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호의 경(經)⋅전(傳) 체제 『중용』 해석 연구 -『중용질서(中庸疾書)』를 중심으로-

        황인옥 ( Hwang¸ In-ok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본 연구는 『중용』을 경(經)·전(傳) 체제로 해석한 성호의 『중용질서(中庸疾書)』의 체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경·전 체제 『중용』 해석의 의의와 한계점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성호는『중용』 2~11장을 ‘공자 중용’인 경(經)으로 보아 핵심내용이라고 하였고, 12~32장을 ‘자사 중용’인 전(傳)으로 보아 경을 설명하는 내용이라고 하였다. 그는 『중용』을 공자가 중용의 도를 세상에 실현하기 위하여 경세적인 입장을 밝힌 경전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입장에 주목하여 『중용』을 해석하였다. 성호의 『중용』 해석은 독창적인 경전 이해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중용』을 시작하는 말, 공자 중용, 자사 중용, 맺음말 체제로 나누었고, 1장을 공자 중용의 원리를 설명한 내용이라고 하여 『중용』 해석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용의 도가 인간관계의 기본인 오륜의 실천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설정하여 주체자의 실심(實心)을 강조하였다. 셋째, 공자 중용의 내용을 중용의 지극함과 중용이 현실에서 행해지지 않는 것에 대한 공자의 안타까움, 중용의 도가 행해지던 과거의 증명, 중용지도의 미래 전망 등이라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자사 중용은 공자 중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여 실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그가 『중용』을 개인의 도덕 실천은 물론이고, 경세적인 의미까지 담고 있는 경전으로 해석하여 『중용』의 효용성을 강조한 것이다. 성호의 『중용』 해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나타난다. 첫째, 경과 전으로 나누었으나 주자의 33장 구조를 그대로 따름으로써 주자의 분장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둘째, 2~11장을 공자 중용으로 보는 이유를 2~11장 안에 다른 사람이 말이 없고 문장이 ‘중니왈’, 또는 ‘자왈’로 시작되며 문장의 체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자사 중용 부분에서도 ‘자왈’로 시작되는 장이 6개나 되며, 문장의 체제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 셋째, 수장을 공자의 말이 간략하고 어려운 것을 염려하여 그 근원을 추구하여 자사가 썼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의 정확한 근거나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 넷째, 『중용』을 성(誠)을 위주로 하는 책이라고 하였고, 『중용질서』의 후반부에서 성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는 성(誠)을 공자 중용의 지·인·용을 부연 설명하는 보조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경전해석은 성리학적 풍토에서 실학으로 이어지는 전환기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Seongho’s 『Jungyongjilseo (中庸疾書)』 that is divided and interpreted as 『Jungyong』 into the system of Saint writing (經) and a wise man's writing (傳),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h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in the system of Gyeong and Jeon. Seongho interpreted 『Jungyong』 considering Chapter 2 to Chapter 11 of 『Jungyong』 as Saint writing (經) of ‘Confucian Jungyong’, and from Chapter 12 to Chapter 32 as a wise man's writing (傳) of ‘Zisi Jungyong’. Confucian Jungyong is the core content, and Zisi Jungyoung is a part giving additional explanation of Confucian Jungyong. He understood 『Jungyong』 as the scripture making Confucius’s administrative position clear in order to realize Confucius’s Jungyongjido, and interpreted 『Jungyong』 as focusing on this stance.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with the Gyeong and Jeon system is Seongho’s original method, and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he divided 『Jungyong』 into preface, Confucian Jungyong, Zisi Jungyoung, and postface. He gave his own ingenious opin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e.g. understanding the first chapter as that which explained the principle of Confucian Jungyong. Second, he set the morality of Jungyong as beginning from the practice of Ohryun (the five moral disciplines), the basis of human relationships, and emphasized a principal agent’s sincere heart (實心, sincerity). Third, he thought that Confucian Jungyong as Gyeong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trueness of Jungyong, Confucius’s pity for that Jungyong was not in practice in the reality, the verification of the past when Jungyongjido was performed, and the prospect of the future of Jungyongjido, and he understood Zisi Jungyong as the structure to explain it. Therefore, he stressed the usefulness of 『Jungyong』 by interpreting 『Jungyong』 as the scripture covering not only personal practice of ethics but also administrative meanings. Yet, Seongho’s interpretation of 『Jungyong』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he divided it into Gyeong and Jeon, but he followed Zhuxi’s 33-chapter structure as it was, so failed to overcome the problems in Zhuxi’s chapter division structure. Second, he explained that he thought Confucian Jungyong wa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because there were no writings from others, the sentences began with ‘Zhongni says’ or ‘Zi says’, and the sentences had different system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Yet, Zisi Jungyong also has as many as six chapters beginning with ‘Zi says’, and he didn’t explain how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ere different. Third, he inferred that regarding the first chapter, Zisi pursued the origin worrying that Confucius’s words were brief and difficult. However, he couldn’t offer the accurate grounds or explanations for this. Fourth, he said that 『Jungyong』 was a book focusing on diligence (誠), and dealt with Seong importantly in the latter part of 『Jungyongjilseo』. But, in his interpretation, Seong remains as a supplementary concept additionally explaining Confucius’s Jungyong Ji(knowledge), In(benevolence), and Yong(courage).

