual change in philosophy. One should not miss the fact that there lies behind this actuality the so-called superstar economy, which has acceleraed the gap between the have and the have-not, even before the pandemic. It is none other than upgrading inequality by the system of infinite competition and winner-take-it-all. This is what Clark misses in his reflection on the extended mind. If we need a conceptual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is actuality, it is not natural-born cyborg’ or extended mind but sympoiesis of life. Life is not the struggle for existence but the sympoiesis of symbiosis entangled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

        East Asian Appropriation of Religious Pluralism: the case of Hick’s religious pluralism in Korean Theology of Indigenization

        Iljoon Park(박일준)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7 No.-

        본 논문은 존 힉(John Hick)의 다원주의와 한국신학 간의 상요작용을 탐문한다. 힉의 종교다원주의는 한국 토착화 신학자들에게 종교 간 대화의 필요성을 자각시켰다. 비록 한국 사회가 역사적으로 그리고 전통적으로 다-종교적 사회이긴 했으나, 이 여러 종교들은 각자의 종교의 정체성을 위해 갈등과 투쟁에 몰입하기 보다는 민중들이 각자의 도(道)와 덕(德)을 함양하는데 기여해왔던 사회문화적 전통이 있다. 그런데 이런 문화전통은 역설적으로 다른 종교들과의 만남을 타자와의 만남이 아닌 자기 자신과의 만남 혹은 내면의 독백으로 만들어버리는 효과를 갖고 있었다. 힉의 종교다원주의가 한국신학자들에게 자각시켜 주었던 것은 바로 종교 간 대화의 필요성인데, 이는 인격 내면의 통합과 성숙을 위한 도와 덕의 차원에서라기 보다는 다른 종교를 타자 혹은 타자성으로 인식해야 할 필요성을 자각시켜 주었던 것이다. 대화는 기본적으로 나의 독백이 아니라, 타자와의 만남과 소통이기 때문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가 우리 자신의 일부로 당연시 여겨왔던 다른 종교들을 나와 전혀 다른 타자로 인식하는 문제로서 말이다. 따라서 이는 더 나아가 한국 신학자들에게 ‘타종교의 신학’ 개념을 촉매했는데, 기독교 신학자가 주체가 되어 타종교를 대상으로 탐구하는 학문분야로서의 신학이 아니라, 타종교인들이 주체가 되어 신학적으로 기독교 신학자들과 대화하는 신학, 즉 종교-간-대화의 신학의 필요성을 촉진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interactions between John Hick’s religious pluralism and Korean theology. Hick’s idea of religious pluralism awakened Korean theologians of indigenization about a necessity of interreligious dialogue. Although Korean society has been multi-religious, different religions have worked for people to build up the Way (Dao, 道) and to nurture Virtue (De, 德). It means that encounter with different religion for Koreans has been internal dialogue or monologue for develop one’s personality. However, Hick’s idea of religious pluralism stimulated Korean theologians to think of interreligious dialogue not only for inner maturity but also for acknowledging the otherness or alterity that has taken as ‘us’ for granted. It further catalyzed an idea of theology of other religions whose subject is not Christianity but other religions.

      • KCI등재후보

        Rereading of the Whiteheadian Understanding of Organism in a Trans-Human Age : A Critical Review of the “Extended Mind Theory”

        Iljoon PARK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5 탈경계인문학 Vol.8 No.1

        We live in a wired town,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mutually generate new forms of ‘beings.’ This is called a transhuman age,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are hybridized as digi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fact, we humans entered into this transhuman realm a long time ago. Humans are the beings to use tools, with which humans extended bodily capacities and overcame predators. The paper traces the idea of transhumanism back to the notions of philosopher Alfred North Whitehead, who showed that being or all beings living and non-living are organisms. In his philosophy, the paper senses a scent of transhumanism. The mutual prehension is like a mutual hybridization. The theory of extended mind by Andy Clark and David Chalmers witnesses this hybridization of human and machine. The future orientation of this hybridized world is totally up to us in the present, depending on how we understand and take steps to prepare for the future. However, our commonsensical and dyadic understandings of nature/culture, human/nonhuman and living/nonliving become significant stumbling blocks on the road. This paper just tries to show how we, humans and machines together, are after all one, to sink or swim together. However, Clark’s idea of human beings as natural-born cyborgs still contains a modern error of anthropocentrism. Thus, a trans-human philosophy for new beings needs to be a philosophy in which all beings, living and nonliving, are equally prehended. This article argues that this is Whitehead philosophy of organism.

      • KCI등재

        Evil as Human Resistance to the Indifferent Force of the Primal Nature : Human’s Story-Telling as Revolt against Holes in Nature

