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정인숙,김현진,김형일,정동영,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9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장애인 평생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지원대책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장애인 평생교육의 개념과 특성,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원체제, 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등을 탐색하여 이론적 토대로 삼고, 2005년 6월 21일부터 8월 13일까지 전국의 18세 이상 장애인 2,9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71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통해 평생교육 실태와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또한 전국의 평생학습관 239개,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26개 등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265개와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기관 464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일반평생교육기관 46개 및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67개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통해 운영실태와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와 지원요구 및 평생교육기관 운영실태와 지원요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조사 결과, 장애인들은 학교 졸업 이후 교육을 1회도 받지 않은 경우 34.8%, 1회 받은 경우 19.6%, 2회 받은 경우 14.9%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교육을 1회도 받지 않은 경우는 청각장애 47.2%, 지체장애 36.9%, 언어장애 33.3%, 발달장애 32.7%, 뇌병변장애 31.8%, 시각장애 31.5% 중복장애 29.2%, 정신지체 28.8%순으로 나타났고, 교육을 받은 경우를 살펴보면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중복장애는 1회만 받은 경우가 많고, 정신지체와 발달장애는 4회 이상 받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들이 학교 졸업 이후 받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정보화교육 46.0%, 직업교육 33.8%, 여가교육 22.6%, 교양교육 20.7%, 문해교육 15.4%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체장애 52.2%, 시각장애 50.2%, 뇌병변 장애 46.9%, 발달장애 45.9%, 중복장애 45.7% 순으로 정보화교육을 가장 많이 받았고, 발달장애 51.4%는 여가교육을, 정신지체 47.4%, 언어장애 36.4%는 직업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로 20세미만은 직업교육을, 20대에는 직업교육과 정보화교육을, 30대 이후에는 정보화교육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들이 학교 졸업 이후 교육을 받은 경우 중에서 교육을 받은 기관은 장애인복지관 34.0%, 장애인단체 23.6%, 장애인평생교육기관 11.1%,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10.9%, 사회복지관 9.8%, 장애인 직업 전문학교 8.2%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장애인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는 80.3%,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는 32.0%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지체장애 26%와 청각장애 25.0%는 장애인단체에서, 뇌병변장애 43.6%, 시각장애 44.0%, 정신지체 41.0%, 발달장애 64.1%, 중복장애 31.9%는 장애인복지관에서 언어장애 40.0%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는 지체장애 52.9%, 중복장애 39.1%, 청각장애 33.0%, 시각장애 25.9%, 뇌병변장애 22.4%, 정신지체 22.1%, 언어장애 15.0%, 발달장애 18.0%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들의 평생교육비는 본인이 부담하지 않은 경우가 39.9%로 나타났으며, 부담한 경우 1인당 월 10만원 미만이 37.5%, 월 10만원 이상에서 월 20만원 미만이 14.2%, 월 20만원 이상이 8.8%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모든 장애영역에서 월 10만원 미만이 30%~50%정도로 나타났으며, 월 10만원 이상을 부담하는 경우는 발달장애 41.1%, 언어장애 35%, 정신지체 28.9%, 지체장애 27.7%, 청각장애 25.7%, 시각장애 15.3%, 뇌병변장애 13.9%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들의 평생교육 요구를 조사한 결과, 가장 받고 싶어 하는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직업교육 31.0%, 정보화교육 30.4%, 여가교육 18.2% 교양교육 14.8%, 문해교육 8.8%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언어장애 41.9%, 뇌병변장애 39.9%, 지체장애 39.0%, 청각장애 33.1%, 시각장애 31.8%가 정보화교육을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달장애 58.8%, 정신지체 41.0%, 중복장애 32.4%는 직업교육을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20대는 직업교육, 30대는 직업교육(34.6%)과 정보화교육(32.8%), 40대와 50대는 정보화교육, 60대에는 여가교육을 가장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교육을 받고 싶은 기관은 장애인평생교육기관 23.8%, 장애인복지관 22.6%,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22.2%, 사회복지관 8.9%, 대학 일반성인 프로그램 6.2%, 장애성인학원 5.5%, 대학 장애성인 프로그램 5.2%, 일반성인 학원 2.7%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지체장애 36.4%, 뇌병변장애 34.0%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을 선호하였고, 정신지체 33.7%, 중복장애 34.0%, 청각장애 27.8%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을 선호하였으며, 또한 시각장애 30.4%, 발달장애 31.6%는 장애인복지관을 선호하였고, 언어장애는 대학 장애성인 프로그램과 사회복지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20대와 40대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30대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50대와 60대는 장애인 복지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의 이용대상 연령대는 30~39세 60%, 40~49세 48%, 50~59세 31%이었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20~29세 64.8%, 40~49세 38.6%, 30~39세 31.1%, 50~59세 26.1%로 나타났다. 평생교육기관의 규모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은 101명 이상의 규모가 36.6%, 20~40명의 규모 23.8%, 81~100명의 규모 15.8%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20~40명의 규모 40.2%, 20명 미만의 규모 28.7%, 101명 이상의 규모 12.6%로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은 80명이상 규모가 52.4%인 반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80명 이상의 규모가 18.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현황을 살펴보면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은 장애인 주차장 82.7%, 장애인용 대소변기 77.6%, 승강기와 경사로 67.3%, 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출입구 출입문, 복도 손잡이 설치는 각각 약 30%인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장애인용 대소변기, 승강기 경사로 78%, 장애인주차장 76.8%, 복도 손잡이 68.3%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은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48.0%,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25.5%, 3개월 미만이 20.6%, 1년 이상이 5.9%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1년 이상이 38.4%,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32.6%,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12.8%, 3개월 미만이 9.3%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일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시간은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은 2시간이 71.3%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2시간이 19.5%이며 6시간, 8시간, 4시간 순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교양교육 77.5%, 여가교육이 62.7%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직업교육 71.6%, 여가교육과 교양교육 각각 30%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강생 1인이 부담하는 교육비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수강료가 없는 기관이 73.5%, 월 10만원 미만이 22.5%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수강료가 없는 기관이 77.3%, 월 10만원 미만이 17%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담당인력은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5명 미만이 40.6%, 5~10명이 23.8%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5명 미만이 64.4%, 5~10명이 20.7%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 담당인력의 자격증은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기능사?