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nequality of Safety and RISK in Korea: Unstable Workers at Risk

        Hyuph Namgung J-INSTITUTE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 Disaster Vol.6 No.2

        Purpose: This paper focuses on the microscopical and qualitative evolution of the mode of capital accumulation by the capitalist system based on market expansion. It will discuss how ‘the changed’ conditions surrounding humans in 21st century capitalism are fundamentally inconsistent with the essentially ‘unchanging’ needs for human safety, and ultimately how this is regressing the discussion of human nature.To this end,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o enjoy the right to security that is in touch with the essential human needs, or who are the main exposure to danger? Second,how does the inequality of wealth lead to the inequality of risk? Method: To investigat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 deaths in Korea, which is more than twice the number of deaths from Corona 19, and analyzes who are more at risk. To this e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which workers are more exposed to risk.Based on this objective data showing the level of inequality of risk,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qualitatively the fundamental reasons for it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capitalistic accumulation. Results: The need for safety is an essential trait for all human beings, but it is always changed and refracted according to social and class conditions. That is, the reality proves very well that safety is commercialized and that members of society are in an unfavorable situation with regard to risk. Risk inequality is multiply structured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primary and subcontracted firms, and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Developed countries and subcontractors are trying to pay safety costs at a lower price through outsourcing of risks rather than internal investment in safety, and in the end, it is workers engaged in unstable labor that bear this outsourcing risk. Conclusion: The intrinsic need for safety is the same for everyone and therefore for all workers.However, if safety is not distributed fairly and only some people can be exposed to danger, workers who can purchase safety based on a stable material base will want to avoid the risk as far aspossible. The veto power to avoid exposure to risk in a commodified capitalist system of safety can only be exercised on a stable material basis.On the other hand, unstable workers with weak material bases have low bargaining power to reject risks and instead have high dependence on market income.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safety, market income must be earned even at the expense of safety rather than the ability to pay the price of safety.

      • KCI등재

        ‘타자의 고통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언론의 역할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이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타자와의 윤리적 관점에서 그 의미지평을 확장하고, 이를 토대로 언론의 존재론적 당위는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무한경쟁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연민의 위기’ 시대에,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당위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언론의 실천적 이념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에는 세월호 참사와 촛불혁명이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여기에 이론적 실마리를 제공한 게 김상봉의 철학적 사유개념인 ‘서로주체성’이다. 타자의 고통에 응답함으로써 나와 타자는 ‘우리’로 고양된다는 게 서로주체성의 이념이다. 서로주체성은 타인에 대한 설득을 이념으로 한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한 반성과 재구성을 요구한다. 언론의 세월호 보도에서 언론이 현실적 힘인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에 철저히 예속돼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표피적 인과관계이고 더 본질적인 원인은 언론의 존재당위에 관한 이념 부재에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논의다. 커뮤니케이션 개념 혹은 언론의 존재 이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촉구하는 이 연구는 언론개혁을 앞두고 언론의 존재이유에 대한 새로운 담론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aper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be critically reflected in an ethical view of others. In an age of ‘crisis of pity’ what is true communication? How shoul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be reshaped? These questions were entirely derived from both the sinking of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candlelit revolution. The concept of ‘allelo(to each other in English)-subjectivity.’ which was moulded by Sang-bong Kim, a distinguished philosopher of Korea, helped solving the problematic of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The idea of allelo-subjectivity consists in elevating both I and the other to be ‘we’ by responding to the other’s suffering, spurring us to critically reflect the traditional persuasion-oriented concept of communica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orming an alternative discourse on why the media should exist.

      • KCI등재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새로운 모색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S

        오늘날 대학과 학문들이 잘못된 실용주의에 경도되어 ‘시장학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커뮤니케이션학도 정작 현실의 문제에 대해 별다른 설명이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학문다움’을 망각한 채 정책학문임을 내세워 재빨리 현실에 동조하거나 반대로 학문의 순수성을 내세워 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비판적 상상력’이 고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에 대한 되물음이 없이 대상을 좇기에 급급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 학문이 보여준 놀라운 양적 성장만큼이나 과연 이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담론을 이끌어가고 있는가? 라는 물음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익숙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내려는 ‘부정’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모름지기 학문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길을 잃으면 발걸음만 바빠지듯 그동안 우리는 기본을 잊고 무언가에 쫓기듯 분주하기만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해본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오랜 학적 체계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새로운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지 않았으나 대개는 본질적인 것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이기보다는 특정 이론이나 개념을 두고 조심스럽게 논의를 전개하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이 논문은 다소 거칠 정도로 우리 학문의 현실 안주와 비판력 상실을 정면으로 질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하이데거의 말을 빌려 당장 우리 커뮤니케이션학에 요청하고자 하는 바는 우리가 여전히 사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깊이 사려해보라는 것이다. While universities and studies have been declined to ‘market science’ by overly false pragmatism, communication science does not suggest any alternative about real-life problems. For it neglects its status as a science while it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and be apathetic to reality. Its critical imagination is on the brink of being exhausted. Today many communication scholars are flustered by only striving for abruptly changing phenomenon without inquiring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on science. As a result, we cannot say a word about the question ‘does communication science lead social discourses as much as its quantitative development it has shows splendidly?’ It is very required that communication science be equipped with negative thinking, which makes it introspect and criticize itself. This paper aims at seeking different meanings by redefining critically such essential concepts as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a humanistic view. It brings uncritical and complacent communication science into a question. As Martin Heiddeggar noted, the most thought-provoking thing in our communication science is that we are still not thinking.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새로운 모색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2

