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다와 베냐민 지파 분쟁에 나타난 상생과 상극 -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다윗 여정의 신학적 재고(삼하 2:1-5:5; 19-20장) -

        안한나(Hannah S. A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0 Canon&Culture Vol.14 No.1

        유다와 베냐민 지파와의 국론적인 갈등과 분쟁은 사무엘하의 도입부(2-5장)와 결론부분(19-20장)을 에워싸면서 전체 내러티브 구조의 긴장감을 지탱한다. 전반부는 다윗이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가기 전 곧 예루살렘에서 온 이스라엘 왕으로 등극하기 전 일어난 상황이고, 후반부는 다윗이 압살롬으로 인해 마하나임에서 예루살렘으로 다시 귀환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특히 다윗이 우리아의 아내를 취한 사건(11장)을 기점으로 대립의 양상과 해결이 전과 후 다른 역동성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통시적인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문예적인 관점에서 상기 두 지파간의 이견과 상황 전개를 비교 대조하여 신명기 사가가 다윗을 어떻게 묘사하는지 살펴본 후 신학적인 함의를 고찰한다. 구조적인 면에서 중첩되는 부분은 헤브론과 마하나임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역설적인 왕의 이동들과 기브온에서 펼쳐지는 각 지파의 군장들의 전면전이다. 이런 구조적인 틀 아래 드러나는 문예적인 강조점은 지파 간의 분열에 대한 신명기 사가의 의도를 엿볼 수 있게 한다. 결론적으로 이스라엘의 극심한 대립과 분열의 근본적인 진원지는 쉐마의 언약적 사명을 감당치 못한 다윗 자신이며 통일 왕국의 존속 기반은 오직 여호와의 주권적 은혜에 달렸고 그의 공평과 정의를 구현하지 않고는 한국 사회 공동체의 샬롬이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한국 교회에 제시하고 있다. The account of tribal strife between Judah and Benjamin conspicuously marks the beginning (2 Sam 2-5) and the ending (2 Sam 19-20) of 2 Samuel. The former account is part of the narrative of David’s journey to kingship over all Israel from Hebron to Jerusalem, and the latter occurs during David’s flight to Mahanaim and his return to Jerusalem. The dynamics of tribal conflict and its resolution varies before and after the pivotal incident of David’s affair with Bathsheba (2 Sam 11). This article attempts to trace the Deuteronomist’s portrayal of David by juxtaposing it with the narrative accounts of tribal strife between Judah and Benjamin (2 Sam 2:1-5:5; 19-20) and drawing theological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in S. Korea. The structural correspondences between these narrative units point to the ironic displacement of kings between Hebron and Mahanaim and th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commander of each tribe. The literary emphasis that emerges under this structural arrangement suggests that David himself— who failed to carry out the covenantal duty of the Shema (Deut 17:14-20)—is responsible for the intense conflict and schism of all Israel. This in turn highlights that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united monarchy is contingent upon Yahweh’s sovereignty and Israel’s manifestation of His loving rule over the oppressed.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Yahweh’s justice and righteousness within the marginalized and fragmented Korean society is critical for the ultimate unification of Korea. To this end, Korean churches must play a leading role in initiating the reform movement as a catalyst by harkening to Deuteronomist’s message for all Israel.

      • KCI등재

        THE ASCENDANCY OF JEHOIADA (2 CHRON. 23:1-21) IN THE ORDER OF ELEAZAR (NUM. 27:12-23)