기술사 34.7%, 일반학교 교사 33.7%, 평생교육사 17.9%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사회복지사 66.3%, 기능사?기술사 24.4%, 특수학교 교사 23.3%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기관의 지원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시설로 가장 적절한 형태에 대해서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의 경우 일반인 독립 평생교육시설 36.7%, 사회복지관 26.5%, 장애인 독립 평생교육시설 24.5%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장애인복지관 36.9%,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26.2%, 장애인직업훈련학교 23.8%순으로 응답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운영기간에 대해서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3개월~6개월 미만 47.0%, 6개월~1년 미만 25%, 3개월 미만 22%, 1년 이상은 5%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6개월~1년 미만 42.5%, 1년 이상 29.9%, 3개월~6개월 미만 20.7%순으로 응답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1일 운영시간에 대해서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의 경우 2시간 76%, 4시간 9%, 3시간 7%, 6시간 4%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의 경우 2시간 24.1%, 6시간 20.7%, 4시간 16.1%, 3시간 13.8%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리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해서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의 경우 직업교육 65%, 교양교육과 정보화교육 21%, 여가교육 17%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의 경우 직업교육 70.9%, 여가교육 23.3%, 정보화교육 20.9%, 교양교육 10.5%순으로 응답하였다. 장애인이 부담해야 할 적절한 평생교육비에 대해서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월 10만원 미만 68.4%, 월 10만원~20만원 미만 4.1%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관계자는 월 10만원 미만 75.0%,월 10만원~20만원 미만 7.1%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리고 평생교육기관의 운영경비 지원기관으로 적절한 기관에 대해서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국가 75%, 지방자치 단체 43%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국가 81.4%, 지방자치 단체 32.6%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인력으로 가장 적절한 자격에 대해서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특수학교 교사 49.5%, 사회복지사 33.3%, 평생교육사 21.2%, 기능사?기술사 17.2%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사회복지사 50.0%, 특수학교 교사 29.8%, 기능사?기술사 23.8%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리고 장애인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일반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36.6%, 교육 프로그램 개발 27.7%, 이동문제 편의시설 25.7%, 일반성인의 장애인 이해 24.8%, 재정적 지원 14.9%, 기관 운영자의 장애인 이해 12.9%순으로 응답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 36.1%, 재정적 지원 34.9%, 일반성인의 장애인 이해 22.9%, 이동문제 및 편의시설 19.3%,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10.8%순으로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와 지원요구 및 평생교육기관의 실태와 지원요구 면담자료 등을 토대로 본 연구는 모든 장애인의 평생교육 권리를 보장하고, 장애인의 지역사회 중심 교육체제를 구축할 뿐 아니라, 장애인의 통합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첫째, 장애인도 동등하게 평생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평생교육 기회 확대가 필요하며, 이러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일정비율의 장애인 참여를 규정하는 장애인 의무 평생교육 제도를 시행해야 하며, 일반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특화된 장애인 프로그램의 운영을 규정하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의무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 평생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장애인 교육시설의 프로그램 운영내용과 방법을 개선해야 하며, 장애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육기관의 운영내용과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이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 문화의 창조를 위해서는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에 장애인 지원 매뉴얼을 제작?배부하며, 평생교육기관과 시설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의 평생교육을 위해 장애인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사회 기관과 시설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며, 장애인의 평생학습기관과 시설을 지원하는 기관을 설립?운영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장애인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을 확대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실태를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평생교육사의 양성 및 현직 교육과정에 장애인 평생교육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편성해야 하며,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으로 장애인평생교육사를 양성?배치해야 한다. 넷째, 장애인 평생교육 행정 지원 확대를 위해 교육인적자원부, 시?도교육청 및 시?군?구교육청의 장애학생 교육 담당조직에 장애인 평생교육 업무를 부과하며, 교육인적자원부, 시?도교육청 및 시?군?구교육청의 장애학생 교육 담당조직에 장애인 평생교육 장학기능을 부과하고, 교육인적자원부, 시?도교육청 및 시?군?구교육청의 장애학생 교육 담당조직에 장애인 평생교육 전담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 평생교육 재정 지원 확대를 위해 장애로 인하여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해야 하며, 장애인이 평생교육을 원할 때, 적절한 평생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 욕구를 조사?분석하는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장애인 교육기관과 시설 운영의 공평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장애영역별, 장애정도별로 적절한 교육공학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necessary to protect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o make the desirable the policy. Based on concept, characteristics, support system, abroad situ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e surveyed the status and support ne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2,922 persons from age 18 from 21th June 2005 to 13th August. In addition to we survey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support need of 239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the nation, 26 information centers for local lifelong education, 265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or ordinary people, 88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survey results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w that 34.8%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oesn't have education opportunity at all, 19.6% of them has it once, 14.9% of them has it twice.