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알코올의존환자에서의 제1형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호르몬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김철민,김성곤,김지훈,김현경,김미경,유정현,민은정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스트레스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CRHR1 유전자 SNP와 알코올 의존과의 연관성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백인을 대상으로 조사했던 기존연구와는 달리 한국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알코올 의존군과 정상 대조군의 CRHR1 유전자형 빈도 및 대립유전자형 빈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들은 알코올 의존군 268명(남자 218명, 여자 50명)과 정상 대조군 137명(남자 78명, 여자 59명)이었다. CRHR1 유전자 SNP를 SNP database와 선행연구를 근거로 선정한 후, 연구 대상자들의 이러한 SNP 유전자형을 PCRRFLP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CRHR1 유전자 SNPs로 7개(rs242938, rs404623, rs28364027, rs16940686, rs937, rs878886, rs878887)가 분석되었다. 이중 rs28364027의 A 대립 유전자의 빈도는 남녀 각각에서 알코올 의존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rs28364027의 AA 유전자형 및 A 대립 유전자와 rs878886의 CC유전자형 및 C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알코올 의존군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CRHR1 유전자 SNP가 알코올 의존의 유전적 원인의 중요한 요인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 이러한 CRHR1 유전자 SNP가 알코올 의존의 유전적 원인에서 남녀간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There were several preceding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dependence and corticotropine releasing hormone receptor1(CRHR1) gene SNP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ponse to stress. The frequencies of CRHR1 genotypes and alleles were compared between alcohol-dependent patients and normal control subjects. Methods:The subjects were 268 alcohol-dependent patients(218 males, 50 females) and 137 normal controls(78 male, 59 female). CRHR1 gene SNP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NP database and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ir genotypes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Results:Seven CRHR1 gene SNPs(rs242938, rs404623, rs28364027, rs16940686, rs937, rs878886, rs878887) were found in Korean subjects. The frequency of rs28364027 A alle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in both genders.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e frequencies of AA genotype and A allele of rs28364027, and of CC genotype and C allele of rs878886 were higher in female than male.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CRHR1 gene SNP is one of the important genetic factors in the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And also it is supposed that the different frequency of SNP genotype could explain stress-related gender difference in the genetic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 KCI등재

        24주간 추적하는 임상 연구에서 한국인 남자 알코올 의존 환자의 비재발률

        강철중,김성곤,남궁기,조동환,이병욱,최인근,최용성,박성봉,제영묘,김현경,김성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1

        Objetives : In order to provide useful data tbr the further clinical studies with Korean alcohol-dependent patients, enrollment and non-relapse rates were investigated while alcohol-dependent patients wcre followed up for 24 week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lcohol-dependent male patients who, for the first time, visited a hospital among 3 groups of hospitals, University Hospital, General Hospital or Mental Hospital, or those who needed to be followed up after discharge from those hospitals. After assigning 12 subjects to each hospital, we investigated enrollment and non-relapse rates whil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pharmacotherapy were provided. Results : 1) Forty-eight patients were enrolled and the rate of enrollment was 36.4%. The enrollment rate in the University Hospital group was 52.1%, in the General Hospital group 50.0%. and in the Mental Hospital group 10.4%. 2) In 48 patients, non-relapse rate was 27.1% at 12 week and 18.8% at 24 weeks after starting follow-up. It was 24.4% and 20.0% at 12 and 24 weeks, repectively, in the University Hospital group while the General Hospital group showed 33.3% and 16.7%, respectively, and the Mental Hospital Group showed 20.0% at both 12 and 24 weeks. Conclusion :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data for further clinical studies of Korean alcohol-dependent patients.

      • KCI등재후보

        Localiz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Number of Nodes and Branche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Hyeun Kyeung Kim,Sung Taeg Kang,Duck Yong Suh 한국육종학회 2004 한국육종학회지 Vol.36 No.4

        Number of nodes and branches are yield component characters whose expression are highly related with many other traits. In this study, a 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 of ‘Keunolkong’ and ‘Shinpaldalkong’ was evaluated with SSR markers to identify QTLs

      • SCOPUSKCI등재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Oligosaccharide and Sucrose Contents in Soybean (Glycine max L.)