        AN Hannah S.(안한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3

        모세를 잇는 여호수아의 임명식(민 27:12-23)과 요아스의 유다 왕위계승 사건(대하 23:1-21)은 비슷한 개념의 제사장적 역할을 소개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아론계 제사장들인 엘르아살(민 27:15-23)과 여호야다(대하 23:1-12)가 각 내러티브 안에서 이스라엘 백성의 차기 통치자를 합법적으로 세우는 데 결정적인 지도적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두 본문을 면밀히 살펴보면 대제사장의 지위가 이스라엘 백성들과 레위인들의 군사 및 정치적 지도자 위에 일관성 있게 부각되는 점을 알 수 있다. 민수기 27:12-23의 계승 내러티브에서 대두되는 것은 모세와 아론의 지도 체제와 같은 여호수아와 엘르아살의 양두(兩頭) 지도 체제가 아니다. 곧 엘르아살이 아론처럼 대제사장으로서 제의적 역량을 발휘하면서도 여호와와 여호수아의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함으로 오히려 여호수아보다 우월한 역할을 감당한다. 이 사실은 역대기의 저자가 여호야다(대하 23:1-21)의 대세를 제사장적인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이 어떤 수사학적 논리를 사용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필자는 역대기서 본문의 몇 가지 특징적인 문예적 요소들을 고찰함으로 역대기 저자가 어떻게 열왕기의 평행본문(왕하 11:4-21)의 저자와는 달리 여호야다의 제사장적 지위를 군사 및 정치 지도자나 레위인들 위에 강조하는지 밝히려 한다. 특히 필자는 솔로몬에서부터 히스기야에 이르는 본문을 חזק의 히트파엘 동사형을 중심으로 연구해 본 바 이 용어가 주로 왕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본문에 쓰였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왕들의 본문에서 나타난 חזק의 히트파엘 동사형의 경우에는 그것을 보완하는 다른 부가적인 설명들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역대기 저자가 חזק의 히트파엘 동사형을 솔로몬의 통치(대하 1:1-3)와 연결시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The account of Joshua’s succession of Moses in Num. 27:12-23 and that of Joash’s ascent to Judah’s throne in 2 Chron. 23:1-21 feature a similar concept of priestly leadership. Notably, Eleazar (Num. 27:12-23) and Jehoiada (2 Chron. 23:1-12) figure prominently in the narratives as the key sacerdotal agents to legitimate the succession of the subsequent leader of the Israelites. A careful evaluation of the narrative scheme of both texts (Num. 27:12-23 and 2 Chron. 23:1-21) indicates that the status of the high priest is consistently upheld over the military/political leader of the Israelites and the Levites. In the succession narrative of Num. 27:12-23, the emerging picture is not the diarchic leadership of Joshua and Eleazar modeled after that of Moses and Aaron. In fact, Eleazar assumes the religious capacity of Aaron as the high priest, while remaining superior to Joshua by playing a mediating role between YHWH and Joshua. This understanding serves to illuminate the Chronicler’s rhetorical rationale underlying the priestly rendition of Jehoiada’s rise in 2 Chron. 23:1-21.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Chronicler, deviating from the synoptic counterpart in 2 Kings 11:4-21, heightens Jehoiada’s priestly status—especially over the military/political leader and the Levites. A further examination of the Chronicler’s account from Solomon to Hezekiah with a special focus on hithpael form of חזק suggests that the term is generally incorporated in the narratives to describe royal figures in a positive light. In this vein, the occurrence of the hithpael form of חזק in Jehoiada’s case in literary association with Solomon’s reign (2 Chron. 1:1-3) serves to underscore the Chronicler’s ideological emphasis.

      • KCI등재

        Reading Matthew’s Account of the Baptism and Temptation of Jesus (Matt. 3:5–4:1) with the Scapegoat Rite on the Day of Atonement (Lev. 16:20–22)

        Hannah S. An(안한나)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8 Canon&Culture Vol.12 No.1