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people has no opportunity as follows ; hearing impairments 47.2%, physical impairment 36.9%,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7%, brain stroke 31.8%, visual impairments 31.5%, multiple impairments 29.2%, mental retardation 28.8%.. and people has opportunity once as follows ; physical impairments, brain stroke, visual impairments, language impairments, multiple impairments. Development impairments has above four opportunities. After graduation school,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ve program as follows: information education 46%, vocational education 33.8%, leisure education 22.6%, literacy education 15.4%.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they have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s 52.2%, visual impairments 50.2%, brain stroke 46.9%, developmental impairments 45.9%, multiple impairments 45.7%, developmental impairment 51.4% has leisure education, mental retardation 47.4% and language impairment 36.4% has vocational education. Also, by aging, people who are below age 20 has vocational education, people above aged 30 has information education. Institutes whic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ve education after graduation school are as follows. Welfare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34%, Organiz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3.6%,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11.1%,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for ordinary people 10.9%, social welfare center 9.8%, vocational special school for disabled people 8.2%.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they have education program as follows : physical impairments 26%, hearing impairments 25% have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brain stroke 43.6%, visual impairments 44.0%, mental retardation 41.0%, developmental impairment 64.1%, multiple impairment 31.9% have welfare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language impairment 40.0% hav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so,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for ordinary people, they have education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s 52.9%, multiple impairment 39.1%, hearing impairments 33%, visual impairments 25.9%, brain stroke 22.4%, mental retardation 22.1%, language impairment 15.0%, developmental impairment 18.0%.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uition fee is as follow. 39.9%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oesn't pay tuition fe. 37.5% of them pays tuition fee below 100,000 won a month, 14.2% from 100,000 won to 200,000 won a month, 8.8% above 200,000 won a month.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30%-50% of all disability categories pay tuition fee below 100,000 won a month. And case of paying tuition fee above 100,000 won a month is as follow. developmental impairment 41.1%, language impairment 35%, mental retardation 28.9%, physical impairment 27.7%, hearing impairment 25.7%, visual impairment 15.3%, brain stroke 13.9%. Seco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needs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favorite adult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vocational education 31.0%, information education 30.4%, leisure program 18.2%, general education coruse 14.8%, literature education 8.8%.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language impairment 41.9%, brain stroke 39.9%, physical impairment 39.0%, hearing impairment 33.1%, visual impairment 31.8% wanted information education, developmental impairment 58.8%, mental retardation 41.0%, multiple impairment 32.4% wanted vocational education. Clarified by age, they wanted vocational education in 20 age, vocational education and information education in 3 age information education in 40, 50 age, leisure program in 60 age. The places where they wanted are as follows.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3.8%, welfare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2.6%,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ordinary people 22.2%, social welfare center 8.9%, adult program in college 6.2%, institution for adul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5.5%, adult with disabilities program in college 5.2%, institution for adult 2.7%.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physical impairment 36.4%, brain stroke 34.0% wante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mental retardation 33.7%, multiple impairment 34.0%, hearing impairment 27.8% wan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visual impairment 30.4%, developmental impairment 31.6% wanted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language impairment wanted the adult with disabilities program in college and socila welfare center. Thir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status of the management survey results show that use age of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s as follows. 60% of it is from age 30 to 39, 48% is from age 40 to 49, 31% from age 50 to 59. And use age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as follows. 64.8% of it is from age 20 to 29, 38.6% from age 40 to 49, 38.6% from age 30 to 39, 26.1% from age 50 to 59. The scale of institutions is as follows. 40.2% of them cover from 20 person to 40, 28.7% of them cover below 20 person. 