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증적 증상 환자들의 자기- 불일치와 정신병리의 관계 : 자기-불일치 이론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Self-Discrepancy Theory

        조용래,김선태,표경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임상장면에서 Higgins(1987)의 자기-불일치 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신경증적 증상 환자들의 자기-불일치와 정신병리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DSM-Ⅳ의 기분부전장애, 불안장애, 신체형 장애, 적응장애, 섭식장애의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환자 총 71명(남:45명, 여:26명)을 연구대상으로 자기 질문지로 자기개념을 측정한 후 Higgins(1987)의 방법에 따라 각 종류별 자기-불일치 점수를 채점하였으며, 정신병리는 Beck의 우울척도(BDI), Beck의 불안척도(BAI) 및 간이 정신진단 검사(SCL-90-R)의 하위척도 등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네가지 유형의 자기-불일치 모두에서 채점자간 일치도가 매우 높았으며(r=0.96∼0.98), 자기-불일치 유형들간의 상관계수(r)의 범위는 0.41∼0.59로서 모두 유의하였다. 2) 전체 자기-불일치는 대부분의 정신병리와 유의상관(r=0.24∼0.40)이 있었으므로, 전체 자기-불일치와 정신병리 전반의 관계에 대한 일반성 가설이 지지되었다. 3) 단순상관 분석에서, 실제적-이상적 불일치는 일반적인 불안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우울 외에 대인불안 및 강박증상과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실제적-이상적/자신 및 타인 불일치의 경우에도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편상관 분석에서는 실제적-이상적 불일치의 어떤 유형도 특정한 정신병리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실제적-이상적 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특정성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고 하겠다. 4) 실제적-의무적/자신 불일치의 경우 우울과는 유의한 편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불안 및 대인 불안과는 유의한 편상관이 있었다. 하지만 실제적-의무적 불일치 및 실제적-의무적/타인 불일치 양자 모두 공포불안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유형의 정신병리와 유의한 편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실제적-의무적 불일치와 불안의 관계에 대한 특정성 가설은 각 유형에 따라 혼합되게 지지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기-불일치 이론을 대체로 지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신경증적 증상 환자들의 정신병리를 이해하고 치료적으로 도와주는데 있어 자기-불일치 이론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Objectives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in order to explore th clinical applicability of Higgins'(1987) self-discrepancy theory. Methods : Subjects were 71(male : 45, female : 26) patients with dysthym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adjustment disorder, or eating disorder diagnosed with DSM-Ⅳ. After all the subjects' different self-cocepts were measured with the Selves questionnaire, their different kinds of self-discrepancy score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Higgins'(1987), and their various psychiatric symptom dimensions(psychopathology) were measured with BAI, BDI, and SCL-90-R. Results : 1) All of the interscorer agreements for four different kinds of self-discrepancies were very high, and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se were all significant. 2) Total self-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st of psychiatric symptom dimensions, and thus this result supports the generality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elf-discrepancy and psychopathology. 3) In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hereas overall actual-ideal discrepanc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nxiety,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 dimension as well as depression. These patterns of correla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both actual-ideal/own discrepancy and actual-ideal/other discrepancy, but partial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and psychopathology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se results partly support the specificity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discrepancy and depression. 4) In partial correlation analyses, actual-ought/own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general and interpersonal anxiety, but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However, both overall actual-ought discrepancy and actual-ought/other discrepan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st of psychiatric symptom dimensions except phobic anxiety. Thus, these results provide mixed support for the specificity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ought discrepancy and anxiety.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eneral support for self-discrepancy theor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ts clinical applicability in understanding and treating 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 대학교 신입생의 특성에 관한 실태조사(1) : 1994학년도 조선대 신입생 일부를 대상으로 1994 Chosun University Entrants

        김학렬,조용래,박상학,김상훈,박근무,표경식 조선대학교 1994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9 No.2

        The main purposes of this survey a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ntrants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both a policy planning for entrants and student guidance. For this, entrants(N=868) who were admitted to natural science, engineering, education. fine arts, and other colleges of Chosun University(CU) in 1994 were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authors. The questionnaire dealt with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life environment - family relationship, family circumstances, economic conditions, 3) life during high school, 4) attitudes toward both the university and one's subject of study - major sources of informations about the university and attitude toward the university. major sources of informations about one's subject of study and attitude toward one's subject of study, 5) the plan of the university life and course after graduation, 6)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7) self-perception. The characteristics of entrants were globally examined,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and differences among colleges in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if any, were also mentioned.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provided in terms of both a policy planning for entrants and student guidance, Finally, one limitation of this survey was discuss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urveys were also discussed.