        마태복음에 기록되어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와 광야시험(마 3:13-4:11)의 본문에는 구약의 집적 및 간접 인용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제까지 마태의 본문(마 3:13-4:11)과 관련해 창세기, 출애굽기, 민수기 그리고 신명기에 대한 문학적 및 신학적 연관성은 충분히 논의됐지만 레위기와의 연계성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레위기의 규례 가운데 특히 대속죄일에 대한 지침이 기록된 16장 20~22절을 중심으로 마태가 서술한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에 초기의 두 사건, 즉 주님의 세례와 시험사건을 비교 연구해 두 본문의 상호 연계성으로 도출되는 신학적 의미를 조명하려 한다. 두 본문의 주석적 비교 분석을 통해 필자는 대속죄일의 희생양 제의식이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 시험과 십자가의 죽음에 대한 마태의 증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적 토대를 마련한다고 주장한다. 레위기 16장(20-22절)과 마태복음 3장(15~17절)의 유형적 일치점은 공동체적 회개, 집합적인 죄의 전가와 속죄, 그리고 광야로 추방되는 희생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아울러 필자는 세 폭 제단화(triptych)의 비유를 빌어 이 해석이 마태복음의 본문과 관련된 창세기(22장) 및 신명기(6-8장)와 대비되어 상호본문적인 측면에서 마태복음의 복합적 문예성(composite artistry)의 이해를 돕는다고 결론짓는다. Commentators have observed numerous Old Testament quotations and allusions in Matthew’s account of Jesus’s baptism and his wilderness temptation (Matt. 3:13 4:11). However, no serious exegetical inquiry has yet been made to survey the Matthean texts (Matt. 3 4) in light of Leviticus 16. This article sets out to examine Matthew’s version of the two inaugural events of Jesus’s public ministry, Jesus’s baptism and his temptation (Matt. 3:13 4:11),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Leviticus 16:20 22. The exegetical evaluation yields the conclusion that the scapegoat ritual of the Day of Atonement (Lev. 16) serves to elucidate Matthew’s witness of Jesus’s baptism, temptation and crucifixion coherently. After his baptism, Jesus emerges as God’s “beloved” Son and perfect atoning sacrifice, who takes “all” sins of Israel to “fulfill all righteousness,” and his beloved sonship challenged by the devil until the crucifixion (Matt. 3:15 17; 27:40, 43). The formal correspondences traceable in Matthew’s Gospel vis-à-vis Leviticus 16 include communal repentance, transference and atonement of aggregate sins, and banishment of the scapegoat into a demon-inhabited wilderness. This inner-biblical interpretation further sheds light on the literary artistry of Matthew’s Gospel (Matt. 3 4), in which allusions to Genesis 22 and Deuteronomy 6 8 are artistically juxtaposed with Leviticus 16 in a triptych layout.