18.3% cover above 80 person. Status of facilit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ws that 78%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restroom, elevators, slope for the disabled, and 76.8% of them has parking lot for the disabled, 68.3% has hallway handle. Period of program management shows that 38.4%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above 1 year, 32.6% of them is from 6 month to 1 year. 12.8% of them is from 3 month to 6 month, 9.3% of them is below 3 month. Time of program management shows that 19.5%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2 hours, others is 6 hours, 8 hours, 4 hours. Program contents is that 71.6% of them has vocational education, 30% of them has leisure and general education course. The tuition fee shows that 22.5% of them is below 100,000 won a month. 77.3% of them has no fee, 17% of them has below 100,000 won a month. The number of staffs shows that 64.4% has below 5 person, 20.7% has from 5 to 10 person. 66.3% has social welfare certificate, 23.3% has special education teacher, 24.4% has special engineer and 31.4% has other things. Fourth, we survey the support needs of instit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36.9% of staff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ought that the proper facilities is welfare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26.2% of them thought that it i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next to vocational training center for the disabled as 23.5%. 24.1% of them thought proper management time is 2 hours, 20.7% 6 hours, 16.1% 4 hours, 13.8% 3 hours. They respond about program 70.9% of them wanted vocational program, leisure 23.3%, information education 20.9%, general education program 10.5%.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uition fee is as follow. 75.0% of staff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respond that under 100,000 won is the proper a month, 7.1% of them does over 100,000 won to 200,000 won is proper. And 81.4% of respondent thought it is reasonable for Nation supply the budget, and 32% of them thought that it is local self-government staffs who are related i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on't pay tuition fee. 37.5% of them pays tuition fee below 100,000 won a month, 14.2% from 100,000 won to 200,000 won a month, 8.8% above 200,000 won a month. Clarified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30%-50% of all disability categories pay tuition fee below 100,000 won a month. And case of paying tuition fee above 100,000 won a month is as follow. developmental impairment 41.1%, language impairment 35%, mental retardation 28.9%, physical impairment 27.7%, hearing impairment 25.7%, visual impairment 15.3%, brain stroke 13.9%.. About staffs certificate, 50.0%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staffs with disabilities want the social welfare people, 29.8% of them want special education teacher, 23.8% does engineers. What they want to change for the disabled are as follow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36.1%, financial support 34.9%, general adult's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22.9%, moving problem and easy facilities 19.3%, establish facilities for the disabled 10.8%. Based on lifelong education status and support need of the disabled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o protect lifelong education's right of the disabled, to establish education system based on community of the disabled, we have to make the policy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 of which the disabled can receive education equally. In order to expand the opportunity, it is needed to make the policy which it is compulsor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s part. In gene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we have to make the program for the disabled. Also,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the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we have to change the program contents and method in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Seco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n take part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the community, we have to distribute the manual which the staffs can use for the disabled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facilities, to make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lso, we have to make the network of community institute and facilities which supply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to establish and manage the institute which support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ird, we must extend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stim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management's status of the disabled. And the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urse has to be the compulsory subject in the training course and in-service training course of the lifelong education person, and lifelong education person for the disabled has to be trained, placed as the specialist of the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Fourth, to extend administration support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t is needed to give the affairs, staffs, and functions that are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led to the division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We must give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o are not received the opportunities of lifelong education because of handicap for free. And to give the proper lifelong education, we have to survey and analyzed the needs and status periodically. Also, we have to ensure the equatability and transparency about education institution's management, to increase proper educational and engineering supports depending on level of disability.