        ( Hyeun Kyeung Kim ),( Sung Taeg Kang ),( Jun Hyeun Cho ),( Myoung Gun Choung ),( Duck Yong Suh ) 한국식물학회 2005 Journal of Plant Biology Vol.48 No.1

        Oligosaccharides and sucrose are very important nutritional components in soybean seed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ir inheritance. We used molecular markers to identify the genomic region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that controls oligosaccharide and sucrose contents in segregating F_(2:10) RI lines. Two related, but independent, QTLs were identified for oligosaccharides -- near marker satt546 on link-age group (LG) D1b+W and satt278 on LG L Four others, for sucrose content, were located at LG B1 (satt197), D1b+W (satt546), and L (satt523 and satt278). Finally, we found two common QTLs, on LG D1 b+W and L, that are associated with both oligosaccharides and sucrose.

      • KCI등재
      • KCI등재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for Seed Size and Fatty Acid Composition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in Soybean

        Hyeun-Kyeung Kim(김현경),Yong-Chul Kim(김용철),Sun-Tae Kim(김선태),Beung-Gu Son(손병구),Yong-Whan Choi(최영환),Jum-Soon Kang(강점순),Young-Hoon Park(박영훈),Young-Son Cho(조영손),In-Soo Choi(최인수)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8

        콩은 세계 유지작물시장에서 48%을 차지하는 중요한 작물이다. 콩 종실의 크기와 기름함량의 양적 및 질적개선이 콩 육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적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종실의 크기와 지방산조성을 조절하는 양적 형질 유전자좌를 밝히는 것이다. 큰올콩과 익산10호의 교배로부터 F2:10 세대의 재조합자식계통 115계통을 이용하였다. 협의 유전력 검정에서는 백립중이 0.72, 포화지방산(팔미트산 + 스테아릭산)이 0.60, 올레익산이 0.83과 리놀레익산이 0.77 및 리놀렌산이 0.81을 나타내었다. 백립중과 연관된 양적형질유전자좌는 염색체 1번, 3번, 8번, 9번과 16번 및 17번에 7개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은 염색체 17번과 19번에 2개의 독립된 양적 형질 유전자좌가 연관되어 있었다. 올레익산 함량에 대해서는 다섯 개의 독립적인 양적 형질 유전자좌가 염색체 7번, 11번, 14번과 16번 및 19번에서 확인하였다. 리놀레익산 함량에 대한 5개의 양적 형질 유전자좌는 염색체 2번, 11번, 14번과 16번 및 19번에 있었다. 리놀렌산 함량은 3개의 양적형질유전자좌가 염색체 8번과 10번 및 19번에 관련되어 있었다. 그리고 올레익산과, 리놀레익산 및 리놀렌산에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주요 양적 형질 유전자좌는 염색체 19번 이었다. Soybean [Glycine max(L.) Merr.] is an important crop, accounting for 48% of the world market in oil crops. Improvements in economic traits, such as quality and oil constituents, are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soybean breed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that control seed size and fatty acid contents in soybean. 115 F2:10 recombinant inbred lines (RIL) developed from a cross of 'Keunolkong' and 'Iksan10' were used. Narrow-sense heritability estimates based on a plot mean on 100 seed weight, saturated fatty acid (palmitic acid + stearic acid), and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 were 0.72, 0.60, 0.83, 0.77 and 0.81, respectively. The 100 seeds weight was related to seven QTLs located on chromosomes 1, 3, 8, 9, 16 and 17. Two independent QTLs fo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ere identified on chromosomes 17 and 19. Five independent QTLs for oleic acid content wereidentified on chromosomes7, 11, 14, 16 and 19. Five QTLs for linoleic acid content were located on chromosomes 2, 11, 14, 16 and 19. Three QTLs for linolenic acid content were located on chromosomes 8, 10 and 19.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had one major common QTL on chromosome 19. Thus,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 were identified as common QTLs.