        오늘날 대학과 학문들이 잘못된 실용주의에 경도되어 ‘시장 학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커뮤니케이션학도 정작 현실의 문제에 대해 별다른 설명이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학문다움’을 망각한 채 정책학문임을 내세워 재빨리 현실에 동조하거나 반대로 학문의 순수성을 내세워 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비판적 상상력’이 고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에 대한 되물음이 없이 대상을 좇기에 급급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 학문이 보여준 놀라운 양적 성장만큼이나 과연 이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담론을 이끌어가고 있는가? 라는 물음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익숙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려는 ‘부정’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모름지기 학문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길을 잃으면 발걸음만 바빠지듯 그동안 우리는 기본을 잊고 무언가에 쫓기듯 분주하기만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해본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오랜 학적 체계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새로운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지 않았으나 대개는 본질적인 것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이기보다는 특정 이론이나 개념을 두고 조심스럽게 논의를 전개하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이 논문은 다소 거칠 정도로 우리 학문의 현실 안주와 비판력 상실을 정면으로 질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하이데거의 말을 빌려 당장 우리 커뮤니케이션학에 요청하고자 하는바는 우리가 여전히 사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깊이 사려해보라는 것이다. While universities and studies have been declined to ‘market science’ by overly false pragmatism, communication science does not suggest any alternative about real-life problems. For it neglects its status as a science while it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and be apathetic to reality. Its critical imagination is on the brink of being exhausted. Today many communication scholars are flustered by only striving for abruptly changing phenomenon without inquiring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on science. As a result, we cannot say a word about the question ‘does communication science lead social discourses as much as its quantitative development it has showed splendidly?’ It is very required that communication science be equipped with negative thinking, which makes it introspect and criticize itself. This paper aims at seeking different meanings by redefining critically such essential concepts as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a humanistic view. It brings uncritical and complacent communication science into a question. As Martin Heiddeggar noted, the most thought-provoking thing in our communication science is that we are still not thinking.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언론 부재’의 한국 사회는 전체주의로 향하고 있는가?

        남궁 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1

        지금 우리 사회에는 언론이 있는가? 지금 우리 언론은 있더라도 없는 것만 못할 정도로 사회적 흉기로 변모해 있다. 언론은 민주주의의 탄생을 함께 이끌어온 수레바퀴다. 그런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가장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 것은 민주주의 체제다. 특히 자본주의하에서 민주주의는 대단히 불안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역사적 파시즘의 출현이 입증해주고 있다. 세계경제는 극심한 침체에 빠져있고,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바로 이런 가운데 언론과 민주주의가 동반 추락하고 있다는 것은 예사로 넘길 일이 아니다. 언론현상을 고유 연구영역으로 삼고 있다는 언론학계는 우리 언론이 이 지경에 이를 때까지 과연 얼마나 진정성을 가지고 이 문제를 접근해왔던가? ‘언론학’의 존재의의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외양만 화려할 뿐 사회과학의 분과 학문으로서 언론과 사회에 대해 번뜩이는 혜안과 날카로운 지성은 찾아볼 수 없다. 이 논문은 불길하게 보이는 사회 흐름을 읽고, 반면에 이를 방관하는 언론(학)의 성찰을 촉구하기 위해 조지 오웰(George Orwell)을 불러본다. 가히 ‘아노미 상태’라고 할 만큼 사회적 혼란의 임계에 다다르고 있는 한국 사회는 오웰이 경고했던 ‘전체주의’의 그림자를 떠올리게 한다. ‘언론 부재’로 상징되는 오늘의 한국 사회에 던지는 그의 메시지는 매우 섬뜩할 정도로 강력한 호소력으로 다가온다. Are there today journalism media in Korea? Media in Korea are changing into a deadly weapon rather than public institutions. Communication media are a wheel by which democracy has been pulled. If media could not perform their principal role in social system, it is democratic system itself that is heavily damaged. Fascism we witnessed in history shows that democracy under capitalism is forced to be very unstable. Now global economy is falling down and Korea is no exception. It is very crucial that both media and democracy are on the verge of collapse. What on earth has the community of communication studies in Korea done while journalism media have been standing on the brink of ruin? The community does not have a keen insight and a sharp intellect compared with its gewgaw. This paper is to urge the community to reflect its neglect by calling out George Orwell.