      •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 : Future Directions and Practic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정희섭,김현진,김형일,정동영,정인숙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11

        이 연구는 장애인 삶의 질을 보다 확충하는 차원에서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현실여건에서 최상의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을 마련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서 진로실태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진로 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요인을 발굴한 이후, 최근 5년간 전국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을 대상으로 전반의 진로실태를 조사?분석하고, 문헌분석 및 실태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이 연계된 진로 지원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 진로실태 조사는 전국 120개 특수학교(고등부 과정 설치 특수학교), 161개 고등부 특수학급 총281개 학교의 2001년도부터 2005년도까지 5년간 졸업생 1,33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조사대상 1,334명은 행정공문으로 각 학교별 졸업생 명부를 통하여 추출된 것으로, 실제 5년간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11.1%에 해당된다. 실태조사는 1차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 발송과 회수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2차로 본원의 현장연구위원 교사 176명이 소속 지역교육청의 졸업생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 및 면담 조사실시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35.2%가 직장을 가진 취업자이고, 64.8%가 직장을 가지지 않은 미취업자(가정거주, 시설거주, 자영업, 대학진학포함)로 조사되었다. 장애영역별 학교 졸업생의 진로 실태를 취업률 중심으로 제시하면, 시각장애학교 졸업생 36.8%, 청각장애학교 졸업생 45.4%, 지체부자유학교 졸업생 35.1%,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학교 졸업생 31.7%, 특수학급 졸업생 39.5%로 나타났다. 한편, 졸업생의 연도별 추이를 취업률 중심으로 제시하면, 2001년도 졸업생 45.3%, 2002년도 졸업생 32.8%, 2003년도 졸업생 32.2%, 2004년도 졸업생 31.3%, 2005년도 졸업생 33.8%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전반에서, 미취업자는 가족과 함께 생활하지 않은 장애성인이 많고, 학교 졸업이후 무직상태가 지속되고, 직장생활을 원하지만 특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취업자의 경우,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그 자체의 만족도를 제외하고는 고용상황 전반이 열악하고, 직장의 직무수행에 다소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직장의 이직률이 높지만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하며, 직장의 적응 · 유지를 위한 직업훈련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고, 현 수준보다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안정된 직장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직장 생활의 직무수행 효율화를 위하여 장애인식 개선 혹은 장애인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지원체제 구축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 지원체제 구축 방안은 진로교육 대상자의 ‘개별성’과 진로발달 단계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진로 관련 기관간의 ‘협력성’을 강조하는 진로 지원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첫째, 학령기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직업 · 진로교육 실시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특수교육 진로관련 다양한 용어들을 정비하고, 직업 · 진로 관련 법규의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며, 개별화교육계획(IEP)에 개별화전환계획(ITP)이 포함되도록 하는 법규의 재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단위 특수학교(급)에서 진로교육이 시스템적으로 실천되도록 하는 토대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특수교육 직업 및 진로 관련 교육과정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 교육실시 시기를 앞당기고, 선택중심 교육과정 ‘전문선택’의 이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현실성 있고 실제적인 단위 학교의 직업 및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한편, 특수학급 재학생들의 직업 및 진로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근거를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에 마련하고, 다양한 교과에 산재된 진로관련 내용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교사용 지도서를 제작 · 배부하여 활용토록 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다. 직업 · 진로교육을 위한 일관성 있는 모형을 마련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실시를 위하여 평가체제 및 평가주체를 명확히 확립하고, 직업 ·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실시를 위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직업 및 진로교육은 현장친화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상의 변화를 모색해야 하며,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진로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개별학생들의 요구와 필요가 충족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졸업 시 진로선택의 역량 및 지원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로를 유지 · 발전시킬 수 있도록 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가족이 학교의 진로교육, 지역의 진로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 · 실행 · 평가 전반의 과정에 효율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한다. 한편, 학교와 지역의 직업 · 진로관련 기관 및 인사 간을 연계하는 가칭 ‘연계 및 협력 조력자’를 양성하여 활용토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장애성인의 지역사회에서의 효율적인 진로 지원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수학교(급) 고등부를 졸업한 대학진학자와 미취업자는 항시 취업대기자이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대학 당국과 평생교육기관에서의 진로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급) 고등부를 졸업한 취업자를 위해서는 직업 적응 및 유지, 직업 이동을 위한 준비 프로그램, 인턴 프로그램,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국가는 범정부 차원의 특수교육 대상학생 직업 및 진로 촉진을 위한 추진 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장애학생 및 장애성인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기구와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지원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목표를 두고, 진로 대상자의 개별성과 진로발달 단계의 연속성, 관련 기관간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학령기, 졸업시점, 학령기 이후가 통합된 적절한 지원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진로 지원체제가 현실성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면, 대부분의 일반인이 그렇듯 장애인도 직업을 가지고, 일과 노동의 댓가로 보수를 받으며, 받은 보수로서 세금을 납부 하면서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고, 가정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만족감을 가지며 살아가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and practic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career status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several ways. First, by reviewing the related research and the literature, the analytical frame for the actual career status was developed and the considerabl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were identified. Second, the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o overview and to analyze the actual career status of the students who graduated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s over the last 5 years. Thir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the future directions and best practices for the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were suggested. First, the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e subjects were 1,334 high school graduates from both 120 nation-wide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se schools include the course of high school) and 161 special education classes among 281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from 2001 to 2005.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chool graduate lists. And they were 11.1% of the total graduates both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es over the last 5 year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mailing the questionnaires in returning envelops.