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과주의 비판 -온전성과 분배 정의, 교환 정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최규하 ( Choi¸ Gyuh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9 가톨릭철학 Vol.0 No.33

        행위의 도덕성을 그 행위가 야기하는 결과적 사태의 가치로 판단하는 결과주의에서 원칙적으로 제시하는 유일한 도덕적 판단 기준은 비개인적 관점에서 바라본 전체 세계의 총합적 가치의 최대화이다. 이에 따라 전체의 이익과 충돌할 때마다 개인은 자신의 이익과 신념, 삶의 기획을 모두 포기하도록 도덕적으로 요구되고, 결과적으로 각 개인의 개별성은 적절하게 존중받을 근거를 잃어버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결과주의가 도덕적 이론으로서 지닌 한계를 온전성, 분배 정의, 그리고 교환 정의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우선 온전성의 측면에서,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온전한 삶을 꾸려가야 할 개인은 결과주의적 원칙 하에 전체의 선을 위해 필요할 때마다 자신의 이익이나 삶의 기획을 포기하도록 도덕적으로 강요되며, 따라서 내적으로 분열된 삶을 살게 된다. 둘째, 분배 정의의 측면에서 결과주의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왜곡시켜 개인이 독립된 개별자가 아니라 전체 사회의 선을 위해 기능하는 부품이 되게 하는데, 이러한 ‘전체의 선’은 특히 좋음의 관계적 개념에 근거하여 볼 때 공허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드러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과주의는 개인 간의 주고받음의 관계에서 손해와 이익이 발생할 때 각 당사자가 자신의 손해를 적절하게 보상받아야 한다는 교환 정의의 원칙을 적절히 수용하지 못하는데, 이 교환 정의의 원칙은 각 개인의 개별성의 존중을 위해서 뿐 아니라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원리이다. According to consequentialism in which an action’s being right depends on the value of its consequent state, the only moral standard is the maximization of the overall value of the world as a whole, judged from an impersonal standpoint; thus, each individual is required to forgo her own interests, convictions, and life plans whenever they compete with the good of the whole. Hence, the separateness of an individual person fails to be properly respected in consequentialism.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shortcomings of consequentialism as a moral theory in terms of integrity, distributive justice, and commutative justice. First of all, with respect to integrity, each individual is supposed to form a life in accordance with her own convictions and values; however, under the consequentialist principle, since she is morally obliged to give up her own interests and life plans whenever necessary for the pursuit of the good of the whole, her life becomes split internally and she loses her integrity. Secondly, in terms of distributive justice, an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her society is distorted when she is forced to live the consequentialist principle: Her separateness being ignored, she is reduced to be an expendable part that only functions for the good of the whole. However, especially in terms of the relational concept of good, this ‘good of the whole’ may turn out to be something empty or secondary. Finally, consequentialism cannot accommodate commutative justice, according to which any person’s loss in the context of an exchange between individuals ought to be properly compensated. However, this commutative justice makes a necessary principle for keeping a community, not only an individual in it, intact.