      • KCI등재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for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 Soybean Seed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Hyeun-Kyeung Kim(김현경),Moo-Hyeog Im(임무혁),Myoung-Gun Choung(정명근)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콩의 oil은 식량유지 자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세계 식용유의 22%를 콩 oil이 차지하고 있으며 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영양학적인 요소이다. 이중 불포화지방산은 지방산 중에서 종자 구성물질들은 polygenetic 형질들로 되어있다. 본 시험은 큰올콩과×신팔달콩의 RIL 계통과 SSR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자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QTLs)를 탐색하였다. Oleic acid 함량과 관련된 QTLs는 7개의 연관군에서 8개의 마커가 확인되었으며, linoleic acid는 5개의 연관군에서 7개의 마커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linolenic acid는 5개의 연관군에서 각각 하나씩의 마커가 확인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 불포화지방산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QTL은 연관군 C1과 L이었다. Soybean oil is an important source of vegetable oil for human food and nonfood applications and accounts for approximately 22% of the world's total edible oil production.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oybean seed oil constitue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soybean breed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that control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in soybean. The 117 F2:10 recombinant inbred lines (RIL) developed from a cross of 'Keunolkong' and 'Shinpaldalkong' were used. Narrow-sense heritability estimates based on a plot mean on seed weight, protein and oil content were 0.85, 0.82 and 0.81, respectively. Eight independent QTLs for oleic acid content were identified from linkage group (LG) A2, C1, D2, F, G, L, and O. Seven QTLs for linoleic acid content were located on LG D1b, E, H, I and L. Oil content was related with five QTLs located on LG C1, H, J, K, and L.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have two common QTLs on LG C1 and L. Thus, we identified major loci improving soybean oil quality.

      • KCI등재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Germplasm Using RAPD

        Hyeun-Kyeung Kim(김현경),Young-Son Cho(조영손),Jae-Wan Yang(양재완),Young-Whan Choi(최영환),Jun-Soon Kang(강점순),Yong-Jae Lee(이용재),Beung-Gu Son(손병구)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차조기 유전자원의 유전적 특성 분석을 위해 차조기 유전자원의 유전적 변이를 DNA 수준에서 비교하고, 이들의 유전적 근연성 및 변이정도를 규명하여 유전 및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의 결과로서, RAPD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차조기 유전자원의 DNA polymorphism을 관찰한 결과 80개의 primer 중에서 22개의 변별력 있는 primer가 선발되었고 이들 22개의 primer는 총 224개의 band가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polymorphic band는 127개 이었다. UPGMA에 의한 유사도 계수는 0.72~0.94 이었고, 유사도계수 matrix를 이용한 유연관계의 분석 결과 차조기 유전자원 22계통은 하나의 큰 그룹과 하나의 작은 그룹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NTSYS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의 결과와 생육특성인 개화기, 성숙기, 경장, 분지수, 마디수와 화방군장 및 삭수와의 밀접한 관련성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Genetic variations of Chajogi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germplasms were investigated by using RAPD markers. Twenty-two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lines collected from various locations were subjected to RAPD analysis using 80 primers. Among them, only 22 primers showed polymorphic bands and these 22 primers provided a total of 224 bands consisting of 127 polymorphic and 97 monomorphioc bands. The polymorphic bands were subjected to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UPGMA method. From UPGMA, similarity co-efficiency of 22 Chajogi lines ranged from 0.72 to 0.94. The dendrogram of 22 lines obtained through the UPGMA method resulted in two groups (one major group and one minor group). Although the two groups were roughly consistent with growth phenotypes (period of flowering, period of maturity, stem length,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nodes, number of flower clusters and number of ovaries) in detail, much inconsistency also was present.

      • KCI등재

        Naltrexone과 ondansetron의 병합투여가 C57BL/6형 생쥐의 알코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Hyeun Kyeung Kim),김성곤(Sung Gon Kim),강철중(Cheol Joong Kang),박상익(Sang Ick Park),김원호(Won Ho Kim)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1