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by the 176 teachers who served as research committee members of the KISE. The teachers conducted in-depth surveys and interviews by calling on the graduates who belonged to their local school distric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35.2% of the graduates were employed and 64.8% were unemployed (staying at home, living in th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lf-employed, and attending college or universities). The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schools classified by the disabilities indicated the following employment rate; 36.8%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s, 45.4%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s, 35.1%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31.7%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orders, and 39.5% of the graduates from the special education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employment rate were different by the year; 45.3% of the graduates in 2001, 32.8% in 2002, 32.2% in 2003, 31.3% in 2004, and 33.8% in 2005. In general, the actual career status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over the last 5 years were identified for the unemployed graduates; a) many unemployed graduates did not live with their family; b) the status of unemployment went on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c) most unemployed graduates wanted to have occupations, but there were little support for employment,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d) their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in life was low. Meanwhile, the employed graduates also indicated that their employment condition was poor, except the fact that they had some satisfaction for them to have jobs. The actual career status for the employed graduates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a) their overall employment condition was poor; b) they felt some difficulties for carrying out their jobs; c) a change of occupation rates were high without proper support, d) there were little job training for adapting a new workplace and for maintaining their current jobs; d)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for stable jobs with better wages than their current jobs; and e) they also requested for improving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the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eir work efficiency. Based on these findings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the future directions and practic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re suggested; a) the individualities of each student with disabilities and the continuity of career development are ensured, and b) the collaboration among schools, the community resources, and the employment agencies are emphas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raw a concrete plan in the following. First, the found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firml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 It is necessary to compile the glossary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career services, and transition in special education. It is also required to amend and make law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services, and to mandate the TP(Individual Transition Plan) to be included in the IEP(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se laws and policies, a firm basis for the systematic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the present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related curriculum should be actualized. The 'vocational course' of the 7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taught earlier, the 'specific elective courses' from the choice-based basic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implement the school-based vocationa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practically and realistically. At the same time, these suggestions should be manda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acher's manual should be prepared and distributed for teachers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for their vocation and career preparation. Third, the vocational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The consistent model for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the effective assessment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the professionals should be trained and be placed in school. Moreover, the model for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utilize the field-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the field-based model needs to be diverse in order to meet the individual students' needs. Fourth,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ability and to support the career choices of students at the time of gradu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ally make better for their self-decision ability. Through their self-decision ability, they can make their career choices and strengthen the ability to keep and develop their chosen careers. In addition, the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the assessment for the career support within the community. Therefore, the 'transition coordinator', who can make connections and cooperations among schools, community resources, and the employment agencies, should be trained and utilized. Fifth, a variety of supportive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 career supports in the communities. Since the students who went to college or universities after graduating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s(classes) and the unemployed high school graduates are potential employees, the university authorities and the continuing education agencies must have a variety of supportive programs for them. Besides, it is essential to have specific programs for a job adaptation and sustainment, job preparation program for a career change, various internship programs, and the follow-up program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have the special organization for promoting the employ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as well.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he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based on the individuality of each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 continuity of career development stages, and the inter-agency collaboration, the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should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schools years, at the time of graduation, and after the graduation. If the suggested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are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within each school and each classroom,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have occupations, get paid for the work they do, pay the taxes, have families, and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nd the nation with a feeling of great satisfaction, just as the most people without disabilities do.

