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조직생활 의례와 사회적 장의 정치화

        정향진 ( Hyang Jin J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1

        이 논문은 생활총화라는 북한 특유의 정치의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 주민들이 생활하는 사회적 장의 관계적ㆍ정의적 특징 및 사회적 장이 체제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징발되는 방식을 추정한다. 의례로서 생활총화는 북한 국가가 기초하고 있는 특정한 사회적 질서를 엄격한 예식 절차 속에서 재현함으로써 그 질서를 지속적으로 복구하고 환기시킨다. 생활총화는 수직 관계축에서 수령과 인민의 관계, 그리고 수평 관계축에서 인민들 사이의 관계, 각각에서 형성되는 두 차원의 사회성을 예식의 질서 속에서 특유의 의례적 의사소통으로 화합시키고자 한다. 이상적으로, 생활총화는 사회적 장의 친숙성과 수령(어머니당)-인민 간의 친밀성을 하나의 의례 속으로 들여와서 상호 버팀목이 되도록 한다. 친숙성의 관계적ㆍ정의적 자원으로써 친밀성의 성사를 이루어내고 그 성사의 경험은 다시 친숙성의 사회적 장으로 환원되어 주민들이 서로를 “한식솔”로 친밀화하도록 한 기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친밀성과 친숙성은 “마음”의 서로 다른 차원에 각기 기대고 있으며 의례의 강제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의 관계적ㆍ정의적 경험에서 융합되기 어렵다는 데에서 생활총화의 고유한 긴장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about the way in which the two forms of sociality, sociability and intimacy, are drafted in to serve the political purpose of the state in North Korean life, focusing on a uniquely North Korean political ritual, “conduct review (saenghwal chonghwa).” The weekly session of conduct review requires making criticisms about one’s own and someone else’s conduct in collective life. It is designed to be a politicoreligious service to the Father Leader and the Mother Party that takes its offerings from the everyday social field. Ideally, the intimacy of the political parent-child bond and the sociability among the people are to buttress each other, so as to make One Big Socialist Family that is North Korea. Yet despite the enforcement of the ritual structure, I surmise, it is not easy to merge intimacy and sociability into routinized communitas, particularly at a time when market economy is developing and outside information is becoming available more than ever.

      • KCI등재

        문화적 과정으로서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위한 비판적 고찰-

        정향진 ( Hyang Jin J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글은 교육을 인간 문화의 핵심적 토대로서 이론화하기 위해 교육의 개념 및 속성, 인간 학습과 문화에 있어서의 교육의 역할, ‘사회화’와 ‘교육’의 구분, 문화의 두 차원과 관련한 교육적 과정의 이중성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교육에 대한 규범적 접근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교육인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현실적인 교육 개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인간 학습의 특수성을 문화적 학습의 개념으로 살펴보고, 문화적 학습을 촉진하는 활동으로서 교육이 인간 고유의 활동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교육은 인간의 종(種) 보편적 행위이지만 특수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수행되는 바, 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두 차원은 문화 자체의 두 차원과 관련된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상보적인 두 개념, 즉 보편주의적 문화 개념과 상대주의적 문화 개념을 검토하고, 이것이 교육의 이중적 차원과 연결되어 있음을 논의한다. 교육은 개인이 문화에 적응하도록 하게 하는 동시에 문화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동적인 과정인 바, 교육을 문화와의 관련 속에서 볼 때 기존의 ‘사회화’와 ‘교육’에 대한 이분법 및 교육에 대한 규범적 접근 대신, 보다 포괄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 of education that enables us to approach education in a more inclusive and realistic way, going beyond limitations of a prevailing, value-centered approach to education. In so doing, it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ultural learning, and identifies education as a quintessential human activity. Education is a species-universal phenomenon in human, yet it is carried out in particular cultural contexts. These two dimensions of education,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re linked with the two dimensions of culture. Thus two contrasting culture concepts, universalist and relativist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dual nature of education. Educ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 dynamic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are led to adapt to their culture, at the same time that culture is asked to meet the needs of the individuals. Education being conceptualized in this light, a dichotomy between "socialization" and "education" cannot be held. The paper claims that this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better serves the anthropology of educ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감정의 인류학

        정향진 ( Hyang Jin J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3

        감정은 핵심적으로 자아와 사회적 세계와의 관련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관계의언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의 인류학을 한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행위자를 관계속에서 느끼는 주체로서 파악하는 데에서 출발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정의적 과정을 사회문화적 과정의 주요한 측면으로 기술·분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첫째, 인류학적 연구를 위한 감정의 개념적 정의를 제시하고 또한 감정의 속성과 기능을 네 국면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둘째, 각 국면에 대한 고전적인 감정이론을 살펴보고 해당국면에 초점을 맞춘 인류학적 연구들을 예시한다. 그리하여 감정을 인류학적 연구의 한 영역으로, 민족지 서술의 중요한 측면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초를 세우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otentialities and possibilities of the anthropology of emotions, by reviewing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ethnographic case studies of emotional life in relation to classical emotion theories. The four phases of emotion bodily feeling, cognitive appraisal,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motivated behavior- are used as a framework for review. It is emphasized that emotion centrally concerns the self-other relation and as such, constitutes a language of social relationality; that the social actor is necessarily a“ relational feeling subject, ”rendering affective experiences as an important part of sociocultural processes. The aim of the review is to situate emotion in the wider context of anthropological research and ethnographic writ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논문 : 북한 가족주의 체제의 모성적 토대: 보건의료부문을 중심으로