        Iljoon Park(박일준)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8 No.-

        본 논문은 ‘악’이라는 기표(signifier)에 관한 글인데, ‘악’은 텅빈 기표로서 자신이 아닌 다른 것을 가리킨다. ‘악’이라는 기표가 가리키는 기의(the signified)는 존재론적으로 말이 없지만, 그러나 때로는 고통과 고난에 대한 기호로서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고 혹은 기호 사용자들의 불행과 불만족으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특별히 세계와 삶과 정체성의 의미들을 설명하는 인간 집단의 이야기적 구조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악’이라는 언어적 기호는 시원적 자연의 무심한 힘에 대한 인간적 저항이 되는데, 냉엄한 자연이, 코링턴의 말을 빌리자면, “자연 속의 구멍들”과 “총체화하는 무”(totalizing nothingness)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개념들은 과묵한 시원적 자연의 측면들을 언어적으로 표현하고, 고통과 고난에 대한 인간적 경험들을 성찰한다. 역설적으로, 악이라는 기표는 인간 경험 속에 결여된 그러나 인간 기호사용자들에게 삶의 의미를 납득시켜주는 어떤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악’이라는 기표는 설명될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쁘거나 고통스러운 어떤 것을 의미화하면서, 동시에 기호사용자들이 삶의 온전성을 실현하는데 부재하는 어떤 것을 가리킨다. 기의(the signified)는 특정 시기와 장소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의 사회적 상상의 이야기적 우주 속에서 이야기들을 통해 전달된다. 악에 관한 전통적 이야기들의 문제들 중 하나는 그것들이 선과 악, 친구와 적 같은 이분법적 구조에 기반한다는 것인데, 그 이분법적 구조 속에서 악은 언제나 나쁜 편으로 표상된다. 선과 악의 이 이분법적 상상은 악의 참 근원을 은폐한다. 비록 이원론적 구조가 악을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의 일부라 하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악은 사실 무심한 자연의 측면을 기술하는 것일 뿐이다. 포스트휴먼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 공동체들은 이제 단순한 이분법 대신 해석 공동체에 의한 새로운 이야기적 구조를 필요로 한다. 해석자들의 공동체는 자연의 파악불가능한 측면이 담지한 진리를 가리키면서, 가상(the virtual)을 낳음으로써 둘(the Two)을 만들어내어 해방의 영을 발동한다. 악에 대한 이야기들을 말함으로써 인간들은 이 무심하고 과묵한 자연에 저항을 하는데, 이는 자신들의 이야기적 우주 속에서 인간 삶을 의미있게 만들기 위함이다.

      • KCI등재

        객체지향의 철학: 초객체와 네트워크 그리고 공생

        박일준 ( Iljoon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5 No.-

        기후변화와 팬더믹은 근대 이래 견고했던 인간중심주의의 해체가 단지 인식론적 행위가 아니라 정치적 행위여야 함을 이제 경고하고 있다. 인간은 이 행성에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물존재들과 더불어 공-산(sympoietic)적 삶을 구성하며 살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팬더믹은 이제 우리보다 그 존재들의 관점으로 생명과 삶을 조망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고는 그러한 관점의 전환을 객체의 철학이라 이름하고, 티모시 모턴의 초객체, 부르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그리고 그레이엄 하만의 공생이라는 개념들을 통해 객체의 실재를 탐문해 보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limate change have been warning that the deconstruction of anthropocentrism has to be not only an epistemological turn but also our political act. These crises let us know that humans are not alone on the planet but entangled with other beings in their sympoietic lives. This pandemic is pointing to a necessity to see life and living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ings. This article calls such a turn to things philosophy of object, exploring hyperobject in Timothy Morton, actor-network in Bruno Latour, and symbiosis in Graham Harman. It is to know what object means for this 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생의 정치신학 - 캐서린 켈러의 ‘(성공)보다 나은 실패’ (a Failing Better)를 위한 정치신학

        박일준(Iljoon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6 No.-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 구조는 정치적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를 축으로 구성된다. 정치적 민주주의는 더욱 정확히 말해서 근대 이후 발전된 ‘자유민주주의’(liberal democracy)를 말한다. 자본주의 체제는 산업 혁명기 이후 발전한 산업 자본주의(industrial capitalism)의 시대를 거쳐 소비 자본주의와 금융자본주의를 거쳐 이제 기호자본주의(semiocapitalism)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일컬어진다. 이제 우리 시대를 유발 하라리는 ‘호모 데우스’(homo deus) 즉 인간이 신이 되는 시대라고도 표현하지만, 이러한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은 정확히 자유민주주의의 붕괴와 기호자본주의로의 진화를 토대로 삼고 있다. 본고는 자유민주주의라는 체제의 정치적 성공과 실패의 흐름이 기호자본주의라는 토대 위에서 형성되었으며, 이것이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으로 이어지고 있는 시대에 정치신학의 가능성 즉 신학을 통한 사회변혁의 대안모색 가능성을 캐서린 켈러의 지구정치신학 기획을 통해 탐문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우리 시대 정치신학은 제도정치를 통한 상상력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을 대안적으로 상상함으로써 가능하다. 그것은 해방의 주체를 통한 변혁이나 혁명이 아니라 공생 집단체 혹은 창생 집단체의 아상블라주를 통해 전개되는 운동이어야 할 것이다. 어떤 해방의 주체도 결국 근대적 계몽기의 주체의 형상을 담지하고 서민(the commons)을 선도하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Our contemporary age runs on two axes, political democracy and capitalism. To be precise, political democracy refers to the liberal democracy that has developed since the modern age. The capitalism system has evolved from the form of industrial capitalism through the consumer capitalism and the financial capitalism into a form of semiocapitalsim now. Yuval Harari calls this evolved form of semiocapitalism the age of Homo Deus, but this kind of posthuman imagniation grounds itself upon the collapse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evolution of capitalsim. This paper seeks a possibility of political theology or an alternative of social transformation in terms of Catherine Keller’s project of the political theology of the earth in an age full of posthuman imagination, as the liberal democracy has successfully developed and collapsed on the ground of semiocapitalism. However, I acknowledge that any imagination of political theology today is not possible through the existing institutional political structure but only through the political. It would be an alternative imagination. It does not dream of transformation or revolution by the subject of liberation but of movement by the assemblages of a collective of co-life or the genesis collective. For any subject of liberation would contain the traces of the subject of the modern Enlightenment, which always leads the collective to the way it w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