      • 마이크로 채널내의 혼합효과 증대방안에 대한 연구

        서용권,허형석 東亞大學校 2002 東亞論叢 Vol.39 No.-

        Nume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xing effect in a microchannel with multi blocks has been performed. the microchannel is simulated three-dimensionally using a commercial fluid analysis code, FLUENT 6.0 Geometric factors of blocks in the channel is a key facto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nvestigate mixing effect of the microchannel with various shapes.

      • KCI등재후보

        사체간이식 환자와 생체간이식 환자들의 삶의 질 비교 연구

        김금희,윤석준,안형식,이준영,박형근,서경석 한국의료QA학회 2004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quality of life(QOL) in liver transplant recipicnts, to ocmpare QOL betwee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cnts and cadavcric live transplant recipients and to investgatre whether SF-36 may be used as a disease-specific instrument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 We conducted a single-center cross-sectional study of 133 LT recipients ages 13 to 65 years, all of whom had had Liver Transplantion(LT) at least 1 months previously. QOL was assessed using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Bang Whal Ran(1991) instruments and the 36-Item Short-Firm Health Survey(SF-36) health status profile measur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F-36 instrument may be used as a disease-specific instrument in LT recipients. Individual scale scores range from 0 to 100 , with higher score reflecting better health. Data on demograpics, clinical status at pre transplantation 1 day, post transplantation clinical statns, and graft gunction were collected to identify predictors of post transplantation QOL. Results : Standard measures for test-r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examined. The reliability of the SF-36, as measured by test-retest correlation(Pearson coeffocoents: 0.729, p=0.002) and by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0.9431) exceeded conbentional acceptability criteria. The correlation between domain scores of SF-36 and the Bang Whal Ran(1991) was clear and logical in tha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F-36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component summary score of the Bang Whal Ran(1991)(r = 0.8155, P<01). SF-36 scale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Cadaveric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Donor types of post LT did not influence HRQOL(P >0.05). 87% of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ere safisfied to get LT. Satisfaction of post LT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HRQOL(p<0.001). Conclusion : SF-36 is found reliable and valid. This study indicates thet Donor Type did not influence HRQOL after LT.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is study will help us to better define expectations and the colinical cours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단순모형기관 실린더 내의 흡입과정 유동특성 연구