      • KCI등재

        The Peshat of the Medieval Sages and the Sensus Litteralis of Martin Luther

        Hannah S. An(안한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90 No.-

        마틴 루터는 그의 성경 주석에서 문자적(sensus litteralis) 해석을 일관적으로 견지한다. 실제로 문자적 해석의 도입 근간은 이미 주후 11세기 중반부터 프랑스를 거점으로한 유대인 학자들에게서 나타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은 라쉬(Rashi)이다. 라쉬의 문자적(peshat) 해석은 유럽의 유대교와 기독교 성서학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람반(Ramban), 이벤 에스라(Ibn Ezra)외에도 루터의 주석에서 자주 인용되는 니콜라의 리라(Nicholas of Lyra)와 불고스의 바울(Paul of Burgos)의 주석에서도 라쉬의 해석적 견해와 이름이 자주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문자적 해석의 방법론을 동일하게 지향하는 이들의 성서해석을 살펴보면 각기 저자들이 다른 전제를 토대로 의견을 개진하거나 상이한 결론을 내리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창세기 22장의 일부분을 선택해 라쉬, 람반, 이벤 에스라 및 루터가 어떻게 소위 ‘문자적’ 해석을 적용하는지 연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특별히 창세기 22장 12절에 대한 루터의 문자적 해석이 그의 신학의 핵심을 이루는 이신칭의(以信稱義)가 야고보의 이행칭의(以信稱義)에 비해 어떻게 성서적 당위성을 선점(先占)하는지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이기도 하다. 아울러 아직 상당 부분 라틴어 사본에서 미번역된 리라와 불고스의 주석적 견해를 살펴보고 루터가 어떻게 이들의 해석적 견해를 취사선택하는지 고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루터는 라쉬가 페샤트(peshat)와 드라쉬(derash)의 동반적 관계의 틀 아래서 문자적 해석을 시도한 것과 같이 문자적(sensus litteralis) 해석과 영적(sensus spiritualis) 해석의 역동적인 관계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언급된 유대인 해석가들과는 달리 루터는 자주 삼위일체적인 해석을 시도했고 결국 그의 거시적 명제인 복음/믿음과 율법/행위의 구분은 루터의 해석학적 시금석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틴 루터는 그의 성경 주석에서 문자적(sensus litteralis) 해석을 일관적으로 견지한다. 실제로 문자적 해석의 도입 근간은 이미 주후 11세기 중반부터 프랑스를 거점으로한 유대인 학자들에게서 나타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은 라쉬(Rashi)이다. 라쉬의 문자적(peshat) 해석은 유럽의 유대교와 기독교 성서학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람반(Ramban), 이벤 에스라(Ibn Ezra)외에도 루터의 주석에서 자주 인용되는 니콜라의 리라(Nicholas of Lyra)와 불고스의 바울(Paul of Burgos)의 주석에서도 라쉬의 해석적 견해와 이름이 자주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문자적 해석의 방법론을 동일하게 지향하는 이들의 성서해석을 살펴보면 각기 저자들이 다른 전제를 토대로 의견을 개진하거나 상이한 결론을 내리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창세기 22장의 일부분을 선택해 라쉬, 람반, 이벤 에스라 및 루터가 어떻게 소위 ‘문자적’ 해석을 적용하는지 연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특별히 창세기 22장 12절에 대한 루터의 문자적 해석이 그의 신학의 핵심을 이루는 이신칭의(以信稱義)가 야고보의 이행칭의(以信稱義)에 비해 어떻게 성서적 당위성을 선점(先占)하는지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이기도 하다. 아울러 아직 상당 부분 라틴어 사본에서 미번역된 리라와 불고스의 주석적 견해를 살펴보고 루터가 어떻게 이들의 해석적 견해를 취사선택하는지 고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루터는 라쉬가 페샤트(peshat)와 드라쉬(derash)의 동반적 관계의 틀 아래서 문자적 해석을 시도한 것과 같이 문자적(sensus litteralis) 해석과 영적(sensus spiritualis) 해석의 역동적인 관계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언급된 유대인 해석가들과는 달리 루터는 자주 삼위일체적인 해석을 시도했고 결국 그의 거시적 명제인 복음/믿음과 율법/행위의 구분은 루터의 해석학적 시금석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A Canonical Reconsideration of the Song at the Sea (Exod 15:1-21)

        Hannah S. An(안한나)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1

        최근 성서 학계는 전통적으로 모세의 저작으로 여겨진 ‘홍해에서의 노래’(출 15:1b-18)가 원래 미리암의 것이었다는 주장을 여러 비평학적인 가정들을 통해 점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특히 J. Gerald Janzen은 정경적인 독법을 통해서도 출 15장의 본문이 미리암 전승의 선재성을 지지함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해 주목을 받고 있다. 반면 필자는 출애굽기 내러티브에 나타난 ‘홍해에서의 노래’의 최종 형태가 모세의 선창을 기술한다는 것을 관련된 본문의 정경적인 독법을 통해 밝힌다. 특히 필자는 Janzen이 주장하는 회상적 기능의 כ י (출 15:19)가 Isaac Rabinowitz의 편집적 기능의 א ז (출 19:1a)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더 나아가 필자는 출 14:22-15:21에 나타난 이중 구조적 문예장치(the double-envelope structure)가 홍해 도강을 에워싼 내러티브의 연계성과 역동성을 이해하는 결정적인 해석학적 열쇠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홍해에서의 노래를 드보라와 한나의 승전가(삿 5; 삼상 2)와 비교할 때, 출 15:2에 나타난 ‘내 아버지의 하나님’과 같은 신적 존칭들은 기존의 정경적 형태가 결정적으로 모세를 ‘홍해에서의 노래’의 선창가로 지목하고 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working from a variety of critical assumptions endorse the idea that the Song at the Sea (Exod 15:1b-18), which is traditionally associated with Moses, should be attributed, instead, to Miriam. This article examines J. Gerald Janzen’s contribution supporting the Miriamic priority based on a canonical reading of the exodus narrative. A close reading of the relevant biblical texts, however, indicates that the final form of the exodus account affirms the Mosaic initiative of the song. The purported function of the analeptic כ י in Exodus 15:19 does not hold up in the broader narrative scheme of Exodus 14-15, especially in light of Isaac Rabinowitz’s thesis of אז as a literary device in Exodus 15:1. The present author argues that the double-envelope structure (Exod 14:22//14:29; 15:1//21) created by the distinct literary features of Exodus 14:22-15:21 provides the interpre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narrative dynamics of the events surrounding the Song at the Sea. Moreover, the divine ascriptions in the Song at the Sea (Exod 15:2), in contrast to the songs of Deborah and Hannah, evince that the present literary form of the Song at the Sea (Exod 15:1b-18) places the song first on Moses’s lips.

