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을선전>의 갈등구조에 은폐된 혼속의 의미 -박문서관 활자본을 대상으로-

        신해진 ( Shin¸ Hae-ji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69 No.-

        이 글은, 조선조 혼인 풍속의 변천을 살피면서 <정을선전>의 갈등구조에 은폐된 혼속의 양상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조선은 개국 시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아 종법(宗法)을 통해 성리학적 도덕성을 함양하고 실천하고자 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조선 초기 혼인 풍속이었던 ‘남귀여가(男歸女家)’의 방식을 친영례(親迎禮)로 변모시키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지만, 조선후기까지도 완전한 친영례는 이루어지지 않고 남귀여가혼의 영향 아래 반친영(半親迎)의 혼속이 이루어졌다. <정을선전>은 바로 이러한 반친영의 혼속을 갈등구조에 은폐하고 있는데, 이를 보다 자세히 살피기 위해, 먼저 작품의 전체적인 갈등구조를 탐색하였다. 작품 전반부 갈등의 단락 구성은 혼사 장애를 구현하기 위해 계모형 가정소설의 학대담 모티프를 차용하였고, 후반부 갈등의 단락 구성은 전반부에 나타난 ‘혼사 장애’에 따른 정실 자리의 어지러움에 대한 해소를 구현하기 위해 처처사이의 애정 갈등담을 차용한 것이라고 보았다. 결국 <정을선전>은 유기체적 연관성의 갈등구조를 지닌 작품으로, 이러한 갈등구조에 반친영례의 예식을 구현한 것으로 보았다. 친정의 기반이 송두리째 무너진 익주지방의 상황을 고려할 때는 딸로서의 권리를 잃은 것이며 정을선 본가에서의 상황을 고려할 때는 며느리나 적처로서의 권리와 위치가 더 강하게 보장받은 것인바, 모계와 처계를 배제한 부계 중심의 사회로 전환하는 혼속의 의미를 작품 배면에 은폐시킨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aspects and meanings of marriagerelated customs concealed in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ancient novel < Jeongeulseonjeon > (the Biography of Jeong Eul-seon) while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Joseon Dynasty marriage customs. The Joseon Dynasty attempted to cultivate and practice Neo-Confucian morality through the Clan Code with Neo-Confucianism as its ruling ideology. As part of such efforts, they continued efforts to transform "Namgwiyeoga" (the custom by which the bridegroom lived in the bride's house), which was a marriage custom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to Chinyeongnye (the custom by which the bridegroom brought the bride from her house to live together in his home). However, even by the late Joseon Dynasty, a complete Chinyeongnye was not achieved, and Ban-chinyeongnye marriage customs were practiced under the influence of "Namgwiyeoga" marriage. The novel < Jeongeulseonjeon > conceals this Banchinyeong marriage customs in the conflict structure. In order to examine this in more detail, this study first explored the overall conflict structure of the work. The composition of the paragraphs of the conflict in the first part of the work adopted the abusive motif of the step-model family novel to realize obstacle to marriage, while the composition of the paragraphs of the conflict in the second part borrowed the story of the affection conflict between the wife and the concubine in order to resolve the chaos of the position of the lawful wife in relation to 'obstacle to marriage' described in the first part. < Jeongeulseonjeon > is a work with a conflict structure of the close-knit association, and it embodies the ritual of Banchinyeongnye in this conflict structure.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Ikju region, where the foundation of the bride's home completely collapsed, she is deemed to have lost her rights as the daughter. Considering the situation at Jeongeulseon's husband's home, her rights and position as the daughter-in-law or legitimate wife were more secured, so it was understood that the meaning of marriage customs, converting to a paternal-centered society that excludes maternal lineage and wife lineage, was concealed in the work.