        허형석(Hyeung-Suk Heo),서용권(Young-Kwon S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00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A model engine having a flat piston face and cylinder head and an off-center intake valve is investigated in this analysis. We used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s to analys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numerical method. a modified version of KIVA-3V is used. The standard κ-ε model is used in treating the turbulence effect. In experimental method. 2-D visualization in a cylinder with a single intake valve is carried out by using a laser tomography.<br/>

      • 근해 조사용 무인잠수정(NK-ROV)의 개발

        최형식(Hyeung-Sik Choi),김경기(Kyeong-Ki Kim),김동호(Dong-Ho Kim),강형석(Hyeong-Suk Kang),서주노(Joo-No Seo)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10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remotely operated vehicle for investigation the coastal sea (NK-ROV : New Korea maritime university Remotely Operated Vehicle). This paper show the research results that a design and production of the NK-ROV in the 50m class. In order to move 6 degree of freedom, we have designed 6 actuators of new form and driving system. Control system of the NK-ROV consist of the Master DSP, Sensor DSP Board and Motor Controller. And we have designed sensor signal based on Pill control algorithm using CAN communication.

      • KCI등재

        LED 디스플레이용 유연 보드의 자동 펀칭 시스템 연구

        최형식(Hyeung-Sik Choi),강진일(Jin-il Kang),허재관(Jae-Gwan Her),한종석(Jong-suk Han)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34 No.4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 평판에 핀 홀을 생성하여 문자나 이미지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보드를 자동으로 제작하는 펀칭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핀 홀을 생성한 평판은 가장자리에 설치한 다양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디스플레이 보드에 사용된다. 펀칭시스템은 정밀한 위치 및 깊이 생성을 위해 총 4개의 엑추에이터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보드 상의 글자나 이미지의 반사효과와 빠른 생산성을 위하여 정밀한 구동 기구부를 개발하고 PID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반사되는 글자의 모양이나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GUI 프로그램과 PC기반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펀칭속도와 생성된 핀 홀의 깊이를 검사하여 본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a new automatic punching system that generates pinholes expressing texts or images on a plastic plate is developed. The pin-holed plate is used as a new glamorous display board reflecting colourful lights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nstalled on the edge side of the plate. The punching system has four actuators which work together to make multiple holes with accurate position and depth on the plastic plate. For even reflection of the lights from texts or images on the board and fast production of the pin-holed boards, we developed an accurate actuating structure of the system cooperating with a PID control algorithm. We also built a GUI-based integrated control system to help users easily design luminous texts or images on the plastic plate. Also, we conducted a performance test of the system to verify the punching speed and depth control of the pin holes on the plastic plate.

      • KCI등재

        방수형 경량 로봇팔의 설계 연구

        최형식(Hyeung-Sik Choi),조종래(Jong-Rae Jo),우명만(Myoung-Man Woo),서정민(Jung-Min Seo),주영도(Young-Do Ju),강정석(Jung-Suk Kang) 한국해양공학회 2013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7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method for a small waterproof 4?axis robot arm. An extens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orque applied to the robot joint as a result of the payload, as well as the design of the joint actuator capacity. In addition, a study was undertaken on the design of a waterproof joint actuator that works at depths greater than 10 m and the wiring design for a small waterproof connector to avoid obstructing the robot motion. Finally, a finite element method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strength of the designed robot arm link, and its stability was verified through a simulation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