      • KCI등재후보

        SAUL, DAVID, AND GOLIATH IN THE QURʾĀN (Q 2:246-251): READIN G TAʾRĪKH AL-ṬABARĪWIT H AL-THAʿLABĪ AND AL-QURṬUBĪ

        Hannah S. An(안한나)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2021 Muslim - Christian Encounter Vol.14 No.2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이나 기독교의 성경이 변조되거나 잘못 해석되었다고 가르치는 이슬람교의 전통적 개념인 타리프(taḥrīf)에도 불구하고, 중세 이슬람 세계의 일부 꾸란 학자들은 꾸란 주석과 이슬람의 역사적 연대기에서 타 아브라함 종교의 전승인 이스라일리얏(Isrā ’īliyyāt)을 다소 관대하게 차용하여 전유했다. 이 논문은 수니파의 알-타바리(al-Ṭabarī, 10세기)와 알-탈라비(al-Thaʿlabī, 11세기) 그리고 안달루시아의 알-꾸르투비(al-Qurṭubī, 13세기)와 같은 꾸란 학자들의 고전적 문헌에 초점을 맞춰 그들이 꾸란에 명시된 사울, 다윗, 골리앗(Q 2:246-251)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꾸란 외의 정경적 자료를 어떻게 다뤘는지 고찰한다. 이제까지 영미 학계는 어느 정도 알-타바리의 『예언자와 왕의 역사』와 알-탈라비의『예언자들의 삶』을 개별적으로 다루었지만, 이들이 역사적 서술에서 해당 꾸란 본문을 주해하면서(Q 2:246-251) 히브리어 성경/구약의 자료를 어떻게 암시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알-타바리를 인용하고 있는 알-탈라비의 역사적 주해와 알-꾸르투비의 꾸란 주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이 두 학자의 중첩되고 상반되는 부분을 선별된 꾸란 본문에 한해(Q 2:246-251) 분석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알-탈라비와 알-꾸르투비 둘 다 알-타바리의 이슬람적 이념의 궤적과는 같이 하지만 유대교와 기독교 자료를 활용 및 인용하는 데 있어 서로 현저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관용적 주해 성향이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을 통해 꾸란의 해석적 공란을 채우려는 지나친 학문적 열성이며 꾸란의 근원적인 가르침을 타협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면밀히 살펴보면 상기 중세 무슬림 학자들 은 꾸란에 대한 진지한 경의를 토대로 꾸란 외의 전승을 능숙하게 다룸으로써 이슬람의 역사적 유산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Despite the Islamic concept of taḥrīf, which teaches that the Jewish and Christian Scriptures have been altered or misinterpreted, some of the post-quranic scholars of the medieval Islamic world were known to have appropriated them rather liberally in their Qurʾān commentaries and historical narratives. This paper focuses on the celebrated works of the quranic scholars, such as al-Ṭabarī, al-Thaʿlabī, and al-Qurṭubī, to examine their engagement with the extra-quranic sources, specifically in their exploration of Saul, David, and Goliath (Q 2:246-251). Previous scholarship has treated al-Ṭabarī ’s History of the Prophets and Kings and al-Thaʿlabī’s Lives of the Prophets quite independently, but no sufficient study has been done to shed light into gauging the remarkable nature of their appropriation of the Hebrew Bible/Old Testament sources in bolstering their Islamic agenda. Along with comparing the historiographical exposition of al-Ṭabarī and al-Thaʿlabī, this study provides an additional comparative vantage point by probing into al-Qurṭubī ’s quranic commentary, whose tendency is to minimize the incorporation of the extra-quranic material, albeit embracing al-Ṭabarī’s reports. The analysis of this inquiry yields that both al-Thaʿlabī and al-Qurṭubī subscribe to al-Ṭabarī’s History in their exegetical treatise, but markedly deviate from one another in their deployment of the Jewish and Christian material. However, this does not imply that these post-quranic scholars compromi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Qurʾān in their zeal to extrapolate the interpretative lacunae by means of the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Rather, a careful examination reveals that all these Muslim scholars strove to articulate the Islamic ideals through skillfully adapting extra-quranic data with due reverence for the Qurʾān—a revealing fact that the religious texts of the two monotheistic traditions served as a buttress to better define their Islamic legacy.