      • KCI등재

        플란팅가의 ‘복된 탓 논증’에 대한 비판적 접근

        최규하 ( Choi¸ Gyu-h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8

        플란팅가는 ‘복된 탓 논증’을 통해, 신이 그의 전지전능함과 완전히 선함에도 불구하고 죄와 고통이 존재하는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 정당화됨을 설명하는 신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곧, 신의 목적은 극히 좋은 세계를 만드는 것인데, 이 세계를 극히 좋게 만드는 요소는 다름 아니라 성자의 육화와 대속이며, 죄와 고통은 이런 육화와 대속의 필요 조건이기에, 신이 죄와 고통을 허용하는 것은 창조 목적의 성취라는 측면에서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이 논증의 가장 핵심적 문제 중 하나는 대속의 가치가 어떻게 신에 의해 창조된 극히 좋은 세계의 종합적 가치에 기여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플란팅가는 세 가지 가치 가정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에 근거하여 복된 탓 논증을 세 가지 버전으로 재구성하였다. 우선 강한 버전에 따르면 대속은 우연적인 가능 사태 중 가장 가치로운 것이며 따라서 모든 극히 좋은 세계는 반드시 대속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신의 사랑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속이 가장 가치로운 사태라는 플란팅가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지는데, 신의 완전한 사랑은 모든 가능 세계에서 동일할 것이며, 그 사랑에 대한 완전한 지식도 죄와 대속에 대한 실제적 경험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내세에서 동일하게 가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신의 존재’가 대속과 마찬가지로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플란팅가의 주장은, 극히 좋은 세계의 창조를 위해 왜 굳이 대속과 그 필요조건인 죄와 고통이 요구되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 다음으로 온건한 버전에 따르면, 자유로운 피조물들이 죄를 짓고 대속을 통해 구원받는 세계는 동일한 피조물들이 죄를 짓지 않기에 대속도 없는 세계보다 가치로운데, 이는 아마도 ‘용서하는 신의 사랑’이라는 요소를 후자의 세계가 결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죄의 가능성이 있는 자유로운 피조물을 포함하는 모든 가능 세계에서 죄인을 용서하고자 하는 신의 사랑은 늘 동일할 것이다. 또한 자유로우면서도 신의 의지를 늘 따르는 피조물들은 신의 의지를 완벽히 알 것이기에 죄인을 용서하는 신의 사랑 또한 죄와 용서의 실제적 경험없이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온건한 버전 역시 어떤 면에서 대속을 포함한 세계가 그렇지 않은 세계보다 나은지 설명해주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약한 버전에 따르면, 대속을 포함한 세계는 그것이 포함하는 죄와 고통에도 불구하고 신이 창조할 만한 극히 좋은 가능 세계 중의 하나이다. 이는 그 자체로는 설득력이 있는 주장이지만, 문제는 이 주장이 과연 성공적인 신정론을 구성하느냐 하는 것이다. 곧, 신이 궁극적인 창조 목적을 달성한다는 사실이 그 자체로 신의 죄와 고통의 허용을 도덕적으로 설득력있게 정당화할 수 있는가. 플란팅가는 복된 탓 논증을 통해 ‘극히 좋은 세계의 창조’라는 결과가 신의 죄와 고통의 허용을 성공적으로 정당화한다고 보았으며, 이는 그의 논증이 결과주의적 윤리원칙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주의자 신은 그리스도교의 신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는데, 전자는 필요에 따라 개인의 희생을 통해서라도 세계 전체의 종합적 가치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반면, 후자는 창조주로서 또 각 개인의 아버지로서 이중의 책임을 지고 세계전체의 선과 각 개인의 선을 모두 도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란팅가의 신정론이 그리스도교의 신을 정당화하고자 하였음을 전제한다면, 복된 탓 논증은 그 결과주의적 전제로 인해 신이 각 개인과의 인격적인 관계에서 지니는 아버지로서의 책임에 대해 적절히 다루지 못하기에, 신이 죄와 고통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성공적인 신정론을 제시하지 못한다. In his Felix Culpa argument, Plantinga aims to present a theodicy, in which God is justified to allow sin and suffering in spite of his omnipotence and perfect goodness. According to Plantinga, God’s ultimate aim is to create an extremely good world, and what makes God’s created world extremely good is divine incarnation and atonement. Now, since sin and suffering together make a necessary condition for divine incarnation and atonement, God is justified to allow sin and suffering in concern with achieving his ultimate aim at creation. One of the core issues of this argument is how the value of atonement contributes to the total value of an extremely good world created by God. Concerning this issue, Plantinga suggests three value assumptions; so, I have developed three versions of the Felix Culpa argument in accordance with his value assumption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strong version, since atonement is the most valuable among all possible contingent states of affairs, all extremely good possible worlds must contain atonement in it. However, Plantinga’s claim that atonement is the most valuable in terms of God’s love is not persuasive enough; for, God’s love will always be the same in all possible worlds, and people in the afterlife will have perfect knowledge on God’s love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ing actual sin and atonement in this life. Also, since God’s existence alone is of infinite value according to Plantinga, it is not clear why atonement - and sin and suffering as its necessary condition - is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creation of an extremely good world. Secondly, according to the moderate version, a possible world where free creatures sin but are redeemed by way of atonement is more valuable than a possible world where the same creatures do not sin and thus do not experience atonement. One reason for this claim will be that the latter lacks God’s tender love that is formed from forgiveness. However, God’s willingness to forgive the sinners will always be the same in all possible worlds where there are free creatures and thus there is a possibility of sin. Also, those who are free but always in harmony with God’s will must know God’s forgiving love perfectly even without sinning. Thus, the moderate version fails to show why a world with atonement is better than a world without it. Finally, according to the weak version, a world that includes atonement, in spite of its containing sin and suffering which are intrinsically bad, is one of the extremely good worlds that are eligible for creation. I take this claim as a persuasive one; but the issue is whether this claim makes a successful theodicy, not just a defense. Does the claim that God thus achieves his ultimate goal of creation successfully justify God’s allowing sin and suffering? Plantinga, in his Felix Culpa argument, claims that the value of a consequent state of affairs, i.e. an extremely good world, successfully justifies God’s allowing sin and suffering; and this proves that his argument is based on consequentialism. However, Plantinga’s consequentialist God obviously differs from Christian God: the former primarily aims at maximizing the value of the world as a whole even at the (unfair) sacrifice of the individuals in it, while the latter, who has a double responsibility as a Creator of the world and as a Father to each individual in it, cares about the good of each individual as well as of the world as a whole. Thus, considering that Plantinga aims at developing a theodicy that justifies Christian God, since the Felix Culpa argument cannot suitably address God’s responsibility as a Father to each individual person, it does not make a successful theodicy.