        정향진 ( Hyang Jin J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4 통일과 평화 Vol.6 No.1

        이 글은 북한 보건의료부문의 선전선동에서 사용되는 토착심리학적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가족주의 체제의 중요한 차원 하나가 모성성에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보건의료부문의 사상적 지침이자 대중동원체제인 정성운동은 가족 관계에서 배태되는 토착심리학적 범주들을 조직적으로 담론화하고, 그럼으로써 공산주의라는 외래 이데올로기를 토착심리의 지평 속으로 끌어들이는 효과를 거둔다. 이때 핵심이 되는 토착심리학적 범주인 육친적 사랑과 정성은 가족 관계 중에서도 모-자녀 관계에 토대한 것인바, 김일성과 김정일의 저작, 로동신문의 기사문, 그리고 보건의료부문 선전영화는 모-자녀 관계의 애착과 정신역동이 정치화되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보건의료부문의 선전선동에서 모성적 주제가 두드러지는 것은 당이 곧 ‘어머니’이며, 보건의료부문 종사자들은 ‘어머니당’의 보살핌을 최전선에서 수행하는 전사들이라는 것과 연결된다. 보건의료부문의 사례는 특히 당의 역할을 고려할 때 북한 국가체제의 가족주의적 성격이 부-자 중심의 유교적 가치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을 예시한다. While the North Korean family state has been largely accounted for in terms of the patrilineal and patriarchal principles of Confucianism, this article argues for the maternal side of the North Korean family state, by examining familial metaphors employed in the propaganda efforts in the medical care sector. Maternal love and care is figured centrally in the familial metaphors in the three sites of propaganda efforts examined in this article: writing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model cases reported on Rodong Sinmun, and a propaganda film. A case in point is the popular campaign of the medical care sector, called devotion movement. The campaign illustrates that the primordial attachment and psychodynamics nurtured in the mother-child dyad is appropriated for the loyalty to the Party, by way of care narratives that profusely utilize certain cultural categories of affect closely related to mothering. This well resonates with the fact that the Party is called the Mother in North Korea, the medical care workers being Her warriors.

      • KCI등재

        담임학급제도에서 나타나는 가족비유와 가족주의

        정향진(Hyang Jin J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20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homeroom class as a cultural institution in South Korean school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affective tie between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students. Homeroom is a universal feature of Korean schooling at both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in which a group of students are assigned to a teacher for one academic year for general guidance in their education. Based on two ethnographic research studie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early 1990s and the early 2010s respectively, I find continuities as well as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sychocultural underpinnings of the homeroom institution. A strong continuity was that teachers view "raising persons" as the ultimate educational goal and center their educational practices on the building of affective ties modeled after the one between the parent and the chil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raising persons." Practicing a "parent`s heart" then becomes an educational imperative, by which students are viewed as one`s "children" to be cared for with jeong. This familial model is most strongly applied within the boundary of a homeroom class, as manifest in family metaphors employed by teachers. One remarkable change was that compared to the early 1990s, when a homeroom functioned as a collective unit for educational achievements, in the early 2010s, a homeroom has come to be positioned more as an affective community for soci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디자인 전문인력 수요 전망

        정향진 ( Hyang Jin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6 No.-

        디자인산업은 21세기 산업의 키워드로 부상할 만큼,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산업 부가가치율은 42.9%로 과거의 주력산업인 자동차(17.0%), 섬유(21.0%), 반도체(31.6%)에 비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산업 전반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서 역량 있는 디자인 전문 인력의 양성은 매우 중요한 고용정책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산업의 향후 5년간의 인력수요에 대하여 정성적 전망을 실시하였다. 디자인 전문인력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산업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직업을 기준으로 인력 수요를 전망하였으며, 전망 대상 직업은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체계에 따라 제품디자이너, 패션디자이너, 실내장식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웹 및 멀티미디어디자이너 등 디자인 관련 세분류(4-digit)를 기준으로 관련 직업을 선정하고 전망하였다. It is widely known that design industry has been emerged as one of key factors of strength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a nation, determining its level of competitiveness in 21st Century. Value addition ratio of 42.9% of our country`s design industry contributes larger in comparison to those of our past major industries including automobile (17.0%), textile (21.)%) and semiconductors(31.6%). Development of design manpower with high competence is of high significance to national employment policy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dustry`s contribution to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of industries and value creation of overall industry.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stimate demand forecast on manpower for the next five years of the industry. As designers work in wide range of industrial sectors, the forecast is made on the basis of jobs. Segmentation of each job function is made in compliance with specification details (4 digit) like product designer, fashion designer, interior designer, visual art designer, and web&multimedia designer as is classified by Korea Employment Corporation(KECO)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