      • 일,생활 균형의 철학과 가치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김경례 ( Gyoung Rae Kim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5 No.-

        이 글은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것의 함의와 한계를 고찰해 보고 진정 한 의미의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을 위해서 어떠한 철학과 가치설정이 필요한지를 모색해 보기 위한 시론 격의 글이다. 일·생활균형의 철학과 가치는 일·생활 불균형을 발생시킨 지배적인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부터 모색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먼저 일·가정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의 등장배 경과 성격을 살펴보고, 현재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 방향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담론은 직장여성의 고용환경 및 고용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라기보다 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출현하였으며,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기담론의 핵심 은 생산인구의 감소, 부양인구의 증가로 인한 국가경쟁력 약화였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가족친화환경조성제도는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양 육의 사회적 분담과 지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내용과 방향성이 직장/가정, 공/사, 생산/재생산의 이분 법적 구도에서 후자를 고려하는 것 같지만 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후자의 위기로 나타난 사회적 문제를 전자에 포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와 정책들이 여성의 고용불안정, 여성의 빈곤화, 성별분업구조를 해결하지 못한 채 일자리 창출, 양육 책임 일부의 사회화 형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정책은 생산중심, 남성중심의 패러다임에 기반해 있 다고 볼 수 있다. 고용불안정, 빈곤의 여성화,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성별분업적인 가족구조가 여전히 작동하는 한 일· 생활 균형은 요원한 일이며 남녀 모두 일 중심의 생활패턴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일·생활불균형은 생산 및 남성중심적 패러다임으로 인한 재생산의 위기 및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및 지배패러다임의 거부로 발 생한 현상이다. 따라서 일·생활 균형을 실현하고 생산 및 남성중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폄 하되어 있는 재생산의 가치 및 여성의 입장을 반영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This is an essay to examine what philosophy and value selection are required for a true equal gender tasks and balanced life while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philosophy and value of the work and life balance maintained the perspective that a critical review on the dominant paradigm that created the work and home imbalance needs to be sought first and this essa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necessity of family friendly environment and also reviewed the direction and issues through the contents of current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 family friendly environment establishment discussion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social crisis with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rather than as an improvement of the hiring conditions or hiring structures for the working women and the key of the crisis discussion in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society was the reduction of producing population and increase of the dependent population, which may lead to the weakening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family friendly environment system promote the social distribution of childcare and support as a part of low birth rate remedy, which may seem as if they consider the latter in the dichotomy of work/home, public/private, and production/reproduction but rather focus on the former and continue to include the social issues from the latter crisis in the former. Such systems and policies are not able to resolve the instable employment of women, women in poverty, and unfair gender treatment and lead to the partial socialization of employment increase and childcare responsibility. In this perspective,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family friendly policy is based on the production-focused, masculine paradigm. As long as the instable employment, women in poverty and men as the breadwinner family structure continue to function, the balanced life is hard to achieve and both men and women need to maintain a work-focused life pattern. The work and life imbalance is a phenomenon that arose from the crisis in reproduction from production and male focused paradigm and the refusal of the traditional sex roles of women and dominant paradigm. Therefore, to realize the work and life balance and overcome the production and male centered trends, a switch to a paradigm that reflects the value of reproduc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women that are relatively repressed.

      • KCI등재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보조생식술을 중심으로

        김경례(Gyoung-Rae K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젠더와 문화 Vol.3 No.2