      • KCI등재
      • Binder-free Ge nanoparticles–carbon hybrids for anode materials of advanced lithium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and rate capability

        Jo, Gyuha,Choi, Ilyoung,Ahn, Hyungmin,Park, Moon Jeong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2 Chemical communications Vol.48 No.33

        <P>We present a facile synthetic route toward binder-free, highly-dispersed Ge nanoparticles in carbon matrices using one-step pyrolysis of self-assembled Ge–polymer hybrids. 3-Dimensionally arranged Ge–carbon exhibits remarkably enhanced cycling properties and rate capability compared with carbon sheathed Ge lacking organization.</P> <P>Graphic Abstract</P><P>Binder-free GeNPs–carbon hybrid anodes with highly reversible capacities and rate capability were achieved by one-step pyrolysis of self-assembled GeNPs–polymer hybrids. <IMG SRC='http://pubs.rsc.org/services/images/RSCpubs.ePlatform.Service.FreeContent.ImageService.svc/ImageService/image/GA?id=c2cc30294b'> </P>

      • 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 기반 제어기 검증을 위한 트랙터 plant 모델 개발

        한규하 ( Gyuha Han ),안다빈 ( Da-vin Ahn ),이진웅 ( Jinwoong Lee ),박진감 ( Jinkam Park ),신옥식 ( Okshik Shin ),박영준 ( Young-ju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제어기 알고리즘을 실제 트랙터에서 검증을 진행할 경우, 기능 안전 로직의 신뢰성에 따라 비용이 커지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HILS) 기반 제어기 검증을 위하여 트랙터를 구성하는 전체 요소 중 제어기 외의 부분을 MATLAB/Simulink를 기반해 트랙터 plant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트랙터 plant 모델은 입출력 프로세싱, HCU, 엔진, 변속기, 차량 모델의 크게 5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출력 프로세싱은 제어기와 plant 모델이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dSPACE 사의 ConfigurationDesk 6.7 프로그램을 통해 HILS의 realtime 구동이 가능하게끔 개발되었다. HCU는 모델링에 사용한 트랙터 비례제어밸브의 전류-압력 특성과 싱크로나이저의 전류 신호별 액추에이터의 거동을 반영하도록 개발되었다. 엔진은 토크맵에 따라 속도제어와 거버너를 통한 idle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변속기는 전후진 클러치, 주변속 8단으로 구성된 듀얼 클러치 변속(DCT) 시스템과 함께 부변속 4단, PTO 3단으로 구성하였다. 차량 모델은 차량 무게, 타이어 제원 등의 실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역학 모델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트랙터 plant 모델은 test harness 기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요구된 모델 성능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Rules Regarding SaMD Between the Regulation EU 2017/745 and the Directive 93/42/EEC

        Ryu, Gyuha,Lee, Jiyoon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6

        The global market size of AI based SaMD for medical image in 2023 will be anticipated to reach around 620 billion won (518 million dollars). In order for Korean manufacturers to efficiently obtain CE marking for marketing in the EU countries, the paper is to introduce the recommendation and suggestion of how to reclassify SaMD based on classification rules of MDR because, after introducing the Regulation EU 2017/745, classification rules are quite modified and newly added compared to the Directive 93/42/EEC. In addition, the paper is to provide several rules of MDR that may be applicable to decide the classification of SaMD. Lastly, the paper is to examine and demonstrate various secondary data supported by qualitative data because the paper focuses on the suggestion and recommendation with a public trust on the basis of various secondary data conducted by the analysis of field data. In conclusion, the paper found that the previous classification of SaMD followed by the rule of MDD should be reclassified based on the Regulation EU 2017/745. Therefore, the suggestion and recommendation are useful for Korean manufacturers to comprehend the classification of SaMD for marketing in the EU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