      • The Tamar story (Gen 38) and the Esther story (Esth 2–8) : an intertextual reading

        안한나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8 Torch Trinity Journal Vol.21 No.2

        창세기 38장의 유다와 다말 사건은 창세기 37~50장에 나타난 요셉과 그의 형제들의 이야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문예적 연결점이다. 이는 에스더서(2~8장)가 요셉의 이야기(37~50장)와 어떤 상호본문적 관계성을 가졌는지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제까지 에스더서와 창세기 두 본문의 상호본문적 관계의 논의에서는 에스더가 어떻게 요셉, 유다, 그리고 야곱과 신학적 연관성을 가지는지 많은 연구가 진전되었다. 그러나 정작 에스더와 다말의 문예적 및 주제적 접촉점에 대해서는 학계 관심이 결여된 바이다. 본 논문은 에스더와 다말, 아하수에로와 유다, 그리고 모르드개와 요셉의 대비를 통해 에스더 2-8장에서 도출할 수 있는 신학적 강조점을 고찰해 보았다. 특별히 주목할 만한 상호본문적 교차점은 내러티브 설정의 극대화를 위한 수사학적인 유사점과 반전의 문예적 장치에 있다. 예컨대 두 여인은 상대남에게 일련의 질문과 역제안(counter-proposition)을 통한 치밀함을 보였고 긴박한 위기가 해소되기 전 자신들의 신분을 밝혀야 했다. 결국 에스더는 민족을 위해 목숨을 담보하며 왕에게 나아갔고 다말은 자신과 태아의 목숨을 걸고 유다와의 담판을 끌어냈다. 다말과 에스더의 결정적이고 기개 있는 믿음의 행동은 동시에 사울을 압도한 다윗과도 상호본문적으로 연결된다. 이점은 에스더서의 신학적 강조점이 다윗 왕조의 부활을 염원하는 포로기 공동체의 열망을 투영한다고 볼 수 있다.

      • Rereading Judah's story in light of the near-sacrifice of Isaac (Gen 22:1-19)

        안한나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9 Torch Trinity Journal Vol.22 No.2

        이삭을 번제로 드리려 했던 아브라함의 이야기(창 22장)와 유다가 베냐 민을 대신해서 목숨을 담보로 내어 드리는 이야기(창 43-44)의 문예적 연 계성은 성서학계에서 그다지 비중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두 내 러티브 단락의 상호본문적 관계를 연구하여 아버지와 아들의 모티브를 포 함한 일련의 문예적 기법이 어떻게 창세기 37장과 38장에 나오는 유다의 역할을 조명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아브라함과 이삭(창 22장), 야곱과 유다/요셉(37-38장) 및 야곱과 유다/베냐민(43-44장)의 구조적 ‘ 틀거리’(structural framework) 안에서의 문예적 요소들은 요셉에 대한 유다의 우월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상호본문적 단서들을 제공한다. 흥미롭 게도 이 상호본문적 일치점들은 요셉 이야기 안(창 37-50)에서 간헐적으 로 나타나는 이삭과 이스마엘의 대비에 대한 수사적 강조점을 좀 더 일관 성 있게 설명하는데 기여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