      • KCI등재

        부산별신굿의 전승 현황 및 양상

        문혜진 ( Mun¸ Hae-jin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1 No.-

        부산 지역에서 별신굿은 조선조부터 전승되어 내려오는 전통 의례로서 근대화의 ‘개발’ 논리 혹은 ‘미신타파’ 정책에 의해 단절되기도 하고 동삼동풍어제와 같이 현대에 어촌계의 주도로 새로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히, 1960년대 사하구의 다대동과 감천동의 별신굿을 시작으로, 1970년대 기장군 임랑리와 수영구 남천, 1980년대 기장군 월내와 남구 용호, 1990년대 해운대구 미포와 운촌, 수영구 민락, 2000년대 기장군 서암과 동암, 2010년대 영도구 청학 등지에서 중단되며 현재까지 총 12곳에서 부산별신굿의 전승이 단절되었다. 또한 현재 전승되고 있는 청사포별신굿의 경우도 단절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부산별신굿의 단절과 지속, 재개의 현황을 파악하여 부산별신굿의 전승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부산별신굿이 잘 전승되고 있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별신굿은 부산의 고유한 해양 제의이자 축제이다. 이에 부산시 차원에서 별신굿이 잘 전승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검토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한다면, 향후 부산의 미래유산으로서 부산별신굿의 보존과 지속적인 전승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s a traditional ritual, Byeolsingut in Busan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Joseon period, its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or continued. In addition, Dongsamdong Byeolsingut was newly started by a fishing village society. Especially, including Dadae-dong and Gamcheon-dong Byeolsingut in 1960s, Byeolsingut in 12 regions of Busan were discontinued: Imrang-ri and Suyeong-gu Byeolsingut in 1970s, Wolnae and Yongho Byeolsingut in 1980s, Mipo, Unchon and Minrak Byeolsingut in 1990s, Seoam and Dongam Byeolsingut in 2000s and Cheonghak in 2010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heongsapo Byeolsingut could not be passed no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discontinuity, continuity and recreation of Byeolsingut an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Byeolsingut's continuity. Busan Byeolsingut is an indigenous sea god's ritual as well as a marine festival. Th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transmission of Busan Byeolsingut will be helpful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Busan Byeolsingut through consideration of transmission direction in the policy of Busan city.

      • KCI등재

        『金三不本 신재효 판소리 사설』 소재 자료 연구 -「신오위장극가집 별사(申五衛將劇歌集 別寫)」와 「심청가 초(沈睛歌 抄)」를 대상으로

        이해진 ( Lee¸ Hae-jin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89 No.-

        이 글은 2020년 출간된 『金三不本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영인되어 있는 김삼불 수집의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들 중 「신오위장극가집 별사(申五衛將劇歌集別 寫)」와 「심청가 초(沈睛歌 抄)」를 연구하였다. 「신오위장극가집 별사」와 「심청가 초」는 기존에 신재효의 작품들로는 알려진 바 없었던 텍스트들을 담고 있다는 점, 김삼불이 직접 필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자료들이다. 김삼불이 손수 필사하여 자신의 신재효 자료집에 포함시켰다는 것은 그가 이 안에 수록된 텍스트들을 신재효 작으로 보았거나 적어도 신재효와 밀접하게 관계된 텍스트들로 보았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이 글은 먼저 「신오위장극가집 별사」와 「심청가 초」에 수록된 텍스트들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그중 특히 판소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보이는 텍스트 2편(선행 논의를 참고해 붙인 잠정적 명칭 <춘향 이별 사설>, <인당수 심청 영접 사설>)의 특징을 기존의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작품들(<춘향가>(남창/동창), <오섬가>, <심청가>)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본 다음, 김삼불의 신재효 판소리 사설관에 입각해 이 두 텍스트의 필사 및 수록 취지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이를 통해 『金三不本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소재한 새로운 신재효 관련 텍스트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구체적으로 환기하는 한편, 이들 텍스트들은 신재효 사설에 대한 김삼불의 관점(입론)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Shin Owijang Geukgajip (申五衛將劇歌集 別寫)” and “Simcheongga Cho (沈睛歌 抄),” which were collected and transcribed by Kim Sam-Bul (金三不). These are notable in that they contain previously unknown texts for Shin Jae-Hyo’s (申在孝) works. The fact that Kim Sam-Bul transcribed these two texts and included them in his collection of Pansori texts of Shin Jae-Hyo indicates that he regarded them as Shin Jae-Hyo’s creations or at least as texts closely related to him. Accordingly, this study first provides an overview of all texts in “Shin Owijang Geukgajip Byeolsa” and “Simcheongga Cho.”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wo texts (provisional title: “the text of Chunhyang’s goodbye” and “the text of reception of Simcheong in Indangsu”) contained therein are analyzed, especially in relation to Shin Jae-Hyo’s Chunhyangga, Oseomga and Simcheongga. Finally, Kim Sam-Bul’s purpose of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are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ttention to these new texts related to Shin Jae-Hyo, which were collected by Kim Sam-Bul, and suggests that they will need to be understood in close relationship with Kim Sam-Bul’s perspective on the aforementioned Pansori texts.