        알코올 의존의 음주 행동에 VTA에서 NA로 뻗어 있는 도파민 대뇌 보상 경로가 중요하다. 이러한 경로의 도파민 활성도가 5-HT₃계 신경에 의하여 조정되고 있으며, 5-HT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 (OND)이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음주량을 감소시키고 금주률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5-HT₃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의 투여 효과와, 이러한 ondansetron 및 비 특이적 아편계 수용체 길항제인 naltrexone (NTX)과의 병합 투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알코올 의존화된 C57BL/6형 수컷 생쥐를 4군으로 나눈 뒤, 10일간 각 군에 vehicle, OND 0.01 ㎎/㎏ 단독, NTX 1.0 ㎎/㎏ 단독, 및 OND 0.01 ㎎/㎏과 NTX 1 ㎎/㎏ 병합 투여하면서 2시간 알코올의 섭취량,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 군과 나머지 3군의 약물 투여군과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vehicle 투여군과 NTX 단독 투여군간에 유의한 교차가 관찰되었으나 (p=0.042), OND 단독 투여군과 NTX과 OND 병합 투여군은 vehicle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별 2시간 알코올 섭취량에 대하여 NTX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군간 비교시 vehicle 투여군에 비하여 NTX 투여군에서 약물투여 4일부터 10일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10; 6일 p=0.050; 8일 p=0.017; 10일 p=0.005). 그리고 NTX과 OND 병합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양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이 4일과 10일에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49; 10일 p=0.022). 그러나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군과 나머지 3 군의 약물 투여군과의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교차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OND의 투여 효과는 없었으며, OND과 NTX의 병합 투여시에는 NTX의 알코올의 섭취량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5-HT3 신경계와 도파민 및 아편 신경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opamine reward pathway projecting from ventral tegmental area to nucleus accumbens is well known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alcohol dependence. It is supposed that this dopamine pathway is modulated by 5-HT₃ nervous system, and it was reported that ondansetron (OND), 5-HT₃ receptor antagonist, reduced drinking amount and increased abstinence rate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OND and naltrexone (NTX), non-specific opioid receptor antagonist, on alcohol intake in C57BL/6 mice. In 40 C57BL/6 mice in the state of alcohol dependence, vehicle, while OND 0.01 ㎎/㎏, or NTX 1.0 ㎎/㎏ administrated respectively, or OND 0.01 ㎎/㎏ and NTX 1.0 ㎎/㎏ administrated simultaneously for ten days, medication effects on 2-hr alcohol, 22-hr water, 24-hr food intake and body weight were studied. When vehicle group was compared with 3 medication groups respectively, using a repeated measure ANOVA, NTX alone and vehicl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medication by time interaction (p=0.042) in 2-hr alcohol intake, but in the other 2 groups, OND and NTX combination group and OND alon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vehicle group in 2-hr alcohol intake.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no effect on alcohol intake in mice treating with OND, and naltrexone's suppression effect on alcohol intake in mice is attenuated when treating with OND and NTX simultaneously. It is supposed that a further study looking at the interactions of serotonin, dopamine and opioid nerves systems will be needed.

      • KCI등재

        콩에서 Microsatellite marker률 이용한 oil 및 단백질 함량의 양적형질 유전자좌의 분석

        Kim, Hyeun-Kyeung,Kang, Sung-Taeg 한국생명과학회 2004 생명과학회지 Vol.14 No.3

        Soybean oil and protein contents are very important as a nutritional component of food. The seed composition as oil and protein are polygenic traits. In this study, the Keunolkong${\times}$Iksan10 populations were evaluated with SSR markers to identify QTLs related to oil and protein contents. Three related independent QTLs near the marker satt100 on LG C2, satt546 on LG D1b+W and satt418 on LG L were identified oil contents. The three independent QTLs near the marker satt556 on LG B2, satt414 on LG J and satt238 on LC L were identified of protein conten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mon QTLs on LG L was associated with seed oil and protein content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seed composition material as oil and protein contents were mainly controlled by environmental stresses and they are seed size on genotypes. 콩의 oil 및 단백질은 식품에서 매우 중용한 영양학적인 구성요소이다. Oil및 단백질과 같은 종자 구성물질들은 polygenetic 형질들로 되어있다. 본 시험은 큰올콩과${\times}$익산10호의 RIL 계통과 SSR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oil 및 단백질 함량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QTLs)를 탐색하였다. Oil함량과 관련된 QTLs는 연관군 C2와 satt100과 연관군 DIb+W의 satt546및 연관군 L의 satt418의 세 개의 독립적인 QTLs를 확인하였다. 단백질 함량에 있어서는 연관군 B2와 J 및 L에 각각 satt556과 satt414 및 satt238의 marker에서 독립적인 QTLs를 확인하였다. 본시험의 결과, oil 및 단백질 함량과 관련된 공통의 QTL은 연관군 L이었다. 한편, oil 및 단백질과 같은 종자구성물질은 주로 환경적인 stress및 종자의 크기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