      • KCI등재

        학습자 말뭉치에 기반한 문법 오류 수정 방식 분석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문법 영역에 대하여-

        조인옥 ( Joe¸ In-ok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교사용 지도서란 교수자의 원활한 수업 진행을 돕고 교재의 활용 효과를 높여 주는 교육 자료이다. 한국어 교재 개발과 함께 교사용 지도서도 개발되어야 하지만 아직 지도서 간행과 연구에 대한 관심과 속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을 살펴보고, 현재 개발되어 있는 교사용 지도서의 일반적인 구성과 내용을 점검해 보았다. 특히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문법 수업의 어려움과 실제 학습자가 발화하는 오류에 대한 처치 방법을 교사용 지도서가 담고 있는지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중에는 학습자가 발화한 문법적인 오류 문장들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수정 방안을 기술한 지도서는 거의 없으며 있다 해도 예문의 개수와 설명이 부족하여 보완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들이 어려워하고 자주 틀리는 오류를 경험적으로 기억하고 주관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학습자가 발화한 말뭉치 자료를 바탕으로 전형적이고 다양한 오류 문장을 추출하고 그에 대한 원인 분석과 수정 방향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한국어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에서 학습자 문법 오류와 수정방향을 탐색하는 연구의 단초가 되기를 희망하며 추후 실용적인 문법서 개발과 한국어 학습자 문법 오류 사전 개선에도 유용하게 쓰이게 되기를 희망한다. The teacher's guidebook is an educational material that is supposed to help instructors smoothly conduct classes and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using textbook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teacher guidance should also be developed, but interest and speed in the publication and research of the guidebook are not yet high. This paper examines the analysis of teachers' needs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 and examine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urrently developed teacher's guide.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whether the teacher's guide contains the difficulties of grammar class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nd how to deal with errors uttered by actual learn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re are few guidebooks presenting grammatical error sentences uttered by learners and describing corrective measures, the number and explanation of example sentences are insufficient, so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Rather than empirically remembering and subjectively explaining errors that learners find difficult and often make mistakes, teachers need to extract typical and diverse error sentences based on the corpus data uttered by learners, analyze their causes, and suggest correction direc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learner grammar errors and correction directions in Korean textbooks and teacher guides, and that it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practical grammar books and improving Korean learner's grammar error dictionary.

      • GO-46 :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ovarian Sertoli-Leydig cell tumors

        ( Inok Lee ),( Ga Won Yim ),( Eun Ji Nam ),( Sang Wun Kim ),( Sung Hoon Kim ),( Young Tae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Objective: To evaluate clinicopathologic ch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ovarian Sertoli-Leydig cell tumors (SLC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11 patients who pathologically diagnosed Sertoli-Leydig cell tumors since 1995 in single institut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Median age was 31 (rage 16-70). FIGO stage was: 3 (27.3%) IA, 6 (54.5%) IC, and 2 (18.2%) IIb. Six patients (54.5 %) had G3 tumor, three (27.3 %) had G2, one (9.1%) had G1. Four patients without pregnancy histories had fertility-sparing surgery. Seven patients had full staging surgery including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hree of the seven patients had laparoscopic surgeries. Eight patients ha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s. Eight patients had adjuvant chemotherapies after the operations; six of them took BEP regimen, one of them had modified BEP regimen, and the last one had Paclitaxel and Cisplantin combination regimen. Two patients had died of the disease and they were re-diagnosed as Sertoliform endometrioid adenocarcinoma when they had recurrence. Except the two, there was no recurrence or dying case of SLCTs from this study. Conclusions: Regardless of histologic grades or FIGO stages of ovarian SLCTs, prognosis is excellent with or without adjuvant chemotherapy.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close observation would be beneficial for women who will need giving a birth in the future.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ith adjuvant chemotherapy would be optimal treatment for women who are not need to preserve fertility.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

        조직변화와 인사관리가 조직건강에 미치는 영향 - 공군 간부를 대상으로 -

        최인옥 ( Inok Choi ),박지환 ( Jihwan Park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3

        건강한 사람이 일을 잘 할 수 있듯이 건강한 조직이 성과가 높다. 조직의 건강한 정도를 조직건강이라고 한다. 그럼, 조직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여러 가지 요인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의 인사조직 측면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들고 있는 조직변화와 인사관리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학문적인 측면에서 조직건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그나마 발표된 연구들도 주로 행정학과 교육학에 편중되어 온 점을 감안할 때 다양한 학문분야로의 확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학적인 관점에서 조직변화, 인사관리, 그리고 조직건강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군조직 간부와 군무원 총 69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직변화는 조직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인사관 리는 조직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변화는 인사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직변화 관련 정책의 경우 그 결과가 단기간에 나타나기보다 장기적으로 나타날 개연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직무순환 등의 인사관리는 개별적으로 최소 2년에 한 번씩 이루어지고 있어 단기적 관점에서 조직건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hange, HRM, and orga-nizational health for 694 air force officers. Just as a healthy person can do a good job, a healthy organization performs better.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nge, HRM, and organizational health from a business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for 694 air force offic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han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health, whereas HRM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health. Also, organizational chang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HR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hange-related polic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appear in the long term rather than in the short term. On the other hand, HRM such as job rotation is individually performed at least once every two years, showing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organizational health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