      • KCI등재

        Participation, Employment Status, and Burnout

        Haejin Kim(김혜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8 産業關係硏究 Vol.18 No.2

        이 글은, 미국 병원에 근무하는 353명의 간호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고용형태의 차이에 따른 종업원 참여 정도와 번아웃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종업원 참여 정도가 높을수 록 번아웃-특히 소진(exhaustion)과 비인간화(depersonalization) 요소들 이 낮을 것이라는 일반적 가설은 이 조사에서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종업원 참여 정도와 번아웃의 이러한 역관계가 풀타임 정규직과 파트타임, 비정규직 노동자 간에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 역시 유효하게 검증되었다. 그러나 파트타임이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종업원 참여 정도가 풀타임 정규직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풀타임 정규직만이 아니라 파트타임이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도 종업원 참여의 기회를 주는 것이 기업들에게도 이득이 된다는 사실일 것이다. The relationship among employee participation, employment status, and burnout was examined using a survey of 353 hospital nurses. The hypothesis that employee participation was inversely related to burnout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was supported. The other hypothesis on the sam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participation and burnout for regular full-time, part-time, and temporary employees was also supported, though participation levels among part-time and temporary nurses were reported lower. The major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organizations can benefit by provid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part-time and temporary as well as full-time employees.

      • KCI등재

        High Involvement Work Practices and Temporary Employment Practices

        Haejin Kim(김혜진)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미국 뉴저지 주의 소재 병원들에 종사하는 간호사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고성과(고참여)작업관행과 임시고용관행이 노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했다. 이를 위해 임의적 노력이라는 개념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요소 분석을 통해 더 열심히 일하기, 더 현명하게 일하기와 더 친절하게 일하기라는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고성과(고참여)작업관행은 이 중 더 현명하게 일하기로 부분적으로 매개되어 돌봄 서비스 질 인식과 긍정적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임시고용관행은 더 열심히 일하기로 부분적으로 매개되어 돌봄 서비스 질 인식과 부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이렇게 상이한 상관관계를 가진 고성과(고참여)작업관행과 임시고용관행을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들 관행들의 사용을 재고해 볼 필요를 제기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wo popular employment practices, high involvement work practices (HIWPs) and temporary employment practices, work on workers and firms, using a survey of nurses in New Jersey, U.S.A., hospitals. For this purpose, discretionary work effort construct is developed, resulting in three factors ? working harder, working smarter, and working kinder effort. Then, a positive relationship is found between HIWPs and perceived quality of work, partially mediated by working smarter effort, and a negative relationship is found between temporary employment practices and perceived quality of work through partial mediation by working harder effort. The simultaneous investigation of HIWPs and temporary employment practices, with these different relationships, gives a chance to reconsider on the use of these two employment trends.

      • The Tourism-Environment Causality

        Haejin Lee,Jennifer Baylon Verances,Woongang Song 한국관광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nd the environment in Gangneung, a famous marine destination in South Korea, using the cointegration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For the analysis, the study uses the last ten years data; tourist arrival, air quality index, and water quality index. The results show cointegreation relations between tourism and all the environmental quality variables. After testing the Granger causality by error correc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ourism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vironment statistically, whereas the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 on tourism are not.

      • A Study on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of Traditional Meju Produced by Region Using NGS Analysis

        Haejin Kim,Siu Lee,Hyejeong Yun,Seung-Hwa Lee,Hyunjeong Cho,Seong-Hee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microbial diversity in Meju affects the quality, we collected traditional Meju from across the country and analyzed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through next-generation sequencing. Sixty traditional Meju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in 9 regions: Gyeonggi, Gangwon, Chungbuk, Chungnam, Jeonbuk,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Using the Illumina iSeq™ 100 System, metagenomics sequencing was performed based on the bacterial 16S rRNA gene and the fungal ITS gene sequence.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 using the ATCC microbiome standard, 20 strains of staggered mixed genomic material (ATCC MSA-1003) were included for sequencing. Total Reads (Reads Passing Quality Filtering) was over 100,000. At the genus level, Bacillus, Aspergillus, Enterococcus, Weissella, Pediococcus, Clostridium, etc. were present in all Meju samples. Bacillus (30.2∼95.4%) and Aspergillus were dominant bacteria in Meju. The distribu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y of Meju did not have much regional similarity and varied greatly by producer.

      • KCI등재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Haejin Kim,Jin-Mu Yi,김노수,You Jin Lee,Jinhee Kim,Dal-Seok Oh,Se-Mi Oh,Ok-Sun Bang,Jun Lee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5 No.3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an ethanol extract from the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flavonoids (1–3), one lignan (4), and three phenolic compounds (5–7). The structures of compounds 1–7 were identified by NMR data. The efficacy of all compounds was evaluated by their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nine human cancer cell lines using an in vitro as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