      • KCI등재

        한국 언론자유의 위기와 ‘자유’의 의미에 대한 성찰

        남궁협(Nam gung Hyuph)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이 논문은 한국의 언론자유가 위기에 처해있다고 보고 그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언론인 자신들의 자유 포기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유는 제도적 완성태가 아니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투해야만 하는 가능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자유는 제도로 이룩되는 것이 아니라 언론인 스스로 자유를 지키고 확대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언론학에서 그동안 다루어왔던 언론자유의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즉 자유의 본질은 저항을 통해 새롭게 형성해내고자 하는 ‘인격의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언론자유는 언론인 개인들이 자신의 인격을 걸고 온갖 외부의 압력에 맞서서 고난을 감수하며 진실을 부르짖을 때 비로소 이룩되는 것 이다. 필자는 논문의 이러한 문제의식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거를 함석헌의 ‘씨사상’에서 찾았다. 함석헌은 ‘자유는 곧 저항’이라는 점을 사상적으로 설파하였을 뿐만 아니라 몸소 언론인으로서 그것을 실천하기도 하였다. 지금부터 40여 년 전에 그가 직접 창간한 <씨의 소리>는 언론인이 어떠해야 언론자유를 획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전거(典據)인 셈이다. 또한 <씨의 소리>는 제도언론이 타락했을 때 대안언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오늘날 한국 언론의 신뢰와 권위가 땅에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삼 함석헌의 씨사상과 그의 언론관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그는 우리 현대사의 한복판을 살아온 사상가이자 언론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언론 사상가로서의 함석헌을 학문적으로 한 번도 진지하게 주목하지 않았다는 게 이상할 정도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함석헌의 언론사상을 조명해보는 첫 번째 연구인 셈이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Korean journalism s death, which resides in the fact that journalists of Korea themselves give up their right of free expression. Freedom is not completed by the law and institution but implemented by people s struggle. Similarly, freedom of the media is won by strengthening the freedom for journalists themselves. The nature of freedom consists in personality that forms the newness through resistance movement. Journalists must breast themselves to hardships to risk their personalities and then the freedom of the media will be gained. In this paper Ham Sokhon s Ssial-philosophy is reviewed as jurisdiction to support the above problematic. Ham Sokhon not only preached his own philosophy of ‘freedom is resistance’ as a philosopher but also put his theory into practice as a journalist. Ssial s Voice(Voice of the People), which was founded in 1970 by Ham Sokhon, showed what journalists should do to defend the freedom of media. Ham Sokhon s philosophy of journalism will demonstrate with the concept of ‘the freedom of media’ on the shaky ground that today the authority of journalism in Korea has been being collapsed.

      • 방송시장 구조의 변화와 텔레비전의 상업성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편성전략을 중심으로

        남궁협 東新大學校 1997 論文集 Vol.9 No.-

        Korea is now entering into a multi-channel era. We can watch cable TV with 32 channels ill addition to existing terrestrial television. Also, It will not be long before satellite television will broadcast its regular programmes via KoreaSat, which was launched in 1955. Therefore, this represents the fact that not only the number of broadcast channels have increased, but the content of programmes which will be served in the channels will be so diverse. In this circumstance terrestrial networks should bear the competition against new media, which is expected to act differently from what they have never seen. As a result, networks are now faced with the circumstance they must stage a 'war of eyeball' for appropriating limited viewing time budget and inelastic number of viewers. For both broadcasters and policymakers, programming is not only the strategic point for meeting changing environment of marketplace but start line for broadcast policy to streamline audience welfare. Programming is essential for survival which an organism of network is adapting itself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cting as a role of guideline reflecting audience's needs. However, networks have regarded programming as strategic behavior, not but as temporary measures. The fact is that networks have made such inactive posture as displacing low-rating programmes against rival broadcasters rattler than exerting effort to analyzing the changing audience's needs. In a multi-channel era networks should hold differentiation, competitiveness, variousness and acceptability in programming.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strategies networks should choose and how much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udience welfare in responding to the marketplace shaped newly. Particularly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problem of commercializa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with reference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 structure and the programm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