        이 글은 신문기사의 내용과 불임치료와 관련된 대중 의학서적을 통해 의과학적 수사와 담론이 여성의 몸과 불임 그리고 보조생식술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위치 짓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첫째, 기술은 문화에 외재한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담론과정에서 생산되는 것임을 밝혔다. 둘째, 지배적인 기술문화는 출산과 기술에 대한 지배적인 사회규범을 반영하면서 그것을 재생산,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임에 대한 의과학적 담론의 핵심은 불임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생산, 확장하는 과정이며 이는 기술적, 사회적 조건과 맞물려 작동한다. 또한 보조생식술에 대한 의과학적 담론은 의과학자들의 사회적 권위와 의과학적 지식권력을 통해 의료기관 및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합리화하고 보편화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대중들은 기술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자신들의 체험을 통해 지배적인 기술문화와 경합하면서 기술에 대한 다층적인 해석과 비판적 개입을 시도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술은 특정문화를 구성, 재구성하는 실천으로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erforms that how medical rhetoric and discourse locate women's bodies, infertility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rough popular medical books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and contents of newspaper articl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is produced by social relations and discourse processes, not objective and independent existence that are external to the culture. Second, technology as a dominant culture reflects prevailing social norms. And that perform a function which reproduce and strengthen prevailing social norms. Medical discourse of infertility is the process of producing a social fear on infertility. And it should work together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treatment technologies, expansion of infertility industry, and the necessity of government's population control policy. That is, medical discourse work together technical and social conditions. Also, medical discourse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a process of rationalize and generalize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rough the social authority of medical scientists and the power of medical knowledge. But, the people do not fully internalize dominant technology as a culture. They compete with dominant culture of technology through the historical experience about technology and through their experience. They are trying to interpretation and critical intervention about technology. Therefore, technology need to be grasped to practice that (re)constitute of specific culture.

      • 광주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와 취업활성화 방안 연구

        김경례 ( Gyoung Rae Kim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8 No.-

        이 연구는 광주지역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취업활성화를 위해 광주지역 30.40대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지속성 확보 방안, 재취업 시 직업지위 확보방안, 실질적인 취업지원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사회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활성화와 취업지원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수요자 중심형 통합적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강화해야 한다. 둘째, 양질의 수요자 맞춤형 지원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특화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효과적인 구인-구직 매칭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지속성을 확보하고 재직여성의 노동시장 퇴장을 막기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여엇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도 중요하지만 당초에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활성화 정책은 단지 취업률을 높이는데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고용조건의 향상과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고용불안정,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과 격차를 최소화하는 사회적 노력과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the employment needs of 30-40 career interrupted women in Gwangju to promote economic activities and employment needs. Based on this,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women``s ensuring durability plans, ways to secure re-employment status, the social and political improvement plan for the provision of substantial employment support services were presented from various aspects. In order to activate women``s employment and improve employment support service, First, arrange and strengthen the integrated support syst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directed model. Second, quality support service is needed. Thir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rogram for localization type is needed. Fourth, effective matching method of job offering and job fmding should be prepared. Fifth, ensure career durabil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to prevent withdrawal of the employees in the labor market. Female worker``s work-family balance has to be strengthened. Sixth, th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s important, but efforts are primarily necessary to prevent career interrupted of women. Employment activation policies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should not be limited only to increase employment rate, but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as same time as improving employment conditions. Furthermore, social effort should be paralleled to decrease job insecurity, gender inequality and the gap of the labor market.

      • KCI등재후보

        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한 정책적 논쟁과 문제점 - 정책담론을 넘어 여성건강 운동으로

        김경례 ( Gyoung Rae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이 글은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을 둘러싼 정책적 논쟁의 쟁점과 운영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공공산후조리원의 ‘공공성’이 여성의 재생산 건강권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재생산 건강권은 임신, 출산의 전 과정에서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권리를 포함하며, 재생산의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 확보를 지향하는 것이다.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된 민간 산후조리원은 이윤창출을 위한 상업적 성격으로 인해 고비용, 비용격차, 위생 및 안전의 문제 등이 제기되었고 출산장려와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공적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3년부터 일부 지자체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비용이나 서비스 내용 면에서 민간산후조리원과 큰 차별성이 없고 이용 및 감면 대상을 제한하고 차등화함으로써 ‘보편적’공공성 보다는 ‘선별적’ 복지수혜 정책의 성격을 띠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한계를 넘어 서구 여성건강운동의 경험을 토대로 한 풀뿌리 여성건강 커뮤니티센터 운동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policy argument over the issue and the operating status and problems surrounding establishment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Also, through the analysis it researches ‘publicness’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whether the publicness is fully considered women’s reproduction health right. The private postpartum clinics, which had operated since 1997, are commercial businesses so that many problems were raised such as high cost, cost gap and health and safety.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since 2013 to provide systematic public services which can encourage childbirth and can give health care for mothers and newborns. Although, there are not big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cost and service between both private postpartum clinics and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In addition, the character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is more like ‘selective’ welfare benefit not the ‘universal’ publicness because it limits and differentiate the people(target)who utilize the center and get remission of fees. Finally, in this article, I suggest in need of grassroots movement for women’s health community center. It should b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western women’s health movement and also should beyond the limits of th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